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134B1 - Dental floss holder - Google Patents

Dental floss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134B1
KR101471134B1 KR1020130140771A KR20130140771A KR101471134B1 KR 101471134 B1 KR101471134 B1 KR 101471134B1 KR 1020130140771 A KR1020130140771 A KR 1020130140771A KR 20130140771 A KR20130140771 A KR 20130140771A KR 101471134 B1 KR101471134 B1 KR 10147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dental
floss
flosses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동환
Original Assignee
황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환 filed Critical 황동환
Priority to KR102013014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holder in which dental floss (10) is hung between hanger rods (210). Here, at least two or more dental floss (10) are provided. The dental floss (10) may be provided in three dimensions to safely, simply, and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dental plaque, which are fitted in a gap between teeth, with minimum movement.

Description

치실대{Dental floss holder}Dental floss holder {

본 발명은 치실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과 치태(齒苔, dental plaque)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치실이 설치되어 있는 치실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floss provided with a floss so as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dental plaque sandwiched between teeth.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칫솔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칫솔질 만으로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은바, 이쑤시개를 사용하거나 치실을 사용하여 제거한다.A toothbrush is usually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However, it is not easy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eeth by brushing alone. Use a toothpick or use a floss to remove it.

치실을 사용하는 경우 적당한 길이로 치실을 잘라 손가락에 감고 양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치아 사이에 끼워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손 사용법은 양손이 구강 내로 들어가게 되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구강 깊숙한 곳까지 치실을 잡은 손을 넣기가 어려워 이물질 제거 작업이 어렵고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If you are using a floss, cut the floss in a suitable length, wrap it around your fingers, pull it out on both sides, and insert it between the teeth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However, such a two-hand use method is not unsanitary because both hands ar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hand holding the floss to the deep portion of the oral cavity, so that it is difficult and difficult to remove the foreign bod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치실을 고정시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실대가 제안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83121호(2003. 10. 30.) "치실 걸이대"가 있다. To solve these problems, a dental floss has been proposed which can be used as a sanitary fixture by fixing the flos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3121 (October 30, 2003) entitled "Floss Hangers ".

종래의 치실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의 치실 걸이간(21)(21')이 구비되어 치실(1)을 걸어두게 형성되는 헤드(20) 일측에 손잡이(10)가 형성된 것이 대표적이다. 손잡이를 손으로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20)를 구강 내에 진입시켜 걸이간(21)(21')에 걸려있는 치실(1)을 치아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잇몸 쪽으로 힘을 가해 치실(1)을 치아 사이 틈에 밀어넣고 손잡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dental floss is provided with '∩' -shaped floss hanger 21 '21', and a handle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20 formed to hang the floss 1 . The head 20 is moved into the oral cavity with the hand held firmly by the hand so that the dental floss 1 hung on the hooks 21 and 21 'is placed on the teeth, 1) is pushed into the gap between the teeth and the handle is moved up or down or left to right to remove foreign matt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실대는 치실이 한 줄만 설치되는 구성이기에 치실의 두께에 비해 현저하게 넓은 치아 사이에서 이물질과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치아 사이 간격이 넓음에 따라 치실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을 다수 회 반복하면서 이물질과 치태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이지 못하였고, 치실을 수차례 움직이는 과정에서 잇몸을 반복적으로 자극하게 되므로 상처를 발생시켜 잇몸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등 여러 불편함이 있다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ental floss is provided with only one row of flosse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and plaque between teeth that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os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and plaque by repeating the movement of the floss to move the dental floss up and down many times as the interval between the teeth is wide. Therefore, it takes considerable time and is not effective. In the course of moving the floss several times, It can cause irritation and cause scarring, which can cause inflammation of the gums.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과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사용이 불편한 종래 치실대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이물질과 치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치실대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dental floss which can not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 teeth stuck between the teeth as described above and is inconvenient to use, thereby obtaining a dental floss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safely removes foreign matter and plaque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다수의 치실이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형성되어 입체적으로 형성된 치실대를 제안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t least two or more dental floss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 a pattern to form a sterile dental floss.

본 발명에 따르면 치실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치아 사이 틈에 끼인 이물질과 치태를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안전하고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가능한 치실대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ntal floss is three-dimensionally form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ntal floss which can be safely and simply and effectively removed by a minimum operation of foreign matter and plaque sandwiched between the teeth.

도 1은 종래 치실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실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걸이간에 치실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걸이간에 치실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치실대의 사용상태 예시도.
1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ental floss;
2 is an illustration of a dental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ss is formed between hoo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ss is formed between hoo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illustrate examples of the use state of the dental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치실이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형성되어 입체적으로 형성된 치실대를 얻기 위하여 걸이간 사이에 치실이 걸리되, 상기 치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마련되는 치실대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ntal floss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patterns so as to obtain a dental flos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실대는 걸이간(210)이 구비되어 치실(10)을 걸 수 있게 된 헤드(200)를 포함한다. 헤드(200)는 손잡이(100)가 형성되어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될 수 있으며, 헤드(200)와 손잡이(100)는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형성하여 헤드(200)만을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dental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200 which is provided with a hook 210 and is capable of hanging the floss 10. The head 200 may be formed with a handle 100 so that the head 200 and the handle 100 may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head 200 so that the head 200 can be used while exchanging only the head 200. [ .

헤드(200)에는 한 쌍의 걸이간(210)이 형성된다. 헤드(200)가 위로 볼록한 호형을 이루어 '∩'자 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양쪽 끝단에 걸이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의 형상은 본 발명에 의한 치실(10)을 걸어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A pair of hooks 210 are formed on the head 200. The head 200 is formed into a convex arcuate shape with an upward convex shape, so that the hook 210 can be formed at both ends naturally. The shape of the head 200 can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hang the dental flos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치실(10)은 다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걸이간(210) 사이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일정한 패턴을 이루어 걸리게 되는데, 인접한 치실(10) 사이에 간격을 두고 걸림으로써 입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치실(10)들이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고정됨으로써 입체적인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A plurality of flosses (10) are provided and fixed between the hooks (210).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is formed by interposing a gap between adjacent flosses 10. That is, the dental flosses 10 are fixed on different planes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 치실(10)은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 즉 치아 사이에 형성되는 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고,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치실(10)이 더 형성되어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치실(10) 간의 간격은 어린아이나 성인의 표준 치아 형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대략 1mm 내외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제작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t least two dental flosses 10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gap direction formed between the teeth, and at least one dental floss 10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formed in three dimensions.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flosses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tooth shape of a child or an adult. But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need, and it is possible to make it to be formed at various interval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ccording to need.

상기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치실(10)은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들이 이루는 폭의 중앙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다만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치실(10)의 수는 굳이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한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 걸쳐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치실이 배치된 단면이 다이아몬드 형상이나 '+'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However, the number of the dental flosses 10 formed o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is not limited to on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 plurality of dental floss 10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necessary, .

상기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치실(10)은 세 개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수의 치실(10)을 구비하여 치아 사이 틈에 낀 이물질이나 치태와 효과적으로 마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고, 세 개중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치실(10) 중 하나가 끊어지는 경우 나머지 두 개의 치실(10)로 이물질과 치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치실(10)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치실(10) 중 가운데에 형성된 치실(10)의 수직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들이 이루는 폭의 중앙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Three dental flosses (10) arrang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dental floss is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number of flosses 10 so as to be able to effectively rub against the foreign matter or plaque in the gap between the teeth. When one of the flosses 10 formed on both edges of the three is broken, 10) to remove foreign matter and plaque. At this time, the dental floss (10) disposed at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is formed at the vertically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dental floss (10) formed in the center among the dental flosses (10) arrang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ormed at the center point of the width formed by the dental flosses 10 formed.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치실(10)은 인접한 치실(10) 간에 연결실(12)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dental floss 10 form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ng chamber 12 between adjacent flosses 10.

연결실(12)은 치실(10)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실(12)은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과 그 상하부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이 세 개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형성되는 치실(10)이 하나가 형성되는 경우 수평방향의 세 치실(10)이 연결실(12)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수평방향의 세 치실(10) 중 중앙에 배치된 치실(10)은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치실(10)과도 연결실(1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실(12)과, 상기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실(12)은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된다. The connection chamber 12 may be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flosses 10. The connection chamber 12 may be formed by connecting between the flosses 10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dental floss 10. For example, when three dental flosses 10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and one dental floss 10 formed thereon is formed, the three dental floss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hamber 12, And the dental floss 1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dental floss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dental floss 10 formed at the top by the connecting chamber 12 as well. In this case, the connection room 12 connecting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ntal floss 10 ) Are arranged alternately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연결실(12)은 이물질이나 치태의 제거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하는 동시에, 치실(10)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여 치실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하나의 치실(10)에 하중이 걸리면 이를 인접한 치실(10)로 분산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The connection chamber 12 serv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plaque and also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dental floss 10 by connecting the dental floss 10 to each other,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dental floss 10 of the dental floss 10, the dental floss 10 disperses the dental floss 10 into the adjacent dental floss 10 simultaneously.

특히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치실(10)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실(12)은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하중을 분산하여 연결실(12)로 인해 사용 중 치실(10)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Particularly, since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dental floss 10 are arranged alternately to each other, the load is more effectively dispersed,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nnection of the floss 10 during use.

이러한 연결실은 각 치실 사이를 별도의 연결실이 잇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질수도 있고, 전체의 모양을 한번에 찍어내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질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하한 방식으로든 제작되어질 수 있다.Such a connection room may be manufactured in such a manner that a separate connection thread is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flosses, and may be manufact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ntire shape is drawn at onc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manufactured in any mann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치실대의 사용상태를 도 5 내지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dental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치실대를 사용코자 하는 경우 손잡이(10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헤드(2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입 안으로 넣어준 상태로 치실(10)이 치아의 배열과 교차 되게 한다. When the user wishes to use the dental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floss 10 is crossed with the teeth array in a state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head 200 is inserted into the mouth while holding the handle 100 by hand .

이후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치실(10)이 이루는 폭이 치아 사이 틈보다 넓으므로 치실대를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치실(10)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치실(10)부터 치아 사이 틈에 밀어넣어 준다. 이때 치실(10)은 탄성적으로 눌리면서 치실(10) 사이 간격이 줄어들어 차례로 치아 사이 틈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데, 상부에 형성된 치실(10)이 치아 사이 틈 입구에 이르면 치실대를 다시 수평으로 기울여 상부에 형성된 치실(10)이 치아 사이 틈으로 밀려 들어가게 한다.Since the width of the dental floss 1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wider than the dental gap between the teeth, the dental floss 10 i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dental floss 1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dental floss tilted obliquely, Push it in. At this time, the floss 10 is elastically press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losses 10 is reduced. Then, the floss 10 is pushed into the gap between the teeth. When the floss 10 formed on the upper part reaches the gap between the teeth, Thereby causing the formed floss 10 to be pushed into the gap between the teeth.

상기에 따라 모든 치실(10)이 치아 사이 틈으로 완전히 진입을 완료하면 손잡이(100)를 잡고 헤드(200)를 부드럽게 회동시키거나 상하로 움직이면서 이물질과 치태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치실(10)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치아 사이 틈 여러 지점에 한꺼번에 치실(10)이 접하면서 이물질과 치태가 제거된다. When all of the dental floss 10 has completely entered the gap between the teeth, the head 200 is smoothly rotated by holding the handle 100 or moved up and dow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plaque. 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dental flosses 10 are three-dimensionally formed, the dental floss 10 is contacted at various points of the gap between the teeth at once, thereby removing foreign matter and plaque.

이후, 이물질과 치태가 충분히 제거되면 앞서와 반대의 방법으로 치실(10)을 치아 사이 틈에서 빼내고, 이러한 과정을 각 치아 사이에 형성된 틈마다 반복하여 이물질과 치태를 제거하여 주는 것이다.
Thereafter, when the foreign object and the plaque are sufficiently removed, the floss 10 is pulled out from the gap between the teeth by the opposite method,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for every gap formed between the teeth to remove foreign matter and plaque.

10 : 치실,
12 : 연결실,
100 : 손잡이,
200 : 헤드,
210 : 걸이간.
10: Floss,
12: Connection room,
100: Handle,
200: head,
210: Hang the hook.

Claims (7)

걸이간(210) 사이에 치실(10)이 걸리되, 상기 치실(10)은 수평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고,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치실(10)이 더 형성되어 입체감을 형성하는 치실대.At least two dental flosses 10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dental floss 10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dental floss 10, Dental floss forming.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치실(10) 중 적어도 한 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10)들이 이루는 폭의 중앙 지점에 형성되는 치실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ental flosses (10)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int of a width formed by the dental flosses (1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치실(10)은 세 개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되, 그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치실(10) 중 적어도 한 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10)들이 이루는 폭의 중앙 지점에 형성되는 치실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dental flosses 10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dental floss 10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dental flosses 1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ntal floss formed at the poi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10)은 인접한 치실(10) 간에 연결실(12)로 서로 연결되는 치실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ntal floss (10) is connected to adjacent dental floss (10) by a connecting chamber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실(12)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10)과 그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실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room 12 connects the dental floss 1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ntal floss 1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thereof Dental flos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실(12)과,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10)과 그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치실(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실(12)은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치실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connecting chamber 12 connecting between the dental floss 1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chamber 12 connecting the dental floss 1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ntal floss 10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thereof 12)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KR1020130140771A 2013-11-19 2013-11-19 Dental floss holder KR101471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71A KR101471134B1 (en) 2013-11-19 2013-11-19 Dental floss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71A KR101471134B1 (en) 2013-11-19 2013-11-19 Dental floss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34B1 true KR101471134B1 (en) 2014-12-11

Family

ID=5267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771A KR101471134B1 (en) 2013-11-19 2013-11-19 Dental floss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3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97B1 (en) * 2011-11-16 2013-07-26 황동환 safe floss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97B1 (en) * 2011-11-16 2013-07-26 황동환 safe floss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4935U (en) Interdental brush
TWI642413B (en) Soft interdental brush
JP3151190U (en) Interdental brush with dental floss
KR200478791Y1 (en) Curved toothbrush
KR101530364B1 (en) Silicon dental floss
KR101471134B1 (en) Dental floss holder
KR101673095B1 (en) Orthodontic toothbrush for wiping teeth with orthodontic appliance
JP2023160957A (en) Interdental cleaning implement
US20090188522A1 (en) Structure of floss stick
JP3213578U (en) toothpick
KR101290297B1 (en) safe floss holder
KR101444003B1 (en) Toothbrush for gingival sulcus
KR200452558Y1 (en) Toothpick
KR200287495Y1 (en) Up·dawn·left·right tooth brush
KR20130031536A (en) Dental floss with regularly changed sectional form
KR101612349B1 (en) Multifunction toothpick
JP3172539U (en) Universal toothbrush
EP2027830A2 (en) An improved structure of floss stick
TWM484408U (en) Tooth cleaning device
US20150096587A1 (en) Teeth cleaning device
KR200467404Y1 (en) Tooth brush
KR20170065336A (en) Toothbrush
KR20120080701A (en) Interdentall brush installed removing debris device
JP3191540U (en) Interdental brush with adjustable angle
JP2016171821A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