KR101474095B1 -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095B1
KR101474095B1 KR1020127030419A KR20127030419A KR101474095B1 KR 101474095 B1 KR101474095 B1 KR 101474095B1 KR 1020127030419 A KR1020127030419 A KR 1020127030419A KR 20127030419 A KR20127030419 A KR 20127030419A KR 101474095 B1 KR101474095 B1 KR 10147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zone
type
support
cli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739A (ko
Inventor
키란쿠마르 안찬
봉용 송
베스 에이 브루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장비 (UE) 는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UE 에서 서버-중재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을 특징으로 한다. UE 는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을 로딩하고, 그 후에 UE 에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을 실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또는 특성들을 선택하고, 그 후에 선택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또는 특성들을 갖는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내에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SUPPORTING A MULTIMEDIA APPLICATION BASED ON NETWORK ZONE RECOGNITION}
35 U.S.C.§119 하에서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2010년 4월 20일에 출원된 "SUPPORTING A MULTIMEDIA APPLICATION BASED ON NETWORK ZONE RECOGNITION" 이라는 명칭의 가출원 제 61/325,878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 그 전부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세대에 걸쳐 발전해왔으며, 이러한 세대는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전화기 서비스 (1G), 2 세대 (2G) 디지털 무선 전화 서비스 (잠정적인 2.5G 및 2.75G 네트워크들을 포함함) 및 3 세대 (3G) 고속 데이터/인터넷 가능한 무선 서비스를 포함한다. 셀룰러 및 개인 통신 서비스 (PCS)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현재 다수의 서로 다른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이용중에 있다. 공지된 셀룰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셀룰러 아날로그 어드밴스드 이동 전화 시스템 (AMPS),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TDMA 의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GSM) 변형 및 TDMA 및 CDMA 기술들 양자를 이용하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디지털 통신 시스템들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CDMA 이동 통신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 이라는 명칭의 TIA/EIA/IS-95-A 에서 통신 산업 협회/전자 산업 협회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에 의해 미국에서 표준화되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IS-95 라 지칭된다. 결합된 AMPS 및 CDMA 시스템들이 TIA/EIA 표준 IS-98 에서 설명된다. 다른 통신 시스템들이 IMT-2000/UM 또는 인터내셔널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2000/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설명되며, 이러한 표준들은 광대역 CDMA (W-CDMA), (예컨대, CDMA2000 1xEV-DO 표준들과 같은) CDMA2000 또는 TD-SCDMA 로 지칭되는 표준들을 커버한다.
W-CDMA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자 장비들 (UE들) 은 기지국들에 인접하거나 또는 둘러싸는 특정의 지리적 영역들 내에서 통신 링크들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고정된 위치 노드 B들 (또한, 셀 사이트들 또는 셀들이라고도 함) 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한다. 노드 B들은 액세스 네트워크 (AN)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에 진입 포인트들 (entry points) 을 제공하는데, 그 액세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품질 (QoS) 요구사항들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구별하는 방법들을 지원하는 표준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 (IETF) 기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노드 B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UE들과 상호작용하며, 인터넷 프로토콜 (IP)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들을 통해서 RAN 과 상호작용한다.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들에서는, 푸시-투-토크 (PTT) 능력들이 서비스 섹터들 및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PTT 는 표준 커머셜 무선 기반구조들, 예컨대 W-CDMA, CDMA, FDMA, TDMA, GSM 등을 통해서 동작하는 "디스패치 (dispatch)" 보이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디스패치 모델에서는, 엔드 포인트들 (예컨대, UE들) 사이의 통신이 가상 그룹들 내에서 발생하며, 이때, 한 명의 "화자" 의 보이스가 한 명 이상의 "청자들"에게 송신된다. 이 유형의 통신의 단일 인스턴스는 보통 디스패치 호출 (dispatch call) 로서 지칭되거나, 또는 간단히 PTT 호출로 지칭된다. PTT 호출은 호출의 특성들을 정의하는 한 그룹의 인스턴스화 (instantiation) 이다. 그룹은 본질적으로 멤버 리스트 및 연관된 정보, 예컨대, 그룹 이름 또는 그룹 식별자 (identification) 로 정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장비 (UE) 는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며,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UE 에서 서버-중재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UE 는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로딩하고, 그 후에 UE 에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또는 특성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그 후에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또는 특성들의 선택된 세트를 갖는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 및 그 다수의 부수적인 장점들은, 발명의 한정이 아닌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양호하게 이해되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획득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 단말들 및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의 코어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b 는 도 1 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좀더 자세히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 단말의 예시이다.
도 4a 는 특정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네트워크들의 광범위 특성화를 도시한다.
도 4b 는 소정의 사용자 장비 (UE) 가 로밍 네트워크 또는 방문형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로부터 홈 네트워크에서 착신되는 패킷 데이터 세션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또는 홈 PLMN 에 위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4c 는 소정의 UE 가 로밍 네트워크 또는 방문형 PLMN 으로부터 방문형 네트워크 또는 방문형 PLMN 에 위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d 는 소정의 UE 가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로부터 로밍 네트워크로 트랜지션하는 동안 소정의 UE 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들의 광범위 특성화를 도시한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네트워크-존 인식에 기초하여 소정 UE 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소정의 UE 가 그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존 네트워크, 블루 존 네트워크, 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소정의 UE 가 그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존 네트워크 또는 블루 존 네트워크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대안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네트워크-존 검출이 수행되는 대안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소정의 UE 가 그린, 블루 및/또는 레드 존들 사이에서 트랜지션할 때 소정의 UE 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 개시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함 없이 안출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널리 공지된 엘리먼트들은 본 발명의 관련 상세를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기술되지 않거나 생략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 및/또는 "실시예" 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다. "예시적인" 및/또는 "실시예" 로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발명의 실시형태들" 은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이 설명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해야 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다수의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의 관점에서 기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액션들의 이러한 시퀀스는, 실행시, 연관된 프로세서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가 저장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전부 수록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들 형태들 모두는 본 청구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실시형태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실시형태들의 대응하는 형태가, 예를 들어, 기술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 (UE) 로 지칭되는 고 데이터 레이트 (HDR) 가입자국은 이동할 수 있거나 고정될 수도 있으며, 노드 B들로 지칭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 (APs) 과 통신할 수도 있다. UE 는 노드 B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로 송신하고 수신할 수있다. 노드 B들 및 RNC 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라 불리는 네트워크의 부분들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액세스 단말들 사이에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특정의 캐리어 관련된 서버들 및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기업 인트라넷,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PSTN), 서빙 (serving)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들 (GPRS) 지원 노드 (S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GGSN) 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로의 접속 (connectivity) 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외부의 추가적인 네트워크들에 추가로 접속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UE 와 그런 네트워크들 사이에 보이스 및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노드 B들과의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한 UE 는 활성 UE 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트래픽 상태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노드 B들과 활성 트래픽 채널 (TCH) 접속을 확립하는 프로세스에 있는 UE 는 접속 셋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 는 무선 채널을 통해서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임의의 데이터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UE 는 PC 카드, 컴팩트 플래시 디바이스,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전화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 많은 유형들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UE 가 신호들을 노드 B(들) 로 송신하는 통신 링크는 업 링크 채널 (예컨대, 역방향 트래픽 채널,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 로 지칭된다. 노드 B(들) 이 신호들을 UE 로 송신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 링크 채널 (예컨대, 페이징 (paging)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 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트래픽 채널 (TCH) 은 업 링크/역방향 또는 다운 링크/순방향 트래픽 채널로 지칭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 (100) 은 패킷 교환 데이터 네트워크 (예컨대, 인트라넷, 인터넷,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126)) 와 UE들 (102, 108, 110, 112) 사이에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에 액세스 단말 (102) 을 접속할 수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120) 와의 무선 인터페이스 (104) 를 통해서 통신하는 UE들, 예컨대 셀룰러 전화기 (102)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UE 는 셀룰러 전화기 (102), 개인 휴대정보 단말 (108), 여기서 양방향 텍스트 페이저로 나타낸 페이저 (110), 또는 무선 통신 포탈을 갖는 심지어 별개의 컴퓨터 플랫폼 (112)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무선 모뎀들, PCMCIA 카드들, 개인 컴퓨터들, 전화기들,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이들의 하위-조합을 제한없이 포함한, 무선 통신 포탈을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임의 형태의 액세스 단말 상에서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 (즉, W-CDMA 이외의 통신 프로토콜들) 에서, 용어 "UE"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액세스 단말", "AT", "무선 디바이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이동 단말", "이동국" 및 이들의 변형들로서 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구성요소들 및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엘리먼트들의 상호관계는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 (100) 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원격 UE들, 예컨대, 무선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들 (102, 108, 110, 112) 로 하여금, 서로 간에,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126), 인터넷, PSTN, SGSN, GGSN 및/또는 다른 원격 서버들을 제한없이 포함한, 무선 인터페이스 (104) 및 RAN (120) 을 통해 접속된 구성요소들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RAN (120) 은 RNC (122) 로 송신되는 메시지들 (통상적으로, 데이터 패킷들로 송신됨) 을 제어한다. RNC (122) 는 서빙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들 (GPRS) 지원 노드 (SGSN) 와 UE들 (102/108/110/112) 사이에 베어러 채널들 (즉, 데이터 채널들) 을 시그널링하고, 확립하고, 그리고 해체 (tearing down) 하는 것을 담당한다. 또한, 링크층 암호화가 인에이블되면, RNC (122) 는 콘텐츠를 무선 인터페이스 (104) 로 포워딩하기 전에 암호화한다. RNC (122) 의 기능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간결성을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코어 네트워크 (126) 는 네트워크, 인터넷 및/또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PSTN) 에 의해 RNC (122)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의 대안으로, RNC (122) 는 인터넷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126) 와 RNC (122) 사이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은 데이터를 송신하며, PSTN 은 보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RNC (122) 은 다수의 노드 B들 (124) 에 접속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126) 와 유사한 방법으로, RNC (122) 는 데이터 송신 및/또는 보이스 정보를 위해 네트워크, 즉, 인터넷 및/또는 PSTN 에 의해 통상적으로 노드 B들 (124) 에 접속된다. 노드 B들 (124) 은 데이터 메시지들을 UE들, 예컨대 셀룰러 전화기 (102) 로 무선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노드 B들 (124), RNC (122)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RAN (120) 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구성들이 또한 이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또다른 실시형태에서는, RNC (122) 및 노드 B들 (124)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이 RNC (122) 및 노드 B(들) (124) 양자의 기능을 갖는 단일 "하이브리드" 모듈로 콜랩스 (collapse) 될 수도 있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126) 를 도시한다. 특히, 도 2a 는 W-CDMA 시스템 내에 구현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들 (GPRS)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 의 실시형태에서, 코어 네트워크 (126) 는 서빙 GPRS 지원 노드 (SGSN) (160),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GGSN) (165) 및 인터넷 (175) 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인터넷 (175)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부분들이 코어 네트워크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음이 인식된다.
일반적으로, GPRS 는 인터넷 프로토콜 (IP) 패킷들을 송신하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폰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GPRS 코어 네트워크 (예컨대, GGSN (165) 및 하나 이상의 SGSN들 (160)) 는 GPRS 시스템의 중심 부분이며, 또한 W-CDMA 기반 3G 네트워크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GPRS 코어 네트워크는 GSM 코어 네트워크의 통합된 부분이며, GSM 및 W-CDMA 네트워크들에서 IP 패킷 서비스들에 대한 이동성 관리, 세션 관리 및 송신을 제공한다.
GPRS 터널링 프로토콜 (GTP) 은 GPRS 코어 네트워크의 IP 프로토콜을 정의한 것이다. GTP 는 GSM 또는 W-CDMA 네트워크의 엔드 사용자들 (예컨대, 액세스 단말들) 로 하여금,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마치, GGSN (165) 의 하나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인 것처럼, 인터넷에 계속 접속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가입자의 데이터를, 가입자의 현재의 SGSN (160) 으로부터, 가입자의 세션을 처리하고 있는 GGSN (165) 으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3개 형태의 GTP, 즉, (i) GTP-U, (ii) GTP-C 및 (iii) GTP' (GTP 프라임) 이 GPRS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GTP-U 는 각각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컨텍스트에 있어서 분리된 터널들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된다. GTP-C 는 제어 시그널링 (예컨대, PDP 컨텍스트들의 셋업 및 삭제, GSN 도달가능성 (reach-ability) 의 검증, 업데이트들 또는 수정들, 예컨대 가입자가 하나의 SGSN 으로부터 또다른 SGSN 으로 이동할 때 등) 에 이용된다. GTP' 는 GSN들로부터 과금 (charging) 기능부로의 과금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된다.
도 2a 를 참조하면, GGSN (165) 은 GPRS 백본 네트워크 (미도시) 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175) 사이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GGSN (165) 은 SGSN (160) 로부터 들어오는 GPRS 패킷들에서 연관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포맷 (예컨대, IP 또는 PPP) 을 가진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패킷들을 대응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상으로 송신한다. 다른 방향으로는, 유입하는 데이터 패킷들은 GGSN (165) 에 의해, RAN (120) 에 의해 서브 (serve) 되는 목적지 UE 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를 관리 및 제어하는 SGSN (160) 으로 보내진다. 그에 의해, GGSN (165) 은 목표 UE 의 현재의 SGSN 어드레스 및 그의/그녀의 프로파일을 그의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예컨대, PDP 컨텍스트 내에) 저장한다. GGSN 은 IP 어드레스 할당을 담당하며, 접속된 UE 에 대한 디폴트 라우터이다. 또한, GGSN 은 인증 및 과금 기능들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SGSN (160) 은 코어 네트워크 (126) 내 많은 SGSN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각각의 SGSN 은 연관된 지리적 서비스 영역 내의 UE들로부터의 및 UE들로의 데이터 패킷들의 배달을 담당한다. SGSN (160) 의 태스크들은 패킷 라우팅 및 송신, 이동성 관리 (예컨대, 접속/접속해제 및 로케이션 관리), 논리적인 링크 관리, 및 인증 및 과금 기능들을 포함한다. SGSN 의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로케이션 정보 (예컨대, 현재의 셀, 현재의 VLR) 및 SGSN (160) 에 등록된 모든 GPRS 사용자들의 사용자 프로파일들 (예컨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MSI, PDP 어드레스(들)) 를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 또는 UE 에 대한 하나 이상의 PDP 컨텍스트들 내에 저장한다. 따라서, SGSN들은 (i) GGSN (165) 으로부터 다운 링크 GTP 패킷들을 디터널링 (de-tunneling) 하고, (ii) IP 패킷들을 GGSN (165) 으로 업 링크 터닐링하고, (iii) UE들이 SGSN 서비스 영역들 사이에 이동함에 따라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고, (iv) 이동 가입자들에게 빌링 (billing) 하는 것을 담당한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i) - (iv) 을 제외하고, GSM/EDGE 네트워크들용으로 구성된 SGSN들은 W-CDMA 네트워크들용으로 구성된 SGSN들에 비해 약간 상이한 기능을 갖는다.
RAN (120) (예컨대, 또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MTS) 시스템 아키텍쳐에서 UTRAN) 은 SGSN (160) 과 Iu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신 프로토콜, 예컨대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또는 IP 로 통신한다. SGSN (160) 은 SGSN (160) 및 다른 SGSN들 (미도시) 과 내부 GGSN들 사이의 IP-기반 인터페이스인 Gn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GGSN (165) 과 통신하며, 위에서 정의한 GTP 프로토콜 (예컨대, GTP-U, GTP-C, GTP' 등) 을 이용한다. 또한, 도 2a 에 나타내지는 않지만, Gn 인터페이스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 (DNS) 에 의해 이용된다. GGSN (165) 은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 (PDN) (미도시) 에 접속되며, 차례로, 인터넷 (175) 에, G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P 프로토콜들에 의해 직접 또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접속된다.
PDP 컨텍스트는 UE 가 활성 GPRS 세션을 가지고 있을 때 특정 UE 의 통신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SGSN (160) 및 GGSN (165) 양자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UE 가 GPRS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할 때, UE 는 먼저 SGSN (160) 에 어태치 (attach) 되어, GGSN (165) 을 가진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것은 가입자가 현재 방문중인 SGSN (160) 및 UE 의 액세스 포인트를 서브하는 GGSN (165) 에 PDP 컨텍스트 데이터 구조를 할당한다.
도 2b 는 도 1 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일 예를 좀더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2b 을 참조하면, UE 1…N 들이 상이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엔드-포인트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위치들에서 RAN (120) 에 접속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도 2b 의 예시가 W-CDMA 시스템들 및 전문 용어에 특정되지만, 어떻게 도 2b 가 1x EV-DO 시스템을 뒷받침하도록 변경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UE 1 및 UE 3 은 (예컨대, SGSN, GGSN, PDSN, 홈 에이전트 (HA), 외부 에이전트 (FA) 등에 대응할 수도 있는) 제 1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162) 에 의해 서브되는 부분에서 RAN (120) 에 접속한다. 차례로, 제 1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162) 는 라우팅 유닛 (188) 을 경유해서, 인터넷 (175) 에, 및/또는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 (182), 프로비져닝 서버 (184), 인터넷 프로토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등록 서버 (186)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중 하나 이상에 접속한다. UE 2 및 5…N 들은 (예컨대, SGSN, GGSN, PDSN, FA, HA 등에 대응할 수도 있는) 제 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164) 에 의해 서브되는 부분에서 RAN (120) 에 접속한다. 차례로, 제 1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162) 와 유사하게, 제 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164) 는 라우팅 유닛 (188) 을 경유해서 인터넷 (175) 에, 및/또는 AAA 서버 (182), 프로비져닝 서버 (184), IMS / SIP 등록 서버 (186)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중 하나 이상에, 접속한다. UE 4 는 인터넷 (175) 에 직접 접속한 후, 인터넷 (175) 을 통해서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b 를 참조하면, UE 1, 3 및 5…N 들이 무선 셀-폰들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UE 2 가 무선 태블릿-PC 로서 도시되어 있고, UE 4 가 유선 데스크탑 스테이션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임의 유형의 UE에 접속할 수 있으며, 도 2b 에 도시된 예들이 시스템 내에 구현될 수도 있는 UE들의 유형들에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았음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AAA (182), 프로비져닝 서버 (184), IMS/SIP 등록 서버 (186)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가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각각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이들 서버들 중 하나 이상의 서버가 통합될 수도 있다.
게다가, 도 2b 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가 복수의 미디어 제어 콤플렉스들 (MCCs) 1…N (170B), 및 복수의 지역 디스패처들 1…N (170A) 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괄하여, 지역 디스패처들 (170A) 및 MCCs (170B)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내에 포함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내에서 통신 세션들 (예컨대, IP 유니캐스팅 및/또는 IP 멀티캐스팅 프로토콜들을 통한 하프-듀플렉스 그룹 통신 세션들) 을 중재하도록 일괄적으로 기능하는 서버들의 분산 네트워크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의해 중재되는 통신 세션들이 이론적으로 시스템 (100) 내 임의의 장소에 위치된 UE들 사이에 발생하기 때문에, 다수의 지역 디스패처들 (170A) 및 MCCs 가 그 중재되는 통신 세션들에 대한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도록 (예컨대, 북미에서의 MCC 가 중국에 위치된 세션 참가자들 사이에 미디어를 전후 방향 (back-and-forth) 으로 중계하고 있지 않도록) 분산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때, 그 연관된 기능이 지역 디스패처들 (170A) 중 하나 이상 및/또는 MCCs (170B)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강제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지역 디스패처들 (170A) 은 일반적으로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것 (예컨대, UE들 사이에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처리하고, 통지 메시지들을 스케쥴링 및/또는 송신하는 것 등) 에 관련된 임의의 기능을 담당하는 반면, MCCs (170B) 는 중재되는 통신 세션 동안 인-콜 (in-call) 시그널링 및 실제 미디어의 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호출 인스턴스의 지속기간 동안 통신 세션을 호스팅하는 것을 담당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UE (200) (여기서는, 무선 디바이스), 예컨대 셀룰러 전화기는 RAN (120) 으로부터 송신된, 궁극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126), 인터넷 및/또는 다른 원격 서버들 및 네트워크들로부터 들어올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하여 실행하는 플랫폼 (202) 을 갖는다. 플랫폼 (202) 은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208)), 또는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송수신기 (206) 를 포함할 수 있다. ASIC (208)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212) 내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210) 층을 실행한다. 메모리 (212) 는 판독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적인 임의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랫폼 (202) 은 메모리 (212) 에 능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유지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214) 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214) 는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셀이지만,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2차 저장 디바이스, 예컨대 자기 매체들, EEPROM, 광학 매체들, 테이프,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 또는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또한, 내부 플랫폼 (202) 구성요소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안테나 (222), 디스플레이 (224), 푸시-투-토크 버튼 (228) 및 키패드 (226) 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UE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이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여러 로직 엘리먼트들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이산 엘리먼트 (discrete element) 들,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IC (208), 메모리 (212), API (210)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 (214)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여러 기능들을 협력적으로 로드, 저장 및 실행하도록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는 로직은 여러 엘리먼트들에 걸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의 대안으로, 그 기능이 하나의 이산 구성요소 로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에서 UE (200) 의 특징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야 하고, 본 발명은 도시된 특징들 또는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 (102 또는 200) 과 RAN (120) 사이의 무선 통신은 상이한 기술들, 예컨대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W-CDMA, 시분할 다중접속 (TDMA),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이용될 수도 있는 다른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CDMA 에서, 데이터 통신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02), 노드 B(들) (124), 및 RNC (122) 사이에 이루어진다. RNC (122) 는 코어 네트워크 (126), PSTN, 인터넷, 가상 사설 네트워크, SGSN, GGSN 등과 같은 다수의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 있으며, 따라서 UE (102) 또는 UE (200) 가 더 넓은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보이스 송신 및/또는 데이터가 다양한 네트워크들 및 구성들을 이용하여 RAN 으로부터 UE들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예시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양태들의 설명을 도우려는 것이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 (예컨대, VoIP 세션들, PTT 세션들, 데이터 공유 세션들, 등등) 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및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은 통상적으로 "상시 접속형 (always-on)" 패킷 데이터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세션을 전개시키고, 모바일이 비활성인 동안 모바일 착신형 (MT) 시그널링을 인에이블하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UMTS 시스템의 경우에 다중 PDP 콘텍스트들 또는 CDMA 시스템들의 경우에 다중 PPP 세션들에 대한) 다중 링크들을 이용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상시 접속형 데이터 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은 신뢰성 있는 서비스와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킵-얼라이브 메커니즘들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기반 메커니즘 (예컨대, 장기 휴면 타이머) 를 채용한다. 네트워크는 추가로 우선적인 서비스 품질 (QoS) 처리를 받는 지연 민감형 애플리케이션을 보조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이러한 타입의 최적화되고 강화된 서비스들은 통상적으로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PTT 와 같은 특정 서비스 및 VoIP 유사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셀룰러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의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하다. 서비스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홈 네트워크들인 것은 사실이지만 홈 네트워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UE 들에 리소스들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제휴 네트워크들에서 사용가능하다. UE들이 로밍 네트워크 (즉, 홈 네트워크 및 제휴 네트워크가 아님) 로 로밍하고, 로밍 네트워크에서 패킷 데이터 로밍이 허용될 경우에, 강화된 서비스들 (예컨대, 상시 접속형 데이터 세션, 다중 PDP들, 우선적인 QoS, 등등) 은 로밍하는 UE들에서 사용될 수 없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들에서,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는 네트워크 가정들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상시 접속형 데이터 세션이 사용가능하다는 가정하에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시 접속형 데이터 세션이 로밍 네트워크에서 지원되지 않는다면, 모바일이 유휴 상태이고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적절히 기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모바일 착신형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그 패킷 전송이 신속한 데이터 포워딩 처리 (예컨대, 감소된 레이턴시, 등) 에 의해 지원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로밍 네트워크에서의 신속한 데이터 포워딩 처리가 할당되지 않는다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예상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
인식되는 것과 같이, 로밍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상태들은 UE 들이 예측하기 어렵고 (예컨대, 일부 로밍 네트워크들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한 지원을 제공할 수도 있는 반면, 다른 로밍 네트워크들은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음), 잠정적으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또한, UE 의 배터리 성능은 UE 가 로밍 네트워크들에서 낭비되는 홈 및/또는 제휴 네트워크들을 위해 디자인된 동작들을 수행한다면, 로밍 네트워크들에서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로밍 네트워크들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동작하는데 실패하거나, 사용자 경험 및/또는 UE 의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절충된 품질로 동작할 것이다.
도 4a 는 특정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네트워크들의 광범위 특성화를 도시한다. 도 4a 를 참조하면, 복수의 로밍 네트워크들 (405A) 과 관련하여 복수의 홈 및/또는 제휴 네트워크들 (400A) 이 도시된다. 홈 및/또는 제휴 네트워크들 (400A) 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완전히 지원되는 네트워크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홈 및/또는 제휴 네트워크들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는 (예컨대, 2 개의 상시 접속형 PDP 콘텍스트들에 따라) 상시 접속형 데이터 세션이 할당될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타임스탬프-기반의 인증 자격 생성을 위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된 관련 타이밍 정보가 통지되고,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는 소정 양의 QoS 리소스들이 할당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로밍 네트워크들 (405A) 은 반드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완전히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로밍 네트워크들에서 QoS, 상시 접속형 데이터 세션 및/또는 타이밍 정보의 인식과 관련하여 전혀 보장하지 않는다. 종래에, 로밍 네트워크들 (405A) 에서의 지원 제한들에도 불구하고,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그 UE 가 현재 홈 및/또는 제휴 네트워크들 (400A) 중 하나에 접속되는지, 아니면 로밍 네트워크들 (405A) 중 하나에 접속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지원 프로세스들을 실행하는 것을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타이밍 정보의 부족은 인증 자격들이 시간 및 획득한 서비스에 의존하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등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타이밍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일부 프로비저닝 업데이트들을 누락할 수도 있다.
도 4b 는 소정의 UE (400B) 가 로밍 네트워크 (405A) 또는 방문형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로부터 홈 네트워크 (400A) 또는 홈 PLMN 에 위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4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UE (400B) 는 로밍 네트워크 (405A) 에서 소정의 UE (400B) 와 홈 네트워크 (400A)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사이에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해 확립된 PDP 콘텍스트를 갖는다.
예를 들면, 소정의 UE (400B) 는 로밍 RAN (120) 에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데이터는 로밍 SGSN (160), 로밍 라우팅 유닛 (188) 및 그 후에 GPRS 로밍 교환 (GRX) 네트워크 (410B) 로 포워딩된다. GRX 네트워크 (410B) 는 로밍 네트워크 (405B) (또는 제공자 A) 를 위한 GRX 서버 (415B),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루트 데이터베이스 (420B) 및 홈 네트워크 (400A)(또는 제공자 B) 를 위한 GRX 서버 (425B) 를 포함한다. GRX 네트워크 (410B) 에서, 소정의 UE (400B) 로부터의 데이터는 GRX 서버 (415B) 에 도달하고, 피어링 인터페이스를 거쳐 GRX 서버 (425B) 로 포워딩된다. 그 후에, 데이터는 GRX 서버 (425B) 로부터 홈 라우팅 유닛 (188), 홈 GGSN (165)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또는 QAS) 으로 포워딩된다. 홈 네트워크 (400A) 내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HLR; 430B) 가 도시된다. 인식되는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부터 소정의 UE (400B) 로 다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유사한 라우팅 경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c 는 소정의 UE (400B) 가 로밍 네트워크 (405A) 또는 방문형 PLMN 으로부터 방문형 네트워크 (405A) 또는 방문형 PLMN 에 위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PTT, VoIP 등과 같은 특정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 패킷 데이터 세션이 방문형 네트워크 (405A) 에서 착신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로밍 시나리오가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가 방문형 네트워크 (405A) 에 위치될 경우에만 지원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홈 네트워크 (400A) 에서 방문형 네트워크 (405A) 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의 라우팅이 일부 애플리케이션 서버 전개들에 대한 파이어 월 제한들 또는 사설 IP 어드레싱의 결과에 의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4c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UE (400B) 는 로밍 네트워크 (405A) 에서 소정의 UE (400B) 와 홈 네트워크 (400A)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사이에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해 로밍 네트워크 (405A) 에서 착신되는 PDP 콘텍스트를 갖는다. 예를 들면, 소정의 UE (400B) 는 데이터 (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 (IP) 패킷) 를 로밍 RAN (120) 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는 SGSN (160) 를 통해 로밍 GGSN (165) 으로 포워딩될 수 있다. PDP 콘텍스트가 로밍 GGSN (165) 에서 착신되기 때문에, 그 후에 IP 패킷은 종래의 IP 라우팅에 의해 방문형 네트워크 (405A) 에 위치된 IP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QAS; 170) 로 포워딩된다. 인식되는 것과 같이, 방문형 네트워크 (405A)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부터 소정의 UE (400B) 로 다시 송신된 데이터 또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유사한 라우팅 경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d 는 소정의 UE 가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로부터 로밍 네트워크 (405A) 로 트랜지션하는 동안 소정의 UE 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d 를 참조하면, 400D 에서, 소정의 UE 는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에 접속되고, 소정의 UE 에는,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의해 지원되는 임계 레벨의 리소스들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UE 는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등에 의해 소정 레벨의 QoS 가 할당될 수 있다. 400D 에서, 소정의 UE 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소정의 UE 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디폴트' 네트워크 절차들을 실행한다 (405D). 도 4d 에서, 네트워크 절차들은 소정의 UE 가 현재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에 접속되는지, 아니면 로밍 네트워크 (405A) 에 접속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네트워크 절차들이 이용된다는 관점에서 '디폴트' 이다. 일 실시예에서, 405D 에서 수행되는 디폴트 네트워크 절차들은 디폴트 구간에서 킵-얼라이브 패킷을 송신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d 를 참조하면, 410D 에서, 소정의 UE 는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로부터 로밍 네트워크 (405A) 로 트랜지션한다. 소정의 UE 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로밍 네트워크 (405A) 로부터 동일한 임계 레벨의 리소스들을 요청한다 (415D). 그러나, 로밍 네트워크 (405A) 가 소정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완전히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리소스 요청의 적어도 일부분이 420D 에서 거부된다. 예를 들면, 415D 의 리소스 요청은 420D 에서 거부된 QoS 예약 요청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리소스들은 (예컨대, PDP 가 정지될 수도 있거나 PPP 세션이 해제될 수도 있는 경우에 대하여) UE에 통지하지 않고 후속 스테이지에서 네트워크로부터 떨어져서 취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d 에서 리소스 거부가 리소스 요청에 응답하여 바로 발생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리소스 거부는 이전에 할당된 리소스들의 리소스 회수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425D 에서, 소정의 UE 가 요청된 레벨의 리소스들을 획득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정의 UE 는 소정의 UE 가 로밍 네트워크 (405A) 에 의해 서빙되는 동안 베스트-에포트 리소스 프로토콜들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정의 UE 가 여전히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일부 레벨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시도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소정의 UE 는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에서 405D 에서 수행되었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동일한 디폴트 네트워크 절차들을 실행한다 (430D). 인식되는 것과 같이, 어떤 디폴트 네트워크 절차들은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완전히 지원하고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로밍 네트워크 (405A) 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완전히는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디폴트 네트워크 절차들은 불필요하거나 낭비된다.
435D 에서, 소정의 UE 는 로밍 네트워크 (405A) 로부터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로 다시 트랜지션한다. 소정의 UE 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 (400A) 로부터 동일한 임계 레벨의 리소스들을 요청한다 (440D). 홈 네트워크 (400A) 가 소정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완전히 지원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445D 에서 리소스 요청이 허가된다. 예를 들어, 440D 의 리소스 요청은 445D 에서 허가된 QoS 예약 요청에 대응한다. 그 후에, 프로세스는 400D 로 복귀한다.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것과 같이, 소정의 UE 가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지, 또는 로밍 네트워크에 접속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과 관련된 소정의 UE 의 거동을 구성하는 것은 소정의 UE 의 동작에 있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소정의 UE 가 현재 서빙 네트워크와 연관된 존을 결정하고, 존-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지원 동작들을 시행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특정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들의 광범위 특성화를 도시한다. 도 5a 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그린 존 (500A), 블루 존 (505A) 및 레드 존 (510A) 을 포함한다. 존들 (500A, 505A 및 510A) 각각은 (예컨대, PLMN ID 를 통해 식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존들 (500A, 505A 및 510A) 각각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에 대한 상이한 예상과 연관된다.
그린 존 (500A) 은 홈 및/또는 제휴 네트워크들을 포함하고, 그린 존 네트워크들은 상시 접속형 패킷 데이터 세션 (예컨대, 2 개의 PDP 콘텍스트들), 소정 레벨의 QoS 리소스들, 신속한 데이터 포워딩, 등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예상되는 강화된 동작 특성들 각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UE 에서 실행을 위해 구성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에는 더 높은 성능과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달성하기 위해 그린 존 내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예상되는 완전-지원 특성들에 레버리징하는 (leverage) 그린 존 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소정의 UE 는 미리 제공된 네트워크 ID 들의 특정 존들로의 맵핑에 기초하거나,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동적으로 측정된 성능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UE 가 그린 존 (500A)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존 검출 시 UE 를 보조할 수 있다.
블루 존 (505A) 은 기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린 존 (500A) 의 강화된 지원 특성들 모두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 로밍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소정의 UE 에서 실행을 위해 구성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에는 중간 정도의 성능과 중간 정도의 사용자 경험을 달성하기 위해 블루 존 내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지원 특성들을 레버리징하는 블루 존 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소정의 UE 는 미리 제공된 네트워크 ID 들의 특정 존들로의 맵핑에 기초하거나,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동적으로 측정된 성능 파라미터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부터의 보조에 기초하여 UE 가 블루 존 (505A)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블루 존 (505A) 에 속하는 네트워크들은 블루 존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하기의 요건들을 가질 수도 있다:
ⅰ. (예컨대, QoS 의 부재시) QoS 또는 베스트-에포트 프로토콜들에 대하여 로밍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사이의 패킷 데이터 로밍 동의;
ⅱ.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항상 DNS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발견한다 (간단한 서비스 발견);
ⅲ. 상시 접속형 PDP 가 지원되지 않을 경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리프레시 타이머는 (상대적으로 긴 PDP 비활성화가 적용될 경우에) PDP 를 유지하도록 레버리지될 수 있다;
ⅳ.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시간 기반 인증을 위해) 로밍 네트워크에 의해 협정 세계시 (UTC) 가 제공됨; 및
ⅴ. UE 에 의한 결정에 기초하여, UE 에 관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QAS) 에 전용 채널들을 셋업할 때 UE 를 보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레드 존 (510A) 은 기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린 존 (500A) 또는 블루 존 (505A) 의 강화된 지원 특성들 중 어느 것도 제공하는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 로밍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레드 존 네트워크들이 홈 네트워크의 오퍼레이터와의 로밍 동의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거나,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레드 존 네트워크로의 서비스를 의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레드 존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강화된 지원 특성들을 지원하는 것과 연관된 임의의 네트워크 절차들을 수행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레드 존 네트워크에 의해 거절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리소스들을 요청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소정의 UE 는 미리 제공된 네트워크 ID 들의 특정 존들로의 맵핑에 기초하거나,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동적으로 측정된 성능 파라미터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보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UE 가 레드 존 (510A)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레드 존 (510A) 내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감소된 동작 레벨은 불필요한 메세징을 감소시키고, 또한 소정의 UE 의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네트워크-존 인식에 기초하여 소정의 UE 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b 를 참조하면, 소정의 UE 는 신규 네트워크로 트랜지션하였음을 결정한다 (500B). 예를 들어, 500B 의 결정은 소정의 UE 가 파워 업 할 경우, 또는 대안적으로 소정의 UE 가 신규 네트워크로 핸드 오프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505B 에서, 소정의 UE 는 신규 네트워크의 존을 결정하며, 상기 존은 소정의 리소스-할당 예상 및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정 속성들의 소정 세트, 예컨대 신뢰도 타이머들, 디-지터 버퍼들, 등과 연관된다. 특히, 소정의 UE 는, 505B 에서,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존 (500A) 내에 있는 것으로, 블루 존 (505A) 내에 있는 것으로, 또는 레드 존 (510A) 내에 있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도 5b 는 3개의 존 구현에 관한 것이지만, 3 개의 존들에 의해 커버되거나 특징지어지는 파라미터들보다 추가의 및/또는 상이한 파라미터들이 UE 에 제공될 것을 요구하는 네트워크 시나리오들의 경우에 존들의 수는 증가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면, 505B 에서, 소정의 UE 는 현재 네트워크의 존을 동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우선적인 QoS 가 요청되고 (즉, 이 경우, 하기에서 논의되는 545B 가 생략될 수 있음), 소정의 UE 는 라운드 트립 지연 및 지터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송신한다. 만약 네트워크가 거절하거나 QoS 를 저하시키거나, 지연 및 지터 값들이 그린 존에 대하여 세팅된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네트워크가 블루 존 네트워크인 것으로 결정한다. 만약 QoS 리소스 요청이 모두 거절되었다면, 현재 네트워크는 블루 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인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현재 네트워크는 그린 존 네트워크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의 초기 등록 동안, UE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UE 가 그린 존 또는 블루 존으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고 있다고 통지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또한 존 특정 절차들을 적용할 수 있다. 505B 의 결정 또는 분류가 (전술된 것과 같은 동적 성능-평가 대신에) 네트워크 ID 비교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추가의 실시예들이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510B 에서, 505B 의 결정 또는 분류에 기초하여, 소정의 UE 는 신규 네트워크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임의의 레벨의 강화된 지원 특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정의 UE 가 신규 네트워크가 레드 존 네트워크로서 분류될 경우와 같이 신규 네트워크가 (예컨대, VoIP 또는 PTT 서비스에 대한 등록을 위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임의의 레벨의 강화된 지원 특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프로세스는 515B 로 진행한다.
515B 에서, 소정의 UE 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강화된 지원 특성들을 지원하기 위해 리소스들 (예컨대, QoS, 등) 을 요청하는 것을 억제하고, 소정의 UE 는 또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강화된 지원 특성들과 연관된 네트워크 절차들을 실행하는 것을 억제한다 (520B). 예를 들면, 520B 에서, 소정의 UE 는 레드 존 (510A) 에 있는 동안 서비스 발견 절차들을 시도하고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등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소정의 UE 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를 통해 그 사용자에게, 강화된 지원 특성들이 소정의 UE 의 신규 네트워크에서 지원되지 않을 것이라고 통지한다 (525B). (예컨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옵션으로, 소정의 UE 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강화된 특성들에 대한 지원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베스트-에포트 프로토콜들을 통해 신규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530B). 또한, 소정의 UE 는 소정의 UE 의 신규 네트워크로의 트랜지션과 관련하여 및/또는 소정 UE 의 신규 존과 관련하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옵션으로 통지할 수 있다 (535B). 도 5b 에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535B 의 통지에 기초하여 소정의 UE 를 지원하는 방식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정의 UE 가 블루 존 (505A) 또는 레드 존 (510A) 에 있을 경우에 어떤 특성들은 감소되거나 디스에이블된다. 535B 이후에, 프로세스는 500B 로 리턴하고, 소정의 UE 가 상이한 네트워크로 트랜지션할 때까지 대기한다.
도 5b 를 참조하면, 소정의 UE 가 예컨대,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또는 블루 존 네트워크로서 분류될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 레벨의 강화된 지원 특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결정한다. 540B 에서, 소정의 UE 는 존 결정에 기초하여 신규 네트워크 내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신규 네트워크가 505B 에서 그린 존 (500A)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소정의 UE 는 540B 에서 그린 존 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을 결정한다. 유사하게, 신규 네트워크가 505B 에서 블루 존 (505A)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소정의 UE 는 540B 에서 블루 존 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을 결정한다.
소정의 UE 는 또한 505B 로부터의 존 결정에 기초하여 신규 네트워크 내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부터 존-특정 레벨의 리소스들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505B 에서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존 (500A)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소정의 UE 는 545B 에서 전체 리소스들을 요청하고, UE 는 낮은 레이턴시 성능을 위해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레벨 타이머들 및 디-지터 버퍼들을 이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505B 에서 신규 네트워크가 블루 존 (505A)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소정의 UE 는 545B 에서 부분 리소스들을 요청하고, 더 평활한 오디오 페이아웃 (payout) 을 더 긴 디-지터 버퍼들을 이용하여 서비스의 신뢰도 및 성능을 강화하는데 있어 UE 를 보조할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RAN (120) 에 의한 UE 의 전용 채널 (DCH) 상태 (예컨대, E-DCH 또는 DCH) 로의 트랜지션을 트리거 하기 위해 이벤트 4a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이터 페이로드를 갖는 더미 패킷(들) 을 UE로 송신할 수 있다.
548B 에서, 소정의 UE 는 현재의 존 및/또는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통지할 수 있다. 도 5b 에 명확히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548B 의 통지에 기초하여 소정의 UE 를 지원하는 방식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따라서 소정의 UE 가 블루 존 (505A) 내에 있을 경우에 어던 특징들은 감소되거나 (보수적인 애플리케이션 계층 신뢰도)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 가 그린 존 내에 있을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계층 서비스는 낮은 레이턴시와 더 높은 성능을 위해 최적화된다. 550B 에서, 소정의 UE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소정의 UE 가 신규 네트워크 및/또는 그 현재 존 내에서 유지된다면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한다. 550B 에서 네트워크 절차가 실행중이면, 프로세스는 500B 로 리턴하고, 소정의 UE 가 상이한 네트워크로 트랜지션할 때까지 대기한다.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소정의 UE 가 그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존 네트워크, 블루 존 네트워크, 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지 결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5c 는 부분적으로 도 5b 의 블록들 (505b 및 510b) 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5c 의 실시예에서, 하기와 같은 복수의 가정들이 이루어진다:
ⅰ. 레드 존 네트워크 PLMN ID들은 PLMN ID 리스트에 제공되거나, 또는 오퍼레이터는 레드 존 네트워크 PLMN ID들을 생략할 것이며, 따라서 UE 는 요청되는 리소스들의 사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들로의 액세스 및 타이밍 정보에 기초한 제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존을 결정할 것이다;
ⅱ. 레드 존 네트워크들을 검출하기 위한 메커니즘;
ⅲ. 일 실시예에서 홈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들과 동일한 그린 존에서의 제휴 네트워크들에 대한 파라미터들 (예컨대, 보수적인 디-지터 버퍼 사이즈 및 신뢰도 시간들) 을 세팅한다; 및
ⅳ. 등록들을 위한 시간 정보 (예컨대, UTC 타이밍 정보의 부재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타임으로의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도 5c 를 참조하면, 소정의 UE 에는 그린 존 네트워크들, 블루 존 네트워크들 및/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들의 PLMN ID 리스트가 미리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500C). PLMN ID 리스트에서 각각의 리스트된 네트워크는 그린 존 (500A), 블루 존 (505A) 또는 레드 존 (510A) 으로 정의되거나 맵핑된다. 또한, 리스트되지 않은 네트워크들의 존-연합들이 리스트된 네트워크들의 존-연합들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LMN ID 리스트는 그린 존 네트워크들 및 블루 존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생략된 네트워크들은 소정의 UE 에 의해 레드 존 네트워크들인 것으로 가정된다. 다른 예에서, PLMN ID 리스트는 그린 존 네트워크들과 레드 존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임의의 생략된 네트워크들은 소정의 UE 에 의해 블루 존 네트워크들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 다른 예에서, PLMN ID 리스트는 블루 존 네트워크들과 레드 존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임의의 생략된 네트워크들은 소정의 UE 에 의해 그린 존 네트워크들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 다른 예에서, PLMN ID 리스트는 그린 존 네트워크들, 레드 존 네트워크들 및 블루 존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생략된 네트워크들은 없다 (예컨대, 여기서 임의의 리스트되지 않은 네트워크들은 일 예로서 그 실제 성능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PLMN ID 리스트는 그린 존 네트워크들, 레드 존 네트워크들 및 블루 존 네트워크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임의의 생략된 네트워크들은 소정의 UE 에 의해 블루 존 네트워크들인 것으로 가정되고, UE 는 임의의 리스트되지 않은 네트워크들의 그 실제 성능으로 평가하여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추가로 블루 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로서 분류한다.
일 실시예에서, 500C 의 사전의 제공은 도 5b 의 프로세스가 개시되기 전에 임의의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 도 5c 의 나머지 부분은 도 5b 의 블록들 505B 및 510B 의 예시적인 구현에 대응한다.
따라서, 505C 에서, 소정의 UE 가 현재 네트워크의 PLMN ID 를 PLMN ID 리스트와 비교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존을 결정한다. 전술된 것과 같이, 505C 의 결정은 현재 네트워크의 PLMN ID 가 PLMN ID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또는 PLMN ID 리스트로부터 생략되는지에 기초할 수 있다. 510C 에서, 505C 의 결정 또는 분류에 기초하여, 소정의 UE 는 현재 네트워크의 존을 식별한다 (510C). 510C 에서, 현재 네트워크의 존이 그린 존이면, 프로세스는 도 5b 의 540B 로 진행한다. 510C 에서, 현재 네트워크의 존이 레드 존이면, 프로세스는 도 5b 의 515B 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네트워크의 존이 아직 결정될 수 없다면, 소정의 UE 는 네트워크가 잠정적인 블루 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라고 결정하고, 현재 네트워크가 최소 WCDMA 릴리스를 따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515C). 예를 들어, 현재 네트워크가 고속 패킷 액세스 (HSPA) 의 최소 UMTS WCDMA 릴리스를 따르지 않는다면, 현재 네트워크는 더 구 버전의 물리적인 계층을 가지며, 따라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방문형 네트워크가 GSM 또는 EDGE 네트워크인 것을 추론할 수 있고, 로밍 네트워크를 레드 존 네트워크로서 분류할 것이다. 현재 네트워크가 최소 WCDMA 릴리스를 따르지 않는다면, 현재 네트워크는 필수적으로 레드 존 네트워크로서 취급될 것이고, 소정의 UE 는 현재 네트워크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개선된 특성들을 지원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가정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 네트워크가 515C 에서 최소 WCDMA 릴리스를 따르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도 5b 의 515B 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네트워크가 최소 WCDMA 릴리스를 따른다면, 소정의 UE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등록할 것을 시도하고 (520C), 등록 시도가 성공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525C). 등록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다면, 소정의 UE 는 등록 실패 폴백 메커니즘을 실행한다 (530C). 폴백 메커니즘의 경우에, UE 는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임의의 에러들로부터 복원되도록 미리 정의된 구간 이후에 UE가 등록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등록 신뢰도 스케줄을 갖는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등록 신뢰도 스케줄과 유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정규의 또는 완전한-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 없는 경우에 서비스를 획득할 것을 시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감소된 또는 최소의 서비스와 연관된 디폴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등록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고 폴백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거나 등록 폴백 메커니즘이 실패한다면, UE 는 네트워크가 레드 존에 있다고 결정하며, 이 경우에 프로세스는 도 5b 의 515B 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등록 시도가 성공적이면, 프로세스는 도 5b 의 540B 로 진행하고, 현재 네트워크는 블루 존 네트워크로 취급될 것이다. 도 5c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UE 가 505C 또는 510C 에서 현재 네트워크가 블루 존 네트워크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515C 내지 530C 는 생략될 수 있고, 프로세스는 블루 존 네트워크에 대한 도 5b 의 540B 로 직접 진행할 수 있다.
도 5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소정의 UE 가 그 신규 네트워크가 그린 존 네트워크 또는 블루 존 네트워크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대안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5c 는 부분적으로 도 5b 의 블록들 505B 및 510B 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5d 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정들이 하기와 같이 실행된다:
ⅰ. 오직 제휴 네트워크들만이 PLMN ID 리스트에 제공된다. 모든 다른 네트워크들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블루 존 네트워크들로서 고려될 것이다 (즉,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등록이 성공적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할 것을 '시도할' 것이다);
ⅱ. 폴백 메커니즘은 등록 실패의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가능하다;
ⅲ. 그린 존에서, 홈 네트워크는 (IMSI & PLMN ID 를 사용하여) QoS 를 갖는 듀얼 PDP 동작을 제공하지 않고 검출된다; 그리고
ⅳ. 블루 존에서, 어떤 QoS 도 사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베스트-에포트 (BE) 프로토콜 폴백을 갖는 단일 PDP 동작이 존재하며, UE 는 더미 패킷들을 이용하여 지정된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것을 보조할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하고, 애플리케이션 타이머들을 위한 보수적인 신뢰도 스케줄이 요청되고 더 긴 디-지터 버퍼가 이용되며, 폴백 메커니즘은 등록 실패의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가능하다.
도 5d 를 참조하면, 소정의 UE 에는 500C 에서와 같이 그린 존 네트워크들, 블루 존 네트워크들 및/또는 레드 존 네트워크들의 PLMN ID 리스트가 미리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500D). 일 실시예에서, 500D 의 우선적인 제공은 도 5b 의 프로세스가 개시되기 전에 임의의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 도 5d 의 나머지 부분은 도 5b 의 블록들 505B 및 510B 의 예시적인 구현에 대응한다.
따라서, 505D 에서, 소정의 UE 가 현재 네트워크의 PLMN ID 를 PLMN ID 리스트와 비교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홈 네트워크인지, 제휴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510D 에서, 현재 네트워크의 존이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이면 (즉, 그린 존 (500A) 내에 있다면), 프로세스는 도 5b 의 540B 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510D 에서, 현재 네트워크의 존이 홈 또는 제휴 네트워크가 아니면, 소정의 UE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등록할 것을 시도하고 (515D), 등록 시도가 성공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520D). 등록 시도가 성공적이면, 프로세스는 블루 존 네트워크에 대한 도 5b 의 540B 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등록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다면, 소정의 UE 는 등록 실패 폴백 메커니즘을 실행한다 (525D). 폴백 메커니즘의 경우에, UE 는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임의의 에러들로부터 복원되도록 미리 정의된 구간 이후에 UE 가 등록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등록 신뢰도 스케줄을 갖는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SIP 등록 신뢰도 스케줄과 유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정규의 또는 완전한-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 없는 경우에 서비스를 획득할 것을 시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감소된 또는 최소의 서비스와 연관된 디폴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등록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고 폴백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거나 등록 폴백 메커니즘이 실패한다면, UE 는 네트워크가 레드 존에 있다고 결정하며, 이 경우에 프로세스는 도 5b 의 515B 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 에서, 소정의 UE 는 현재 네트워크 존을 자체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면, 도 5b 의 505B 및 510B 에서, 소정의 UE 는 신규 네트워크가 레드 존, 그린 존, 또는 블루 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유사한 결정들이 또한 도 5c 및 도 5d 의 소정의 UE 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존-결정은 소정의 UE 에서 수행되어야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도 5e 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 아웃소싱되거나 오프로딩될 수 있다.
도 5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존 검출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의해 수행되는 대안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특히, 도 5e 는 소정의 UE 가 그 현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보고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가 보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정의 UE 의 네트워크 존을 결정하며, 그 후에 존-특정 파라미터들 및/또는 특성들을 실행하는 예시적인 구현에 관한 것이다.
도 5e 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연합 존들 (예컨대, 레드 존들, 그린 존들 및/또는 블루 존들) 에 인덱싱된 네트워크 ID들 (예컨대, PLMN ID들) 의 리스트 및 존-특정 파라미터들 또는 특성들을 포함하는 표로 미리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552E). (하기의) 표 1 은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서 제공될 수 있는 네트워크 ID 표의 일 실시예의 예시이다. 표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네트워크들 #1, #2, 및 #3 은 각각 그린 존, 블루 존 및 레드 존과 연관되며, 네트워크 #4 는 "디폴트" 존과 연관되며, "디폴트" 존은 그 구현에 따라 그린 존, 블루 존, 또는 레드 존으로 해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ID
네트워크 #1 그린
네트워크 #2 블루
네트워크 #3 레드
네트워크 #4 디폴트
도 5e 를 참조하면, UE (200) 에서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는 (예컨대, 지터 버퍼 사이즈, 보코더 타입, QoS 파라미터들 등과 같은) 존-특정 파라미터들의 세트로 인덱싱된 네트워크 존-타입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표가 제공된다 (554E). (하기의) 표 2 는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UE 또는 UE (200) 에 제공될 수도 있는 네트워크 존 표의 일 실시예의 예시이다. 표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린 존들 및 블루 존들과 연관된 파라미터들이 리스트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파라미터들은 또한 "디폴트" 존들 및/또는 레드 존들과 연관하여 저장될 (또는 인덱싱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그린 존 블루
타이머 파라미터들 (그린) 타이머 파라미터들 (블루)
버퍼 파라미터들 (그린) 버퍼 파라미터들 (블루)
QoS 파라미터들 (그린) QoS 파라미터들 (블루)
도 5e 를 참조하면, 소정의 UE 는 허용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 릴리스 및 인증을 위한 필수 타이밍 정보에 따라 UE 가 신규 네트워크로 트랜지션한 것을 결정한다 (556E). 예를 들면, 556E 의 결정은 소정의 UE 가 파워 업할 경우, 또는 대안적으로 소정의 UE 가 신규 네트워크로 핸드오프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556E 에서 네트워크 트랜지션을 검출한 후에, 소정의 UE 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컨대, PTT, VoIP) 를 등록하기 위해 신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예컨대, PLMN ID, 등) 를 포함하여 등록 메세지를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 송신한다 (558E).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소정의 UE 를 멀티미디어 서버에 등록하고 (560E), 또한 검사들이 등록 메세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ID 를 552E 로부터의 네트워크 ID 표와 비교하고 (564E) 네트워크 ID 표가 매칭 네트워크 ID 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566E). 566E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가 네트워크 ID 표에 리스트된 매칭 네트워크 ID 를 발견하지 못하면, 프로세스는 574E 로 진행하고, 디폴트 네트워크 존과 연관된 파라미터들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의해 로딩된다 (예컨대, 디폴트 존 파라미터들은 블루 존 파라미터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가 네트워크 ID 표에 리스트된 매칭 네트워크 ID 를 발견하면, 프로세스는 568E 로 진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매칭 네트워크 ID 가 레드 존의 표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5e 를 참조하면, 568E 에서, 매칭 네트워크 ID 가 레드 존의 표시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소정의 UE 에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사용될 수 없다고 통지한다 (570E). 도 5e 에 명확히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서비스 사용불가능 메세지를 수신하면, 소정의 UE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에 서비스 사용불가능을 통지하고, 다른 네트워크 변경이 검출될 때까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디스에이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는 레드 존들에서 서비스를 거절하도록 구성되지만, (도 5e 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들은 레드 존들에서 제한되거나 베스트-에포트 서비스 레벨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그렇지않으면, 568E 에서, 매칭 네트워크 ID 가 레드 존의 표시가 아니면 (예컨대, 그린 또는 블루 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네트워크 ID 표 내의 매칭 네트워크 ID 와 연관된 존-특정 파라미터들 및/또는 특성들을 로딩하고 (572E), 그 후에 소정의 UE 에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사용가능하고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이용될 연관된 존 및/또는 존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고 통지한다 (576E). 576E 에서 서비스 사용가능 메세지의 수신시, 소정의 UE 상의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는 576E 의 서비스 사용가능 메세지에 의해 표시되는 존을 체크하고, 그 후에 578E 에서 현재 네트워크 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들을 로딩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소정의 UE 가 그린, 블루 및/또는 레드 존들 사이에서 트랜지션할 때 소정의 UE 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600 에서, 소정의 UE 는 그린 존 네트워크로의 접속 또는 트랜지션이 발생한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6 의 600 은 도 5b 의 블록들 500B 내지 510B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40B 에서와 같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그린 존 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결정한다 (604).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45B 에서와 같이) 그린 존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그린 존-특정 레벨의 리소스들을 요청하고 (608), 그린 존 네트워크는 리소스 요청을 허가한다 (612).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48B 에서와 같이) 소정의 UE 가 그린 존 네트워크에 있음을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통지할 수도 있다 (616). 616 의 통지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소정의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이 지원되는 및/또는 중재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620).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는 소정의 UE 가 그린 존 (500A) 에 있다는 것이 통지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정상의' 또는 완전한 기능의 (full-featured) 방식으로 소정의 UE 를 지원할 수도 있다.
소정의 UE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그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통신 세션들을 지원한다 (624). 예를 들면, 624 에서 실행된 네트워크 절차들은 그린 존 네트워크들에 특정된 주파수에서 킵-얼라이브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은 완전한 QoS 를 갖는 단일 또는 듀얼 PDP 모드에서 동작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즉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부터 사용가능한 임의의 강화된 특성들로의 액세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린 존 (500A) 의 제휴 네트워크는 그린 존 (500A) 의 홈 네트워크와 비교할 때 유사하지만 약간 상이한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628 에서, 소정의 UE 는 블루 존 네트워크로의 트랜지션이 발생한 것을 결정하고, 블루 존 네트워크는 최소 WCDMA 릴리스를 따르고, 소정의 UE 는 블루 존 네트워크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성공적으로 등록한다. 예를 들면, 도 6 의 628 은 도 5b 의 블록들 500B 내지 510B, 도 5c 의 505C 내지 525C, 및/또는 도 5d 의 505D 내지 520D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40B 에서와 같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블루 존 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결정한다 (632).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45B 에서와 같이) 블루 존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블루 존-특정 레벨의 리소스들을 요청하고 (636), 블루 존 네트워크는 리소스 요청을 허가한다 (640). 이 경우에, 640 에서 허가된 리소스 요청은, 그린 존들과 비교할 때 블루 존들에서의 리소스 이용가능성에 대한 소정의 UE 의 인식에 기초하여 608 의 리소스 요청 보다 적은 리소스들을 요청하며, 이와 같이 도 4d 의 420D 에서와 같은 리소스들의 부분적인 거부가 회피될 수 있다.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48B 에서와 같이) 소정의 UE 가 그린 존 네트워크에 있음을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통지할 수 있다 (644). 644 의 통지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소정의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이 지원 및/또는 중재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648).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는 소정의 UE 가 블루 존 (505A) 에 있는 것이 통지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감소된' 또는 부분 기능의 방식으로 소정의 UE 를 지원할 수도 있다.
소정의 UE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블루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통신 세션들을 지원한다 (652). 예를 들면, 652 에서 실행된 네트워크 절차들은 블루 존 네트워크들에 특정된 주파수에서 킵-얼라이브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루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은 QoS 또는 베스트-에포트 (BE) 폴백 메커니즘을 갖는 단일 PDP 모드에서 동작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도 있고 (즉, 필요한 경우에, QoS 의 부재시 세션들이 지원됨), 타이밍 정보가 사용가능하고, (도 5c 의 530C 및/또는 도 5d 의 525D 에서와 같이) 등록 실패가 사용가능한 폴백 메커니즘 및 더 높은 레이턴시의 서비스는 그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과 비교하여 허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루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은 파괴 방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그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과 비교할 때, 배터리 수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신뢰할만한 서비스와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상이한 세트의 신뢰도 및 킵 얼라이브 메커니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은 성능을 희생하여 신뢰할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656 에서, 소정의 UE 는 레드 존 네트워크로의 트랜지션이 발생한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6 의 656 은 도 5b 의 블록들 500B 내지 510B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15B 에서와 같이) 소정의 UE 가 임의의 요청이 레드 존 네트워크에 의해 거부될 것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소정의 UE 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강화된 특성-지원과 연관된 리소스들을 요청하는 것을 억제한다 (660). 유사하게, 소정의 UE 는 (예컨대, 도 5b 의 520B 에서와 같이) 소정의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레드 존 인식에 기초하여 레드 존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절차들 (예컨대, 그린 존 또는 블루 존 네트워크 절차들) 을 실행하는 것을 억제한다 (664).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25B 에서와 같이) 레드 존 네트워크 내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감소된 지원에 관하여 그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668).
다음에,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30B 에서와 같이) 옵션으로 QoS 와 같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강화된 지원 특성들을 위한 리소스-할당의 부재시 베스트-에포트 프로토콜들을 통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672). 또한, 소정의 UE 는 (도 5b 의 535B 에서와 같이) 옵션으로 소정의 UE 가 레드 존 네트워크에 있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통지할 수 있다 (676). 676 에서 소정의 UE 가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통지한다고 가정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소정의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이 지원 및/또는 중재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680). 이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는 소정의 UE 가 레드 존 (510A) 에 있다고 통지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예컨대, 652 에서와 같이 블루 존 네트워크 접속 UE들의 지원 레벨로부터 추가로 감소된) '감소된' 또는 무-기능의 (null-featured) 방식으로 소정의 UE 를 지원할 수도 있다.
도 6 은 소정의 UE 의 그린 존으로부터 블루 존으로, 그 후에 레드 존으로의 트랜지션들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도 6 의 프로세스가 그린-레드 트랜지션들, 블루-그린 트랜지션들 및/또는 레드-그린 트랜지션들로 이어지는 방식이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당업자는 임의의 다양한 서로 상이한 기술 및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 및 신호들이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commands),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분명히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조건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기술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시퀀스 및/또는 알고리즘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서,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는 이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기)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는,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이용자 단말기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문맥은 적절하게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라 불린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미디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통상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도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명세서에서 행해질 수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술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로의 한정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40)

  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UE 에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상기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서 상기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2 이상의 타입들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존-특정 네트워크 특성들의 세트를 이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full)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UE 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로딩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및 상기 제 2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임계 서비스 품질 (QoS), 타임스탬프-기반의 인증 자격 생성을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타이밍 정보, 및 상시 접속 (always-on)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상기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ⅰ) 상기 UE 및 상기 UE 에 대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타입 또는 상기 제 3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용불가능한 소정의 리소스 세트를 요청하는 단계, (ⅱ)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상기 UE 가 상기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통지하는 단계, (ⅲ) 상기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된 주파수에서 킵-얼라이브 (keep-alive)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ⅳ) 서비스 품질 (QoS) 을 갖는 듀얼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에서 동작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상기 제 3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ⅰ) 상기 UE 및 상기 UE 에 대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타입 또는 상기 제 3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용가능한 소정의 리소스 세트를 요청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 (ⅱ) 상기 UE 의 사용자에게 상기 UE 가 상기 제 3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통지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상기 UE 가 상기 제 3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통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서비스 품질 (QoS) 없이 베스트-에포트 (best-effort)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상기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ⅰ) 상기 UE 및 상기 UE 에 대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리소스 세트의 서브세트를 요청하는 단계, (ⅱ)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상기 UE 가 상기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통지하는 단계, (ⅲ) 상기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된 주파수에서 킵-얼라이브 (keep-alive)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ⅳ) 서비스 품질 (QoS) 을 갖는 단일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에서 동작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서비스 품질 (QoS) 없이 베스트-에포트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 가,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 중, 소정 타입과는 상이한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된 서빙 네트워크로 트랜지션한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세트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다른 세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존-특정 네트워크 특성들의 다른 세트를 이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 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식별자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고, 각각의 리스트된 네트워크 식별자는 특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으로 맵핑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에 매칭하는 리스트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을, 상기 매칭하는 네트워크 식별자가 맵핑되는 특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으로서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임의의 리스트된 네트워크 식별자들에 매칭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비-매칭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을 디폴트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으로서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임의의 리스트된 네트워크 식별자들에 매칭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UE 에 대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의 시도가 성공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 사이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을 선택된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으로서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의 시도가 실패한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등록-실패 결정에 기초하여 등록 실패 폴백 메커니즘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실패 폴백 메커니즘 프로토콜은,
    성공적인 등록이 달성될 때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상기 UE 의 홈 네트워크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 데이터베이스 내의 임의의 리스트된 네트워크 식별자들에 매칭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UE 에 대한 상기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의 시도가 성공적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을 상기 1 타입으로서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의 시도가 실패한 것으로 결정된다면, 등록-실패 결정에 기초하여 등록 실패 폴백 메커니즘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실패 폴백 메커니즘 프로토콜은,
    성공적인 등록이 달성될 때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반복하여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된 네트워크 식별자들은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UE) 를 동작시키는 방법.
  2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상기 UE 의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갖는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의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타입과 연관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선택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상기 UE 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보고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복수의 네트워크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네트워크 식별자 표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합하여 저장되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식별자들 중에서 상기 보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매칭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식별하고,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상기 매칭하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연합하여 저장된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식별자들 중에서 상기 보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매칭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식별하지 않고,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디폴트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지원될 것으로 예상되는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ⅰ) 푸시-투-토크 (PTT) 특성, (ⅱ)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특성, (ⅲ) 상시 접속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들의 세트, (ⅳ) 임계 레벨의 서비스 품질 (QoS) 및 (ⅴ) 타임스탬프-기반의 인증 자격 생성을 위해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타이밍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32. 삭제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상기 제 1 타입 또는 상기 제 2 타입에 대응하고,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 레벨의 표시를 포함하여 상기 UE 에게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 및 그 후에 표시된 지원 레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은 상기 제 3 타입에 대응하고,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계는 상기 UE 에게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에서 지원되지 않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서비스의 거절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동작시키는 방법.
  35.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로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UE 에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상기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서 상기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2 이상의 타입들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는 수단;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로딩하는 수단; 및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것 및 존-특정 네트워크 특성들의 세트를 이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UE 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로딩하는 수단은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로딩하는, 사용자 장비 (UE).
  3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상기 UE 의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상기 결정하는 수단;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세트를 갖는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의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소정 타입과 연관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선택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37.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로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UE 에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상기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서 상기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2 이상의 타입들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로딩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것 및 존-특정 네트워크 특성들의 세트를 이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UE 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로딩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로딩하는, 사용자 장비 (UE).
  38.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상기 UE 의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세트를 갖는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의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선택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소정 타입과 연관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선택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39.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상기 UE 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UE 에서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상기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서 상기 서버-중재형 통신 세션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2 이상의 타입들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로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UE 에서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것 및 존-특정 네트워크 특성들의 세트를 이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UE 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로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절차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로딩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UE 의 현재 서빙 네트워크가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과 연관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지원 존들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상기 UE 의 통신 세션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이한 지원 레벨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상기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세트를 갖는 상기 소정 타입의 네트워크 지원 존 내의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현재 서빙 네트워크의 상기 소정 타입을,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완전 지원 레벨 또는 고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홈 및 제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타입,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지원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2 타입,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 지원 및 저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UE 의 로밍 네트워크인 제 3 타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 상기 제 2 타입 및 상기 제 3 타입은 상이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적어도 상기 소정 타입에 대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소정 타입과 연관된 상기 제공된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존-특정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및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트로서 선택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27030419A 2010-04-20 2011-04-20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 KR101474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587810P 2010-04-20 2010-04-20
US61/325,878 2010-04-20
US13/089,589 2011-04-19
US13/089,589 US8774169B2 (en) 2010-04-20 2011-04-19 Supporting a multimedia application based on network zone recognition
PCT/US2011/033213 WO2011133648A1 (en) 2010-04-20 2011-04-20 Supporting a multimedia application based on network zone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39A KR20130028739A (ko) 2013-03-19
KR101474095B1 true KR101474095B1 (ko) 2014-12-17

Family

ID=4435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419A KR101474095B1 (ko) 2010-04-20 2011-04-20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74169B2 (ko)
EP (1) EP2561707B1 (ko)
JP (2) JP5599939B2 (ko)
KR (1) KR101474095B1 (ko)
CN (1) CN103119988B (ko)
WO (1) WO2011133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297A (ko)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GB2487267B (en) * 2011-11-07 2013-02-27 Renesas Mobile Cor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s resources
CN102497629A (zh) * 2011-12-13 2012-06-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发lte单卡双待多模终端进行联合注册的方法及终端
US8942715B2 (en) 2012-08-02 2015-01-27 Apple Inc. Distributed compu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19673B1 (en) 2013-01-22 2017-04-11 Hypori,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apturing touch events for a virtual mobile device platform
US9697629B1 (en) 2013-01-22 2017-07-04 Hypori,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duct for user performance and device resolution settings
US9819593B1 (en) 2013-01-22 2017-11-14 Hypori,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bypass mechanisms for a virtual mobile device platform
US9380562B1 (en) 2013-01-22 2016-06-28 Hypori,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notifications from a virtual device to a disconnected physical device
US9380523B1 (en) * 2013-01-22 2016-06-28 Hypori,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ng roaming mobile devices to a virtual device platform
US9667703B1 (en) 2013-01-22 2017-05-30 Hypori,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remote views in a virtual mobile device platform
US20150039748A1 (en) * 2013-07-30 2015-02-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state server for application providers
US9271149B2 (en) * 2013-10-18 2016-02-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anaging hidden security features in user equipment
CN110493767B (zh) * 2014-08-11 2023-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讯方法、用户设备、接入网设备及应用服务器
EP3267764B1 (en) * 2014-10-06 2018-09-26 Google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et protocol (ip) flow mobility
CN104883747A (zh) * 2015-04-29 2015-09-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326702B2 (en) * 2015-09-17 2019-06-18 Facebook, Inc. Data service levels
CN109547228B (zh) * 2017-08-14 2021-11-23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轨道交通集群业务的传输方法、基站和集群终端
CN109729582B (zh) * 2018-12-27 2021-1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185A1 (en) * 2001-10-31 2003-05-08 Nokia Corporation Ip multimedia functionality id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2250A1 (en) * 1998-06-26 2006-03-23 Payne William A Iii Method for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ultiple frame types
FI114276B (fi) * 2002-01-11 2004-09-15 Nokia Corp Verkkovierailun järjestäminen
US20030228869A1 (en) * 2002-06-07 2003-12-11 Albert Chow Providing mobility in a distributed end-to-end packet/cell/frame network
FI116498B (fi) 2002-09-23 2005-11-30 Nokia Corp Kaistanleveyden mukauttaminen
WO2004028095A1 (en) 2002-09-23 2004-04-01 Nokia Corporation Bandwidth adaptation
JP3869399B2 (ja) * 2003-07-16 2007-01-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KR100880999B1 (ko) * 2003-08-07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US20070173251A1 (en) * 2004-04-26 2007-07-26 Vikberg Jari Validation of mobile stations in unlicensed radio access networks
US20060092895A1 (en) * 2004-10-23 2006-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stricting push-to service
US7505433B2 (en) * 2005-04-01 2009-03-17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utonomous and heterogeneous network discovery and reuse
US7689218B2 (en) * 2005-04-14 2010-03-30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viding network-associated system priority list for multimode system selection
ES2751167T3 (es) * 2005-05-06 2020-03-30 Nokia Technologies Oy Mecanismo para posibilitar el descubrimiento de características de enlace/red en redes WLAN
US7224960B2 (en) * 2005-07-12 2007-05-29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wireless applications
US8326267B2 (en) * 2006-12-28 2012-12-04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Application access control in a mobile environment
JP4879799B2 (ja) 2007-03-29 2012-02-2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
CN101345916B (zh) * 2008-08-21 2011-12-1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业务与用户优先级QoS提升方法与系统
GB2466677B (en) * 2009-01-06 2012-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ice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185A1 (en) * 2001-10-31 2003-05-08 Nokia Corporation Ip multimedia functionality iden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99939B2 (ja) 2014-10-01
WO2011133648A1 (en) 2011-10-27
EP2561707B1 (en) 2016-09-21
EP2561707A1 (en) 2013-02-27
CN103119988A (zh) 2013-05-22
CN103119988B (zh) 2016-05-18
US20120093145A1 (en) 2012-04-19
KR20130028739A (ko) 2013-03-19
JP2013528998A (ja) 2013-07-11
JP2014168297A (ja) 2014-09-11
JP5781193B2 (ja) 2015-09-16
US8774169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095B1 (ko)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
US8433318B2 (en) Select band-scanning by a multi-sim user equipment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581253B1 (ko) 사용자 장비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1015165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스트리밍 통신 세션 동안의 물리 계층 네트워크들 간의 선택적 트랜지셔닝
KR1016228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femto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통신
US8654686B2 (en) Group communication sessions that are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over personal area networ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3088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 (ue) 의 페이징
US20120131663A1 (en) Transmitting keep-alive packets on behalf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30053029A1 (en) Supporting services to a roaming user equipment within a local network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2597949B1 (ko) 음성 통화 확립
US8707391B2 (en) Supporting a server-arbitrated group communication session over a local wireless network via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proxy cl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