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172B1 -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172B1
KR101470172B1 KR20130071399A KR20130071399A KR101470172B1 KR 101470172 B1 KR101470172 B1 KR 101470172B1 KR 20130071399 A KR20130071399 A KR 20130071399A KR 20130071399 A KR20130071399 A KR 20130071399A KR 101470172 B1 KR101470172 B1 KR 10147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battery
system output
battery system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진
박선영
홍의선
민병순
변영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172B1/ko
Priority to US14/070,901 priority patent/US2014037928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터리SOC를 입력으로 하고 배터리 개방전압(OCV)을 출력으로 하는 데이터부; 가용에너지값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 및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고, 기저장된 가용에너지에 도출된 충방전에너지를 더하고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OTAL AVAILABLE ENERGY FOR VEHICLE BATTERY}
본 발명은 외란의 영향을 근본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오차가 없이 정확한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를 통해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주행하는 모터구동 차량의 경우 그 배터리의 에너지를 정확히 연산하여야 최대주행거리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전류를 적산하고 배터리 개방전압을 연산하며 SOC를 보정하여 보정된 SOC를 통해 최대주행거리를 산출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근본적으로 온도나 열화 등의 외란에 의해 SOC가 변동되는바, 최종적인 결과로서의 가용에너지 값이 정확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추정된 SOC를 근거로 가용에너지를 산출하는 방식 외에 가용에너지를 직접 계산함으로써 좀 더 정확하고 외란에도 강건한 배터리 가용에너지 계산방법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7-028844 A
본 발명은 외란의 영향을 근본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오차가 없이 정확한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은, 배터리SOC를 입력으로 하고 배터리 개방전압(OCV)을 출력으로 하는 데이터부; 가용에너지값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 및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고, 기저장된 가용에너지에 도출된 충방전에너지를 더하고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연산부는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연산부는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연산부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5398985-pat00001
(여기서, i :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 v_t :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v_e : 배터리 개방전압(OCV) 임)
메모리부는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새로운 가용에너지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연산부는 차량이 무부하 상태인 경우에는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새로운 가용에너지로 도출할 수 있다.
연산부는 산출된 새로운 가용에너지에 전비(전력 대 거리비)를 곱하여 최대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은,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하는 충방전도출단계;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는 손실도출단계; 및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가용에너지를 도출하는 최종도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은,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구하고, 충방전에너지에서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배터리의 가용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에 따르면, 가용에너지를 연산함에 있어, 온도 및 SOC에 대한 배터리 특성 테이블이 전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로직을 구현함에 있어 복잡성를 없애고, 배터리 동특성 및 열특성 테이블을 만들기 위한 시험시간이 필요치 않게 되며, 온도나 열화 등의 외란에도 강건한 로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은,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구하고, 충방전에너지에서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배터리의 가용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은, 배터리SOC를 입력으로 하고 배터리 개방전압(OCV)을 출력으로 하는 데이터부(100); 가용에너지값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200); 및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고, 기저장된 가용에너지에 도출된 충방전에너지를 더하고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산출하는 연산부(300);를 포함한다.
데이터부(100)에는 배터리SOC를 입력으로 하고 배터리 개방전압(OCV)을 출력으로 하는 테이블 내지 함수가 마련된다. 따라서, 현재 추정되고 있는 SOC를 입력하여 배터리의 개방전압(OCV)를 추출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이전에 연산한 가용에너지값이 저장된 메모리부가 마련된다. 메모리부에서는 새로운 가용에너지가 연산되는 경우 새로운 값으로 기저장된 값을 업데이트 하도록 한다.
한편, 연산부(300)는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고, 기저장된 가용에너지에 도출된 충방전에너지를 더하고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연산부(300)는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00)는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연산부(300)는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하고,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한 후, 도출된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가용에너지를 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산부(300)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5398985-pat00002
(여기서, i :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 v_t :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v_e : 배터리 개방전압(OCV) 임)
또한, 메모리부(200)는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새로운 가용에너지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가용에너지는 종래에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고려하여 이를 시작점으로 하고 새로이 발생되는 충방전에너지를 감안하고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현재의 시점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연산부(300)는 차량이 무부하 상태인 경우에는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새로운 가용에너지로 도출할 수 있으며, 연산부는 산출된 새로운 가용에너지에 전비(전력 대 거리비)를 곱하여 최대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최대주행거리는 클러스터에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전비의 경우는 전력 대 거리비의 값으로서 Km/kwh로 나타낼 수 있고, 과거의 전비와 현재의 전비 및 현재 일정 구간의 전비에 각각 적절한 가중치를 두어 전비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비에 가용에너지를 곱하면 최대주행거리가 예측 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은,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하는 충방전도출단계(S400);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는 손실도출단계(S400); 및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가용에너지를 도출하는 최종도출단계(S600);를 포함한다.
즉, 먼저 SOC를 산출하고(S100) 이를 통하여 배터리 개방전압을 추출한다(S200). 그리고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도출하고(S300, 이는 연산 혹은 센싱된 값 혹은 지령 값에 의존할 수 있음),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한다(S400).
그리고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호출한 후(S500) 이에 도출된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가감하여 현재의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이다(S600).
그리고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메모리부에 업데이트 하고(S700) 최대주행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한다(S8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에 따르면, 가용에너지를 연산함에 있어, 온도 및 SOC에 대한 배터리 특성 테이블이 전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로직을 구현함에 있어 복잡성를 없애고, 배터리 동특성 및 열특성 테이블을 만들기 위한 시험시간이 필요치 않게 되며, 온도나 열화 등의 외란에도 강건한 로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데이터부 200 : 메모리부
300 : 연산부

Claims (9)

  1. 배터리SOC를 입력으로 하고 배터리 개방전압(OCV)을 출력으로 하는 데이터부;
    가용에너지값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 및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고, 기저장된 가용에너지에 도출된 충방전에너지를 더하고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메모리부는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새로운 가용에너지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산부는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산부는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산부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새로운 가용에너지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Figure 112013055398985-pat00003

    (여기서, i :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 v_t :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v_e : 배터리 개방전압(OCV) 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산부는 차량이 무부하 상태인 경우에는 기저장된 가용에너지를 새로운 가용에너지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산부는 산출된 새로운 가용에너지에 전비(전력 대 거리비)를 곱하여 최대주행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8.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를 도출하는 충방전도출단계;
    배터리 개방전압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간의 차이값과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열손실에너지를 도출하는 손실도출단계; 및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가용에너지를 도출하는 최종도출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
  9. 배터리 개방전압, 배터리시스템 출력전압 및 배터리시스템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충방전에너지와 열손실에너지를 구하고, 충방전에너지에서 열손실에너지를 제거하여 배터리의 가용에너지를 도출하는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방법.
KR20130071399A 2013-06-21 2013-06-21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KR10147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399A KR101470172B1 (ko) 2013-06-21 2013-06-21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US14/070,901 US20140379284A1 (en) 2013-06-21 2013-11-04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otal available energy from vehic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399A KR101470172B1 (ko) 2013-06-21 2013-06-21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172B1 true KR101470172B1 (ko) 2014-12-08

Family

ID=5211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399A KR101470172B1 (ko) 2013-06-21 2013-06-21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79284A1 (ko)
KR (1) KR101470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67B1 (ko) * 2012-09-28 2014-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산출 방법
US9533597B2 (en) * 2014-03-05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ameter identification offloading using cloud computing resources
US9446678B2 (en) 2014-03-05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model with robustness to cloud-specific communication issues
EP3944399B1 (en) * 2019-03-18 2024-05-22 Vehicle Energy Japan Inc. Battery management devic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electric power storage system
CN110988701B (zh) 2019-04-25 2021-04-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可用能量确定方法、装置、管理系统以及存储介质
US11789087B2 (en) * 2021-03-03 2023-10-1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Battery charge support system for reducing energy lo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15A (ko) * 2001-05-02 2003-11-19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의 가용에너지 예측방법 및 장치
KR20110081604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75754A (ko) * 2010-12-29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2차 전지의 잔존용량 연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080A (en) * 1978-05-22 1982-01-26 Battery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of charge control for vehicle hybrid drive batteries
US6064180A (en) * 1996-10-29 2000-05-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ttery state-of-charge using neural network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15A (ko) * 2001-05-02 2003-11-19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의 가용에너지 예측방법 및 장치
KR20110081604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75754A (ko) * 2010-12-29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2차 전지의 잔존용량 연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9284A1 (en)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172B1 (ko) 차량 배터리 가용에너지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EP3309567B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remaining available energy of a power battery
US93127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management
KR102177721B1 (ko) 배터리팩 열화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2886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battery model parameters to update battery models used for controls
US8775105B2 (en) Onboard adaptive battery core temperature estimation
KR101394867B1 (ko) 친환경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산출 방법
CN103273921B (zh) 电动汽车续驶里程估计方法
KR102080632B1 (ko) 배터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7933317B (zh) 估算剩余续驶里程的方法、装置、设备及纯电动汽车
US20200018797A1 (en) A battery cell state of charge estimation method and a battery state monitoring system
US10101401B2 (en)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apparatus,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method, energy storage device module,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program, and movable body
KR101526414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열화도 판정 장치 및 방법
JP6548387B2 (ja) 二次電池の充電状態推定方法および推定装置
JP2018059910A (ja) 電池の状態を推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および、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2019105589A (ja) 電池状態推定装置
JP2009500603A (ja) バッテリー状態推定方法及び装置
CN104977544A (zh) 纯电动汽车用电池组剩余可用能量的估算方法和装置
AU2016201173A1 (en)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apparatus,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method, energy storage device module, energy storage device management program, and movable body
US2014000585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remaining mileage of an electric vehicle
KR20100063343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건강상태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57311B1 (ko) 배터리의 충전-종료 시각을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1611A (ko) 차량의 배터리 soh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50019190A (ko)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66361A (ko) 임피던스 측정을 통한 배터리 상태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