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434B1 -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 Google Patents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434B1
KR101473434B1 KR1020130144040A KR20130144040A KR101473434B1 KR 101473434 B1 KR101473434 B1 KR 101473434B1 KR 1020130144040 A KR1020130144040 A KR 1020130144040A KR 20130144040 A KR20130144040 A KR 20130144040A KR 101473434 B1 KR101473434 B1 KR 10147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air
roof
plate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102013014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3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emoving ro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device for removing a slate ro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rk device for removing a slate roof, which makes a slate roof removing work convenient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such as a fall. The work device for removing a slate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igh-place operation car in which an extension boom is installed; a leveling plate which is coupled to the extension boom to be rotated and is moved to the top of a roof; a work support plate which is arranged under the leveling plate; a separated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work support plate to be separated from the leveling plate; a work part which includes a pair of work shee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ork support plate; and a slate loading part which includes a pair of loading plat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gap between the work sheets.

Description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본 발명은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붐이 탑재된 고소작업차를 활용하여 두 명의 작업자가 서로 마주하며 탑승할 수 있는 한 쌍의 작업시트와 그 작업시트 사이에서 해체된 슬레이트를 쉽게 적재할 수 있는 적재판을 구성하여 건축물의 지붕 상부로 편리하게 이동 및 승하강시키되, 고소작업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동윈치를 통해 상기 작업시트를 승하강시킴으로써 기존 유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수직붐 형태의 고중량 방식과 복잡한 구조에 따른 비효율적인 작업환경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주요 구성이 탈부착식으로 이루어져 이동에 휴대성 및 보관성이 매우 높으며, 상기 작업시트 및 적재판을 지붕면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슬레이트 지붕의 해체가 매우 편리해지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te roof disassembly wor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ate roof disassembly apparatus and a slate roof disassembly apparatus, The slabs can be easily loaded and lifted up to the roof top of the building by moving up and down the work sheet through the electric winch driven by the battery mounted on the elevator work car It can greatly improve the in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due to the heavy weight type of vertical boom driven by the conventional hydraulic system and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main structure is detachable so as to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The working sheet and the redesigning plate are placed on the side of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of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te roof demolition work device in which the slope roof can be easily dismantled and the crying can be easily configured.

일반적으로 건물의 해체 작업에는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관건으로 하고 있다.Generally, dismantling work of buildings is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dust and to ensure safe work.

특히, 슬레이트와 같은 석면이 함유된 지붕의 해체는 석면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깨뜨리지 않고 해체되도록 규제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ismantling of roofs containing asbestos, such as slates, is regulated so as not to break asbestos dusts.

이에 따라 지붕의 해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지붕의 상부에 올라가 지붕을 깨뜨리지 않고 해체하여야만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dismantle the roof, the worker must climb up the roof and dismantle the roof without breaking it.

즉, 종래에는 슬레이트가 설치된 건축물의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 별도의 도구(절단용구)를 이용하여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의 상단을 절단 또는 제거한 후 상기 슬레이트를 지붕으로부터 분리하고 있다.That is, conventionally, an operator is raised to the upper part of a building where a slate is installed, and the upper end of a fixing member such as a nail for fixing the slate is cut or removed by using a separate tool (cutting tool), and then the slate is separated from the roof.

그런데, 해체되는 지붕은 노후화로 작업자가 작업 도중 추락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지붕 해체 작업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규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the roof which is dismantled is aged and there is a risk of the worker falling down during the work. Therefore, in the roof dismantling work, many regulations for the safety of workers are made.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로 사용되는 지붕 해체 작업 방법은 건물을 포위하는 비계를 설치하고, 지붕의 상부로 안전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빔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로프를 상기 빔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지붕 위에서 작업하다가 추락하더라도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The roof dismantling method, which is mainly used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is to install a scaffold surrounding the building, to install a beam for connecting the safety rope to the upper part of the roof, A method of connecting to the beam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by the safety rope even if the worker is working on the roof and then falls is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계 파이프나 빔은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축물마다 조립과 분해 작업을 반복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신속성이 크게 떨어지고, 석면의 비산을 막기 위한 방진막의 설치 및 분해 작업등이 필요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작업자는 여전히 노후된 지붕을 직접 밟게 되어 추락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scaffold pipe or beam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for each building in which the disassembling operation is performed, rapidity is greatly reduced, and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a dustproof film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asbestos are required, Is inefficient, and the worker is still in danger of falling because he or she is still walking on the old roof.

이에, 종래의 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7025(등록일자: 2010. 05. 03) "건축물의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에서는 크레인을 통해 지붕(H)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승강 및 이동되는 작업대(100)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100)는 지붕의 경사도에 맞추어 기울어지는 작업판(110)이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지붕으로부터 해체한 슬레이트를 적재시키는 적재판(120)이 구비되며, 상기 작업판 중앙에는 미끄럼 방지턱(111a)이 형성된 보도 프레임(1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판(110)은 유압실린더(130)에 의해 일측의 힌지(12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측이 승강되면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기존의 슬레이트 지붕 해체 작업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슬레이트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7025 (registered on May 05, 2010), in the "work device for dismantling asbestos containing asbestos in buildings", the lifting and moving The work table 100 is provided with a work plate 110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roof, and on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100, a red plate 120 for loading the slate disassembled from the roof is provided The work plate 110 is rotated about the hinge 125 on one side by the hydraulic cylinder 130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work plate 110 is rotated So that a more rapid and safe slate dismant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s compared with an existing slate roof dismounting opera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작업판(110)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작업대 위에 탑승하여 해체 작업을 하는 경우 이동하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해서 작업대 상부에서 하방으로 몸을 숙인 상태로 어느 일측으로 몸이 치우치게 되어 해체 작업이 불편함과 동시에 추락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rt is very complicated and the space of the work plate 110 is very narrow,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when one or more workers are aboarded on the work table to perform disassembly 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ody is biased to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leaning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work table to disassemble the body,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유압식 실린더를 사용함에 따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대의 무게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성과 더불어 고중량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어 작업대를 지붕 위로 이동 및 승강시키는 크레인 등이 고사양의 규격을 충족하여야 하기 때문에 슬레이트 철거 작업에 따른 소요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quires a separate power unit for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it not only increases the weight of the work table, but also include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a high-weight body. And the cranes for moving and elevating the cranes must meet the high-level specifications, so that the cost required for the slat demolition work is increased.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그 크기 및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지붕 철거 작업을 위한 이동 시 차량에 적재하거나 보관하는 등 이동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complicated size and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obility and portability are reduced, such as being loaded or stored in a vehicle when moving for roof demolition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인 1조의 작업자가 작업시트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안정되게 착석한 상태에서 슬레이트 지붕의 해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slate roof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workers are seated on a work sheet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n a stable manner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of a work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작업시트 서로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한 쌍의 작업시트 사이에서 해체된 슬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는 한 쌍의 적재판이 구성되어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슬레이트 해체 작업이 더욱 편리해지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tir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a pair of working sheets and a pair of stacking plates capable of stacking the disassembled slats between a pair of working sheets, So that the slate demounting work becomes mor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고소작업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동윈치를 통해 작업시트를 승하강시킴으로써 기존 유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수직붐 형태의 고중량 방식과 복잡한 구조에 따른 비효율적인 작업환경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tical boom type heavy weight type and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are driven by a conventional hydraulic method by raising and lowering a work sheet through an electric winch driven by a battery mounted on an existing high- So that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in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큰 부피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들이 탈부착 방식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시트 및 적재판이 지붕면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슬레이트 지붕의 해체가 용이하고, 이동에 따른 휴대성 및 보관성이 매우 높은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main components occupying a large volume a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and used so that the working sheet and the laminate plate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of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ing apparatus for a slate roof dismantling system which can be easily constructed so that a slate roof can be easily dismantled, and portability and storage of the slate roof can be achieved with ea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된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한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에 있어서, 신축붐이 설치된 고소작업차와; 상기 신축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 상부로 이동 가능한 수평유지판과; 상기 수평유지판 하부에 배치되는 작업지지판과; 상기 작업지지판을 상기 수평유지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지지부와; 상호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작업지지판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작업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부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 사이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의 양측 각각이 상기 작업지지판의 폭 방향 양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적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레이트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ismantling for dismantling a slate installed on a roof of a building, the apparatus comprising: a high work station provided with a telescopic boom; A horizontal hold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telescopic boom and movab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of; A work support plate disposed under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A spac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work supporting plat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air of working sheets, each of which is adjustably height-adjustabl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ir of stacking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working sheets, the pair of stacking plates being height-adjustable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작업부는,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업지지판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work device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ec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portion is elastically connected to each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support plat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work sheets can be adjusted, And a pair of first side frames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detachably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pair of work sheet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슬레이트적재부는, 상기 한 쌍의 적재판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업지지판의 폭 방향 양측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판 각각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2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재판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가 상호 높이차이로 인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경사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작업지지판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t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portion is elastically connected to each of both widthwise sides of the work supporting plat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armor plate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ide frame extending downwardly and connected to and supporting each of the pair of red plates, wherein the red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air of working sheets form a slope due to a difference in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is adjustable so th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lo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슬레이트적재부는, 하단부가 상기 적재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다수의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 서로가 접철 가능하도록 이웃하는 수직프레임끼리 서로 힌지 연결시키는 접철링크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판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 중 일부는 상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의 타단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late roof disassembl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t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whose lower ends are vertically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distributing plate, Further comprising a folding link provided between the folding plate and the second side frame, wherein the folding link includes a folding link for hinge-connecting the adjacent vertical frames so that the folding frames can be folded, And is adjus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ide fr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작업지지판이 상기 수평유지판으로부터 승하강되도록 상기 수평유지판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권취되어 상기 작업지지판을 승하강시키도록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윈치는 상기 고소작업차의 배터리를 통해 구동되는 전동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work device for dismantling the slate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winch installed on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such that the working support plate is lifted up and down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And a wire rope connected to move up and down, wherein the winch is an electric winch driven through a battery of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수평유지판과 상기 작업지지판 중앙 부분에 고정된 각각의 베어링브라켓과,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상기 베어링브라켓 각각에 수평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앙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working apparatus for dismantling the slate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bearing bracket fixed to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work supporting plate,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bearing brackets, And a central support frame connected rotata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고소작업차는, 상기 신축붐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무게센서에서 감지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람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work device for dismantling the slate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work car is provided with a weight sensor for sensing the load acting on the telescopic boom, and informing the operator of the loa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And an alarm unit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신축붐이 탑재된 고소작업차를 활용하여 두 명의 작업자가 서로 마주하며 탑승할 수 있는 한 쌍의 작업시트와 그 작업시트 사이에서 해체된 슬레이트를 쉽게 적재할 수 있는 적재판을 구성하여 건축물의 지붕 상부로 편리하게 이동 및 승하강시키되, 고소작업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동윈치를 통해 상기 작업시트를 승하강시킴으로써 기존 유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수직붐 형태의 고중량 방식과 복잡한 구조에 따른 비효율적인 작업환경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주요 구성이 탈부착식으로 이루어져 이동에 휴대성 및 보관성이 매우 높으며, 상기 작업시트 및 적재판을 지붕면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슬레이트 지붕의 해체가 매우 편리해지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apparatus for dismantling the slate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working seats capable of two occupants facing each other, utilizing a high-performance work car equipped with a telescopic boom, The slabs can be easily loaded and lifted up to the roof top of the building by moving up and down the work sheet through the electric winch driven by the battery mounted on the elevator work car It can greatly improve the in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due to the heavy weight type of vertical boom driven by the conventional hydraulic system and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main structure is detachable so as to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field, And the working sheet and the redistricting plate are plac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roof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of surface The slope can be easily configured, and the dismantling of the slate roof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very convenient.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를 분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거치대의 접철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device for disassembling a slat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late roof disassembling wo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main structure of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ing device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of a cradle of a working device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이하에서는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of demolition 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를 분해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거치대의 접철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late roof dis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ate roof dis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ing apparatus for slat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of a cradle of a working apparatus for slat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건축물의 지붕(R)에 설치된 슬레이트(S)를 해체하기 위한 것으로, 고소작업차(10), 수평유지판(20), 작업지지판(30), 이격지지부(40), 작업부(50), 슬레이트적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late roof disassembling work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ismantling a slate S provided on a roof R of a building, And includes a holding plate 20, a work supporting plate 30, a spacing support portion 40, a working portion 50, and a slat mounting portion 6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단순 프레임 구조로 경량화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간편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ing apparatus 1 for slate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t is lightweight with a simple frame structure, and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each other.

상기 고소작업차(10)는 승강장치(11)에 의해 승강되는 신축붐(12)이 설치되어 후술하는 상기 수평유지판(20)을 이동 및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기 신축붐(12) 말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고소작업차(10)는 상용 트럭이나 화물차량 등을 개조시켜 탑승함에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공중으로 승하강시도록 널리 공지된 고소 작업차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소작업차(10)에는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고소 작업차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수평유지장치(13)를 통해 상기 신축붐(12)의 승하강시 상기 수평유지판(20)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elevating work car 10 is provided with a telescopic boom 12 which is elevated by the elevating device 11 so as to move and elevate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telescopic boom (12).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10 can be a high-performance work car widely known to ride on a commercial truck or a freight vehicle and ride the worker in the air,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can be always kept horizontal when the telescopic boom 12 ascends and descends through a horizontal holding device 13 which is basically installed in a normal high-altitude working car.

상기 수평유지판(20)은 상기 고소작업차(10)의 수평유지장치(13)에 의해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붐(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지붕(R)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소작업차(10)는 상기 신축붐(12)이 차량의 적재함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can be moved over the roof 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elescopic boom 12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13 is always kept horizontal by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13 of the high-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10 is installed so that the telescopic boom 12 can be rotated in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상기 수평유지판(20)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소작업차(10)의 신축붐(12)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다단으로 구성된 상기 신축붐(12)에 의해 상기 지붕(R)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자를 탑승함에 탑승시켜 승하강시키도록 일반적인 고소 작업차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상기 수평유지장치(13)가 본 발명의 상기 고소작업차(10)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붐(12)의 승하강시 상기 수평유지판(20)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telescopic boom 12 of the elevator car 10. The telescopic boom 12,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13, which is basically mounted on a general high-performance work car so as to be able to move upward and to mount and lower the worker in a boarding vehicle, is installed in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can always be kept horizontal when the boom 12 ascends and descends.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유지판(20)이 상기 신축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elescopic boom 12.

즉, 종래의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함이 설치되고, 이 탑승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소작업차(10)의 수평유지장치(13)에 상기와 같이 회전될 수 있는 턴테이블(14)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유지판(20)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유지판(20)이 상기 턴테이블(1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a conventional general-purpose work vehicle, a boarding compartment is provided so that a person can be boarded, and a turntable rotated to rotate the boarding compartment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rntable 14 rotatabl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turntable 13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retention plate 20 so that the horizontal retention plate 20 can be turned around the turntable 14 .

상기 작업지지판(30)은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지붕(R) 상부에서 슬레이트(S)를 해체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평유지판(20) 하부에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이격지지부(40)에 의해 균형을 이루도록 지지된다.The work supporting plate 3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orker in a floating state so that the worker can dismantle the slate S from above the roof 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e supported so as to be balanced by the spacing support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작업지지판(30)은 상기 수평유지판(20)과 같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상기 작업부(40) 및 슬레이트적재부(50)가 균형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The working support plate 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such as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so that the working unit 40 and the slate loading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serve as a support.

상기 이격지지부(40)는 상기 작업지지판(30)을 상기 수평유지판(20)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pacing support portion 4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ork supporting plate 30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이격지지부(40)는 상기 작업지지판(30)이 상기 수평유지판(20)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작업지지판(30) 양측이 균형을 이루며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작업지지판(30)이 상기 수평유지판(20)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지지부(40)가 윈치(41)와, 와이어로프(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작업지지판(30)이 상기 수평유지판(20)의 하부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e mean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upporting plate 3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so that both sides of the working supporting plate 30 are balanced and can be rotated up and down Or the work support plate 3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support portion 40 includes a winch 41, And the work supporting plate 3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상기 윈치(41)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유지판(20) 상면 양측에 소정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한 쌍의 윈치(41)는 상기 와이어로프(42)가 권취되어 상기 와이어로프(42)가 상기 작업지지판(30)과 수직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작업지지판(30)이 상기 수평유지판(20)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pair of winch 41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so that the pair of winch 41 is wound on the wire rope 42, 42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work support plate 30 so that the work support plate 30 can be lifted up and down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0.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로프(42)는 상기 수평유지판(20) 좌우 양측에 형성된 로프연결고리(20a)를 통과하고, 상기 로프연결고리(20a)와 인접하여 그 외측 각각에서 상기 수평유지판(20)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로프삽입공(20b)을 통과하도록 이어지며, 상기 수평유지판(20)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작업지지판(30)의 양측 상단에 고정된 로프연결고리(30a)에 연결된다.3, the wire rope 42 passes through a rope connecting ring 20a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and adjacent to the rope connecting ring 20a,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0 is connected to a rope insertion hole 20b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is connected to a rope connection member 20 extending vertical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0, And is connected to the ring 30a.

이에, 상기 작업지지판(30)은 상기 윈치(4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평유지판(20) 하부에서 승하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42)는 상기 작업지지판(30)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전체가 네 개로 이루어진 와이어로프(42)에 대응하도록 상기 로프연결고리(20a,30a)와 상기 로프삽입공(20b) 또한 상기 수평유지판(20) 및 작업지지판(30) 양측 각각에 한 쌍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work support plate 30 can be raised and lowered below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nch 41. In addition, the wire rope 4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support plate 30 so that the work support plate 30 can be balanced. Thus, The connection rings 20a and 30a and the rope insertion hole 20b are also form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and the work supporting plate 30.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작업지지판(30)은 상기 수평유지판(20)과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이어로프(42)를 간편하게 해체하는 작업에 의해 상기 작업지지판(30)을 상기 수평유지판(20)으로부터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The work supporting plate 30 can be easily and firm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and can be easily and reliably connected to the work supporting plate 30 by the operation of disassembling the wire rope 42. [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기 윈치(41)는 상기 고소작업차(10)에 탑재된 배터리를 통해 구동되는 전동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 device 1 for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ch 41 is an electric winch driven through a battery mounted on the elevated work car 10.

상기 전동식으로 구성된 윈치(41)는 본 발명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를 최대한 경량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량을 차지하는 유압식 장비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이격지지부(40)가 차지하는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전동식 윈치(41)는 주로 소형의 트럭 또는 화물차량에 적용하기가 매우 수월하여 차량 제작에 따른 비용이나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 등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슬레이트 지붕 해체 작업에 따른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The electromechanical winch 41 is us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working device 1 for dismantling the roof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he weight of the spacing support portion 40 can be reduced because no heavy hydraulic equipment is installed . In addition, such an electric winch 41 is very easy to apply mainly to a small-sized truck or freight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a cost for manufacturing a vehicle and a cost for a work, A simple and convenient effect is generated.

상기 작업부(50)는 2인 1조로 구성된 작업자가 편안하게 탑승한 상태로 상기 지붕(R) 위에서 슬레이트 지붕의 해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업부(50)는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와,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52a,52b)과, 한 쌍의 힌지결합부재(53a,5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ork unit 50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dismantling work of the slate roof on the roof R in a state where the worker is comfortably aboard a pair of workers. A pair of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nd a pair of hinge engagement members 53a and 53b.

또한, 상기 작업부(50)는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가 상기 작업지지판(30) 하부 양측에서 상기 지붕(R)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working part 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working sheets 51a and 51b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supporting plate 30 so as to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of R. [

이에,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각각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a,52b) 및 상기 힌지결합부재(53a,53b)에 의해 상기 작업지지판(3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호 높이차이로 인한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다.Each of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is formed by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nd the hinge engaging members 53a and 53b at mutually height So as to form a slope due to the difference.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a,52b)은 봉 형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이 대략 "ㄱ"자 형태로 꺽이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되며, 상단부는 한 쌍으로 갈라져 측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3 and 4,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air of fram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bar shape are bent in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formed into a shape which is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being divided into a pair.

한편, 상기 작업지지판(30)에는 하단부 전방과 후방 각각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31)이 설치되고, 상단부 양측 각각에는 폭 방향으로 길게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32)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a,52b)은 한 쌍으로 갈라진 형태의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로프레임(3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work supporting plate 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horizontal frames 31 each having a long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31,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pair of the horizontal frames 31.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31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또한, 본 발명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a,52b)에 착탈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힌지결합부재(53a,53b)는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a,52b) 서로가 간편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연결된 것으로, 상기 작업지지판(30)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52a,52b) 각각의 하단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상단 각각에 연결된다.Further, in the working device 1 for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are detachably hinged to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The pair of working sheets 51a and 51b and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One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working sheets 51a and 51b.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는 상기 지붕(R)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상호 높이차이를 이루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높이 차이는 상기 작업지지판(30) 하부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52a,52b)의 수직 연장 길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구성되어 높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are provided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with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of R, And can b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extension length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s 52a, 52b coupled to both lower sides, and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variably configured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in the height direction .

즉,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52a,52b)은 상기 지붕(R)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상호간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각각 다른 크기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지지판(30)에 교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pair of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are form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pair of working sheets 51a and 51b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roof 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so as to be interchangeably coupled to the work support plate (30).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52a,52b) 각각은 상기 작업지지판(30)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작업지지판(30) 양측에서 상기 가로프레임(31)에 삽입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를 지지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의 고정은 상기 가로프레임(3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체결되는 나사볼트 또는 결합핀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Each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31 from both sides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30 so as to be extendable and contractibl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30,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can be spaced from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with the lower end thereof being guided and slidably installed, The fixing of the working sheets 51a and 51b can be fix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bolt or an engaging pin which is fast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frame 31. [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기 작업부(50) 즉, 상기 작업시트(51a,51b), 제1 측면프레임(52a,52b) 및 상기 힌지결합부재(53a,53b)의 구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결합하여 상기 고소작업차(10)에 연결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프레임 구조로 간편하게 구성되어 상기 신축붐(12)에 작용하는 무게 하중이 줄어들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소 작업차량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 사용환경이 개선됨과 동시에 슬레이트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orking device 1 for roof demol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orking part 50, that is, the working sheets 51a and 51b,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53a, 53b)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y can be easily combin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iel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10,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And the weight load applied to the telescopic boom 12 is reduced, so that it does not greatly affect the type of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improving the use environment and reducing the work cost due to the slate disassembly work .

또한, 본 발명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작업 후에 각 구성들을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붕(R) 상부에서 2인 1조의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로 착석한 상태에서 매우 편리하게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작용효과 또한 발생된다.In addition, the working device for roof demoli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isassemble the respective components after the operation, so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move and store, and a pair of workers in the upper part of the roof R are seated in a stable posture There is also generated an action effect that can perform slate dismantling work very conveniently in a state.

상기 슬레이트적재부(60)는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에 착석한 상태에서 슬레이트를 해체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해체된 슬레이트의 적재가 편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슬레이트적재부(60)는 한 쌍의 적재판(61a,61b), 한 쌍의 제2 측면프레임(62a,62b), 한 쌍의 거치대(63a,6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lat mounting portion 60 is configured so that a worker who disassembles the slat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pair of works sheets 51a and 51b can easily load the disassembled slat.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61a and 61b, a pair of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and a pair of cradles 63a and 63b.

상기 적재판(61a,61b)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방향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가 상호 높이차이로 인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경사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작업지지판(3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are elongated toward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When the pair of working sheets 51a and 51b are inclined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And is height-adjustably coupled to the work support plate 30 so that both sides of the work support plate 30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lop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판(61a,61b)은 슬레이트가 적재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의 양측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길게 배치된다.3 and 4, the red plates 61a and 61b have a predetermined inner space to form a space for loading the slats, and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

이에,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 및 거치대(63a,63b)는 상기 적재판(61a,61b)을 상기 작업지지판(30)으로부터 지지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a,52b)과 같이 대략 "ㄱ"자 형태로 꺽인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판(61a,61b)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업지지판(30)의 폭 방향 양측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판(61a,61b) 각각에 연결되어 지지한다.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and the mounts 63a and 63b are connected to support the redirecting plates 61a and 61b from the work supporting plate 30.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Like shape as in the first side frames 52a and 52b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ed plates 61a and 61b,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downwardly to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each of the pair of reed plates 61a and 61b.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면프레임(62a,62b)은 상기 작업지지판(30)의 상단부 양측 각각에 폭 방향으로 길게 중공이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프레임(62a,62b) 각각이 상기 작업지지판(30)의 전후방 즉, 폭 방향 양측 방향에서 상기 세로프레임(32) 양측 각각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사볼트 또는 결합핀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formed as described above include the pair of vertical frames 32 having long hollows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30, And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are inserted into both the sides of the vertical frame 3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ork support plate 30, And is firmly fix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bolt or an engaging pin.

그리고, 상기 거치대(63a,63b)는 상기 적재판(61a,61b)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을 상하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하단부가 상기 적재판(61a,6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결된 다수의 수직프레임(631a,631b)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631a,631b) 서로가 접철 가능하도록 상호 이웃하는 수직프레임끼리 서로 힌지 연결시키는 접철링크(632a,632b)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판(61a,61b)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The mounts 63a and 63b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redirecting plates 61a and 61b and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by vertical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redirecting plates 61a and 61b, The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are vertic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The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are vertically arranged, Folding links 632a and 632b which are hinge-connected are provided so as to connect each other between the red plates 61a and 61b and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이에,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631a,631b) 중 일부는 상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의 타단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61a,61b)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631a,631b)이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631a,631b)은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631a,631b)은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판(61a,61b)의 양측이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하로 조절된 후, 나사볼트 또는 결합핀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에 고정된다.3 and 4,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A pair of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disposed at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redirecting plates 61a and 61b are coupled to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and the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can be slidably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61a and 61b Both sides are adjusted up and down so as to have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and then fixed to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 bolts or engaging pins.

이때, 상기 거치대(63a,63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링크(632a,632b)가 마름모 형태로 배열된 네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프레임 각각이 힌지축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631a,631b)과도 힌지축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적재판(61a,61b)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62a,62b)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길이방향으로 쉽게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As shown in FIG. 5, the cradles 63a and 63b are formed of four frames in which the folding links 632a and 632b are arranged in a rhombic shape so that each of the frames is connected to the hinge axis,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the redirecting plates 61a and 61b and the second side frames 62a and 62b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631a and 631b with the hinge axis. Therefore, an effect that the carrying and storing becomes very easy is genera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기 이격지지부(40)는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로프(42)의 승하강 작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주변에 설치되는 펜던트 스위치(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orker 1 for disassembling a ro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ing support portion 40 includes a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for adjusting an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ire rope 42, 51b. The pendant switch 45 is provided around the pendant switch 45a.

상기 펜던트 스위치(4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유지판(20)에 설치된 윈치(41)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양측 각각의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전선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어 슬레이트 해체 작업시 상기 고소작업차(10)의 신축붐(12)에 의해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상기 수평유지판(20)의 이동에 제한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펜던트 스위치(45)를 통해 상기 지붕(R)과 작업자 사이의 높이 간격을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및 상기 한 쌍의 적재판(61a,61b)을 슬레이트가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는 높이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3 and 4, when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winch 41 installed on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the pendant switch 45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working sheets 51a and 51b When the horizontal lifting plate 20 is vertically moved vertically by the telescopic boom 12 of the elevator car 10 during slat dismantling work, The worker can directly adjust the height interval between the roof R and the worker through the pendant switch 45 so that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and the pair of red plates 61a and 61b ) To a height at which the slate can be easily disassembled becomes very convenient.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기 턴테이블(14)에 의해 상기 수평유지판(20)이 180˚ 회전되도록 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건물의 양측 지붕(R)의 작업이 연속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peration apparatus 1 for disassembling the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is rotated 180 degrees by the turntable 14,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즉, 도 6을 참조하면 슬레이트가 설치된 상기 지붕(R)은 통상 양측이 대칭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일측 경사면의 슬레이트 해체 작업이 끝난 후에는 타측 경사면의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서로의 높이를 재조절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 상기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14)의 구성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지면에 작업자가 내린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의 높이를 조절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슬레이트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FIG. 6, since the roof R provided with the slats is generally symmetrical on both sides, after the slat dismantling operation of one sloped surface is completed, the pair of working sheets The operation of the roof dismounting wor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y the operation of the turntable 14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in a state in which the worker is lowered on the ground, so that the slate dismantling work becomes very easy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1)는 상기 고소작업차(10)는 상기 신축붐(12)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15)가 구비되고, 상기 무게센서(15)에서 감지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람수단(16)이 구비된다.In the work device 1 for disassembling a ro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work car 10 is provided with a weight sensor 15 for sensing a load acting on the telescopic boom 12, And an alarm means (16) for informing the operator of the load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15)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소작업차(10)는 상기 신축붐(12)의 일측에 설치되는 무게센서(1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 구조로 인해 상기 신축붐(12)에 가중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센서(15)에서 감지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상기 알람수단(16)을 통해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음성 또는 화면으로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신축붐(12)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게 된다.2, the elevator car 10 is connected to the telescopic boom 12 by a weight sensor 15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elescopic boom 12, And an alarm means 16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slider by means of the alarm means 16 which can be constituted by a speaker, a display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sensed by the weight sensor 15, Or screen, thereby preventing conduction of the telescopic boom 12 and safety of the operato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상기 이격지지부(40')는 상기 수평유지판(20)과 상기 작업지지판(30) 중앙 부분에 고정된 각각의 베어링브라켓(41')과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상기 베어링브라켓(41') 각각에 수평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앙지지프레임(4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orking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 ro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support portion 40 'includes a pair of bearing brackets 41'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0 and the work support plate 30, And a central support frame 42 'rotatably connected to the bearing brackets 41' in a horizontal axi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지만, 상기 작업지지판(30)이 상기 수평유지판(20)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과는 다르게, 상기 작업지지판(30)이 상기 수평유지판(20)으로부터 양측이 균형을 이루며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이격지지부(40')의 구성이 일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support plate 30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30 are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with a balance on both sides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The configuration of the spacing support unit 4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어링브라켓(41')이 상기 수평유지판(20)의 하단부 중앙 전후 방향 양측에 한 쌍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지지판(30)의 상단부 중앙 전후 방향 양측에 한 쌍이 고정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7,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earing brackets 41 'are fix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And one pair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center front and rear direction.

또한, 상기 중앙지지프레임(42')은 소정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단과 하단부 각각이 측방으로 꺽이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중앙지지프레임(42')의 상단이 상기 수평유지판(20)에 설치된 베어링브라켓(4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작업지지판(30)에 설치된 베어링브라켓(4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The center support frame 42 'extends vertic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bent in a later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support frame 42' thus forme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0 ' And a lower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a bearing bracket 41 'provided on the work support plate 30 and is supported in a rotatable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상기 고소작업차(10)가 건물의 양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건물 양측의 지붕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보통이므로, 상기 고소작업차(10)가 건물 양측으로 쉽게 이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수평유지판(20)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의 위치를 반대로 바꾸는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물의 양측 지붕(R)의 작업이 연속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the case where the elevated work car 10 can freely move in both directions of the building. That is, since the roofs on both sides of the building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when the elevated work car 10 can be easily moved to both sides of the building, onl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20 It is possible to reverse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so that the work of both roofs R of the building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따라서, 상기 이격지지부(40')는 상기와 같은 베어링브라켓(41')과 중앙지지프레임(42')의 연결 구조를 통해 상기 2인 1조의 작업자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 각각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업자 각각의 몸무게에 따라 서로 균형을 이루며, 자연스럽게 서로의 높이 차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workers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earing bracket 41 'and the center support frame 42' Are balanc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each of the workers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each of them, and naturally constitute the height difference of each other.

이와 같은 구성은, 두 명의 작업자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51a,51b)에 착석한 경우 작업자 각각의 몸무게에 따라 상기 작업지지판(30) 양측에 작용하는 하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 어느 일측 방향으로만 피로 하중이 쌓이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wo workers are seated on the pair of work sheets 51a and 51b, the load acting on both sides of the work support plate 30 varies depending on the weight of each work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fatigue load accumulates only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2인 1조의 작업자의 무게 중심이 상기 작업지지판(30)의 중앙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지지판(30)의 회전시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불필요한 유동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air of workers is acted on the center of the work support plate 30, structurally robust and unnecessary flow phenomenon is not generated when the work support plate 30 rotate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working apparatus for slate roof demoli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고소작업차 12 신축붐
15 알람수단 16 무게센서
20 수평유지판 20a 로프연결고리
20b 로프삽입공 30 작업지지판
30a 로프연결고리 31 가로프레임
32 세로프레임 40,40' 이격지지부
41 윈치 42 와이어로프
41' 베어링브라켓 42' 중앙지지프레임
50 작업부 51a,51b 작업시트
52a,52b 제1 측면프레임 53a,53b 힌지결합부재
60 슬레이트적재부 61a,61b 적재판
62a,62b 제2 측면프레임 63a,63b 거치대
10 Sophisticated Work Car 12 New Boom
15 Alarm means 16 Weight sensor
20 Horizontal holding plate 20a Rope connecting ring
20b Rope insertion hole 30 Operation support plate
30a Rope connection ring 31 Horizontal frame
32 vertical frame 40,40 'spacing support
41 winch 42 wire rope
41 'Bearing bracket 42' Central support frame
50 work unit 51a, 51b work sheet
52a, 52b First side frame 53a, 53b The hinge-
60 Slate loading section 61a, 61b Reduction trial
62a, 62b second side frames 63a, 63b cradles

Claims (7)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된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한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에 있어서,
신축붐이 설치된 고소작업차와;
상기 신축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 상부로 이동 가능한 수평유지판과;
상기 수평유지판 하부에 배치되는 작업지지판과;
상기 작업지지판을 상기 수평유지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지지부와;
상호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작업지지판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작업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부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 사이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의 양측 각각이 상기 작업지지판의 폭 방향 양측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적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레이트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A work device for slate roof demolition for demolishing a slate installed on a roof of a building,
A high-altitude work car with a telescopic boom;
A horizontal hold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telescopic boom and movab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of;
A work support plate disposed under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A spac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work supporting plat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air of working sheets, each of which is adjustably height-adjustabl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ir of stacking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working sheets, the pair of stacking plates being height-adjustable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late roof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a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업지지판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sec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portion thereof is elastically connected to each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support plat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work sheets can be adjusted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extended downwardly,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first side frames detachably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ide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적재부는, 상기 한 쌍의 적재판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작업지지판의 폭 방향 양측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판 각각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2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재판은, 상기 한 쌍의 작업시트가 상호 높이차이로 인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경사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작업지지판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at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portion thereof is elastically connected to each of both widthwise sides of the working support plat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edistributor plates can be adjusted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extended downwardly, And a second side fram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rame,
Wherein when the pair of work sheets are inclined due to mutual height differences, the work table is height-adjustably coupled to the working support plate so th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lope Dismantling work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적재부는, 하단부가 상기 적재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다수의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 서로가 접철 가능하도록 이웃하는 수직프레임끼리 서로 힌지 연결시키는 접철링크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판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 중 일부는 상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의 타단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lat moun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whose lower ends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distribution plat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each of the vertical frames being hinged to each other, And a cradle provided between the redistribution plate and the second side frame,
Wherei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s height-adjus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de fram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작업지지판이 상기 수평유지판으로부터 승하강되도록 상기 수평유지판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권취되어 상기 작업지지판을 승하강시키도록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윈치는 상기 고소작업차의 배터리를 통해 구동되는 전동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pacing support portion includes a winch installed on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such that the work supporting plate is lifted up and down from the horizontal holding plate and a wire rope wound on the winch and connected to raise and lower the working supporting plate,
Wherein the winch is an electric winch driven through a battery of the high altitude work ca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는, 상기 수평유지판과 상기 작업지지판 중앙 부분에 고정된 각각의 베어링브라켓과,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상기 베어링브라켓 각각에 수평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앙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pacing support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plate, a respective bearing bracket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 support plate, and a central support fram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earing brackets so as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axis. A slate roof demolition wor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차는, 상기 신축붐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무게센서에서 감지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람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work car is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for sensing a load acting on the telescopic boom and an alarm means for informing the operator of the loa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Device.
KR1020130144040A 2013-11-25 2013-11-25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KR101473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40A KR101473434B1 (en) 2013-11-25 2013-11-25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40A KR101473434B1 (en) 2013-11-25 2013-11-25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434B1 true KR101473434B1 (en) 2014-12-18

Family

ID=5267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040A KR101473434B1 (en) 2013-11-25 2013-11-25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3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9918A (en) * 2017-07-27 2017-12-01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A kind of Historical Buildings periphery single-layer frame retains method for dismounting
KR102267903B1 (en) * 2021-01-28 2021-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KR20230057056A (en)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아스 Removing system for slate
KR102550522B1 (en) * 2022-09-16 2023-07-03 주식회사 코아스 Removing system for s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25B1 (en) 2010-01-11 2010-05-13 정원훈 Operating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KR100985867B1 (en) 2008-12-22 2010-10-08 김성주 Slate roof removal system and the method where the asbestos contains
KR101160458B1 (en) 2010-11-02 2012-06-27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KR101331184B1 (en) 2012-07-12 2013-11-20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67B1 (en) 2008-12-22 2010-10-08 김성주 Slate roof removal system and the method where the asbestos contains
KR100957025B1 (en) 2010-01-11 2010-05-13 정원훈 Operating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KR101160458B1 (en) 2010-11-02 2012-06-27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KR101331184B1 (en) 2012-07-12 2013-11-20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9918A (en) * 2017-07-27 2017-12-01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A kind of Historical Buildings periphery single-layer frame retains method for dismounting
CN107419918B (en) * 2017-07-27 2019-06-14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A kind of Historical Buildings periphery single-layer frame retains method for dismounting
KR102267903B1 (en) * 2021-01-28 2021-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KR20230057056A (en)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아스 Removing system for slate
KR102608197B1 (en) * 2021-10-21 2023-11-30 주식회사 코아스 Removing system for slate
KR102550522B1 (en) * 2022-09-16 2023-07-03 주식회사 코아스 Removing system for s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434B1 (en) 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roof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KR101213713B1 (en) Boom control device of high place operation car
KR101457578B1 (en) Scaffold for hanging the boiler and assembly method the same
CN209942205U (en) Construction hanging basket
KR101589375B1 (en) Roof Working Device
US5394956A (en) Suspended tender box
KR101395277B1 (en) A device for keeping horizontal level of platform
CN108298477A (en) A kind of repair car of electric power
JP2019515166A (en) Perimeter safety screen assembly
KR100949431B1 (en) Apparatus of hoist crane
CN111498693A (en) Protective device for crane
JPH0967099A (en) Carrying load detecting device of vehicle for high lift work
KR10126231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ystem support
CN211397417U (en) Operation ladder for electromechanical engineering
KR200497900Y1 (en)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CN203889872U (en) Installing device for front windshield of motor train
JP2016131670A (en) High place work fall prevention device
CN210888003U (en) Movable lifting steel pipe frame operating platform device
CN113979385A (en) Lifting vehicle
KR102447971B1 (en) Rolling Scaffold Tower
CN220860532U (en) Safety belt hanging structure
KR102437874B1 (en) High place working vehicles
KR102515456B1 (en) Apparutus for high place work
US11826589B2 (en) Balance mobile anchor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