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763B1 -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 Google Patents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763B1
KR101471763B1 KR1020130065294A KR20130065294A KR101471763B1 KR 101471763 B1 KR101471763 B1 KR 101471763B1 KR 1020130065294 A KR1020130065294 A KR 1020130065294A KR 20130065294 A KR20130065294 A KR 20130065294A KR 101471763 B1 KR101471763 B1 KR 10147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tact member
beverage pouch
beverage
she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동진
Original Assignee
오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진 filed Critical 오동진
Priority to KR102013006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7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capable of definitely opening a beverage pouch in order to inject a beverage into the beverage pouch without penetrating external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opening the upper side of the beverage pouch in order to inject the beverage into the beverage pouch of which the first and the second sheet facing each other have both sides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is sealed comprises: a first sheet adhering member adhering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a second sheet adhering member adhering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and a driving unit allowing the second sheet adhering member to approach and adhere to the second sheet oppositely to the first sheet adhering member while the first and the second sheet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sheet adhering member, and partially opening the upper side of the beverage pouch by allowing the second sheet adhering member to slide laterally against the first sheet adhering member while the second sheet adhering member adheres to the second sheet.

Description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device for pouch filling,

본 발명은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파우치의 상부에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발생시킴으로써 개방시키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beverage infu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infusing beverages, in which a first seat and a second seat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the relative sliding of the first seat and the second sea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달인 한약, 과일음료 등을 일회 복용량씩 밀봉 포장하여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음료파우치에 의한 포장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A packaging method using a beverage pouch is widely us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taken and packaged at a dose once per person.

통상 음료파우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탠딩 레토르트 파우치가 흔히 사용되고 있고, 도 1에 그와 같은 음료파우치를 도시하고 있다.A standing retort pouch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terial is commonly used as a drink pouch, and FIG. 1 shows such a drink pouch.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음료파우치(1)는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3)와 제2시트(4)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5)이 밀봉되어 있으며,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부에서 제1시트(3)와 제2시트(4)를 서로 이격시켜 개방함으로써 음료를 주입한다.1, the beverage pouch 1 includes a first sheet 3 and a second sheet 4 both of whi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bottom 5 is sealed.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is injected by opening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part from each other.

도 2는 상기 음료파우치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한국특허공고 제1995-0010540호에 기재된 종래의 음료파우치 개방장치를 예시하고 있다.FIG. 2 illustrates a conventional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5-0010540 for injecting beverage into the beverage pouch.

도 2를 참고하면, 음료주입위치에 배치된 음료파우치(1)에 노즐(7)을 삽입하고 음료를 주입시키기 위해 음료파우치(1)의 상부를 개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송풍팬(6)을 설치하여 고온의 바람을 음료파우치(1)의 상부에 순간적으로 분사하여 음료파우치(1)를 개방시키고 있다.2,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nozzle 7 into the beverage pouch 1 arranged at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and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to inject the beverage. To this end, a blowing fan 6 is installed to instantaneously spray a high-temperature wind o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to open the beverage pouch 1. [

그러나, 그러한 음료파우치(1)의 개방방식은 송풍 중 이물질이 바람과 함께 음료파우치(1)의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밀봉되는 음료파우치의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여 음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method of opening the beverage pouch 1 ha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remains inside the beverage pouch which is sealed by th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beverage pouch 1 together with the wind during blowing, which causes a discomfort to the user .

한편, 도 3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70805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음료파우치의 상부를 개방하는 종래의 다른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Meanwhile, FIG. 3 discloses another conventional method of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70805.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방식의 개방장치는 음료파우치(1)의 상부가 상방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복수의 흡착패드(8)가 전진하여 음료파우치(1)의 양측 시트(3,4)면에 접촉되어 진공흡착을 수행한다. 이후, 복수의 흡착패드(8)가 양측 시트(3,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음료파우치(1)의 상부가 개방되어 벌어지고, 노즐이 상부의 개방부로 하강하여 음료를 주입할 수 있다.3, the conventional opening device of the other type advances a plurality of adsorption pads 8 in a stat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is held upward, ) Surface to perform vacuum adsorption. Thereafter, when the plurality of adsorption pads 8 pull the opposite side sheets 3, 4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and opened, and the nozzle is lowered into the open part at the upper part, .

그러나, 도 3과 같이, 흡착패드(8)를 이용하여 음료파우치를 개방하는 방식은 음료파우치(1)의 개방작용이 확실하게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진공흡착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전체 장치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method of opening the beverage pouch using the adsorption pad 8 has an advantage that the opening action of the beverage pouch 1 can be reliably performed, but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vacuum adsorption is complex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whole apparatus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파우치의 개방작동 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음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확실한 개방작용이 발생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ning a beverage pouch in which a foreign substance is not introduced, And to provide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1시트밀착부재와, 상기 제2시트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2시트밀착부재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를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에 접근시켜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음료파우치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top of a beverage pouch in which a first seat and a second se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so as to face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with the two sheets sandwich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is laterally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And a driving device for opening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에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에 각각 밀착하는 부분에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마찰재가 설치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a friction force with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is increased to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nother feature is the provision of fricti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장치가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걸림부재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에 접근하여 밀착되는 운동궤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이드걸림부재가 끼워져 그 운동궤적을 안내하는 가이드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driver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a guide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seat contact member, And a guide slot for guiding the movement locus of the guide member so that the guide member engages with the second sheet so as to have a motion locus close to the second sheet so as to face the second she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장치가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의 선단은 상기 선형운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접근하여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음료파우치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구성에서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굴곡시켜 상기 제1시트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driver for generating a linear movement, and a moving body on whic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s mounted to move under the linear movement, Wherein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ha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so tha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s moved along the linear move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is opened while slid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by approaching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with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guide means for bending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to guide the first shee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시트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1시트밀착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에 접근 및 밀착되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시트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top of a beverage pouch in which a first sheet and a second sheet opposed to each other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 bottom is sealed,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fixed to the fram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a driving device provided on the frame; and a driv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nd a second sheet-tightening member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so as to face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 and slides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ee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장치는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그 위치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걸림부재와, 상기 가이드걸림부재가 끼워져 상기 선형운동을 받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의 운동궤적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상기 제2시트에 접근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상기 제2시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측방향안내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이드장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상기 측방향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과정에서 상기 음료파우치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driver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a moving body which moves in response to the linear motion and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heet-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locus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n which the guide engaging member is inserted and is subjected to the linear movement, and guides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to approach the second sheet Wherein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ncludes a guide slit and a guide slot continuously formed with a lateral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to slide lateral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And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is opened in the course guided by the direction guide pa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장치가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의 선단은 상기 선형운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굴곡시켜 상기 제1시트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상기 프레임에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형운동에 의해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접근하여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음료파우치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driver for generating a linear movement, and a moving body on whic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is mounted to move under the linear movement, Wherein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and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is further provided with guiding means for guiding the first sheet to contact the sloped surface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by bending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A second sheet-tightening member which sl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 with the two sheets sandwiched therebetween and opens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As a further featur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에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에 각각 밀착되는 부분에 고무가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are provided with rubber portion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파우치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음료파우치의 개방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시트 또는 상기 제2시트가 밀어내도록 설치된 감지로드와, 상기 감지로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eans for checking the opening state of the beverage pouch, wherein the sensing means senses whether the first sheet or the second sheet protruding outward when the beverage pouch is opened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본 발명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는, 제1시트밀착부재와 제2시트밀착부재가 음료파우치의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음료가 주입될 개방구를 발생시키고 있다.In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slid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the first seat and the second seat of the beverage pouch interposed therebetween, I have to.

이에 따라, 노즐이 음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확실한 개방작용이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 개방작용이 확실히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liable open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by a relatively simple device so that the nozzle can inject the beverage, and the opening action can surely occur.

또한, 송풍방식이 아니므로 이물질 유입의 우려가 없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Furthermore, since it is not a blowing system,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 being introduced, and production can be made at a relatively low cost.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레토르트 파우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설명도
도 3은 종래의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작용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작용설명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ort pouch used in the prior art;
2 is a structural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ructural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설명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료파우치(1)는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3)와 제2시트(4)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5)이 밀봉되어 있다.In the beverage pouch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butted to each other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5 is sealed.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는, 상기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1시트밀착부재(30)와, 상기 제2시트(4)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2시트밀착부재(40)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를 제1시트(3) 및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향하도록 제2시트(4)에 접근시켜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하여 제2시트밀착부재(4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동장치(50)를 포함한다.4 and 6,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beverage inj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4 and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so as to face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so tha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open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1).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 및 음료파우치(1)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85)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frame 85 for supporting the components and the beverage pouch 1 is provided.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는 음료파우치(1)의 적층된 2장의 시트 중 하나의 시트, 즉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고 있다.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는 프레임(85)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나, 제2시트밀착부재(40)와 같이 이동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two stacked sheets of the beverage pouch 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is fixed to the frame 85, bu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제1시트밀착부재(30)는 음료파우치(1)의 제1시트(3) 및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제2시트밀착부재(40)와 서로 압착되어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대적으로 제1시트밀착부재(30)와는 반대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작동된다. 이는 각각이 밀착된 제1시트(3)와 제2시트(4)를 서로 반대방향을 끌고 가면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므로 서로 면접하여 밀착상태이던 제1시트(3)와 제2시트(4)에 각각 굴곡을 발생시켜 음료를 주입할 개방구(9)를 발생시킨다.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of the drink pouch 1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are relatively slid in the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This is because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brought into sliding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Thereby generating an opening 9 for injecting the beverage.

이를 위해 제1시트밀착부재(30)에는 제1시트(3)와 접촉마찰을 증가시켜 제1시트(3)를 잡아 끌 수 있도록 마찰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마찰재는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등 고무재질이 가장 적합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frictio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30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friction with the first seat 3 so as to pull the first seat 3, and the friction material is made of silicone rubber, natural rubber The rubber material is most suitable.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도 제1시트밀착부재(30)와 같이 제2시트(4)에 밀착하여 제2시트(4)를 측방향으로 끌어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also a member for slidingly sliding the second sheet 4 in the lateral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like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는 제1시트밀착부재(30)와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상기 구동장치(50)에 의해 제1시트밀착부재(30)에 접근하여 압착되고 슬라이딩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그 과정은 하나의 음료파우치(1)에 음료주입이 완료된 후, 음료파우치(1)가 진입할 때마다 반복된다.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30 by the driving device 50 so that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30 is slid relative to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30 The process is repeated every time the beverage pouch 1 enters after the beverage injection is completed in one beverage pouch 1.

또한, 제2시트밀착부재(40)에는 제2시트(4)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마찰재인 실리콘고무가 제2시트(4)와의 밀착부분 또는 전체에 설치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econd sheet 4,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silicone rubber, which is a friction material, in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or the whole.

한편, 상기 구동장치(50)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를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를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향하도록 제2시트(4)에 접근시켜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하여 제2시트밀착부재(4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The driving device 50 is for moving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and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30,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laterally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in the close contact state.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장치(50)는 도 6과 같이,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51)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그 위치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56)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와 결합되는 가이드걸림부재(52)와, 상기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하여 밀착되고 그 밀착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운동궤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이드걸림부재(52)가 끼워져 그 운동궤적을 안내하고 있는 가이드장공(54)을 포함한다.6, the driving device 50 includes a driver 51 for generating linear motion, and a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for moving in a linear mo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can be changed A second engaging member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engaging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A guide elongated hole 54 which guides the movement locus of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so that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is fitted so as to have a motion locus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and slides in the close contact state, .

상기 구동기(51)는 선형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구동기(51)로서, 서보모터와 링크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The driver 51 is a conventional driver 51 for generat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is preferably a system in which a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by a link with a servomotor and is output.

상기 이동체(56)는 구동기(51)의 선형운동을 받아 선형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85)에 의해 그 선형운동이 안내된다. 그 이동체(56) 상에는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설치되되, 제2시트밀착부재(40)의 위치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부재(53)와 회동축(55)을 매개로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이동체(56)에 결합된다. The moving body 56 is linearly mov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driver 51, and its linear motion is guided by the frame 85.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provided on the moving body 56 and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provided on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via a pivoting member 53 and a pivot shaft 55, And the contact member 40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56. [

회동축(55)의 반대편에 위치한 회동부재(53)의 단부가 음료파우치(1)를 향해 돌출되고 그 끝단부에 제2시트밀착부재(40)가 형성됨으로써 제2시트밀착부재(40)는 회동축(55)을 중심으로 회동부재(53)가 선회함에 따라 음료파우치(1)에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formed by protruding the end portion of the pivoting member 53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ivot shaft 55 toward the beverage pouch 1 and forming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at the end thereof, The pivot member 53 can be moved toward and away from the beverage pouch 1 as the pivot member 53 turns about the pivot shaft 55. [

상기 가이드걸림부재(52)는 제2시트밀착부재(40)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장공(54)에 삽입되고 제2시트밀착부재(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회동부재(53)에 가이드걸림부재(52)가 설치됨으로써 제2시트밀착부재(40)와는 회동부재(53)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The guide engaging member 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elongated hole 54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Specifically, the guide member 52 is attached to the pivoting member 53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via the pivoting member 53.

상기 가이드장공(54)은 상기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하여 밀착되고 그 밀착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운동궤적을 가지도록 안내한다.The guide elongated hole 5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so tha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faces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So as to have a motion locus to be slid.

상기 가이드장공(54)은 프레임(85)에 설치되거나 프레임(85)에 고정된 별도의 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85)과 함께 항상 그 위치가 고정된다.The guide slot 54 is provided in a separate member fixed to the frame 85 or fixed to the frame 85, and its position is always fixed together with the frame 85.

따라서, 가이드장공(54)에 끼워진 가이드걸림부재(52)가 가이드장공(54)을 따라 이동하면, 가이드장공(54)이 안내하는 운동궤적이 제2시트밀착부재(40)에 전달될 수 있다.The movement locus guided by the guide elongated hole 54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when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fitted in the guide elongated hole 54 moves along the guide elongated hole 54 .

상기 가이드장공(54)은 경사안내부(54a)와 측방향안내부(54b)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경사안내부(54a)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제2시트(4)에 접근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경사방향 즉, 제2시트(4)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고, 측방향안내부(54b)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제2시트(4)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elongated hole 54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inclined guide portion 54a and the lateral guide portion 54b so that the inclined guide portion 54a allows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second sheet 4, and the lateral guide portion 54b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And is laterally guided so as to slide lateral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시트(3) 및 제2시트(4)의 굴곡과 함께 개방되고 있는 음료파우치(1)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60)가 더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pport member 60 is additionally provided to firmly support the beverage pouch 1 being opened together with the bending of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

상기 지지부재(60)는 음료파우치(1)의 양측 중 제1시트(3)가 위치하는 반대측에서 음료파우치(1)의 개방시 음료파우치(1)의 측부를 프레임(85)에 눌러 지지하고 있다.The support member 60 presses the side of the beverage pouch 1 against the frame 85 when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heet 3 on both sides of the beverage pouch 1 have.

상기 지지부재(60)는 탄성을 가진 금속선재가 바람직하고, 외력이 부가되지 않을 경우, 작업위치에 있는 음료파우치(1)의 측부에 접근하여 지지부재(60)의 단부(61)가 음료파우치(1)를 압착한다.The support member 6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wire having elasticity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end portion 61 of the support member 60 approaches the side of the beverage pouch 1 at the working position, (1).

또한, 가이드걸림부재(52)의 상단에 설치된 제어부재(58)가 접촉하여 지지부재(60)를 밀어올리면 지지부재(60)의 단부(61)가 음료파우치(1)로부터 이격되고, 제어부재(58)의 접촉이 해제되면, 다시 음료파우치(1)를 지지부재(60)의 단부(61)가 프레임(85)에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된다. 그 탄성변형을 위하여 지지부재(60)의 중간에는 코일형상으로 감아놓은 탄성코일부(62)를 형성시키고 타단(63)은 프레임(85)에 고정된다. The end 61 of the support member 60 is separated from the beverage pouch 1 when the control member 58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comes into contact with and pushes up the support member 60, The end portion 61 of the support member 60 is resiliently deformed so as to push the beverage pouch 1 back onto the frame 85. As a result, An elastic coil part 62 wound in a coil shap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member 60 for the elastic deformation and the other end 63 is fixed to the frame 85. [

한편, 상기 프레임(85)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및 음료파우치(1)를 지지하도록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ame 85 forms a skeleton to support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and the beverage pouch 1.

특히, 상기 프레임(85)에는 음료파우치(1)의 개방시 굴곡되는 제1시트(3)의 굴곡과 그에 따른 개방이 원활히 발생할 수 있도록 개방공간형성부(86)가 포함되어 있다.Particularly, the frame 85 includes an open space forming part 86 for smoothly bending and opening the first sheet 3 bent when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상기 개방공간형성부(86)는 제1시트(3)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따라 외측으로 “V"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개방시 굴곡진 제1시트(3)를 지지할 수 있다.The open space forming portion 86 can support the first sheet 3 bent at the time of opening when the first sheet 3 is bent in a "V" shape outward along the outwardly open shape.

또한, 상기 개방공간형성부(86)의 내측으로 제1시트(3)가 굴곡져 밀착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음료파우치(1)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개방공간형성부(86)의 내측에 위치하는 감지로드(71)와 감지로드(71)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짐으로써, 개방공간형성부(86)의 내측에 접촉하는 제1시트(3)의 굴곡이 감지로드(71)를 밀어냄으로써 센서는 음료파우치(1)의 개방동작이 원활히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Further, a sens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sens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heet 3 is bent and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pen space forming portion 86 to check the opened state of the beverage pouch 1.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sensing rod 71 located inside the open space forming portion 86 and a sens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71. The sensing rod 71 senses the movement of the sensing rod 71, 1 sensor of the seat 3 pushes the sensing rod 71, the sensor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beverage pouch 1 smoothly occurs.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카세트(81)에 직립한 상태로 공급된 음료파우치(1)는 카세트회전대(82)의 회전에 의해 음료주입위치에 도달한다. 도 4는 음료파우치(1)가 개방되기 전, 음료주입위치에 도달한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rst, the beverage pouch 1 supplied in a state standing upright on the cassette 81 reaches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ssette swivel base 82. Fig. 4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beverage pouch 1 reaches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before it is opened.

이후, 도 5와 같이,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제1시트밀착부재(30)에 접근하여 음료파우치(1)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지지부재(60)는 탄성에 의해 그 단부(61)가 전진하여 음료파우치(1)의 측부를 지지한다.5,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approaches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1, and the support member 60 is resiliently deformed to the end 61 are advanced to support the side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1.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기(51)가 선형운동을 전달하여 이동체(56)를 도 6의 위치에서 도 7의 위치로 진행시키면, 프레임(85)에 고정된 상태인 가이드장공(54)을 따라 가이드걸림부재(52)가 이동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ctuator 51 transmits a linear motion to advance the moving body 56 from the position of FIG. 6 to the position of FIG. 7, a guide catch is formed along the guide slot 54, The member 52 moves.

가이드걸림부재(52)가 가이드장공(54)의 경사안내부(54a)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회동부재(53)가 회동축(55)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회동부재(53) 단부의 제2시트밀착부재(40)를 제2시트(4) 및 제1시트밀착부재(30)의 위치로 접근시킨다.While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moves along the inclined guide portion 54a of the guide elongated hole 54, the pivoting member 53 pivots about the pivot shaft 55 to rotate the second The sheet contact member 40 approach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sheet 4 and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이후, 가이드장공(54)의 측방향안내부(54b)에서 가이드걸림부재(52)가 진행함에 따라,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음료파우치(1)의 제1시트(3)와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제1시트밀착부재(30)와 압착된 상태에서 제1시트밀착부재(30)와 슬라이딩이 발생한다.Thereafter, as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advances in the lateral guide portion 54b of the guide slot 54,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pushed by the first sheet 3 of the beverage pouch 1,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and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sl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with the two sheets 4 sandwiched therebetween.

그 과정에서 제2시트밀착부재(40)와 마찰에 의해 함께 슬라이딩되는 제2시트(4)가, 제1시트밀착부재(30)와 마찰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제1시트(3)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굴곡이 발생하는 제1시트(3)와 제2시트(4)는 이격되어 도 5 또는 도 7과 같이 음료가 주입될 개방구(9)가 발생한다.The second sheet 4 sliding together by friction wit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n the process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sheet 3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by friction Direction. As a result,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in which different bends are generated, are spaced apart and the opening 9 to be filled with the beverage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5 or Fig.

이후, 상측의 노즐(83)이 노즐구동부재(83a)에 의해 하강하여 음료파우치(1)에 발생한 개방구(9)로 음료를 주입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pper nozzle 83 is lowered by the nozzle driving member 83a, and the beverage can be injected into the opening 9 formed in the beverage pouch 1.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음료파우치(1)의 개방구(9)는 음료파우치(1)의 상부전체가 개방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개방구(9)가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분에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The opening 9 of the beverage pou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pening 9 is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를 설명한다.Next,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설명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는, 상기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1시트밀착부재(300)와, 상기 제2시트(4)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2시트밀착부재(400)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를 제1시트(3) 및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시켜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제1시트밀착부재(300)에 대하여 제2시트밀착부재(40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10,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beverage inj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4 and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heet 4 so as to face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And a driving device 500 that sl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to open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1.

상기 구동장치(500)는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510)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제2시트밀착부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560)를 포함한다.The driving device 500 includes a driver 510 for generating linear motion and a moving body 560 for moving in a linear motion and provided with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상기 구동기(5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선형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구동기(510)이고, 상기 이동체(560)는 상기 구동기(510)의 선형운동을 전달받아 선형왕복운동하며, 프레임(850)에 형성된 선형안내홈(852)의 안내를 받아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driving unit 510 is a conventional driving unit 510 that generate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oving unit 560 receives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unit 510 and linearly reciprocates And is guided by a linear guide groove 852 formed in the frame 850 so as to be linearly moved.

상기 이동체(560)에는 제2시트밀착부재(400)가 설치되고, 제1시트밀착부재(300)는 프레임(850)에 설치된다.The moving body 560 is provided with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and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is provided on the frame 850.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는 프레임(850)에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으로, 전단은 상기 선형운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경사면(310)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310)에는 마찰재가 설치되어 제1시트(3)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is fixed to the frame 850 and the inclined surface 310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tion. So a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first sheet 3.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는 그 선단이 상기 선형운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10)을 가지고, 그 경사면은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310)과 서로 대응한다.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has an inclined surface 410 whose tip is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 310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Respectively.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는 이동체(560)에 전방결합볼트(430)와 후방결합볼트(420)에 의해 고정되되, 전방결합볼트(430)와 후방결합볼트(420)에는 모두 스프링(421,431)이 설치되어 바(bar)형상의 제2시트밀착부재(400)를 이동체(560)에 밀착시키고 있다. 제2시트밀착부재(400)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410)이 상기 제1시트(3) 및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310)을 타고 슬라이딩될 때, 상기 스프링(431)이 압축되면서 바(bar)형상의 제2시트밀착부재(400)가 이동체(560)에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허용한다.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0 is fixed to the moving body 560 by a front coupling bolt 430 and a rear coupling bolt 420 while both the front coupling bolt 430 and the rear coupling bolt 420 are provided with a spring 421 and 431 are provided so that the bar-shaped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ving body 560. The inclined surface 410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310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pring 431 is compressed to allow the bar-shaped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body 56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파우치(1)의 제1시트(3) 및 제2시트(4)를 굴곡시켜 제1시트(3)가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310)에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870)이 프레임(850)에 더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of the beverage pouch 1 are bent so that the first sheet 3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310 of the first sheet- A guide means 870 is provided in the frame 850 so as to guide the user.

도 8과 같이 안내수단(870)이 선재의 형상으로 프레임(85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직립한 음료파우치(1)가 수용된 카세트(81)가 카세트회전대(82)에 의해 회전(화살표방향)하여 도 8과 같이 음료주입위치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고정되어 있는 안내수단(870)이 음료파우치(1)와 접촉하여 누르게 된다. 결국, 음료주입위치에 도달한 음료파우치(1)의 일측은 안내수단(870)에 의해 제1시트(3) 및 제2시트(4)가 굴곡됨으로써 제1시트(3)가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에 도 8과 같이 접촉한 상태가 된다.The guide means 870 is fixed to the frame 850 in the form of a wire and the cassette 81 in which the upright drink pouch 1 is accommodated is rotated by the cassette swivel 82 8, the fixed guide means 8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everage pouch 1 and presses it.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re bent by the guide means 870 at one side of the beverage pouch 1 which has reached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so that the first sheet 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ember 300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체(560)에는 음료파우치(1)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제2시트(4)의 외측으로 굴곡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로드(710)와, 감지로드(710)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715)로 이루어짐으로써, 개방시 제2시트(4)가 열리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굴곡이 감지로드(710)를 밀어내고, 센서(715)는 그 감지로드(710)의 동작을 감지하여 음료파우치(1)의 개방동작이 원활히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body 5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sensing means for checking the opened state of the beverage pouch 1. [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sensing rod 710 for sensing the bent state of the second sheet 4 and a sensor 715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710, The sensor 715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710 and confirms whether the opening of the beverage pouch 1 is smoothly performed have.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카세트(81)에 직립한 상태로 공급된 음료파우치(1)는 카세트회전대(82)의 회전에 의해 음료주입위치에 도달한다. 도 8은 음료파우치(1)가 개방되기 전, 음료주입위치에 도달한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rst, the beverage pouch 1 supplied in a state standing upright on the cassette 81 reaches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ssette swivel base 82. Fig. 8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beverage pouch 1 reaches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before it is opened.

카세트회전대(82)의 회전에 의해 음료주입위치에 음료파우치(1)가 도달하는 과정에서, 안내수단(870)은 음료파우치(1)의 일측을 눌러 제1시트(3) 및 제2시트(4)가 굴곡됨으로써 제1시트(3)가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310)에 접촉하도록 한다.The guide means 870 pushes one side of the beverage pouch 1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beverage pouch 1 at the beverage injection posi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ssette swivel 82 so that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re bent so that the first sheet 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10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이후, 도 9와 같이, 제2시트밀착부재(400)가 제1시트밀착부재(300)에 접근하여 음료파우치(1)의 상부를 개방시킨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approaches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1.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기(510)가 선형운동을 전달하여 이동체(560)를 도 10의 위치에서 도 11의 위치로 진행시키면, 제2시트밀착부재(400)의 선단 경사면(410)이 음료파우치(1)의 제1시트(3)와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제1시트밀착부재(30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310)을 타고 오르면서 슬라이딩이 발생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river 510 transmits the linear motion to advance the moving body 560 from the position of FIG. 10 to the position of FIG. 11, the leading end inclined surface 410 of the second seat close-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 300 so as to climb up the slope 310 of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 300 Sliding occurs.

그 과정에서 제2시트밀착부재(400)와 마찰에 의해 함께 슬라이딩되는 제2시트(4)가, 제1시트밀착부재(300)와 마찰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제1시트(3)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굴곡이 발생하는 제1시트(3)와 제2시트(4)는 이격되어 도 9 또는 도 11과 같이 음료가 주입될 개방구(9)가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에서 발생한다.The second sheet 4 sliding together wit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in the course of the process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sheet 3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by friction, Direction. As a result,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which have different curvatu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9 to be filled with the beverag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ouch 1 Lt; / RTI >

또한, 상기 음료파우치(1)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은, 이동체(560)와 함께 이동하여 음료파우치(1)의 전방에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음료파우치(1)의 개방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시트(4)가 감지로드(710)를 도 11의 α와 같이 밀어내고 상기 감지로드(710)의 동작을 센서(715)가 감지하여 개방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다.In order to confirm the opened state of the beverage pouch 1, the sensing means moves together with the moving body 560 and is located close to the front of the beverage pouch 1, The protruding second sheet 4 pushes the sensing rod 710 as shown in FIG. 11, and the sensor 715 sense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710 to check the open state.

이후, 상측의 노즐(83)이 노즐구동부재(83a)에 의해 하강하여 음료파우치(1)에 발생한 개방구(9)로 음료를 주입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pper nozzle 83 is lowered by the nozzle driving member 83a, and the beverage can be injected into the opening 9 formed in the beverage pouch 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ther modified embodiments are possible.

1; 음료파우치 3; 제1시트
4; 제2시트 5; 바닥
6; 송풍팬 7; 노즐
8; 흡착패드 9; 개방구
30, 300; 제1시트밀착부재 310, 410; 경사면
40, 400; 제2시트 밀착부재 420; 후방결합볼트
430; 전방결합볼트 421, 431; 스프링
50, 500; 구동장치 51, 510; 구동기
52; 가이드걸림부재 53; 회동부재
54; 가이드장공 54a; 경사안내부
54b; 측방향안내부 55; 회동축
56, 560; 이동체 58; 제어부재
60; 지지부재 61; 지지부재의 단부
62; 탄성코일부 63; 타단
71, 710; 감지로드 715; 센서
81; 카세트 82; 카세트회전대
83; 노즐 83a; 노즐구동부재
85, 850; 프레임 852; 선형안내홈
86; 개방공간형성부 870; 안내수단
One; Beverage pouch 3; The first sheet
4; A second sheet 5; floor
6; A blowing fan 7; Nozzle
8; Absorption pad 9; Opening
30, 300; First sheet contact members 310 and 410; incline
40, 400;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20; Back coupling bolt
430; Front coupling bolts 421, 431; spring
50, 500; Drive devices 51, 510; Driver
52; A guide engaging member 53; Pivoting member
54; Guide elongate 54a; Inclined guide portion
54b; A lateral guide 55; [0035]
56, 560; A moving body 58; Control member
60; A support member 61;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62; Elastic coil part 63; The other end
71, 710; Sense load 715; sensor
81; Cassette 82; Cassette swivel
83; Nozzle 83a; The nozzle-
85, 850; Frame 852; Linear guide groove
86; An open space forming part 870; Guide means

Claims (10)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3)와 제2시트(4)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1)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기 위한 제1시트밀착부재(30,300)와,
상기 제2시트(4)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기 위한 제2시트밀착부재(40,400)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400)를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시켜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에 대하여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40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동장치(50,5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51)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그 위치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56)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와 결합되는 가이드걸림부재(52)와,
상기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하여 밀착되고 그 밀착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운동궤적을 가지도록 상기 가이드걸림부재(52)가 끼워져 그 운동궤적을 안내하고 있는 가이드장공(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1.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top of a beverage pouch (1) to which a first side (3) and a second side (4)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for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for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4)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wit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is laterally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in the close contact state to partially ope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50, 500), the drive device
The drive device
A driver 51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A moving body 56 which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vement and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can change its position,
A guide engaging member 52 engaged with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at 4 so as to face the first seat contact member 30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and has a motion locus sliding i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a guide elongated hole (54) in which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is fitted and guides the movement locus thereof.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3)와 제2시트(4)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1)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기 위한 제1시트밀착부재(30,300)와,
상기 제2시트(4)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기 위한 제2시트밀착부재(40,400)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400)를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시켜 밀착시키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에 대하여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40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동장치(50,5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510)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5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의 선단은 상기 선형운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는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에 접근하여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1.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top of a beverage pouch (1) to which a first side (3) and a second side (4)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for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for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4)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wit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is laterally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in the close contact state to partially ope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50, 500), the drive device
The drive device
A driver 510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And a moving body (560) having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mounted thereon to move under the linear motion,
The tip end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laterally tilted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tion,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ha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approaches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therebetween, 300) of the beverage pouch (1) while sliding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beverage pouch (300)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에는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에 각각 밀착하는 부분에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마찰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friction material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Beverage pouch opening for inf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굴곡시켜 상기 제1시트(3)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87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guide means 870 for bending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nd guiding the first sheet 3 to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is further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3)와 제2시트(4)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1)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있어서,
프레임(85,850)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1시트밀착부재(30,300)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장치(50,500)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 및 밀착되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시트밀착부재(40,4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50)는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51)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그 위치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56)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와 결합되는 가이드걸림부재(52)와,
상기 가이드걸림부재(52)가 끼워져 상기 선형운동을 받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의 운동궤적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기 제2시트(4)에 접근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54a)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기 제2시트(4)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측방향안내부(54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이드장공(54)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가 상기 측방향안내부(54b)에 의해 안내되는 과정에서 상기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1.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top of a beverage pouch (1) to which a first side (3) and a second side (4)
Frames 85,850,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fixed to the fram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A driving device (50, 500) installed in the frame,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d close to the second sheet 4 by the drive device so as to face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s 30 and 300, And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slid sideways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in a close contact state,
The drive device (50)
A driver 51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A moving body 56 which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vement and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can change its position,
A guide engaging member 52 engaged with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guides the motion locus of the second seat contact member 40 which receives the linear movement with the guide engaging member 52 inserted thereinto, And a lateral guide portion 54b for guiding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to slide lateral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at 4, By including the formed guide elongate 54,
And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in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is guided by the lateral guide part (54b).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서로 맞대어진 제1시트(3)와 제2시트(4)의 양측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이 밀봉되어 있는 음료파우치(1)에 음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하는 음료파우치 개방장치에 있어서,
프레임(85,850)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시트(3)의 상부 외면에 밀착하는 제1시트밀착부재(30,300)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장치(50,500)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시트(4)에 접근 및 밀착되고, 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30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시트밀착부재(40,4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500)는
선형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기(510)와,
상기 선형운동을 받아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5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의 선단은 상기 선형운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는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굴곡시켜 상기 제1시트(3)가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870)이 상기 프레임(850)에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형운동에 의해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400)는,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에 접근하여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300)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음료파우치(1)의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1. A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top of a beverage pouch (1) to which a first side (3) and a second side (4)
Frames 85,850,
A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fixed to the fram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3)
A driving device (50, 500) installed in the frame,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d close to the second sheet 4 by the drive device so as to face the first sheet-tightening members 30 and 300, And a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 400) slid sideways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 300) in a close contact state,
The driving device 500 includes:
A driver 510 for generating a linear motion,
And a moving body (560) having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mounted thereon to move under the linear motion,
The tip end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is lateral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near motion,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A guide means 870 for bending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to guide the first sheet 3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Lt; RTI ID = 0.0 > 850,
The linear movement causes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400 to approach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300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therebetween,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while sliding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seat close member (30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밀착부재와 상기 제2시트밀착부재에는
상기 제1시트(3) 및 상기 제2시트(4)에 각각 밀착되는 부분에 고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first shee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cont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rubber is provided in a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heet (3) and the second sheet (4), respectively,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파우치(1)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음료파우치(1)의 개방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시트(3) 또는 상기 제2시트(4)가 밀어내도록 설치된 감지로드(71,710)와,
상기 감지로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주입을 위한 음료파우치 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and 6,
A sens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for checking the open state of the beverage pouch 1,
The sensing means
Sensing rods (71, 710) installed so as to push out the first sheet (3) or the second sheet (4) protruding outward when the beverage pouch (1) is opened,
And a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The beverage pouch open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65294A 2013-06-07 2013-06-07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KR101471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94A KR101471763B1 (en) 2013-06-07 2013-06-07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94A KR101471763B1 (en) 2013-06-07 2013-06-07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763B1 true KR101471763B1 (en) 2014-12-10

Family

ID=5267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294A KR101471763B1 (en) 2013-06-07 2013-06-07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7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354B1 (en) * 2017-03-22 2019-01-10 임찬선 Sensing apparatus for pouch open
KR102235928B1 (en) * 2020-08-24 2021-04-05 (주)경희테크 Machine for packaging herbal medicine automatically
KR102402468B1 (en) 2021-08-09 2022-05-26 (주)코리아파워테크 Pouch opening apparatus for pac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4805A (en) * 1983-12-12 1985-07-18 園部 一成 Partially packaging method of medicine
JPH06227515A (en) * 1993-02-04 1994-08-16 Orii:Kk Opening device for bag
JPH08192824A (en) * 1994-09-30 1996-07-30 Seisan Nipponsha Kk Opening method of chuck in bag body with chuck
JPH09124007A (en) * 1995-11-01 1997-05-13 Nippon Chemicon Corp Automatic opening device for packaging bag, and automatic bagging method for article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4805A (en) * 1983-12-12 1985-07-18 園部 一成 Partially packaging method of medicine
JPH06227515A (en) * 1993-02-04 1994-08-16 Orii:Kk Opening device for bag
JPH08192824A (en) * 1994-09-30 1996-07-30 Seisan Nipponsha Kk Opening method of chuck in bag body with chuck
JPH09124007A (en) * 1995-11-01 1997-05-13 Nippon Chemicon Corp Automatic opening device for packaging bag, and automatic bagging method for article therewi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354B1 (en) * 2017-03-22 2019-01-10 임찬선 Sensing apparatus for pouch open
KR102235928B1 (en) * 2020-08-24 2021-04-05 (주)경희테크 Machine for packaging herbal medicine automatically
KR102402468B1 (en) 2021-08-09 2022-05-26 (주)코리아파워테크 Pouch opening apparatus for pac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763B1 (en) An opening device of pouch for filling beverage into the pouch
CN100574673C (en) The mechanism of the seat lumbar that is used to approach
CN102874426B (en) Feeding and reversing mechanism for strapping machine
US4976766A (en) Device for positioning heated glass sheets without deformation
KR101368558B1 (en) Bag closing apparatus and bagging apparatus
KR101636718B1 (en) Guide unit for guiding apparatus of clipping system
KR101503524B1 (en) Apparatus for sealing on packing vessel
EP2977179B1 (en) Bottle blowing machine
CN107116367B (en) Steel tie shearing and assembling integrated machine
CN104709661A (en) Conveying device for infusion set assembling machine clamp
HK1141963A1 (en) Pricking system
CN203556000U (en) Constant-clamping-force adjustable carrying device
CN108136709B (en) Sheet products handling device and Bag Making Machine
JP5107351B2 (en) Machine that lifts and lowers the jaw that holds the molded product
CN104310087B (en) Material collection and discharging mechanism
CN109702664A (en) A kind of door body pressing tool and method
JP6173017B2 (en) Buckle plate unit for buckle folding machine
CN104302203A (en) Reinforcement-film bonding device
CN107399575B (en) Plug-in type rail-changing starting device for hanging frame of logistics conveying system
CN106061656B (en) Bar feed arrangement
KR200462282Y1 (en) Packing table sealing machine structure
CN210064712U (en) Pipe drop feed mechanism of pjncture needle kludge
CN205293209U (en) It puts to inhale packing
CN216325710U (en) Welding device capable of synchronously tinning
CN108969263A (en) A kind of fixation of medical supplies and transport small hand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