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878B1 - Trap apparatus for mouse - Google Patents

Trap apparatus for m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878B1
KR101471878B1 KR1020130034398A KR20130034398A KR101471878B1 KR 101471878 B1 KR101471878 B1 KR 101471878B1 KR 1020130034398 A KR1020130034398 A KR 1020130034398A KR 20130034398 A KR20130034398 A KR 20130034398A KR 101471878 B1 KR101471878 B1 KR 10147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pturing
unit
animal
at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9922A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3003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878B1/en
Publication of KR2014011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8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18Box traps with pivoted closure fl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포획장치는, 유해동물이 출입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몸체유닛 및 몸체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포획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해동물의 포획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후처리가 용이해진다. The disclosed apparatus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provided with an access port through which a harmful animal can enter and a capturing unit removably installed to the body unit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to capture the harmful animal.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apturing rate of harmful animals can be improved, and post-treatment can be facilitated.

Description

유해동물 포획장치{TRAP APPARATUS FOR MOUSE}{TRAP APPARATUS FOR MOUSE}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유해한 쥐와 같은 유해동물을 포획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위생적인 후처리가 용이한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that improves the capture rate of harmful animals such as rats, which are harmful to humans, and facilitates hygienic post-treatment.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유해동물 중 몸집이 작은 쥐는 인간의 주거공간으로 침입하여 해를 끼친다. 특히, 쥐의 대소변은 인간에게 유해한 살모넬라균, 시켈라균, 대장균 등과 같은 유해균을 전염시킴으로써 건강상 피해를 준다. 이러한 쥐는몸집이 작아 주거공간으로 침입이 용이한 반면에, 민첩한 행동으로 인해 포획이 어렵다. Among the harmful animals that harm human beings, the small mice invade into the human residential space and cause harm. Particularly, the feces of the rat is harmful to human health by infecting harmful bacteria such as Salmonella, Sicco, Escherichia coli and the like which are harmful to humans. While these rats are small in size and easy to penetrate into residential spaces, they are difficult to capture due to agile behavior.

그로 인해, 쥐와 같은 몸집이 작은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일반적인 포획방법은 쥐의 이동경로 상에 쥐덫을 놓은 후, 독이든 음식물로 유인하는 방법이 주로 채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쥐덫을 이용하여 쥐를 포획하더라도 포획된 쥐를 살상한 후 수거 및 폐기 처분해야 함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포획된 쥐로 인해 미관상 문제점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0223호에는 '쥐포획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공보는 포획통을 밀폐시켜 쥐를 질식시켜 살처리할 수 있는 쥐포획장치를 개시한다. 하우징, 포획통, 밀폐캡을 포함하여 포획통에 쥐가 유입되면 상기 밀폐 캡이 상기 포획통을 폐쇄시켜 상기 쥐를 질식시켜 살처리할 수 있다.
As a result, various methods are proposed for capturing small pet animals such as rats. Among them, a general trapping method is mainly adopted in which a mousetrap is placed on a route of movement of a rat, and then a poison or a food is attracted. However, even if capturing a mouse using such a mousetrap, it is troublesome to collect and dispose of the captured mouse after it is killed. In addition,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a malodorous problem as well as a malodorous problem arise due to the captured mice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0223, a 'mouse punching device' is disclosed. The patent publication discloses a rat capsule device capable of sucking and choking a rat by sealing a catcher. When a rat is introduced into the trapping cylinder including the housing, the trapping cylinder, and the sealed cap, the sealing cap closes the trapping cylinder to choke and treat the r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해동물을 포획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위생적인 후처리가 가능한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which is capable of performing post-treatment in a sanitary manner while improving the capturing rate of harmful anima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포획장치는, 유해동물이 출입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몸체유닛 및 상기 몸체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포획유닛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unit provided with an entrance through which a noxious animal can enter and exit; and a detachable attachment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Includes capture units to capture.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포획유닛의 설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포획유닛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body unit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installation of the capturing unit and a cover member for covering the capturing unit.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포획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유인공간을 구비하는 포획몸체, 상기 포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유해동물의 유인 여부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로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ing unit includes a capturing body having a captur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entrance, the capturing body having a captive spac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pturing opening,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door by a center-of-gravit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인된 상기 유해동물이 놓여지는 지지체 및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1연결단과, 상기 제1연결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연결단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의 회전시 상기 도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 supporting body o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nd installed inside the capturing body, and a supporting body o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ody so as to be eccentric to the door side, And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end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e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oor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door upon rota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체는 제1연결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진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has a plate shape rotatable about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oor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rmful animal is attracted.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획몸체의 상단 내부면에는 상기 제2연결단의 이동범위를 간섭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inner surface of the captive body is form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connection end.

일측에 의하면, 상기 도어는 상기 포획구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the capturing body with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capturing opening.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유닛 및 포획유닛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유닛에 대해 포획유닛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 고정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body unit and the capturing unit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capturing unit is fixed to the body unit so as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동물 포획장치는, 유해동물이 출입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몸체유닛 및 상기 몸체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해동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동작되는 도어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having an entrance through which a noxious animal can enter and leave, and a body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dy unit, And a door that is operat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oorway.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포획유닛의 설치를 지지하며, 상기 포획유닛을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포획유닛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body unit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installation of the capturing unit, a support member having a latching jaw that selectively fixes the capturing unit, and a cover member that covers the capturing unit.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포획구를 구비하되 적어도 일부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유인공간을 구비하는 포획몸체, 상기 포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해동물의 유인 여부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와의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ing unit includes a capturing body having a captur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entrance, at least a part of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s an attracting spac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is rotatabl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door and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d operates the door by selectively releasing the engagement with the door by being rotated by a change in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whether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or not.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인된 상기 유해동물이 놓여지는 지지체 및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1연결단과, 상기 제1연결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연결단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의 회전시 상기 도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 supporting body o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nd installed inside the capturing body, and a supporting body o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ody so as to be eccentric to the door side, And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end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e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oor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door upon rota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체는 제1연결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진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has a plate shape rotatable about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oor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rmful animal is attracted.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획몸체의 상단 내부면에는 상기 제2연결단의 이동범위를 간섭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inner surface of the captive body is form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connection end.

일측에 의하면, 상기 도어는 상기 포획구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인된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포획몸체의 외부로 이탈됨을 차단시킨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has a larger area than the trapping port and is rotatable within the trapping body, thereby blocking the detention of the attracted animal to the outside of the trapping body.

일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유닛 및 포획유닛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body unit and the capturing unit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entrance is formed as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유해동물이 포획된 포획유닛만을 몸체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함에 따른, 위생적인 후처리가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irs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anitary post-treatment by separating and capturing only the capturing unit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captured from the body unit.

둘째, 유해동물의 무게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로 도어를 동작시킴에 따른, 간단 구성으로 포획 정확성과 함께 포획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Secon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capturing accuracy as well as capturing rat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by operating the door by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noxious animal.

셋째, 포획유닛의 내부에서만 도어가 동작됨에 따른 유해동물이 포획된 상태로부터 이탈됨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hird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xious anim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ptured stat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only within the capturing unit.

넷째, 몸체유닛의 일부가 투명재질로 형성됨에 따른 육안 식별이 용이해져, 유해동물의 처리 또한 용이해진다.
Fourth, since a part of the body un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visual recognition is facilitated, and treatment of harmful animals is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장치로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유해동물이 포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유해동물이 포획된 포획유닛이 몸체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aptor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install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rmful animal is attracted to the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xious animal is captured in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shown in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turing unit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captured is separated from the body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해동물 포획장치(1)는 몸체유닛(10) 및 포획유닛(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pest-cap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10 and a capturing unit 20.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1)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몸집이 작은 쥐를 포함한 유해동물(M)을 포획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해동물 포획장치(1)가 쥐 뿐만 아니라 인간의 주거공간으로 침입 가능한 다양한 유해동물(M)를 포획 가능함은 당연하다.
For reference, the apparatus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1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capturing a harmful animal (M) including a small-sized mouse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the pest capture device 1 can capture various harmful animals (M) capable of invading into a human residential space as well as a mouse.

상기 몸체유닛(10)은 유해동물(M)이 출입 가능한 출입구(11)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유닛(1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지지부재(12) 및 커버부재(13)를 포함한다. The body unit 1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11 through which the noxious animal M can enter and exit. The body unit 10 includes a support member 12 and a cover member 13 as shown in Fig.

상기 지지부재(12)는 후술할 포획유닛(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2)는 유해동물 포획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에 대해 포획유닛(20)이 자세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12)에 출입구(11)가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2)는 유해동물 포획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에 자세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14)를 구비하며, 거치대(14)에 지지부재(12)가 놓여진 상태로 포획유닛(20)의 설치를 가이드한다. The support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capturing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member 12 supports the capturing unit 20 so that it is positively fixed to the place where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1 is installed. An entrance (11)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12). The supporting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cradle 14 for holding the cradle 14 at the place where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1 is installed and the cradle 14 is provided with the supporting member 12, 20).

상기 커버부재(13)는 지지부재(12)에 설치된 포획유닛(20)을 커버하여 보호한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부재(13)에는 유해동물 포획장치(1)의 전기적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ver member (13) covers and protects the capturing unit (20) provided on the supporting member (12).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cover member 13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control of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1, which is not a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포획유닛(20)은 몸체유닛(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내부에 유해동물(M)을 포획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포획유닛(20)은 포획몸체(30), 도어(40) 및 개폐부(50)를 포함한다. The capturing unit 20 is detachably installed to the body unit 10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11 to capture the noxious animal M therein. To this end, the capture unit 20 includes a capture body 30, a door 40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50.

상기 포획몸체(30)는 출입구(11)와 연통하는 포획구(31)를 구비하며 내부에 유해동물(M)이 유인되는 유인공간(3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획몸체(30)가 내부에 유인공간(32)을 구비하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포획몸체(30)는 유해동물(M)의 포획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일부가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아울러, 포획된 유해동물(M)을 기준으로, 상기 포획몸체(30)의 하부는 불투명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부폐된 유해동물(M)의 노출로 인한 불쾌감을 최소화함이 좋다. The catching body 30 has a catching hole 31 communicating with the entrance 11 and has a catching space 32 in which the harmful animal M is attracted. In this embodiment, the trapping body 30 has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attracted space 32 ther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pturing body 30 may be partial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apturing of the noxious animal M can easily be visual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captive body 3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on the basis of the captured noxious animal M, thereby minimizing discomfort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deteriorated noxious animal M.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유닛(10) 또한, 포획몸체(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아울러, 상기 출입구(11)는 몸체유닛(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포획구(31)도 출입구(11)에 대응하여 포획몸체(3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유닛(10) 및 포획몸체(30)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지거나, 출입구(11)와 포획구(31)의 개수도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다양하게 가변 가능함은 당연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unit 10 is also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pturing body 30. The entrances 11 ar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nd the catching ports 31 are also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ching body 3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dy unit 10 and the capturing body 3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the number of the entrance 11 and the capturing hole 31 may be one or more than three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variously varied.

또한, 상기 포획몸체(30)는 몸체유닛(1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포획몸체(30)는 지지부재(12)의 양측단부에 마련된 걸림턱(15)에 걸림 고정된 상태이나, 분리시에는 걸림턱(15)과의 걸림 고정력이 해제되어 분리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apturing body 30 is selectively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10. For this purpose, the catching body 30 is fastened to the catching jaws 15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support member 12, but when detached, the catching force with the catching jaws 15 is released and can be separated .

상기 도어(40)는 포획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도어(4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한 쌍의 포획구(31)에 대해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도어(40)는 포획구(31)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고 포획몸체(3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포획구(31)를 통해 포획몸체(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포획몸체(30)의 내부에서만 작동된다. 이러한 도어(40)의 작동동작은 개폐부(50)의 설명과 함께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The door (4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trapping port (31). The door (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be provided to each of the pair of catches (31). At this time, the door 40 has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rapping hole 31 and is installed inside the trapping body 30, so that the door 40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trapping body 30 through the trapping hole 31 And is operated only inside the capturing body 30. The operation of the door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50.

상기 개폐부(50)는 유해동물(M)의 유인 여부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로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50)는 지지체(51) 및 연결체(52)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개폐부(50)는 도어(40)가 포획구(31)의 개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됨에 따라, 개폐부(50) 또한, 도어(40)의 개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 The opening / closing part 50 selectively opens / closes the door 40 by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whether the harmful animal M is attracted or not. To this end, the opening / closing part 50 includes a support body 51 and a connecting body 52.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provided with a pair of doors 4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atches 31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also provid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oors 40. [ do.

상기 지지체(51)는 포획몸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인된 유해동물(M)이 놓여진다. 이때, 상기 지지체(5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유해동물(M)이 유인되는 방향(D)을 기준으로 도어(40)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The support body (51) is installed inside the capturing body (30), and the attracted harmful animal (M) is placed thereon. 3 and 4, the support body 51 has a plate shape. The support body 51 has a thickness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door 40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D in which the noxious animal M is attracted Shape.

상기 연결체(52)는 유해동물(M)이 유인되는 방향(D)을 기준으로 도어(40) 측으로 편심되도록 지지체(51)와 연결되어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1연결단(53)과, 제1연결단(53)으로부터 연장되어 도어(4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연결단(54)을 구비한다. The connecting body 52 includes a first connecting end 53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ody 51 so as to be eccentric to the door 40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D in which the harmful animal M is drawn, And a second connecting end 54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end 53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oor 40.

이러한 지지체(51)와 연결체(52) 사이의 연결에 의해,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유해동물(M)이 포획구(31)를 통해 유인되면 지지체(51)가 제1연결단(5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지지체(51)의 회전에 연동하여 도어(40)와 제2연결단(54)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도어(4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51)의 두께가 유인방향(D)을 기준으로 도어(40)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지지체(51)의 회전이 보다 가이드된다. 4 and 5, when the noxious animal M is attracted through the trapping port 31, the support body 5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he door 40 is rotated about the step 53 and the engagement between the door 40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54 is releas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body 51 so that the door 40 is operated. At this time, sinc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body 51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oor 40 with respect to the attraction direction D,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ody 51 is more guided.

한편, 상기 포획몸체(30)의 상단 내부면에는 제2연결단(54)이 포획구(31) 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간섭하는 스토퍼(3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3)의 돌출 위치는 도어(40)와 제2연결단(54)이 상호 맞물린 위치에 대응된다. A stopper 33, which interferes with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end 54 is moved toward the trapping port 31, is protruded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trapping body 30.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stopper 33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door 40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5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참고로, 상기 포획몸체(30)는 도어(40)에 의해 포획구(3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유해동물(M)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다. The catching body 30 is sealed to prevent the detention of the harmful animal M in a state where the catching hole 31 is closed by the door 40.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포획장치(1)의 포획동작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capturing operation of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우선,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몸체유닛(10)의 출입구(11)와 포획유닛(20)의 포획구(31)가 상호 연통되어 개방된 상태로 유해동물(M)의 출몰 지역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14)에 지지부재(12)가 거치된 상태로 포획유닛(20)이 지지부재(12)에 설치되면, 커버부재(13)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상기 포획유닛(20)의 도어(40)와 연결체(52)의 제2연결단(54)이 맞물린 상태임에 따라, 출입구(11) 및 포획구(31)는 상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3, the entrance 11 of the body unit 10 and the capturing opening 31 of the capturing unit 20 are open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o. At this time, if the capturing unit 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2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member 12 is mounted on the cradle 14, the capturing unit 20 is covered by the cover member 13. The door 11 of the capturing unit 20 and the captive opening 31 are in a state of being open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door 40 of the capturing unit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54 of the connecting body 5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이 후,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유해동물(M)이 몸체유닛(10)의 출입구(11)와 포획몸체(30)의 포획구(31)를 차례로 통과하여 포획몸체(30)의 유인공간(32)으로 유인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체(51)가 유해동물(M)의 무게의 의해 연결체(52)의 제1연결단(5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연결체(52)의 제2연결단(54)과 도어(40)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51)가 편심되게 연결체(52)와 연결됨과 아울러, 지지체(51)의 두께가 유인방향(D)을 기준으로 도어(40)를 향해 점차 두꺼운 형상을 가짐에 따라 지지체(51)의 회전이 보다 가이드된다. 4, the noxious animal M passes through the entrance 11 of the body unit 10 and the capturing hole 31 of the capturing body 30 in order, And is attracted to the space 32. The support 51 is rotated around the first connection end 53 of the connection member 52 by the weight of the harmful animal M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end 54 of the connection member 52 is rotated, And the door 40 is released.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ing body 51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52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body 51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door 40 with respect to the attracting direction D, 51 are more guided.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도어(40)는 회전되어 포획구(31)를 폐쇄시키며, 유해동물(M)이 계속 진입하여 이웃하는 타 지지체(51)도 간섭함에 따라 타 지지체(51)의 회전에 의해 타 제2연결단(54)과 도어(40)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포획몸체(30)에 마련된 한 쌍의 포획구(31)가 모두 폐쇄된다. 이로써, 상기 포획몸체(30)의 내부에 유해동물(M)이 포획된 상태로 밀폐되어 유해동물(M)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도어(40)는 포획구(31)보다 큰 면적을 가짐에 따라 내부에서 외부로 열리지 않는다. 5, the door 40 is rotated to close the trapping port 31. When the noxious animal M continues to enter and interferes with the neighboring other support bodies 51,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end 54 and the door 40 is released by the rotation so that all of the pair of catching openings 31 provided in the catching body 30 are closed. Thus, the noxious animal (M) is trapped in the captured body (30) in the state of being trapped, and the detachment of the noxious animal (M) is prevented. At this time, since the door 40 has a larger area than the trapping port 31, the door 40 is not open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유해동물(M)이 포획된 포획몸체(30)는 몸체유닛(10)의 지지부재(12)에 마련된 걸림턱(15)을 벗어나 분리됨으로써, 포획몸체(30)의 제거를 통해 용이하게 후처리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유해동물(M)이 포획된 포획몸체(30)는 제거되고, 새로운 포획몸체(30)가 몸체유닛(10)에 장착될 수 있다.
6, the capturing body 30 in which the noxious animal M is trapped is separated from the catching jaw 15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12 of the body unit 10,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For reference, the capturing body 30 in which the harmful animal M is captured is removed, and a new capturing body 30 can be mounted on the body unit 1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유해동물 포획장치 10: 몸체유닛
11: 출입구 12: 지지부재
13: 커버부재 14: 거치대
15: 걸림턱 20: 포획유닛
30: 포획몸체 31: 포획구
32: 유인공간 33: 스토퍼
40: 도어 50: 개폐부
51: 지지체 52: 연결체
1: Harmful animal capturing device 10: Body unit
11: entrance 12: support member
13: cover member 14: cradle
15: catching jaw 20: catching unit
30: capture body 31: capture port
32: manned space 33: stopper
40: Door 50:
51: support body 52:

Claims (16)

유해동물이 출입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상기 몸체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포획유닛의 설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몸체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포획유닛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포획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유인공간을 구비하는 포획몸체;
상기 포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유해동물의 유인 여부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로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A body unit provided with an entrance through which a harmful animal can enter;
A capturing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dy unit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to capture the noxious animal;
A support member included in the body unit and supporting the installation of the capturing unit; And
A cover member included in the body unit and covering the capturing unit;
Lt; / RTI >
The capturing unit includes:
A catching body having a captur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entrance and having an attracting spac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trapping port;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a center of gravity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harmful animal is attracted or not;
Wherein the poultry captur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인된 상기 유해동물이 놓여지는 지지체; 및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1연결단과, 상기 제1연결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연결단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의 회전시 상기 도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연결체;
를 포함하고,
상기 포획몸체의 상단 내부면에는 상기 제2연결단의 이동범위를 간섭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
A support body installed inside the captive body and on which the attracted noxious animal is placed; And
A first connecting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ody so as to be eccentric to the door side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nd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end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end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oor,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end, the connecting member being disengaged from the door upon rota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Lt; / RTI >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catching body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connecting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제1연결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has a plate shape rotatable about the first connecting e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gradually becoming thicker toward the door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harmful animal is attra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연결단이 상호 맞물린 위치에 형성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oor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are mut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유해동물 포획장치가 설치되는 자세를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holder for holding a postur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device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포획구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the capturing body with an area larger than an area of the capturing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유닛 및 포획유닛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유닛에 대해 포획유닛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 고정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unit and the capturing unit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erein the capturing unit is selectively detachably fastened to the body unit.
유해동물이 출입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해동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동작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포획유닛;
상기 몸체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포획유닛의 설치를 지지하며 상기 포획유닛을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포획유닛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포획구를 구비하되 적어도 일부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유인공간을 구비하는 포획몸체;
상기 포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해동물의 유인여부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와의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A body unit provided with an entrance through which a harmful animal can enter;
A capturing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unit and having a door operat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entrance by the weight of the noxious animal to capture the noxious animal;
A supporting member that is included in the body unit and supports the installation of the capturing unit and has a latching jaw that selectively fixes the capturing unit; And
A cover member covering the capturing unit;
Lt; / RTI >
The capturing unit includes:
A capturing body having a captur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entrance, at least a part of the capturing body being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n attracting spac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The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trapping port;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door and operated to rotate the door according to a change in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whether the harmful animal is attracted or not and to selectively engage with the door;
Wherein the poultry capturing device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인된 상기 유해동물이 놓여지는 지지체; 및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1연결단과, 상기 제1연결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연결단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의 회전시 상기 도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연결체;
를 포함하고,
상기 포획몸체의 상단 내부면에는 상기 제2연결단의 이동범위를 간섭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ning /
A support body installed inside the captive body and on which the attracted noxious animal is placed; And
A first connecting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ody so as to be eccentric to the door side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noxious animal is attracted and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end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ng end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oor,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end, the connecting member being disengaged from the door upon rota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Lt; / RTI >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catching body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connecting e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제1연결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유해동물이 유인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향해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has a plate shape rotatable about the first connecting e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gradually becoming thicker toward the door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harmful animal is attrac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연결단이 상호 맞물린 위치에 형성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oor and the second connecting end are mut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유해동물 포획장치가 설치되는 자세를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holder for holding a posture in which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device is install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포획구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포획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인된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포획몸체의 외부로 이탈됨을 차단시키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oor has an area larger than an area of the trapping port and is rotatable in the trapping body so as to block the detention of the attracted harmful animal to the outside of the trapping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유닛 및 포획유닛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ody unit and the capturing unit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erein the entrances are formed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34398A 2013-03-29 2013-03-29 Trap apparatus for mouse KR1014718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98A KR101471878B1 (en) 2013-03-29 2013-03-29 Trap apparatus for m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98A KR101471878B1 (en) 2013-03-29 2013-03-29 Trap apparatus for m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22A KR20140119922A (en) 2014-10-13
KR101471878B1 true KR101471878B1 (en) 2014-12-12

Family

ID=5199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398A KR101471878B1 (en) 2013-03-29 2013-03-29 Trap apparatus for m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87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794Y1 (en) * 1982-03-25 1985-08-23 마사도시 마쓰우라 Mouse trap
JP3007482U (en) 1994-08-04 1995-02-14 松浦産業株式会社 Beast trap
KR20120090223A (en) * 2011-02-07 2012-08-17 주식회사 세스코 Apparatus for rodent t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794Y1 (en) * 1982-03-25 1985-08-23 마사도시 마쓰우라 Mouse trap
JP3007482U (en) 1994-08-04 1995-02-14 松浦産業株式会社 Beast trap
KR20120090223A (en) * 2011-02-07 2012-08-17 주식회사 세스코 Apparatus for rodent 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22A (en)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289B2 (en) Single use hermetically sealing enclosure-type mousetrap with killing mechanism
US20060156615A1 (en) Snap trap enclosure for trapping and killing rodents
US20060156617A1 (en) Snap trap enclosure for trapping and killing rodents
JP2010523110A (en) Pest control device
KR101148281B1 (en) Vacuum packing rodent trap and rodent capturing method using the same
US4363184A (en) Disposable rodent trap
US20230042831A1 (en) Intelligent rodent management system
KR101312678B1 (en) Apparatus for rodent trap
WO2015129976A1 (en) Harmful organism elimination trap having handle
KR101071876B1 (en) Gate device of animal trap
US10159241B2 (en) Animal trap
KR20150056538A (en) Raccoon trapping module, and raccoon trapping device
WO2016055804A1 (en) Animal-trapping device
KR101471875B1 (en) Trap apparatus for mouse
KR101471878B1 (en) Trap apparatus for mouse
KR100703240B1 (en) Live animal trap
KR20060116506A (en) A animal catch apparatus
KR200421240Y1 (en) capture apparatus of cockroach
US20050178047A1 (en) Rodent trap
KR20120090222A (en) Apparatus for rodent trap
US6671998B1 (en) Rodent removal device
KR100692628B1 (en) Capturing device for birds
KR200416317Y1 (en) Device that catch insect
KR200355930Y1 (en) Cat capture device
KR101471877B1 (en) Closing and opening apparatus for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