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742B1 -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742B1
KR101472742B1 KR20140006092A KR20140006092A KR101472742B1 KR 101472742 B1 KR101472742 B1 KR 101472742B1 KR 20140006092 A KR20140006092 A KR 20140006092A KR 20140006092 A KR20140006092 A KR 20140006092A KR 101472742 B1 KR101472742 B1 KR 10147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smartphone
patter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무
Original Assignee
안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무 filed Critical 안성무
Priority to KR2014000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잠금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을 입력받으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보안인식패턴의 적용 유보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유보시간설정부가 표시되어, 상기 유보시간설정부를 통해 입력되는 보안인식패턴의 적용 유보시간동안 상기 보안인식패턴의 입력이 유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보안인식 패턴의 입력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유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한 시간동안 보안인식 패턴 입력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SMART PHONE HAVING FUNCTING OF RESERVING SECURITY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동안 보안인식패턴의 입력을 유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패턴잠금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는 바, 스마트폰은 휴대용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기능을 융합한 제품이다.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이동 중에도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및 각종 개인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폰과 기존의 일반 휴대전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범위한 각종의 에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을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필요 시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에는 각종의 개인 또는 업무적 데이터들이 다량 저장되므로, 스마트폰 이용자 이외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내에 저장되는 각종 정보의 열람을 방지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보안 수단들이 강구된다.
한편, 최근 기업체들의 다양한 업무들이 인터넷과 연동되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기업체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또는 에플리케이션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업무들이 수행됨에 따라, 휴대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해 업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업무에 접근할 권한이 있는 자 이외의 일반인들이 업무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에플리케이션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수단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보안 수단 중의 대표적인 것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통상 9 개의 점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점들을 연결하는 패턴을 사전에 입력받고, 스마트폰 사용 시 또는 화면 잠금 상태 해제 시 사용자로부터 패턴을 입력받아 확인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스마트폰 사용자가 홀로 가정 내에 위치하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등 화면 잠금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도,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패턴을 매번 입력해야 하는 것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늦은 밤길 통행 시 또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 시에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패턴을 매번 입력해야 하는 것은 예기치 못한 비상 상황에 대한 신속적인 대응을 불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장치의 보안에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73903 호(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자동 잠금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인식 패턴의 입력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유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인식 패턴 입력에 따른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패턴잠금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잠금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을 입력받으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보안인식패턴의 적용 유보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유보시간설정부가 표시되어, 상기 유보시간설정부를 통해 입력되는 보안인식패턴의 적용 유보시간동안 상기 보안인식패턴의 입력이 유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보시간설정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의 메인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보안인식패턴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 입력된 패턴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보안인식 패턴의 입력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유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인식 패턴 입력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한 시간동안 제거할 수 있다.
그리하여, 마트폰 사용자가 홀로 가정 내에 위치하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패턴을 매번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늦은 밤길 통행 시 또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 시에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패턴을 매번 입력해야 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2 는 상기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보안인식패턴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2 는 상기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보안인식패턴이 표시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잠금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0)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2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30)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40)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50)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60)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24)을 입력받으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에는 상기 보안인식패턴(24)의 적용 유보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유보시간설정부(26)가 표시되어, 상기 유보시간설정부(26)를 통해 입력되는 보안인식패턴(24)의 적용 유보시간동안 상기 보안인식패턴(24)의 입력이 유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10)는 이동통신기기로서의 음성통화 및 무선인터넷 접속 등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는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각종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부(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부분으로서, 이동통신기기로서의 음성통화 또는 동영상 촬영시 소리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스피커부(40)는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통화 시의 음성, 음악, 알람신호 등을 외부로 발생시킨다.
상기 저장부(50)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상기 GPS모듈부(60)는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에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구성들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및 각종의 구성들을 제어한다.
상기 보안인식패턴(24)은 일예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화면에 소정 갯수의 점들(22)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패턴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에서는 상기 패턴이 "Z"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일정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 전력의 무의미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화면이 잠금 상태로 되며,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보안인식패턴을 입력하여,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보안인식패턴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본인의 집에 혼자 거주할 경우와 같이 굳이 보안인식패턴을 통해 본인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화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보안인식패턴을 매번 입력하는 것은 오히려 번거로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보시간설정부(26)를 터치하여 상기 보안인식패턴의 입력 및 확인 과정을 일정 시간 유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유보시간설정부(26)를 터치할 경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에 표시되는 화면에 유보시간 설정을 위한 시간 단위의 숫자를 표시하고, 선택되는 시간동안 보안인식패턴의 입력을 유보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유보시간설정부(26) 자체에 시간 단위의 숫자를 표시하여 보인인식패턴 입력의 유보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안인식패턴의 종류로는 도 2 에 도시된 패턴뿐만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얼굴 등도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다양한 본인 인증 방식을 통한 본인 확인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유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보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유보시간 동안은 보안인식패턴의 입력이 유보되어, 집안에 스마트폰 사용자 혼자 거주하는 경우 등에는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매번 보안인식패턴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또한, 늦은 밤길 통행 시 또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 시에는 상기와 같이 유보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스마트폰을 통한 신속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통신부
20: 유저인터페이스부
30: 마이크부
40: 스피커부
50: 저장부
60: GPS 모듈부

Claims (3)

  1.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와;
    스마트폰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을 입력받으며,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유보시간설정부가 표시되어,
    상기 유보시간설정부를 통해 입력되는 유보시간동안 화면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보시간설정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인식패턴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 입력된 패턴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20140006092A 2014-01-17 2014-01-17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10147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92A KR101472742B1 (ko) 2014-01-17 2014-01-17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92A KR101472742B1 (ko) 2014-01-17 2014-01-17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742B1 true KR101472742B1 (ko) 2014-12-18

Family

ID=5267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092A KR101472742B1 (ko) 2014-01-17 2014-01-17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34A1 (ko) * 2015-05-12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갤럭시S4 잠금화면에서 위젯 사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34A1 (ko) * 2015-05-12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3708B1 (en) A method and a terminal for controlling a smart home device
US101290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EP30890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mission management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EP3232299B1 (en) Physical key component,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US9286482B1 (en) Privacy control based on user recognition
KR2019005136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간 음성으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KR1016881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2206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mart camera
US104331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KR20190007735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표시
US20190295203A1 (en)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EP32495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rompt indicating loss of terminal
CN108563933A (zh) 应用程序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4094192A (zh) 来自用户的音频输入
KR20150046766A (ko) 단말기의 잠금 해제 처리방법, 장치, 단말기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40034088A (ko) 제스쳐-및 표현-기반 인증
US20170300260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ata migration
WO2016079974A1 (en) Authentic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6607111B2 (ja) アバターロボット接続管理システム
KR101472742B1 (ko) 보안인식 유보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CN107808077A (zh) 用于控制终端解锁功能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6215730A (ja) 電子機器
KR20140083448A (ko) 얼굴 인식 잠금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US201703009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ccount from being sto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