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871B1 -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871B1
KR101471871B1 KR20130128234A KR20130128234A KR101471871B1 KR 101471871 B1 KR101471871 B1 KR 101471871B1 KR 20130128234 A KR20130128234 A KR 20130128234A KR 20130128234 A KR20130128234 A KR 20130128234A KR 101471871 B1 KR101471871 B1 KR 10147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measurement
generating
indexing
eval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2013012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혹은 평가된 지수를 통해 구체화된 행동수칙을 정한 관리지수를 구현하고, 수행된 환경 개선활동을 통해 개선 후 평가지표를 도입하여 보다 체계적인 환경개선을 구현할 수 있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은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해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지수 생성하는 단계에 결정된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Environmental improvement unit through index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혹은 평가된 지수를 통해 구체화된 행동수칙을 정한 관리지수를 구현하고, 수행된 환경 개선활동을 통해 개선 후 평가지표를 도입하여 보다 체계적인 환경개선을 구현할 수 있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환경개선 활동은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질의 개선, 청결, 해충의 방제, 무익한 미생물의 제거 혹은 유익한 미생물의 생성/육성 등을 포함한 인류가 존재하는 공간을 개선하는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며, 생활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는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론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일 예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하게 되는 실내의 공기질을 예로 들면, 종래 창을 통해서는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열고 닫는 동작을 통해서만 실내 공기가 단순히 환기되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히 재실자가 없거나 야간 취침시 방범을 위해 창을 완전히 닫아 밀폐하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의 환기 또는 제거가 불가능하게 되고, 각종 오염물질은 그대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어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종래에도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방안으로 공기 청정기가 일부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그 기능상 실내 공기질의 개선에는 자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또, 수치를 가늠케 하는 측정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량을 재실자가 수치로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효율적인 공기질 개선 관리가 불가능 하였으며, 다른 방제나 청결 등과 연계되어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도 않고 있는 등 감각에 의존한 부분적인 공기질 개선 정도가 수행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장기간 틀 경우 음이온(약 75%)과 더불어 방출되는 오존량(25%)이 계속 증가하여 재실자는 오히려 과다 공급되는 유기화합물 등을 흡입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산업의 발달과, 문화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생활의 윤택으로 인해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하고도 중요한 요소인 점은 누구나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는 차량, 산업시설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수 많은 공해 물질과 석유, 화학 관련 재료로 만들어진 건축자재, 가구, 전자 등의 생활 용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갈수록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게 되고, 그 생성된 오염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는 이상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는 것이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로는 아주 작은 물질을 포함하여 약 250여종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주택과 관련하여 보면,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여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있고, 또 인간의 활동에서 보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발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 의 미생물성 물질(다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위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각종 악 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약1-5년 정도면 실내의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로 자연 소멸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공중위생관리법과 건축법에서 제시한 기준농도(CO2를 기준으로 1000ppm 이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의 공기질 개선이 문제로 되는 것이며,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들은 없앨 수가 없는 것이며, 이는 생태적, 환경적 차원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물질들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인간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은 그 적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시 재실자의 유무나 창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기질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인간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우리의 주택 구조상 실내 공기가 자연 순환되도록 적정 설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유해 공기의 자연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국 재실자는 호흡을 통해 적정 산소량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흡입하게 되므로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뇌 운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주택 건설 업계에서는 주택과 관련하여 그 동안 특별히 공기질을 개선할 방법을 찾지 못하였고, 근래에 들어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급기야, "실내공기질관리법"이 2004.06부터 시행되도록 법제화되면서 지하역사, 지하상가, 여객터미널, 도서관, 종합병원 등 다중 이용시설물과 신축되는 공동주택으로 확대되어 신축공동주택의 경우 공기질을 주민 입주전에 측정하여 공고하도록 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 종래 각종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살균, 탈취, 공기 청정 기능들을 갖는 각종 제품들의 경우 센서에 의해 단순히 감지만 할 뿐 감지된 공기질을 수치로 체크하여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실내 공기질의 정도를 재실자가 눈으로 직접 보고 느낄 수 없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실내 공기질의 효율적인 관리가 불 가능하다는 것이다.
환경개선의 다른 측면인 해충 방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이나 바퀴벌레나 쥐 등의 보행해충은 산업이 발달하면서 그 개체의 수가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내성을 키워서 기존 약제나 방제장치로는 박멸이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여름철의 각종 해충(모기, 날파리, 하루살이, 곤충 등)들은 병균을 옮기거나 사람 또는 가축 및 식물에까지 피해를 입히는 등 여름철 질병의 전염 경로상에 있는 해충이며 또 한편 농작물과 가축 등 동식물에 많은 피해를 가중시켜 산림자원의 황폐화와 농작물의 감소 및 축산가의 생산성을 떨어트리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아파트, 건축물 등의 지하실, 분뇨탱크에서는 겨울철에도 소정온도가 유지됨에 따라 모기 등 해충 서식 기온의 유지로 많은 모기들이 겨울철에도 생존 서식하면서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은 숙주동물의 체취, 열기 및 호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냄새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해충박멸기로서 고안된 구성들은 통상적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방법인 향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서식처를 제공하고 이 서식처에 서식하는 미꾸라지 등의 먹이사슬로서 방제하는 생물학적 방제법과, 이산화 탄소 또는 빛 등을 발산하여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발명하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제법들은 넓은 야외에서는 상기한 물리적 방제법을 이용한 해충 퇴치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화학적 방법은 독성에 따른 환경오염 및 인체에 끼치는 악영향이 더 많은 단점이 있고 생물학적인 방법은 제한적인 방법으로 사용범위가 극히 한정되는 단점 및 고전압을 이용하여 해충을 태우는 경우에는 박멸 과정에서 소음과 고전압으로 타면서 발생되는 악취 발생에 따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방제 환경이나 환경 내 구역에 맞는 방제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또한 공기질 개선 등 다른 환경 개선 요구사항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여 방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종합적인 환경 개선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센서값이나 평가치에 대한 지수부터 시작하여 종합적인 개선 작업을 위한 방법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나 평가에 의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환경개선을 위한 행동 플랜을 제공할 수 있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 객관화된 자료의 제시를 통해 보다 완전한 환경 개선 및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환경개선 활동을 수행한 것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받아서 미흡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환경 진단작업부터 개선 작업 및 그 평가에 이르기까지 수치화된 객관적인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환경개선 작업자에게 지침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납득할 수 있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은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해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지수 생성하는 단계에 결정된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 의한 평가된 결과에 의하여 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질은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해충의 포획수는 일정 공간 안에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 또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보행해충이 포획되는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측정지수가 생성되며, 상기 관리지수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측정지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행동플랜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는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부,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상기 지수화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부 및 상기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쾌적지수부에 의한 평가된 결과에 의하여 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측정지수부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지수부에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지수부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질은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지수부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해충의 포획수는 일정 공간 안에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 또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보행해충이 포획되는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지수부에서 복수개의 측정지수가 생성되며, 상기 관리지수부에서 상기 복수의 측정지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행동플랜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센서나 평가에 의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환경개선을 위한 행동 플랜을 제공하여 환경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 객관화된 자료의 제시를 통해 보다 완전한 환경 개선 및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개선 활동을 수행한 것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받아서 미흡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수화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진단작업부터 개선 작업 및 그 평가에 이르기까지 수치화된 객관적인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환경개선 작업자에게 지침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납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나 평가에 의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환경개선을 위한 행동 플랜을 제공하여 환경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 객관화된 자료의 제시를 통해 보다 완전한 환경 개선 및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개선 활동을 수행한 것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받아서 미흡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수화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진단작업부터 개선 작업 및 그 평가에 이르기까지 수치화된 객관적인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환경개선 작업자에게 지침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납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적용하는 공간을 간략하게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플랜 매트릭스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4의 측정지수 및 행동플랜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는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부(10),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상기 지수화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부(20) 및 상기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쾌적지수부(30)에 의한 평가된 결과에 의하여 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측정지수부(10)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지수부(20)에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지수부(10)는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측정 또는 평가에 의해 측정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지수부(10)에서는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질은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지수부(10)에서는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충의 포획수는 일정 공간 안에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 또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보행해충이 포획되는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측정지수부(10)는 복수의 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측정지수부(10)에서 복수개의 측정지수가 생성되며, 관리지수부(20)에서 복수의 측정지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행동플랜을 갖는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간별로 측정지수에 대한 기준은 공간별로 동기화 되며, 각각의 공간별 기준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결도를 높게 요구하는 공간의 경우 측정지수가 높게 설정되며, 청결도를 낮게 요구하는 공간의 경우 측정지수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별 측정지수는 각각의 공간별에 대한 목적 또는 조건에 따라 동기화될 수 있다.
관리지수부(20)는 측정지수부(10)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통해 지수화를 수행하며, 지수화에 따른 측정지수별 행동 플랜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측정지수에 따른 행동 플랜 매트릭스를 형성하며, 매트릭스에 따른 행동 플랜을 정의하고, 행동 플랜에 따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지수는 2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상의 복수개가 측정지수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지수에 따른 다양한 행동 플랜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행동 플랜은 공간별 목적 또는 조건에 따라 복수의 행동 플랜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지수은 공간 내 공기질을 저해하는 요소인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성 물질,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미생물성 물질 또는 유해물질 등으로 구성되거나, 공간 내 해충 포획수를 나타내는 요소인 비래해충, 보행해충, 모기, 파리, 하루살이, 바퀴벌레, 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행동 플랜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행동플랜, 해충을 포획하는 행동플랜, 공기질의 허용기준치에 이하로 낮추는 행동플랜 또는 해충박멸기을 통한 해충 퇴치 행동플랜 등 다양한 행동 플랜이 구성될 수 있다.
쾌적지수부(30)는 관리지수부(20)에서 정의한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 개선 활동을 등급 또는 지수로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쾌적지수부(30)는 공간 내에 측정지수에 따른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하며, 수행된 후 공간 내의 환경 개선 활동을 따른 결과를 등급 또는 지수로 평가하는 구성을 수행하며, 평가에 따른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쾌적지수부(30)는 평가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며, 피드백이 되는 평가 기준은 각각의 공간별 목적 또는 조건에 따라 다른 평가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쾌적지수부(30)에서 평가된 결과에 의해 피드백이 결정되면, 측정지수부(10)에서 센서 또는 평가자에 의해 재측정이 이루어 지며, 측정된 결과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지수부(20)에서 다시 지수화 및 지수화에 따른 행동 플랜을 재정의하여, 행동 플랜에 따라 환경 개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쾌적지수부(30)에서 재평가를 수행하고, 평가에 따라 다시 피드백을 수행하거나 환경 개선 수행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2 내지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을 적용하는 공간을 간략하게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플랜 매트릭스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도4의 측정지수 및 행동플랜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5를 참고하면,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은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해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Pn)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관리지수 생성하는 단계에 결정된 행동 플랜(Pn)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 의한 평가된 결과에 의하여 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서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에는 4개의 공간(R1,R2,R3,R4)을 형성하는 구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공간(R1,R2,R3,R4)은 서로 다른 목적 또는 조건에 의해 다른 청결도를 요구하며, 청결도를 유지하기 위해 지수화에 따른 환경 개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역은 제1~4공간(R1,R2,R3,R4)을 형성하며, 제1공간(R1)은 최상의 청결도를 요구하며, 제4공간(R4)으로 갈수록 점점 청결도가 떨어지며, 제4공간(R4)은 최하의 청결도를 요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는 제1~4공간(R1,R2,R3,R4)에 각각 센서 또는 평가자가 구비되며, 각각의 공간(R1,R2,R3,R4)은 센서 또는 평가자에 의해 측정되어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R1,R2,R3,R4)은 서로 다른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간(R1,R2,R3,R4)을 서로 다른 기준치에 의해 측정 데이터가 독립적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간, 제2공간, 제3공간 또는 제4공간(R1,R2,R3,R4)에서 여러 구역으로 세분화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할 수 있으며, 세분화된 구역에 대해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는 지수화를 통해 측정지수(an,bn)를 나타내며, 측정지수(an,bn)는 측정대상에 따라 복수 개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에서는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공기질을 측정 또는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공기질은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충의 포획수는 일정 공간(R1,R2,R3,R4) 안에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 또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보행해충이 포획되는 횟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에서는 복수개의 측정 데이터가 생성되며, 상기 관리지수 단계에서 복수의 측정 데이터를 지수화하며, 상기 지수화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행동 플랜(Pn)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서는 전 단계인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수화를 수행하며, 지수화에 따른 행동 플랜(Pn)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공간 내지 제4공간(R1,R2,R3,R4)에서 각각의 공간(R1,R2,R3,R4)에 센서 또는 평가자에 의해 측정 데이터가 생성되며, 측정 데이터를 통해 지수화를 하여 측정지수(an,bn)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정의된 측정지수(an,bn)는 각각의 공간(R1,R2,R3,R4) 내에 환경을 오염시키는 인자들에 따라, 복수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정의된 측정지수(an,bn)에 따라 행동 플랜(Pn)을 정의하는데, 이를 매트릭스 형태로 작성하며, 공간(R1,R2,R3,R4)상의 각각 다른 측정지수(an,bn)별 다른 행동 플랜(Pn)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매트릭스에 의해 정의된 행동 플랜(Pn)에 의해 관리지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지수(an,bn)은 공간 내 공기질을 저해하는 요소인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성 물질,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미생물성 물질 또는 유해물질 등으로 구성되거나, 공간 내 해충 포획수를 나타내는 요소인 비래해충, 보행해충, 모기, 파리, 하루살이, 바퀴벌레, 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행동 플랜(Pn)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행동플랜, 해충을 포획하는 행동플랜, 공기질의 허용기준치에 이하로 낮추는 행동플랜 또는 해충박멸기을 통한 해충 퇴치 행동플랜 등 다양한 행동 플랜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공간(R1,R2,R3,R4)의 목적 또는 조건에 따라 청결도의 기준이 각각 다르며, 이에 따라 측정지수(an,bn)를 정의하는 기준 역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R1,R2,R3,R4)에 같은 측정지수(an,bn)가 정의되더라도 다른 행동 플랜이 적용될 수 있다.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는 전 단계인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서 정의된 행동 플랜(Pn)을 각각의 공간(R1,R2,R3,R4)에 적용한 후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며, 행동 플랜(Pn)을 평가하여 등급 또는 지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서는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평가 지표를 구성하며, 지표에 따라 각각의 공간(R1,R2,R3,R4) 상에 환경 개선이 미흡하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을 수행할 경우, 측정지수(an,bn)를 생성하는 단계(S10)에서 센서 또는 평가자에 의해 재측정을 수행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통행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서 재지수화를 하여 새로운 행동 플랜(Pn)을 정의하여 환경 개선이 미흡한 공간에 다시 행동 플랜(Pn)을 수행하고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20)에서 재평가를 수행하여 쾌적지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센서나 평가에 의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환경개선을 위한 행동 플랜을 제공하여 환경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 객관화된 자료의 제시를 통해 보다 완전한 환경 개선 및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개선 활동을 수행한 것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받아서 미흡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수화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진단작업부터 개선 작업 및 그 평가에 이르기까지 수치화된 객관적인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환경개선 작업자에게 지침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납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측정지수부
20: 관리지수부
30: 쾌적지수부
S10: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S20: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S30: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Claims (14)

  1.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해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지수 생성하는 단계에 결정된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쾌적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 의한 평가된 결과에 의하여 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은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의 포획수는 일정 공간 안에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 또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보행해충이 포획되는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수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측정 데이터가 생성되며, 상기 관리지수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측정데이터를 지수화하며, 상기 지수화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행동플랜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방법.
  8.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나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구현된 측정 데이터로 구성된 측정지수부;
    상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지수화를 수행하며, 이에 상기 지수화에 따른 구체적 행동 플랜을 정의하는 관리지수부; 및
    상기 행동 플랜에 따라 수행된 환경개선 활동을 등급 혹은 지수로 평가하는 쾌적지수부;
    를 포함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쾌적지수부에 의한 평가된 결과에 의하여 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측정지수부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지수부에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수부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은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수부에서 센서 혹은 평가자에 의해 해충의 포획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의 포획수는 일정 공간 안에서 모기, 파리 등과 같은 비래해충 또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보행해충이 포획되는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수부에서 복수개의 측정 데이터가 생성되며, 상기 관리지수부에서 상기 복수의 측정데이터를 지수화하며, 상기 지수화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행동플랜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KR20130128234A 2013-10-28 2013-10-28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234A KR101471871B1 (ko) 2013-10-28 2013-10-28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234A KR101471871B1 (ko) 2013-10-28 2013-10-28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871B1 true KR101471871B1 (ko) 2014-12-12

Family

ID=5267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8234A KR101471871B1 (ko) 2013-10-28 2013-10-28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904A (ko) * 2014-12-29 2016-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객차간 연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6033A1 (en) 2000-09-25 2002-04-04 Dow Agrosciences Llc Sen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articularly for pest control
KR100772989B1 (ko) 2006-09-29 2007-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오염 관리 방법 및시스템
KR20090061368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방제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90061367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세스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6033A1 (en) 2000-09-25 2002-04-04 Dow Agrosciences Llc Sen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articularly for pest control
KR100772989B1 (ko) 2006-09-29 2007-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오염 관리 방법 및시스템
KR20090061368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방제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90061367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세스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904A (ko) * 2014-12-29 2016-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객차간 연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399B1 (ko) 2014-12-29 2016-08-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객차간 연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78B1 (ko) 지수화를 통한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7696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oper et al. Accuracy of trained canines for detecting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Okumu et al. A modified experimental hut design for studying responses of disease-transmitting mosquitoes to indoor interventions: the Ifakara experimental huts
Kader et al. Indoor environmental interventions and their effect on asthma outcomes
Mmbando et al. Effects of a new outdoor mosquito control device, the mosquito landing box, on densities and survival of the malaria vector, Anopheles arabiensis, inside controlled semi-field settings
Kubba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KR20190121571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uger et al.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monofilament, polyethylene insecticide-treated wall lining for malaria control after six months in dwellings in Vhembe District, Limpopo Province, South Africa
Matsui Environmental control for asthma: recent evidence
Rivas et al. Environmental fungal loads in an indoor–outdoor African penguin (Spheniscus demersus) exhibit
Bedi et al. An investigative study on perceived indoor air quality during COVID-19 lockdown in India
KR101471871B1 (ko) 지수화를 통한 환경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irby et al. Risk factors for house-entry by culicine mosquitoes in a rural town and satellite villages in The Gambia
Rousseau et al. Domestic Exposure to Chemicals in Household Products, Building Materials, Decoration, and Pesticides: Guidelines for Interventions during the Perinatal Period from the French National College of Midwives
Zhaki et al.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in different environment settings for high-rise buildings.
Ciaccio et al. A new model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xposure reduction
Ugwu Wh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hould reconsider long lasting insecticide nets (LLIN) and indoor residual spraying (IRS) in primary mosquito/malaria control in favour of house screening
Marer et al. Residential, Industrial, and Institutional pest control
Lauder Update on the IPM programme at English Heritage
Schmidt et al. The Battle against Pests in a Victorian Home: A Case Study of the Effect of Diatomaceous Earth
Jaspreet Kaur Mitigation of airborne contaminants in Malaysian offices/Jaspreet Kaur Malkeet Singh
Ahmed et al. Implications of Indoor Air Pollution in Business Buildings in Nigeria
Rebek Pest e-alerts, vol. 16, no. 38: Return of multicolored Asian lady beetle
Singh Mitigation of Airborne Contaminants in Malaysian Off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