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027B1 -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027B1
KR101470027B1 KR1020090076410A KR20090076410A KR101470027B1 KR 101470027 B1 KR101470027 B1 KR 101470027B1 KR 1020090076410 A KR1020090076410 A KR 1020090076410A KR 20090076410 A KR20090076410 A KR 20090076410A KR 101470027 B1 KR101470027 B1 KR 10147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unit
display
vehic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8780A (en
Inventor
코세이 이시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7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27B1/en
Publication of KR2011001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1Mouse/trackball convertible devices, in which the same ball is used to track the 2D relative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네비게이션,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 에어컨, 무선통신 기능 등을 지원하도록 탑재된 차량적재기기를 운전자가 알기 쉽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 및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opera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operating a vehicle load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a navigation system, an audio and video system, an air conditioner,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

1. 손을 조작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손가락만 움직여 조작부를 보지 않고도 표시부의 조작버튼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손의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of the display unit without moving the finger by only moving the finger while fixing the hand on the operation unit, thereby minimizing the load on the hand.

2. 표시부의 조작버튼에 손가락 화상을 맞추지 않더라도 원하는 조작버튼을 선택할 수 있어 조작버튼의 선택이 용이하다.2. A desired operation button can be selected even if the finger image is not aligned with the operation button of the display section,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is easy.

3. 조작부에 손가락 형상의 손가락 삽입부를 형성하고, 손가락 삽입부의 각 홈부마다 손가락으로 푸쉬 및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의 조작을 직감할 수 있다.3. A finger-shaped finge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peration portion, and each operation portion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switch which can be pushed and rotated by a finger,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operate the switch.

4. 사용자가 5개의 손가락을 유효하게 사용가능하고, 표시부에 중첩 표시되는 손가락 화상의 크기를 조작화면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조작버튼의 수 및 영역을 줄일 수 있고, 배경화면 및 조작 메뉴 버튼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4. The number of operation buttons and area can be reduced by enabling the user to effectively use five fingers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finger image superimposed on the display unit to fit the operation screen, and the visibility of the background screen and operation menu button Can be improved.

5. 조작부에 설치된 양쪽의 포인팅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조작자를 판별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조수석자에 맞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5.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UI suitable for the driver or the assistant driver by determining which of the two poin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opera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or.

조작부, 표시부, 조작버튼, 손가락 화상 An operation section, a display section, an operation button, a finger image

Description

차량용 조작 장치{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에게 알기 쉽고 조작이 용이한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ope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operation apparatus that is easy for a driver to understand and easy to operate.

일반적으로 최근의 자동차는 바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에게 자신만의 여유를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함에 따라, 이러한 추세에 맞춰 자동차에도 다양한 AV 시스템이 탑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utomobiles have been equipped with a variety of AV systems in line with this trend, as the latest automobiles are transformed into spaces that allow them to enjoy their own leisure time in modern days.

특히 자동차 안에서 실시간 교통정보는 물론 이메일을 송수신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정보를 얻고, 차량에 대하여 원격 진단 서비스를 받으며, 디지털 음악과 게임, TV 시청, 영화 감상 등의 각종 엔터테인먼트까지 즐길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n era in which vehicles can enjoy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s well as various kinds of entertainment such as sending and receiving e-mails, receiving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receiving remote diagnosis service for vehicles, digital music and games, watching TV and watching movies .

따라서 차량에 장착되는 AV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방식을 포함한 액정 모니터, 비디오, 오디오, CD 체인지,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위성 방송 셋톱박스 등을 적절하게 연결해 사용하거나, 네비게이션 기능은 물론이고 인터넷 기 능, 무선통신 기능, 음성인식이나 문자음성변화 기능 등을 지원하도록 그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Therefore, the AV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used by suitably connecting a liquid crystal monitor including a touch screen type, a video, an audio, a CD change, a navigation system, a DVD player, a satellite broadcast set-top box,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voice recognition, text voice change function, and so on.

이에 더해, 이러한 장치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각종 기능들이 표시되는 화면을 터치(Touch Screen 방식)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 원격 터치 패널 방식의 조작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se devices, a remote touch panel type operation screen capable of implementing necessary functions by touching a screen on which various functions are displayed is provided (Touch Screen method).

이와 관련하여 일본특허공개 제2007-156950호에는 터치패널이 탑재된 조작부에서 사용자의 손의 화상을 CCD 카메라 등으로 촬상하고, 조작 메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중첩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부를 직시하지 않고도 표시부를 보면서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조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56950 discloses that an image of a user's hand is picked up by a CCD camera or the like on an operation unit on which a touch panel is mounted and the operation menu image is overlaid on a display unit for display, The operation switch of the operating portion can be operated as desired while viewing the display portion.

상기 특허는 절대 좌표계로 조작되기 때문에 터치 패널에 의한 목적점까지의 도달이 용이하고, 화면 내에서 버튼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조작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선의 이동이 적은 장점이 있다.Since the patent is operated in an absolute coordinate system, it is easy to reach the target point by the touch panel, the buttons can be freely arranged in the screen, and the movement of the line of sight is less sinc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check the operation part.

그러나, 상기 특허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patent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1. 조작시 손의 움직임의 제한 및 레이아웃의 이유로 조작부(터치패널)의 크기가 표시부의 크기에 비해 작고, 표시부의 조작화면에 비해 표시부에 중첩표시된 손의 화상크기가 커서 조작 화면의 시인성이 악화된다.1. When the size of the operating portion (touch panel)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por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ovement of the hand and the layout of the hand during operation and the visibility of the operation screen is deteriorated because the image size of the hand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operation portion do.

2. 상기 손의 화상크기가 커짐에 따라 터치패널의 조작화면에 들어가는 메뉴 버튼 수가 적기 때문에 조작 단계가 매우 많아져 조작이 번거롭다.2. As the image size of the hand increases, the number of menu buttons to enter the operation screen of the touch panel is small, so that the number of operation steps becomes very large and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3. 상기 터치 패널의 누름 시 피드백 감이 없기 때문에 조작감각이 떨어진 다.3. There is no sense of feedback when the touch panel is depressed.

4. 손가락을 구부린 상태나 촬상 환경에 따라 손 표시가 이형표시가 되어, 조작 화면을 인식하기가 어렵다.4.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operation screen because the hand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finger being bent or the imaging environment.

5. 조작화면의 문자크기에 비해 손의 화상크기가 크므로 문자 입력시 문자 선택이 쉽지 않고, 목적의 위치 좌표에 손 화상을 맞추고 그 위치에 손을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다.5. Since the image size of the hand is larger than the character size of the operation screen,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character when inputting characters, and it is difficult to fix the hand at the position by adjusting the hand image to the target position coordinat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조작화면에 표시하는 표시하는 손의 위치좌표를 상대 좌표계로 표시하여, 손의 화상크기를 적당한 크기로 조절하여 조작 버튼의 크기를 작게하고 조작 버튼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조작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per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n operation screen and reducing the number of operation step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buttons.

또한, 본 발명은 기계스위치(조그 다이얼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피드백 감이 있어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pera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 feeling of operation by using a mechanical switch (jog dial switch) with a feedback feeling.

또한, 본 발명은 조작부가 손가락의 형상에 따라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작시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용이한 차량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peration device in which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to be depres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fing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 화상이 조작부의 조이 스틱에 따라 이동되고, 손가락 화상의 선단이 항상 조작버튼 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pe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by allowing a finger image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joy stick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causing the tip of the finger image to always be positioned on the operation button.

상기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스위치와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작부;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operation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peration switch and a pointing device;

조작화면에 각종 차량 적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및 포인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finger images with an operation button and a pointer for operating various vehicle loading devices on the operation screen;

상기 조작스위치 및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의 조작화면에 상기 조작버튼 및 손가락 화상을 중첩 표시 및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nd a display control section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ointing device and superimposes and controls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finger image o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display section.

상기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의 장점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vehicle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손을 조작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손가락만 움직여 표시부의 손가락 화상을 이동시킴에 따라 조작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조작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선의 이동이 적고, 손 및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1.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button by moving the finger of the display unit by moving only the finger while fixing the hand on the operation unit, there is no need to check the operation uni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ine of sight is small and the desired operation can do.

2. 표시부의 조작버튼에 손가락 화상을 맞추지 않더라도 원하는 조작버튼을 선택할 수 있어 조작버튼의 선택이 용이하다.2. A desired operation button can be selected even if the finger image is not aligned with the operation button of the display section,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is easy.

3. 조작부에 손가락 형상의 손가락 삽입부를 형성하고, 손가락 삽입부의 각 홈부마다 기계적으로 푸쉬 및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손가락을 통해 스위치의 조작을 직감할 수 있어 조작스위치의 조작을 정확하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3. A finger-shaped finge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operation portion, and an operation switch which is mechanically pushed and turned can be provided for each groove portion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operate the switch via each finger, Can be accurately and quickly recognized.

4. 사용자가 5개의 손가락을 유효하게 사용가능하고, 표시부에 중첩 표시되 는 손가락 화상의 크기를 조작화면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조작버튼의 수 및 영역을 줄일 수 있고, 배경화면 및 조작 메뉴 버튼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4. The number of operation buttons and area can be reduced by enabling the user to effectively use five fingers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finger image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fit the operation screen, Visibility can be improved.

5. 조작부에 설치된 양쪽의 포인팅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조작자를 판별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조수석자에 맞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5.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UI suitable for the driver or the assistant driver by determining which of the two poin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opera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조작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Fig.

본 발명은 최근에 네비게이션,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 에어컨, 무선통신 기능 등을 지원하도록 차량에 탑재된 차량적재기기를 운전자가 알기 쉽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operat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operating a vehicle loading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in order to support a navigation system, an audio and video system, an air condition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특히, 본 발명은 조작부에 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작부를 보지 않고 표시부(14)만을 보면서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조작이 가능한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operat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and accurately operating while viewing only the display section 14 without looking at the operating section in a state where a hand is fixed to the operating sec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는 조작부(10), 표시제어부(13), 표시부(14)및 적재기기부(15)로 구성되고, 조작부(10)와 표시부(14)는 각 각 적합한 위치에 분리 배치되며, 조작부(10)에 위치한 손가락을 표시부(14)의 조작화면에 합성(중첩) 표시하여 각종 차량의 편의장치들을 조작한다.To this end, the vehicular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perating unit 10, a display control unit 13, a display unit 14, and a loader base unit 15. The operating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4 are disposed at appropriate positions And the fingers located on the operation unit 10 are displayed o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in a superimposed manner to operate the convenience devices of various vehicles.

상기 조작부(10)는 운전자가 팔을 편안하게 안착시켜 운전 부하를 적게할 수 있는 암레스트(ARM REST), 예를 들어 글로브 박스(20)의 커버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는 손바닥을 글로브 박스(20) 커버의 전단부에 붙힌 상태로 손가락만 움직여서 표시부(14)의 포인터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글로브 박스(20) 커버의 전단부 및 그 앞쪽면에 위치한다.The operating portion 10 can be installed on a cover portion of an armrest (ARM REST), for example, a glove box 20, in which a driver can comfortably seat his / her arm to reduce an operation load. More precisely, The glove box 20 is positioned on the front end of the cover of the glove box 20 and its front surface so that the pointer of the display section 14 can be remotely adjusted by moving only the finger while being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glove box 20 cover.

상기 조작부(10)는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손가락 삽입부(18)를 포함하고, 손가락 삽입부(18)는 글로브 박스(20) 커버의 전단부 앞쪽면에 위치한다.The manipulation unit 10 includes a finger insertion unit 18 having at least one groove recessed therein so as to be able to insert a finger, a finger, and a finger. The finger insertion unit 18 includes a glove box 20, It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상기 손가락 삽입부(18)의 하단에는 조작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스위치는 손가락 끝으로 누르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푸쉬(PUSH) 및 휠(WHEEL) 조작이 가능한 조그(JOG) 다이얼 스위치이며, 이 조작스위치에는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알 수 있도록 접촉센서가 내장되어 있다.An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nger insertion section 18. The operation switch is a JOG dial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a push and a wheel so as to be pressed or rotated by a finger tip, The operation switch has a built-in touch sensor so that the finger can be contacted.

상기 조그 다이얼 스위치(12)는 푸쉬 조작에 의해 선택 및 결정 기능과, 휠 조작에 의해 볼륨이나 온도 조정 등의 스텝 업/다운 기능을 하고, 조작기능에 따라 최적화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jog dial switch 12 performs a selection and a determination function by a push operation and a step up / down function such as a volume and a temperature regulation by a wheel operation, and can perform an optimized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function.

또한, 상기 조작부(10)는 손가락의 화상 위치를 자유자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포인팅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조이스틱(11)을 포함하고, 이 조이스틱(11)은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고, 손가락 삽입부(18)에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삽 입한 채로 엄지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The operation unit 10 includes a joystick 11 used as a pointing device for freely moving an image position of a finger. The joystick 11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18, with the index finger, stop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inserted.

상기 조이스틱(11)은 엄지손가락에 의해 상하좌우 및 경사방향으로 조작가능하고, 운전자의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조수석 승객의 왼손 엄지손가락이 닿을 수 있도록 글로브 박스(20)의 전단부 양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joystick 11 can be operated in the up, down, left, right and oblique directions by the thumb, and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glove box 20 so that the right thumb of the driver and the left thumb of the passenger have.

상기 조이스틱(11)에는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알 수 있도록 접촉센서가 내장되어 있다.The joystick 11 has a built-in touch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nger is touching.

여기서, 엄지손가락은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조이스틱(11)의 조작을 담당하고,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은 조작화면의 조작버튼(16)의 선택 및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조작을 담당한다.Here, the thumb i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1 which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index finger, the stop, the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are operated by the jog dial switch 12 for selecting and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16 of the operation screen It i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따라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오른손을 조작부(10)에 고정한 채로 조작부(10)를 보지 않고도 표시부(14)에 표시된 조작버튼(16)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remotely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16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without looking at the operation unit 10 while the driver holds the right hand on the operation unit 10 while the driver is driving.

상기 표시제어부(13)는 조이스틱(11)으로부터 좌표신호, 조그 다이얼 스위치(12)로부터 조작 및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14)의 조작화면에 손가락 화상(17)을 중첩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각 차량적재기기부(15)의 제어를 수행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coordinate signal from the joystick 11 and the operation and contact signal from the jog dial switch 12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4 to superimpose the finger image 17 on the operation screen, And carries out control of the vehicle loader base 15.

상기 표시부(14)는 LCD 패널로서, 운전자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운전중 시선의 이동이 적고 표시 정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거리에 장착되어 있고, LCD 패널의 조작화면에 차량 적재기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 is an LCD panel which is mounted at a remote place so as to reduce the movement of the line of sight while the driver is sitting comfortably and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information, An operation button is displayed.

상기 표시부(14)에는 운전자 등의 손을 LCD 패널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 조작부(10)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해 포인터가 표시되고, 이 포인터는 손가락 화 상(17)으로 표시되며, 손가락 화상(17)은 조작화면에 중첩하여 표시된다.A poin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for remotely operating the operating unit 10 without touching the hands of the driver or the like directly to the LCD panel. The pointer is displayed as a finger image 17, 17 are superimposed on the operation screen.

이때, 손가락의 위치는 상대좌표계에 의해 이동되게 함으로써, 손가락 화상(17)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nger is moved by the relative coordinate system, so that the size of the finger image 17 can be freely adjusted and adjusted to an appropriate size.

또한, 상기 표시부(14)의 영상을 HUD(Head Up Display)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14 can be displayed on a Head Up Display (HUD).

상기 차량적재기기부(15)는 AVN(Audio Visual Navigation), 에어컨 외 차량에 탑재되고 있는 전장품 전반을 말한다.The vehicle loader unit 15 is an overall electric device mounted on a vehicle other than an AVN (Audio Visual Navigation) and an air condition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vehicular op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손가락이 조작부에 접촉될 경우 조작버튼과 손가락 화상의 표시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손가락이 조작부에서 전부 접촉되지 않을 경우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 버튼과 손가락 화상의 표시 천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의 조작과 각 스위치의 기능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when a finger is not fully contacted with an operation unit, and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distribution of each switch, and Fig. 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switch of Fig.

상기 손가락 삽입부(18)가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홈부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부(10)의 손가락 삽입부(18)에 손을 맞추기가 매우 쉽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18)의 각 홈부 하단에 조작스위치가 설치되어, 일단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는 그 위치를 바꾸지 않고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성이 향상된다.It is very easy for the user to touch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8 of the operation portion 10 and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8 is formed by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8, The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groove portion of the groove, and once the finger is inserted, the operability is improv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without changing its position.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제어부(13)는 손가락 삽입부(18)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에 내장된 접촉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조작부(10)의 손가락삽입부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에는 배경화상 위에 조작 메뉴 버튼과 손가락 화상(17)이 중첩 표시된다.5, the display control unit 13 receives a signal from a touch sensor built in the jog dial switch 12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18, and receives at least one finger from the finger of the operation unit 10 When it is judged that the touch panel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the operation menu button and the finger image 17 are superimposed on the background image on the display portion 14. [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가락이 조작부(10)로부터 전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제어부(13)는 표시부(14)에 불필요한 정보나 조작 메뉴 버튼을 표시하지 않는다.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operation unit 10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ouch sensor, the display control unit 13 displays unnecessary information or an operation menu button on the display unit 14 I never do that.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부(10)의 조이스틱(11)을 이용하여 표시부(14)의 화면에 표시되는 손가락 화상(17)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freely move the position of the finger image 17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by using the joystick 11 of the operating unit 10 with the thumb.

이때,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표시부(14)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 화상(17)이 조이스틱(11)의 조작으로 동시에 이동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r more finger images (17)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by the touch sensor move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1).

또한, 상기 표시제어부(13)는 조작부(10)의 왼쪽(운전석에 가깝게 위치한 쪽)과 오른쪽(조수석에 가깝게 위치한 쪽)에 각각 설치된 조이스틱(11)의 접촉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 또는 조수석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 receives a signal from a contact sensor of the joystick 11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unit 10 (closer to the driver's seat) and on the right side (closer to the driver's sea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contact is made.

즉, 둘 중 왼쪽의 조이스틱(11)에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운전자가 조작부(10)를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른쪽의 조이스틱(11)에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조수석자(승객)가 조작부(10)를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thumb is touched to the left joystick 11,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0, and when the thumb is touched to the right joystick 11, the passen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unit 10 is being operated.

그리고, 상기 조작부(10)에서 손가락삽입부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에 일부 손가락만을 접촉하고 있는 경우 접촉 손가락과 비접촉 손가락을 표시부(14)에 구별하여 표시하기 위해 접촉 손가락을 화면에 진하게 중첩표시하고, 비접촉 손가 락을 외곽선을 제외하고 투명하게 중첩표시할 수 있다.When only a part of the fingers are in contact with the jog dial switch 12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in the operation unit 10, the contact fingers are superimposed on the screen in a superimposed manner so as to distinguish the contact fingers and the non-contact fingers from each other on the display unit 14 , The non-contact fingertip can be superimposed transparently except for the outline.

또한, 상기 조작부(10)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조작에 따라 조작 버튼의 기능이 바뀔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switch 12 of the operation unit 10. [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 표시 영역(21)은 고정되어 있고, 새끼손가락에 위치한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조작(푸쉬 조작)으로 상기 조작 버튼 표시 영역(21)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버튼 중 네비게이션 버튼이 선택되어 네비게이션의 조작메뉴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operation button display area 21 is fixed and displayed on the operation button display area 21 by the operation (push operation) of the jog dial switch 12 located on the little finger A navigation button among the operation buttons being selected can be selected to display the operation menu button of the navigation.

상기 표시제어부(13)는 손가락 삽입부(18)의 각 홈부에 설치된 조그 다이얼 스위치(12)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표시부(14)의 조작버튼(16)과 손가락 화상(17)이 일대일 대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s from the jog dial switches 12 provided in the respective groove portions of the finger insertion unit 18 and controls the operation buttons 16 of the respective display units 14 and the finger images 17 in a on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따라서, 검지손가락으로 조그 다이얼 스위치(12)를 누름조작하면 표시부(14)에 표시된 검지손가락 화상(17)이 표시부(14)의 화면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조작버튼(16)에 맞춰지지 않더라도 검지손가락 화상(17)이 자동적으로 가장 오른쪽에 있는 조작버튼(16)에 맞춰져서 조작되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index finger image 17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is not aligned with the operation button 16 on the rightmost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if the jog dial switch 12 is pressed by the index finger, The image 17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rightmost operation button 16 and operated.

또한, 상기 손가락 화상(17)이 표시부(14) 화면에서 상반부에 위치한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4) 상부에 있는 조작 메뉴 버튼이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손가락 화상(17)이 표시부(14) 화면에서 하반부에 위치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4)의 하부에 있는 조작 메뉴 버튼이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에 의해 조작된다.8, when the finger image 17 is located at the upper half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the operation menu button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unit 14 is operated by the jog dial switch 12, When the image 17 is located at the lower half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the operation menu button at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14 is operated by the jog dial switch 1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기 손가락 화상(17)을 표시부(14) 화면의 각 조작 메뉴 버튼에 맞추지지 않더라도 각 손가락에 위치한 조그 다이얼 스위치(12)를 조작 메뉴 버튼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us, even if the finger image 17 is not matched to each operation menu butt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the jog dial switch 12 located on each finger is set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operation menu button,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손가락 화상(17)이 어느 조작 메뉴 버튼과 관련있는지를 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n, it is possible to display, in a line, which operation menu button the finger image 17 relates to.

또한, 상기 조이스틱(11) 및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접촉 및 조작과 관련된 메뉴버튼을 진하게 또는 버튼의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반대로 상기 조이스틱(11) 및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접촉 및 조작과 관련되지 않은 메뉴버튼을 반투과로 표시하거나 버튼의 사이즈를 작게 하여 화면 정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r size of the menu button related to the contact and manipulation of the joystick 11 and the jog dial switch 12 or to make contact with and manipulation of the joystick 11 and the jog dial switch 12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screen information by displaying the unrelated menu button in a semi-transparent manner or by reducing the size of the button.

상기 조이스틱(11) 및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접촉 및 조작과 관련된 메뉴버튼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다른 메뉴버튼에 손가락 화상(17)을 중첩시키거나, 조작부(10)에서 손가락을 멀리하여 해제할 수 있다.When the user desires to release the menu button related to the contact and manipulation of the joystick 11 and the jog dial switch 12, the finger image 17 is superimposed on another menu button or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operation unit 10 .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시 상기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의 휠조작(up & down) 및 조이스틱(11)의 좌우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 화상(17)이 항상 문자 입력 버튼 위에 중첩되게 위치하여 두개 버튼 사이에 손가락 화상(17)이 겹침으로 인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10,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nger images 17 are always displayed on the character input button 12 by the wheel operation (up & down) of the jog dial switch 12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of the joystick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neous operation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finger images 17 between the two button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조작부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 1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operated in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는 PC의 마우스와 같은 반구형상의 케이스(100)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 조작부(10)의 표면에는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손가락 삽입부(180)가 형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uni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mispherical case 100 structure such as a mouse of a PC and can be used to insert a finger, The finger insertion portion 180 is formed to be concave.

상기 손가락 삽입부(180)의 끝단에는 푸쉬 및 휠 조작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 스위치(120)가 설치되어 표시부(14) 화면의 조작버튼(16)을 선택 및 조작할 수 있다.A jog dial switch 12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inger inserting unit 180 so that a push and a wheel can be operated to select and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16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

또한, 상기 조작부(10)의 양측면부에는 각각 조그 다이얼 스위치(120)가 설치될 수 있고, 조작부(10)의 왼쪽측면에 있는 조그 다이얼 스위치(120)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고, 오른쪽 측면에 있는 조그 다이얼 스위치(120)를 조수석자가 조작할 수 있다.A jog dial switch 120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operation unit 10 and a jog dial switch 120 on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unit 10 may be operated by a driver. The jog dial switch 120 can be operated by the assistant driver.

그리고, 상기 조작부(10)의 밑면에는 위치감지센서(19)가 설치되어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고, A position sensor 19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operation unit 10 to detect position coordinates,

상기 위치좌표의 검출은 주지의 광학식이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가능하고, 조작부(10)의 밑면에 조이스틱(11) 구조를 하고 조작부(10) 자체를 상하좌우, 경사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The position coordinates can be detected by a well-known optical or pointing device. The joystick 11 can be constru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10 and the operation unit 10 itself can be operated in the up, down, left, right, and oblique directio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all of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서 조작부를 보여주는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portion in Fig.

도 4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ortion

도 5는 손가락이 조작부에서 전부 접촉되지 않을 경우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finger is not fully contacted with the operation unit

도 6은 도 5에서 손가락이 조작부에 접촉될 경우 조작버튼과 손가락 화상의 표시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splay change of an operation button and a finger image when the finger touches the operation unit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 버튼과 손가락 화상의 표시 천이를 나타내는 개략도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play transition of an operation button and a finger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의 조작과 각 스위치의 기능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distribution of each switch

도 10은 본 발명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1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opera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서 조작부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조작부 11 : 조이스틱10: Operation part 11: Joystick

12,120 : 조그 다이얼 스위치 13 : 표시제어부12,120: Jog dial switch 13: Display control section

14 : 표시부 15 : 차량적재기기부14: display unit 15: car loader donation

16 : 조작버튼 17 : 손가락 화상16: operation button 17: finger image

18,180 : 손가락 삽입부 19 : 위치감지센서18,180: finger insertion part 19: position detection sensor

20 : 글로브 박스 21 : 조작 버튼 표시 영역20: glove box 21: operation button display area

100 : 케이스100: Case

Claims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스위치와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작부(10);An operation portion (10) including at least one operation switch and a pointing device; 조작화면에 각종 차량 적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16) 및 포인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 화상(17)을 표시하는 표시부(14);An operation button (16) for operating various vehicle loading devices on the operation screen and a display section (14)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finger images (17) with a pointer; 상기 조작스위치 및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14)의 조작화면에 상기 조작버튼(16) 및 손가락 화상(17)을 중첩 표시 및 제어하는 표시제어부(13)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And a display control section (13)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pointing device and superimpos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button (16) and the finger image (17) on an operation screen of the display section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0)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이 각각 들어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된 손가락 삽입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The manipul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ipulation unit (10) includes a finger insertion unit (18) having at least one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a finger, a finger, and a little finger can be inser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각 손가락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작가능하도록 손가락 삽입부(18)의 각 홈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The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rating switches are provided in the respective groove portions of the finger inserting portion (18) so as to be individually operable by the respective fing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조작버튼(16)의 선택 및 결정 조작을 위해 푸쉬 및 휠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그 다이얼 스위치(12)이고, 상기 조그 다이얼 스위치(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 화상(17)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조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The jog dial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witch is a jog dial switch (12) capable of performing push and wheel operations for selecting and determining operations of the operation button (16) (17)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에는 접촉센서가 내장되어, 상기 표시제어부(13)가 접촉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표시부(14)에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uch sensor is incorporated in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and identifies whether or not the finger is touchable on the display unit Oper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4)의 손가락 화상(1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스위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표시제어부(13)는 표시부(14)의 손가락 화상(17)과 조작버튼(16)을 일대일 대응되게 제어하여 손가락 화상(17)을 조작버튼(16)에 맞추지 않더라도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각각의 손가락 화상(17)에 대응되는 조작버튼(16)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The display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image (17) of the display unit (14) is individually controlled by at least one operation switch,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13) 16 so that the operation buttons 16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nger images 17 are automatically execu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es 17 even if the finger images 17 are not aligned with the operation buttons 16 To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0)는 저면에 위치좌표를 검출하는 위치감 지센서(19)가 내장된 반구형태의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그 다이얼 스위치(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unit (10) comprises a semi-spherical case structure in which a position sensor (19) for detecting position coordinates on a bottom surface is incorporated, Wherein at least one jog dial switch (120) is provided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KR1020090076410A 2009-08-18 2009-08-18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470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10A KR101470027B1 (en) 2009-08-18 2009-08-18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10A KR101470027B1 (en) 2009-08-18 2009-08-18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80A KR20110018780A (en) 2011-02-24
KR101470027B1 true KR101470027B1 (en) 2014-12-05

Family

ID=4377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410A KR101470027B1 (en) 2009-08-18 2009-08-18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0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3505A (en) 2011-09-25 2014-05-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5413448B2 (en) * 2011-12-23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device
KR101621369B1 (en) * 2014-12-08 2016-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othod for gesture recogn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415U (en) * 1992-11-18 1994-06-07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Vehicle switch device
US5945646A (en) * 1997-08-04 1999-08-31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subsystems
JP2000006687A (en) * 1998-06-25 2000-01-11 Yazaki Corp Onboard equipment switch safety op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415U (en) * 1992-11-18 1994-06-07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Vehicle switch device
US5945646A (en) * 1997-08-04 1999-08-31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subsystems
JP2000006687A (en) * 1998-06-25 2000-01-11 Yazaki Corp Onboard equipment switch safety ope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80A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108B1 (en) Display and control system in a motor vehicle having user-adjustable representation of displayed object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isplay and control system
US9346356B2 (en) Operation input device for vehicle
US8384666B2 (en) Input device for operating in-vehicle apparatus
US20110063425A1 (en) Vehicle Operator Control Input Assistance
JP4960127B2 (en) Operation device
US9811200B2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input device
US10346118B2 (en) On-vehicle operation device
JP2010184600A (en) Onboard gesture switch device
JP6035828B2 (en) Display operat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JP2007326491A (en) Vehicular input device
KR101928637B1 (en)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system in a vehicle
KR20170109283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2019021291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uman-machine interface and human-machine interface
KR10149116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VN of vehicle
JP2004345549A (en) On-vehicle equipment operating system
JP2011116304A (en) User interface device
US2020031054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06264615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KR101470027B1 (en) Op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6266090B2 (en) Operating device
JP2018195134A (en) O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7188098A1 (en) Vehicle-moun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146691B2 (en) Remote control device
WO2015122259A1 (en)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