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07B1 - 무선 이어폰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07B1
KR101469907B1 KR1020130100476A KR20130100476A KR101469907B1 KR 101469907 B1 KR101469907 B1 KR 101469907B1 KR 1020130100476 A KR1020130100476 A KR 1020130100476A KR 20130100476 A KR20130100476 A KR 20130100476A KR 101469907 B1 KR101469907 B1 KR 10146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icrophone
passage
soun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07B1/ko
Priority to PCT/KR2014/003341 priority patent/WO20150260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 구멍을 향하는 방향 기준으로 마이크와 스피커가 나란히 배치되고, 마이크와 외부 간의 음향이 이동하는 통로와 스피커과 외부 간의 음향이 이동하는 통로를 상호 차단되게 분할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성이 좋고, 불량이 적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이어폰{WIRELESS EARPHONE}
본 발명은 마이크를 일체로 가지는 무선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는 사용자와의 밀접한 관계로 인하여 사용자와의 생활 속에서 이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특히 근래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게 진화된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보급은, 휴대 전화의 전통적인 음성이나 문자 통신 기능 외에도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은 물론 다양한 동영상 게임 기능까지 결합시키고 있다.
위와 같이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음향 발생이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이용할 시에, 사용자는 다른 이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도록 이어폰을 사용한다.
또한, 이어폰은 음성 통화 시에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분리된 또렷한 음성 수신음을 듣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이어폰에는 마이크가 구비되는 모델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근자에는 불루투스(Blue tooth)를 이용한 무선 이어폰도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는 이어폰의 케이블에 구비되거나 이어폰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은 이어폰모듈에 마이크가 구비되는 형태의 이어폰과 관계한다.
이어폰에 마이크를 구비하는 기술과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92958호(발명의 명칭 : 이어셋,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방음부재를 마련하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병렬로 구성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방음부재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조립에 어려움이 있는 등과 같이 생산성이 떨어진다.
둘째, 이어폰의 크기를 고려할 때 마이크와 스피커의 설치 공간의 제약이 크고, 스피커의 성능이 떨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마이크를 무선 이어폰에 일체로 설치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기술을 제공한다.
둘째, 스피커와 마이크의 설치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이어폰은,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 들어올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는 통로구멍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통로구멍을 상호 차단된 제1 통로와 제2 통로로 분할하는 분할요소;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거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마이크, 스피커 및 무선통신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마이크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이크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된다.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제2 통로가 상기 제1 통로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분할요소는 통형상이며, 적어도 3 지점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진다.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는 밀폐된 공기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이어폰은,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피커와 나란하면서 상기 스피커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되며,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거나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통로구멍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통로구멍을 상호 차단된 제1 통로와 제2 통로로 분할하는 분할요소; 를 포함하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제공하거나,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스피커, 마이크 및 무선통신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스피커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피커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의 후방에는 밀폐된 공기층이 구비된다.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제2 통로가 상기 제1 통로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분할요소는 통형상이며, 적어도 3 지점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진다.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는 밀폐된 공기층이 구비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좋고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둘째, 마이크와 스피커가 사용자의 귀 구멍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히 직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마이크 및 스피커의 설치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성능이 검증된 기존 제품(마이크나 스피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셋째, 별도의 공기층에 의해 마이크와 스피커 간의 음향 간섭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무선 이어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무선 이어폰을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간결함과 명확함을 위해 중복되거나 주지된 기술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제1 실시예>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100)은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110), 스피커(120), 하우징(130), 분할벽(140), 탄성고무(150), 무선통신모듈(160) 및 전원모듈(170)을 포함한다.
마이크(110)는 외부로부터 오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된 전기신호는 무선통신모듈(160)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음향기기(휴대 전화, MP3 플레이어 등) 측으로 무선 송출된다.
스피커(120)는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오는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스피커(120)는 마이크(11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이크(110)와 나란하면서 마이크(110)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된다. 즉, 마이크(110)와 스피커(120)가 사용자의 귀 구멍, 마이크(110), 스피커(120) 순으로 직렬적으로 위치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하우징(130)은 마이크(110)와 스피커(120)를 내부공간(S)에 수용한다. 이러한 하우징(130)은 내부공간(S)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외부의 음향이 마이크(110)로 들어올 수 있게 하거나 스피커(120)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는 통로구멍(PH)을 가진다.
분할벽(140)은 통로구멍(PH)을 제1 통로(PW1)와 제2 통로(PW2)로 분할하는 분할요소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분할벽(140)은 제1 통로(PW1)와 제2 통로(PW2)를 상호 차단시킨다. 따라서 제1 통로(PW1)는 외부의 음향이 마이크(11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2 통로(PW2)는 스피커(120)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분할벽(140)은 하우징(13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분할벽(140)은 제2 통로(PW2)가 제1 통로(PW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 음향을 마이크(110)로 수집하거나 스피커(120)에서 발생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고려하여, 적어도 3 지점(P1, P2, PW3)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왜냐하면, 마이크(110)와 스피커(120)의 크기, 외부 음향의 수집 효율, 발생된 음향의 출력 효율 등을 고려하여 외부와 맞닿는 부분(A)의 폭 등을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이크(110)와 스피커(120) 사이에는 분할벽(140)을 이용하여 형성한 밀폐된 공기층(AL)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층(AL)은 외부 소음 또는 스피커(120)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의 간섭을 줄인다.
탄성고무(150)는 마이크(11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고무(150)는 외부 소음 또는 스피커(120)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간섭을 줄이는 흡음재로서 기능한다.
무선통신모듈(160)은 마이크(110)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음향기기 측으로 무선 송출하거나, 음향기기 측으로부터 온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0)으로 제공한다.
전원모듈(170)은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서 마이크(110), 스피커(120), 무선통신모듈(16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무선 이어폰모듈(100)에 따르면,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외부의 음향은 제1 통로(PW1)를 통해 마이크(110) 측으로 진입(a 화살표 참조)하는 반면에, 스피커(120)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2 통로(PW2)를 통해 외부로 출력(b 화살표 참조)되므로, 스피커(120)에서 발생된 음향이 마이크(110)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제2 실시예>
도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200)은 스피커(210), 마이크(220), 하우징(230), 분할벽(240), 탄성고무(250), 무선통신모듈(260) 및 전원모듈(270)을 포함한다.
스피커(210)는 무선통신모듈(260)을 거쳐 오는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220)는 외부로부터 오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모듈(260)로 보낸다. 그리고 변환된 전기신호는 무선통신모듈에서 무선신호로 변환된 후 음향기기 측으로 무선 송출된다. 이러한 마이크(220)는 스피커(21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스피커(210)와 나란하면서 스피커(210)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된다. 즉, 스피커(210)와 마이크(220)가 사용자의 귀 구멍, 스피커(210), 마이크(220) 순으로 직렬적으로 위치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하우징(230)은 스피커(210)와 마이크(220)를 내부공간(S)에 수용한다. 이러한 하우징(230)은 내부공간(S)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외부의 음향이 마이크(220)로 들어올 수 있게 하거나 스피커(210)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는 통로구멍(PH)을 가진다.
분할벽(240)은 통로구멍(PH)을 제1 통로(PW1)와 제2 통로(PW2)로 분할하는 분할요소로서 기능한다. 제1 통로(PW1)는 스피커(210)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2 통로(PW2)는 외부의 음향이 마이크(2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분할벽(240)은 하우징(23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과, 제2 통로(PW2)가 제1 통로(PW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물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할벽(240)이 적어도 3 지점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210)와 마이크(220) 사이에는 분할벽(240)을 이용하여 형성한 밀폐된 제1 공기층(AL1)이 구비되고, 마이크(220)의 후방에는 밀폐된 제2 공기층(AL2)이 구비된다. 제1 공기층(AL1)은 스피커(210)의 후방 떨림이 마이크(220)에 간섭하는 현상을 최대한 줄여주며, 제2 공기층(AL2)은 외부 소음과 스피커(210)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의 간섭을 줄여준다.
탄성고무(250)는 마이크(22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무선통신모듈(260)은 마이크(220)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음향기기 측으로 무선 송출하거나, 음향기기 측으로부터 온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10)으로 제공한다.
전원모듈(270)은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서 스피커(210), 마이크(220), 무선통신모듈(26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위와 같은 무선 이어폰(200)에 따르면, 외부의 음향은 제2 통로(PW2)를 통해 마이크(220) 측으로 진입하는 반면에, 스피커(210)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1 통로(PW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무선 이어폰
110, 220 : 마이크
120, 210 : 스피커
130, 230 : 하우징
140, 240 : 분할벽
160, 260 : 무선통신모듈
170, 270 : 전원모듈
S : 내부 공간
PH : 통로구멍
PW1 : 제1 통로 PW2 : 제2 통로
AL : 공기층
AL1 : 제1 공기층 AL2 : 제2 공기층

Claims (7)

  1.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 들어올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는 통로구멍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통로구멍을 상호 차단된 제1 통로와 제2 통로로 분할하는 분할요소;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거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마이크, 스피커 및 무선통신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마이크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이크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되며,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제2 통로가 상기 제1 통로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2.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피커와 나란하면서 상기 스피커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되며,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거나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통로구멍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통로구멍을 상호 차단된 제1 통로와 제2 통로로 분할하는 분할요소; 를 포함하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제공하거나, 상기 마이크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스피커, 마이크 및 무선통신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외부의 음향이 상기 마이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스피커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피커보다 사용자의 귀 구멍에서 더 멀리 배치되며,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제2 통로가 상기 제1 통로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후방에는 밀폐된 공기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요소는 통형상이며, 적어도 3 지점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요소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에는 밀폐된 공기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KR1020130100476A 2013-08-23 2013-08-23 무선 이어폰 KR10146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76A KR101469907B1 (ko) 2013-08-23 2013-08-23 무선 이어폰
PCT/KR2014/003341 WO2015026042A1 (ko) 2013-08-23 2014-04-17 무선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76A KR101469907B1 (ko) 2013-08-23 2013-08-23 무선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907B1 true KR101469907B1 (ko) 2014-12-08

Family

ID=5248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76A KR101469907B1 (ko) 2013-08-23 2013-08-23 무선 이어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9907B1 (ko)
WO (1) WO201502604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07B1 (ko) 2018-09-12 2019-10-10 김진선 내츄럴 모니터링 이어폰
WO2020045705A1 (ko) * 2018-08-30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080659A1 (en) * 2018-10-15 2020-04-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20080578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213869A1 (ko) * 2019-04-16 2020-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KR102172832B1 (ko) 2019-08-16 2020-11-03 주식회사 알머스 무선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4606B (zh) * 2016-04-22 2020-11-20 邢皓宇 一种蓝牙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985A (ja) * 2000-05-12 2001-11-22 Ccd:Kk 振動伝達装置
JP2005277792A (ja) * 2004-03-25 2005-10-06 Nappu Enterprise Kk 発振・エコーキャンセラーシステム
JP4781850B2 (ja) * 2006-03-03 2011-09-28 ナップエンタープライズ株式会社 音声入力イヤーマイク
KR101092958B1 (ko) * 2011-05-25 2011-12-12 신두식 이어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33Y1 (ko) * 2004-10-15 2005-01-14 진 초우 차이 혼신 없는 송수신 이어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985A (ja) * 2000-05-12 2001-11-22 Ccd:Kk 振動伝達装置
JP2005277792A (ja) * 2004-03-25 2005-10-06 Nappu Enterprise Kk 発振・エコーキャンセラーシステム
JP4781850B2 (ja) * 2006-03-03 2011-09-28 ナップエンタープライズ株式会社 音声入力イヤーマイク
KR101092958B1 (ko) * 2011-05-25 2011-12-12 신두식 이어셋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05A1 (ko) * 2018-08-30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1445284B2 (en) 2018-08-30 2022-09-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udio equipment
KR102030707B1 (ko) 2018-09-12 2019-10-10 김진선 내츄럴 모니터링 이어폰
WO2020080659A1 (en) * 2018-10-15 2020-04-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US10972829B2 (en) 2018-10-15 2021-04-0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20080578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213869A1 (ko) * 2019-04-16 2020-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KR102172832B1 (ko) 2019-08-16 2020-11-03 주식회사 알머스 무선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042A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08B1 (ko) 이어폰
KR101469907B1 (ko) 무선 이어폰
US9762989B2 (en) Earset
US9219953B2 (en) Earphone microphone
CA3078544A1 (en) A noise reduction air tube microphone, noise-reduction safe headset and noise-reduction safe bluetooth headset
CN102668523B (zh) 用于在便携式设备中使用的装置
JP2015511805A (ja) イヤーセット用防音ハウジング及びそれを備える有無線イヤーセット
JP2014155145A (ja) イヤホンマイク
US9762991B2 (en) Passive noise-cancellation of an in-ear headset module
CN104105036A (zh) 多用途便携式音箱
CN103686501A (zh) 蓝牙降噪耳机
US9473842B2 (en) Earset
CN111801950A (zh) 无线耳机
US20140211970A1 (en) Earphone arrangements
CN212413401U (zh) 一种主动降噪的真无线耳机
CN203181199U (zh) 多用途便携式音箱
CN210405611U (zh) 一种智能无线耳机
CN107018458B (zh) 耳机
CN212519077U (zh) 电子设备
CN115396767A (zh) 耳机及耳机系统
TWM617940U (zh) 頭戴式耳機模組及頭戴式耳機
CN108156547B (zh) 一种tws耳机
CN108111936A (zh) 自适应用户听力特性的耳机系统
CN112019984A (zh) 电子设备
KR101023467B1 (ko) 이어마이크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