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305B1 -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 Google Patents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305B1
KR101470305B1 KR20130123437A KR20130123437A KR101470305B1 KR 101470305 B1 KR101470305 B1 KR 101470305B1 KR 20130123437 A KR20130123437 A KR 20130123437A KR 20130123437 A KR20130123437 A KR 20130123437A KR 101470305 B1 KR101470305 B1 KR 10147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module
current
f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숭재
송근수
Original Assignee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3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3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 H02J3/44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with means for ensuring correct phase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industrial electric power, which enables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an factorial area as well as one factory or an industrial complex. Especi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grid to efficiently manage electric power consumed within a specific area such as an industry, each house, and a country, and to the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industrial electric power, which is capable of passing the bounds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where the electric power is used the most and practically preventing a waste of electric power.

Description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industrial power,

본 발명은 하나의 공장은 물론 공장이 늘어선 공장지대나 산업단지 내에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industrial power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in a factory area or an industrial complex in which factories as well as factories are arranged.

특히, 본 발명은 산업의 전력관리는 물론 각 가정의 전력관리 내지 일정한 국가나 일정한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에 관한 것으로 가장 전력이 많이 사용되는 산업단지 내의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방안을 벗어나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실질적으로 전력의 낭비를 차단하는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grid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used in a certain country or a certain area, as well as electric power management of an industrial household, and minimizes the power in the most power-consuming industrial comple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ly managing an industrial power that effectively dissipates power waste by managing the most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일반적으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관련기술의 개발을 칭하는 것으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이에 따른 에너지 사용, 특히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In general, Smart Grid refers to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intelligent power network and related technologies. Recently, the problem of depletion of energy resources and related energy use, especially power management, Is emerging.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접근은 각 국가별로 현재의 전력 시스템 상황에 따라 달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나, 이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내린다면 전력계통과 통신네트워크의 융합을 통하여 소비자와 전력공급자간 에너지 정보를 실시간(≒양방향)으로 주고 받음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이라고 볼 수 있다.
The approach to smart grid differs according to the current power system situation in each country, but if you give a general definition of it, energy informa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power supplier is converged through power system and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Bi-directional)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에서 전력공급자는 전력 사용 현황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력소비자는 전력사용 현황의 실시간 파악을 통하여 전력 사용시간 및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력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 전체의 운영은 자동 조정 시스템으로 고장 요인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현재의 중앙 집중적으로 구축된 전력 통제 시스템을 분산화하게 된다. 또한 수력, 화력 발전원 뿐만 아니라, 비교적 소규모로 여러 곳에서 생산되는 분산형, 신재생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그리드가 구축된다.
In such a smart grid, power providers can flexibly adjust supply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power usage. Power consumers can optimize power usage by adjusting power usage time and usage through real-time grasp of power usage status. The entire operation of the Smart Grid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detect fault sources with an automatic tuning system, thus decentralizing the current centralized power control system. In addition to hydropower and thermal power generation, a smart grid is built to accommodate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produced in a relatively small scale.

그럼 연구에 따른, 우리나라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하에 구축되고 있는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의 구조 및 추진 동향과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Then, we will examine the structure and promotion trends and prospects of the Korean Smart Grid, which is being built under the active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의 구조][Structure of Korean Smart Grid]

국내에서는 미국 등 해외 선진국가들 보다는 늦었지만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과 맞물려 최근 빠른 속도로 진척되고 있다. 국토가 작은 것을 이점으로 2030년까지 전 국토에 걸쳐 지능형 전력 네트워크가 도입되는 세계 최초 국가단위의 지능형 전력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In Korea, it is slower tha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but it is progressing at a rapid pace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The goal is to build the nation's first intelligent power network in the world where intelligent power networks will be introduced throughout the country by 2030 with the advantage of small land size.

한국전력은 2009년 스마트 그리드의 구조 정립에 관해서는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데, 대표적으로는 스마트 그리드 구축에 있어 가장 앞서 있는 미국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의CGCTG (Cyber Security Coordination Task Group)의 정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NIST의 스마트그리드 구조는 전체 스마트 그리드를 포괄하는 high level diagram을 도출할 목적으로 정의되었고, 지난 5년과 향후 5년 내 가능한 기술을 고려 대상으로 정의되었다.
KEPCO is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Smart Grid in 2009. The representative of this project is the Cyber Security Coordination Task Group (CGCTG)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finition of. NIST 's Smart Grid Architecture was defined with the aim of deriving high level diagrams covering the entire Smart Grid and was defined as taking into account the technologies available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e next five years.

나아가 종래에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를 달성하기 위한 작은 움직임을 살펴본다. 이 종래의 건은 그동안 사용되던 전력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원격통신이 가능한 원격검침기를 장착하고, 고 비용의 통신비용을 사용하며 목적을 달성해 왔다. 실질적으로 비용의 절감을 추구하면서도, 고 비용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진 것이다.
Further, a small movement for achieving such a smart grid is conventionally 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lectric power use which has been used in the past, this conventional case has been equipped with a remote meter capable of remote communication and has achieved the purpose by using a high cost communication cost. It has been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it is cost-effective while seeking substantial cost savings.

이건은 특허 출원 제 10-2003-0097674호로서 "전력선 방식을 이용한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전력량계"이다. This is a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97674 entitled " Electronic load meter with remote load control using power line method ".

이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도시된 도 1과 2에서처럼, 전자식 전력량계(100)와,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냉방 등 기타 계량기(200)와, 원격검침시스템(300)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400)과, 휴대용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사용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해 입력 전류 및 입력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10) 및 전압 검출부(120)와, 전력량계에 필요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0)와, 상기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냉방 등 기타 계량기(200)에서 적산된 에너지 값을 펄스로 입력 받고 설비 계량기의 누적된 에너지 값을 연산, 저장, 출력 등의 프로그램을 제어하며 외부 출력 및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회로부(150)와, 상기 메인 회로부(150) 및 상기 원격검침시스템(300) 사이에 전력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conventional electronic watt-hour meter includes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100 and other meters 200 installed in each household, such as gas, water, hot water, heat, and cooling, a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300, A home network system 400, and a portable terminal 500.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100 includes a current detecting unit 110 and a voltage detecting unit 120 for detecting an input current and an input voltage to calculate an amount of power used, a power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required for the watt- Other energy meters such as gas, water, hot water, calorie, cooling, etc. can be input as pulses to control the programs such as calculation, storage, and output of accumulated energy values of the equipment meter. And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1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power li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ircuit unit 150 and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300. [

여기서, 상기 메인 회로부(150)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상기 전류 검출부(110) 및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A/D 변환부(151)와, 상기 A/D 변환부(151)를 통해 변환된 순시적인 전압 및 전류의 입력 값으로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연산부(152)와, 상기 연산부(152)에서 연산된 순시적인 전력량 값을 일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입/출력, 통신 등 전반적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제어부(153)와, 상기 연산부(152)에서 연산된 순시 전력량 값을 저장하고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54)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부(153)에 의해 사용 전력량을 전력량계의 LCD와 같은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해주는 디스플레이부(155)와, 프로그램 입력 및 보정 인자(Calibration Factor) 조정에 필요한 데이터 값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156)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부(153)에 의해 적산된 사용 전력량에 비례한 신호를 외부 장치에 펄스와 같은 신호로 발생시켜 주는 출력 제어부(157)와, 상기 전력선 통신모듈(140)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58)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부(153)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159)을 추가로 구성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59)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1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main circuit unit 150 includes an A / D conversion unit 151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of a current and a voltage detected from the current detection unit 110 and the voltage detection unit 120 into a digital signal, An arithmetic unit 152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power with an input value of the instantaneous voltage and current converted by the A / D conversion unit 151; and an instantaneous power amount value calculated by the arithmetic unit 152, A program control unit 153 for storing and controlling overall application operations such as display, input / output, communication, and the lik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stantaneous power amount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152 and storing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electronic watt- A display unit 155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program control unit 153 through a device such as an LCD of a watt-hour meter for viewing by the user, An input control unit 156 for controlling a data value required for adjusting a calibration factor and a control unit 156 for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program control unit 153, An output control unit 157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8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14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500 and the program control unit 15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9 is configured to enab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9 to be enabled. The user can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100 using the portable terminal 500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9. [

즉, 이 건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력, 가스, 수도, 온수의 열량 등 다양한 사용량을 제어하고자 한 발명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 별도의 메인회로부를 형성해야 하는 등 다양한 설치의 어려움을 가진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control various amounts of usage such as power, gas, water, and hot water using a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achieve this, a separate main circuit portion must be formed.

따라서 사실상 이를 실현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나아가 협소하고 부분적인 개혁이기에 사실상 그 전력 효율을 전체적으로 절감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is fa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efficiency can not be totally reduced because it is a narrow and partial reform.

본 발명은 하나의 공장은 물론 공장이 늘어선 공장지대나 산업단지 내에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industrial power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in a factory area or an industrial complex in which factories as well as one factory are located.

특히, 본 발명은 산업의 전력관리는 물론 각 가정의 전력관리 내지 일정한 국가나 일정한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에 관한 것으로 가장 전력이 많이 사용되는 산업단지 내의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방안을 벗어나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실질적으로 전력의 낭비를 차단하는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grid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used in a certain country or a certain area, as well as electric power management of an industrial household, and minimizes the power in the most power-consuming industrial complex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industrial power that effectively dissipates electric power by controlling the most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은, 각각의 산업단지 내의 공장(Factory; 10)에 배선되는 전력선으로 유동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계식 전력검침기(30); 상기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연결되어 기계식 전력검침기(30)로 유입된 전력량과 동일한 전력량이 유입되도록 하여, 기계식 전력검침기(30)가 검침하는 전류량을 동일하게 측정하여 표시하는 CT모듈(20); 산업단지 내의 각각의 공장(10)에 설치된 CT모듈(20)을 연결하여, CT모듈(20)에서 전력선통신을 통해서 공급하는 전류량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일정한 영역이나 일정한 지역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판단하여, 전력의 공급을 용이하도록 한다.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industrial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chanical power meter (30) for measuring an amount of current flowing into a power line wired to a factory (10) in each industrial complex; A CT module 20 connected 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for inputting the same amount of power as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to measure and display the same amount of current meter by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 And a management server 40 that connects the CT module 20 installed in each factory 10 in the industrial complex and integrally manages current amount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CT module 2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in a certain area or a certain area is measured and judged to facilitate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또한 본 발명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에 따른, CT모듈(20)은, 유입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는 CT센서(20); CT센서(20)에서 측정한 전류량 정보를 관리서버(40)에 전달하되,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실어서 전달하는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LC모듈(22); 이미 유입된 전류량과 흘러 들어오는 전류량을 합산하여 시각적으로 표출시키기 위한 LCD패널(24); CT센서(21)에서 리딩한 전류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PLC모듈(22)을 통해서 관리서버(30)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장(10) 내측의 전류의 흐름과 그 전류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측정하고 : 전류를 공급받는 공장(Factory; 10)은, 공장(10) 내측의 불을 밝히기 위한 라이팅유닛(11)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 직접적인 생산 공정을 위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팅유닛(12)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 공장(10)의 가동을 위한 사무적인 업무를 진행하는 사무실의 전력을 사용하는 비지니스유닛(13)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 공장(10)의 물리적인 영역 내에서 하나의 기계식 전력검침기(30)를 사용하되, 특별한 목적이 구분되지 않은 목적을 위한 전력을 사용하는 썹유닛(14)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장(10)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그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 관리서버(40)에는, 별도의 통합서버(50)를 연결하여, 다수의 관리서버(40)에서 분석한 전력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T module 20 according to the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industrial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T sensor 20 for measuring an amount of an incoming current; A PLC module (22)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curren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T sensor (20) to the management server (40), and to transmit the current information to a power lin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n LCD panel 24 for displaying the sum of the amount of current that has already flown and the amount of current that flows in, A CPU 23 for analyzing the current amount data read by the CT sensor 21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ransferring the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PLC module 22 and controlling them; The factory 10 is provided with a lighting unit 11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factory 10 and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urrent inside the factory 10, And a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 and connected thereto; An operating unit 12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for a direct production process and a SUB-CT module 15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nected thereto; A business unit 13 using office power for office work for the operation of the factory 10 and a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connected thereto; A mechanical power meter (30) is used in the physical area of the plant (10), in which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 and connected to the bubble unit (14) And a SUB-CT module 15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power used in the factory 10 according to the purpose thereof. The management server 4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tegration server 50, So that the power data analyzed by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40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and analyzed.

본 발명에 따라, 각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측정함은 물론 그 사용을 위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method of managing the most efficiently for the use of the electric power as well as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in each factory.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공장이 밀집된 산업단지나 공장단지의 내측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검토하여, 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사가 전류 공급의 량과 전력 공급의 시간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and examine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in an industrial complex or a factory complex in which factories are densely packed, and the electric power supplier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easily judges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supply and the electric power supply time This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allows you to do so.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각 가정은 물론 산업 단지 내로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전력공급사는 전류의 공급은 물론 분배에도 용이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to each home as well as an industrial complex is measured, and the electric power supplier can find an easy method of distribution as well as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도 1은 종래 사용되던 전력 공급의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전력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장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CT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wer supply system,
2 is a system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ystem comprised of the minimum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electric power used in a fac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iciently separated; FIG.
4 is a detailed view of the C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usage state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p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요즘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상승하고 있는, 스마트 그리드 방안의 실현모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방식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industrial power, and is a realization model of a smart grid scheme, which has been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각각의 산업단지 내의 공장(Factory; 10)에 배선되는 전력선으로 유동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계식 전력검침기(30)가 있고, 상기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연결되어 기계식 전력검침기(30)로 유입된 전력량과 동일한 전력량이 유입되도록 하여, 기계식 전력검침기(30)가 검침하는 전류량을 동일하게 측정하여 표시하는 CT모듈(20)이 있으며, 산업단지 내의 각각의 공장(10)에 설치된 CT모듈(20)을 연결하여, CT모듈(20)에서 전력선통신을 통해서 공급하는 전류량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일정한 영역이나 일정한 지역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판단하여, 전력의 공급을 용이하도록 한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chanical power meter 3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to a power line wired to a factory within each industrial complex, and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There is a CT module 20 in which the same amount of power a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flowing in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is inputted so as to measure and display the same amount of electric current that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measures, And a management server (40) for connecting the CT module (20) installed in the factory (10) and integrating and managing current amount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CT module (2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in the inside is measured and judged to facilitate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도 3에서처럼, 기존에 사용되던 기계식 전력검침기(30)를 회손하지 않고 사용을 하되, 이 전력검침기(30)에 또 다른 방식으로 전력을 검침하기 위한 CT모듈(20)을 설치하여 전력량을 정확히 측정한다. 이 CT모듈(20)은 내측에 CT센서(21)가 내장되어, 유입되는 전류의 펄스량을 측정한다.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은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되도록 했기에 사실상 공장은 2개의 전력검침기를 갖도록 한다. 기계식 전력검침기(30)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CT모듈(21)을 이용하여 전류가 사용되는 형태도 확인하고 검침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T module 20 for using the conventional mechanical power meter 30 without looping the power meter 30,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accurately. The CT module 20 has a CT sensor 21 built therein to measure the amount of pulses of the incoming current. The fact that the plant has two power meters, as it measures substantially the same amount of current as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and the measurements are expressed in the same way. The CT module 21 can be used to check the shape of the electric current and to meter it whil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of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원거리에서도, 이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연결된 CT모듈(20)은 서로 별도의 통신회선없이 전력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CT모듈(20)과 관리서버(40)도 전력선으로 연결이 된다. 별도의 통신회선없이 전력선으로 연결된 상태이기에 이들간의 통신은 전력선통신을 이용하여 달성한다. CT모듈(20)은 공장 내에서 발생된 전류의 사용량을 측정하되, 세분하여 분석이 가능하다. 일정한 시간 동안 공장 내에서 발생된 전력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고,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기에 작업에 따른 생산비도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and manage the amount of current used in the plant from a distance. The CT module 20 connected 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T module 20 via a power line without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Also, the CT module 2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 are connected by a power line. Since they are connected by a power line without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communication between them is achieved b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he CT module 20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generated in the factory, and can analyze the electric current using the electric curren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nsumption amount of electric power generated in the factor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measure the consumption amount of pow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ny work, so that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the work can be calculated effectively.

간략하게 이 건 발명의 작동의 방식을 설명하자면,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이 건 발명의 CT모듈(20)을 연결하고, 상기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CT모듈(20)을 동기화시킨다. 전력소비량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다. 기계식 전력검침기(30)나 CT모듈(20)은 모두 유입되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계산한다. 단지 기계식 전력검침기(30)는 아나로그 방식으로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기에 정보의 전달이 어렵다. 그러나 CT모듈(20) 내측의 CT센서(21)는 전류의 펄스를 측정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하고, 이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서 관리서버로 전달한다.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서버(40)는 공장 내측의 전류사용량을 분야별, 시간별, 계절별 및 작업별로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and the CT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and the CT module 2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t is precisely matching power consumption. Both the mechanical power meter probe 30 and the CT module 20 measur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incoming current. Only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is capable of measuring power consumption in an analog manner, making it difficult to transmit information. However, the CT sensor 21 inside the CT module 20 measures a pulse of a current and stores it in a digital manner,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It can measure power usage in real time. Therefore, the management server 40 can measure and manage the current usage of the inside of the factory by field, time, season, and work.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더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본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 건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요부가 되는 상기 CT모듈(20)은, 유입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는 CT센서(20)가 있고, CT센서(20)에서 측정한 전류량 정보를 관리서버(40)에 전달하되,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실어서 전달하는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LC모듈(22)이 있으며, 이미 유입된 전류량과 흘러 들어오는 전류량을 합산하여 시각적으로 표출시키기 위한 LCD패널(24)이 있다. 또한 CT센서(21)에서 리딩한 전류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PLC모듈(22)을 통해서 관리서버(30)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장(10) 내측의 전류의 흐름과 그 전류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측정한다.
The CT module 20,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T sensor 2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n incoming current, and supplies curren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T sensor 20 to the management server 40 There is a PLC module 22 for carrying out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n a power line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and an LCD panel 24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current and the amount of flowing current by adding them together and visually expressing them. And a CPU 23 for analyzing current amount data read by the CT sensor 21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ransferring the current amount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PLC module 22, The flow of the current inside the factory 10 and the amount of the current are accurately controlled and measured.

즉, 이 건 발명의 CT모듈(20)은 CT센서(21), PLC모듈(22), LCD패널(24) 및 CPU(23)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T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T sensor 21, a PLC module 22, an LCD panel 24, and a CPU 23.

상기 CT센서는 전술한 것처럼 흐르는 전류를 펄스당 계산하고, 측정한다. 실질적으로 기계식 전력검침기(30) 내부로 유입된 모든 전류가 동일하게 흘러 들어오기에, 이 CT모듈(20)은 전력검침기(30)가 측정한 전류량을 그대로 리딩하게 된다. The CT sensor calculates and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per pulse as described above. The CT module 20 reads the amount of current measured by the power meter 30 as it is, since substantially all o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flows in the same way.

다음으로 PLC모듈(22)은 전력선 통신을 달성하는 것으로, 리딩한 전력 사용량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관리서버(40)에 전달하게 된다. PLC모듈(22)은 내측에 별도의 A-D컨버터가 내장 또는 독립 형태로 연결된 상태이기에 아나로그 형태의 데이터를 디지털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력선에 실어주게 된다. 커플링 작업으로 전력선에 실어주면 이는 관리서버(40)의 내측으로 전달되고, 이를 필터링하여 재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것은 관리서버(40)의 몫이다.Next, the PLC module 22 achieve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converts the read power usage amount into a digital format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40. Since the PLC module 22 has a separate A / D converter internally or internally connected to the PLC module 22, analog-type data is converted into digital-type data and is loaded on the power line. When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power line by the coupling operation, it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management server 4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 is responsible for filtering and converting the digital data into reusable digital data.

또한 전술한 LCD패널(24)은 이러한 과정을 표출하고, 혹시 관리서버(40)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표시한다. 기계식 전력검침기(30)는 기계적인 기어의 치합을 이용하여 문자판의 재배열을 통해서 변화되는 전력사용량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 건 발명의 LCD패널(24)은 디지털 데이터를 패널에 표출하는 방식으로 전력사용량을 표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CD panel 24 described above displays this process and displays data or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 Although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displays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changed through rearrangement of the dial using the mechanical gear engagement, the LCD panel 24 of this invention displays digital data on the panel, And the usage amount is displayed.

CPU(23)는 CT모듈(20)의 각 구성요소들이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주요한 역할은 다음과 같다. CT센서(21)가 전류의 펄스량 형태로 리딩한 데이터를 A-D컨버터가 디지털화하는데, 그 작업의 통제와 제어를 하고 변환된 전류 사용량 데이터를 PLC모듈(22)을 통해서 관리서버로 전달할 때, 이를 관리하고 감독한다. 또한 LCD패널(24)에서 표시되는 모든 데이터의 표출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진시키고, 관리서버(40)에서 CT모듈(20)로 전달하고 푼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를 한다.
The CPU 23 functions to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T module 20 to operate correctly, and its main role is as follows. When the CT sensor 21 digitizes the data read by the AD converter in the form of a pulse of the current and control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D converter and transmits the converted current usage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PLC module 22, Manage and supervise. In addition,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ll the data displayed on the LCD panel 24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erver 4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T module 20, and receives the disassembled data.

이렇게 구성된 이 건 발명의 CT모듈(20)은 이 건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을 한다. 먼저 이 건 발명의 CT모듈(20)이 장착되어, 흘러 들어오는 전류 사용량을 리딩하게 되면, 이 전류사용량은 PLC모듈(22)의 A-D컨버터를 통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 데이터는 PLC모듈(22)의 커플링부에 의해서 전력선에 실어진다. 전력선에 실어진 디지털 데이터는 관리서버(40)로 전달되고, 관리서버(40)의 필터링부는 이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신호의 왜곡을 제거한다. 제거된 순수한 전류 사용량 데이터는 관리서버(40)에 의해서 분석되어 공장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류의 형태를 감시하고 감독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와 분석, 그리고 검토는 공장은 물론 공장을 넘어선 공단 내의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일정한 영역이나 국가 내부의 전력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T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perates as follows. First, when the CT modu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and reads the amount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urrent consumption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rough the AD converter of the PLC module 22, and this data is transferred to the PLC module 22 ) To the power line. The digital data loaded on the power lin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 and the filtering unit of the management server 40 filters the data to remove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The removed net current usage data is analyzed by the management server 40 and changed to data that can monitor and supervise the type of current used inside the factory. This change, analysis and review will enable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factories beyond factories as well as factories, and furthermore enable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power usage within certain areas or countries.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 형태를 도시된 도 4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전류를 공급받는 공장(Factory; 10)은, 공장(10) 내측의 불을 밝히기 위한 라이팅유닛(11)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이 있고, 직접적인 생산 공정을 위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팅유닛(12)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이 있으며, 공장(10)의 가동을 위한 사무적인 업무를 진행하는 사무실의 전력을 사용하는 비지니스유닛(13)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이 있다. 또한 공장(10)의 물리적인 영역 내에서 하나의 기계식 전력검침기(30)를 사용하되, 특별한 목적이 구분되지 않은 목적을 위한 전력을 사용하는 썹유닛(14)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장(10)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그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a more detail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the figure, a factory 10 supplied with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ing unit 11 for illuminating a fire inside a factory 10, a SUB-CT module 15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1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hereto, There is an operating unit 12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for a direct production process and a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2. The SUB- And a SUB-CT module 15 connected to the business unit 13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flowing thereinto. Also, one mechanical power meter 30 is used in the physical area of the factory 10, and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 and connected to the bubble unit 14 using electric power for a purpose not specifically defined purpose is measured And a SUB-CT module 15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inside the factory 10 to efficiently manage the power according to the purpose.

즉, 도시된 도 4의 실시 형태는 공장(10)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사용량을 보다 그 목적에 따라 분석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델이다. 도시된 것처럼, 공장(10)의 내측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공장(10) 지대의 불을 밝히기 위한 라이팅유닛(11)이 그것이고, 실질적인 기계의 가동을 위한 오퍼레이팅유닛(12)이 그것이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공장(10)의 내측에도 다양한 시설이 비치되는데, 사무실이 갖추어져 사무적인 일을 하고 있는 공간에 불을 밝히는 비지니스유닛(13)이 있고, 각종의 다양한 특별한 목적의 썹유닛(14)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자동차 패인팅 공장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That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model for analyzing and managing the amount of power used inside the factory 10 according to its purpose. As shown, the inside of the plant 10 is powered for various purposes. A lighting unit 11 for illuminating a fire in the factory 10, and an operating unit 12 for operating the actual machine. As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facilities are also provided inside the factory 10, and there is a business unit 13 that illuminates a space where office work is carried out, and various various special-purpose brow units 14, .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explain such contents,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mbodiment of a car painting factory in Fig.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 페인트 공장의 경우 공장 지대의 가로등이나 공장의 내측에서도 작업과는 관련없는 지역에 불을 밝히는 라이팅 시설이 비치되어 있는데, 이곳에 유입되는 전력선에는 별도의 SUB CT모듈(15)을 배선한다. 실질적으로 하나의 CT모듈(20)에 다수의 SUB CT모듈(15)을 배선하여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건 발명의 경우 도시된 도 6에서처럼, 라이팅유닛(11), 오퍼레이팅유닛(12), 비지니스유닛(13) 및 썹유닛(14)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다. 각각의 공장(10)이나 공단의 목적에 따라 별도의 이름을 부여하여도 무방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a car paint factory, there is a lighting facility that illuminates area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work, such as a street lamp in the factory area or inside the factory. A separate SUB CT module (15) Wiring. A plurality of SUB CT modules 15 are substantially wired to one CT module 20 and us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lighting unit 11, the operating unit 12, the business unit 13, and the bubble unit 14 are not limited to this. A separate name may be give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each factory (10) or industrial complex.

라이팅유닛(11)은 설명한 대로, 불을 밝히는 전력선을 집합시킨 군집이고, 어퍼레이팅유닛(12)은 자동차를 직접적으로 페인팅하는 작업공간을 칭한다. 실질적으로 공장 내에서는 이 오퍼레이팅유닛(12)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소비량이 가장 많다. 도시된 도 6에서는 페인팅과 드리이 공정 및 컨베이어 시스템이 포함된다. 이에 반하여 자동차 페인팅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무공간이 필요하다. 오더를 받거나 오더를 낼 수 있는 공간과 업무의 진행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사무공간이 필요하다. 이 공간에서도 전력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그 부분의 전력은 비지니스유닛(13)이 담당한다. 이외에 썹유닛(14)이란 기타 사원의 복지시설이나 복지공간 휴계실 등으로 유입되는 전력소비체를 칭한다. 이들은 모두 상기 CT모듈(20)과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별도의 SUB CT모듈(15)이 장착되는데, 유입되는 모든 전력소비량을 측정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이를 CT모듈(20)로 전달한다. 공장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소비량을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The lighting unit 11, as described, is a collection of power lines illuminating a fire, and the operating unit 12 refers to a work space for directly painting an automobile. In fact, the consumption of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operating unit 12 is the largest in the factory. Figure 6 includes a painting and draining process and a conveyor system. In contrast, a separate office space is required to operate a car painting plant. We need a space where we can receive orders and place orders, and an office space that establishes plans for the progress of the work. In this space, power is also required. At this time, the power of the portion is taken over by the business unit 13. In addition, the bubble unit (14) refers to a power supply body that is introduced into welfare facilities or welfare space rest rooms of other employees. All of these units are equipped with a separate SUB CT module 15 capabl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CT module 20.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s measured and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T module 20 . It should be possible to classify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side the plant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lan accordingly.

이렇게 분석된 자료는 다음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공장(10)의 내측에서 시기별로 발생되는 전력 소비량을 각 썹유닛(14)별로 계산할 수 있다. 어떠한 시기에는 오퍼레이팅유닛(12)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소비량이 높고 낮은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공장 내에서 비 생산활동시 무방비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전력소비량의 데이터는 공장의 보다 효율적인 전력 소비형태와 습관을 창출할 수 있다. 시기별로 계절별로 서로 독립되게 측정되는 이 전력소비량 데이터는 공장을 운영하는데, 더 작은 비용을 유도하며 최대의 생산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The data analyz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follow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the inside of the factory 10 on a time-by-individual basis for each of the bobbins 1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sumption of the power consumed by the operating unit 12 at a certain time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perating unit 12, and to detect power that is wasted unproductively in the non-production activity in the factory. This collected data on power consumption can create more efficient power consumption patterns and habits in the plant. This power consumption data, measured seasonally 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s used to drive the plant, resulting in lower costs and maximum production benefits.

이러한 전력 소비량 데이터는 더 확장되어 어떠한 국가 내부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력의 소비량을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즉, 관리서버(40)에는, 별도의 통합서버(50)를 연결하여, 다수의 관리서버(40)에서 분석한 전력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테면, 만일 하나의 공장의 전력소비량을 검침하고, 분석하고 측정할 수 있는 관리서버(40)가 다수 개 모여 있는 공단에 이 다수의 관리서버(40)를 통합할 수 있는 별도의 통합서버(50)를 갖추게 되면, 각 공단 내측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소비량을 계산하고 전력의 낭비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These power consumption data can be further expanded to be used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consumption of all the power used within a country. That is, a separate integration server 5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 so that the power data analyzed by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40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and analyzed. 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40 capable of measuring, analyzing and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one plant are collectively provided, a separate integrated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5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generated inside each industrial complex and investigate whether the power is wasted or not.

물론 한 국가 내측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소비량도 더 넓은 부분에서의 통합서버(50)를 갖추게 되면 이를 수행할 수 있어, 전력의 소비량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훌륭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갖추게 된다.
Of cour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side of a country can also be achieved when the integrated server 50 is equipped with a wider area, thereby providing a good data network for analyzing and analyzing the power consumption.

10; 공장 11; 라이팅유닛
12; 오퍼레이팅유닛 13; 비지니스유닛
14; 썹유닛 20; CT모듈
21; CT센서 22; PLC모듈
23; CPU
10; Factory 11; Lighting unit
12; An operating unit 13; Business Unit
14; The bubble unit 20; CT module
21; CT sensor 22; PLC module
23; CPU

Claims (4)

각각의 산업단지 내의 공장(Factory; 10)에 배선되는 전력선으로 유동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계식 전력검침기(30);
.상기 기계식 전력검침기(30)와 연결되어 기계식 전력검침기(30)로 유입된 전력량과 동일한 전력량이 유입되도록 하여, 기계식 전력검침기(30)가 검침하는 전류량을 동일하게 측정하여 표시하는 CT모듈(20);
산업단지 내의 각각의 공장(10)에 설치된 CT모듈(20)을 연결하여, CT모듈(20)에서 전력선통신을 통해서 공급하는 전류량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CT모듈(20)은, 유입되는 전류의 량을 측정하는 CT센서(21), CT센서(21)에서 측정한 전류량 정보를 관리서버(40)에 전달하되,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실어서 전달하는 전력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LC모듈(22), 이미 유입된 전류량과 흘러 들어오는 전류량을 합산하여 시각적으로 표출시키기 위한 LCD패널(24), CT센서(21)에서 리딩한 전류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PLC모듈(22)을 통해서 관리서버(30)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CPU(23)로 구성되어 공장(10) 내측의 전류의 흐름과 그 전류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측정하며;
상기 전류를 공급받는 공장(Factory; 10)은, 공장(10) 내측의 불을 밝히기 위한 라이팅유닛(11)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 직접적인 생산 공정을 위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팅유닛(12)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 공장(10)의 가동을 위한 사무적인 업무를 진행하는 사무실의 전력을 사용하는 비지니스유닛(13)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 공장(10)의 물리적인 영역 내에서 하나의 기계식 전력검침기(30)를 사용하되, 특별한 목적이 구분되지 않은 목적을 위한 전력을 사용하는 썹유닛(14)과 이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SUB-CT모듈(15)로 이루어져, 공장(10) 내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그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
A mechanical power meter 3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flowing into a power line wired to a factory within each industrial complex;
A CT module 20 for connecting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so as to allow the same amount of power to flow into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so that the mechanical power meter 30 measures and displays the same amount of current );
And a management server (40) for connecting the CT module (20) installed in each factory (10) in the industrial complex and integrating and managing current amount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CT module (2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
The CT module 20 transmits the curren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T sensor 21 and the CT sensor 21 to the management server 40 for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erethrough, The PLC module 22 for perform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analyzing the current amount data read from the LCD panel 24 and the CT sensor 21 for visualizing the amount of the already inputted current and the amount of the flowing current, And a CPU 23 that generates control signals for transferring the control signals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PLC module 22 and controls them so that the flow of the current inside the factory 10 and the amount of the current are accurately controlled, ;
The factory 10 to which the current is supplied includes a lighting unit 11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factory 10 and a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to the factory 10, An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 and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2 us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factory 10, A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flowing in and connected to the business unit 13 and a mechanical power meter 30 in the physical region of the plant 10, And a SUB-CT module 1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flowing in and connected to the bubble unit 14 for electric powe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used inside the factory 10 efficiently A Industrial Exhibition Power management system to efficiently man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관리서버(40)에는, 별도의 통합서버(50)를 연결하여, 다수의 관리서버(40)에서 분석한 전력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A separate integrated server (5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 to collectively manage and analyze the power data analyzed by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40) Power management system.

KR20130123437A 2013-10-16 2013-10-16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KR101470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437A KR101470305B1 (en) 2013-10-16 2013-10-16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437A KR101470305B1 (en) 2013-10-16 2013-10-16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305B1 true KR101470305B1 (en) 2014-12-12

Family

ID=5267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437A KR101470305B1 (en) 2013-10-16 2013-10-16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30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976A (en) * 2000-11-13 2002-05-24 Sharp Corp Power supply system for distributed sour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976A (en) * 2000-11-13 2002-05-24 Sharp Corp Power supply system for distributed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6102B (en) Analysis for consumer's energy resource consumption
Purwania et al. Application of IoT-Based System for Monitoring Energy Consumption
Sutikno et al. Internet of things-based photovoltaics parameter monitoring system using NodeMCU ESP8266
CN103389397B (en) Anti-cheating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N104025617B (en) Wireless family energy source monitoring system
CN103983845A (en) Distributed power supply connecting user double-direction meter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7727819A (en) Self-powered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monitor based on NB IOT
Surajudeen-Bakinde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net based prepaid energy meter
Talwar et al. IoT based energy meter reading
CN106067903A (en) A kind of device intelligence management cloud service system
CN107465760A (en) Environmental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CN105302116A (en) Distributed rural life sewage processing facility monitoring terminal
Kumaresan et al. Smart home: energy measurement and analysis
CN204389614U (en) A kind of portable multi-function energy efficiency monitor
CN113723684A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 prediction and energy management of enterprise power users
CN207216328U (en) Water supply network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470305B1 (en) electronic power system to control electronic power
CN207601064U (en) Self-powered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monitor based on NB-IOT
CN105203151B (en) A kind of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comprehensive tester
Erasmus et al. Remote sensor network for off-grid renewable energy monitoring
Bhujbal et al. Real time monitoring and security of solar power plant using iot
CN208505362U (en) A kind of portable device of the low error of high-precision for measuring refrigerator room efficiency
Baruah et al. Low-Cost Power Monitoring System
Lawal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a framework for power and temperature monitoring utility system
Benzi et al. Wireless power sensors to renovate energy metering in IIoT converted fact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