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048B1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 Google Patent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048B1
KR101469048B1 KR1020120122943A KR20120122943A KR101469048B1 KR 101469048 B1 KR101469048 B1 KR 101469048B1 KR 1020120122943 A KR1020120122943 A KR 1020120122943A KR 20120122943 A KR20120122943 A KR 20120122943A KR 101469048 B1 KR101469048 B1 KR 10146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stock
nozzle
compress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833A (en
Inventor
이은혁
Original Assignee
이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혁 filed Critical 이은혁
Priority to KR102012012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048B1/en
Publication of KR2014005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는 압축가스와 음료원액이 내장된 용기를 거꾸로 한 다음 노즐을 개방하여 상기 음료원액이나 시럽의 약 1회분 정도의 원액을 추출하여 컵에 담아 음용할 수 있는 음료 추출기구에 관한 것으로, 압축가스와 다회용 음료원액을 내장하는 용기 본체와 일정 분량의 음료 원액을 집적할 수 있는 음료집적부와 음료집적부에 집적된 음료 원액을 배출하는 음료배출관과 용기 본체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며, 가압에 의해 개방되어 음료 원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disciplinary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beverage accumul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ompressed gas and the beverage stock solution and then opening the nozzle to extract the undiluted solution of about 1 time of the beverage stock or syrup, A beverage collecting unit capable of collecting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stock and a beverag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a beverage stock integrated in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And a nozzle unit for clos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being opened by pressurization to discharge the beverage stock to the outside.

Description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집적부가 구비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압축가스와 음료원액이 내장된 용기를 거꾸로 한 다음, 노즐을 개방하여 상기 음료원액이나 시럽의 약 1회분 정도의 원액을 추출하여 컵에 담아 음용할 수 있는 음료 추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collecting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beverage container integrated with a compressed gas and a beverage stock, inverting the container and opening the nozzle to extract the beverage stock or syru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drinking in a cup.

일반적으로 편의점, 마트 등에서 원두커피, 감귤주스, 오렌지 주스, 포도 주스 등의 음료원액이나 원액 농축액보다는 일회용의 인스턴트 커피나 일회용 캔음료가 많이 판매되고 있다.
Generally, disposable instant coffee or disposable can drink is more popular than beverage concentrate such as bean coffee, citrus juice, orange juice, grape juice, and the like in convenience stores and marts.

그러나 이러한 1회용 음료는 음료 자체보다도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에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하다.
However, this disposable beverage is more expensive to enter a container for storing beverages than a beverage itself.

특히, 원두커피는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지만 원두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커피전문점에 가야하거나, 값비싼 커피 머신과 같은 추출기를 마련하여 원두에서 일정 시간 커피원액을 추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Especially, coffee beans are preferred by many people, but in order to drink coffee beans, it is necessary to go to a coffee shop, or to prepare an extracting machine such as an expensive coffee machine to extract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beans for a certain time.

따라서 원두커피는 일반적인 일회용 캔음료와 같이 거리에서나 직장에서 손쉽게 음용할 수 없으며, 거리나 직장에서 손쉽게 음용하기 위한 휴대용의 커피 머신도 비용때문에 상용화되지 않고 있다.
Therefore, coffee beans can not be easily ingested at a distance or in the workplace, such as ordinary disposable canned drinks, and portable coffee machines for easy drinking at a distance or at work are not commercially available.

또한, 대부분의 캔음료나 커피 음료가 일회용으로 판매되어 용기 자체의 비용뿐만 아니라 음용한 이후에 캔 또는 빈병에 대한 처리가 어려워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In addition, most canned beverages and coffee beverages are sold in a disposable manner, which not only has the cost of the container itself, but also has a serious impact on the environment since it is difficult to treat cans or empty bottles after drinking.

그리고 장시간 운전하거나 외부에서 활동하여야 하는 경우에 음료원액이나 원두커피를 많이 마시고자 할 경우에 음료원액이나 원두커피를 PET 병 등에 담아 보관하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료원액 또는 원두커피 고유의 맛이 변질되어 음용자는 음료원액 또는 원두커피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f you want to drink a lot of beverage or coffee beans in case you need to drive for a long time or work outside, put a beverage or coffee beans in a PET bottle, and then you can taste the original taste of beverage or coffee bea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nker can not feel the original taste of the beverage liquid or the coffee bea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회분의 음료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일회분의 음료를 음료용기에서 배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beverages and discharging on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s as nee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에 내장된 압축가스에 의해 일회분의 음료가 배출된 이후에 노즐부와 음료배출관을 세척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의 음료원액을 음용할 수 있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drinking a beverage stock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by cleaning the nozzle portion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after a single beverage is discharged by the compressed gas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리나 직장 또는 야구장 등 어느 곳에서든지 편리하게 휴대하면서 음용자가 원두커피 또는 음료원액의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음료의 맛이 변하지 않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in which the taste of the beverage is not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feel the fresh taste of the beverage or coffee beverage while traveling conveniently at any place such as a street, a workplace or a baseball field.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는 압축가스와 다회용 음료원액을 내장하는 용기 본체와 일정 분량의 음료 원액을 집적할 수 있는 음료집적부와 음료집적부에 집적된 음료 원액을 배출하는 음료배출관과 용기 본체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며, 가압에 의해 개방되어 음료 원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beverage collecting portion capable of collecting a certain amount of a beverage stock and a beverage stock accumulated in the beverage collecting portion. And a nozzle unit for clos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being opened by pressurization to discharge the beverage stock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에 포함된 노즐부는 용기 본체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는 고무 밸브와 고무 밸브의 중앙 홈을 관통하며 중앙부는 비어있는 노즐 몸체와 노즐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 몸체를 지지하며, 가압에 의해 노즐 몸체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스프링과 음료 원액과 압축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ozzle portion included in th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valve for clos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a nozzle body passing through the central groove of the rubber valve and having a hollow central portion, A spring for supporting the body and vertically moving the nozzle body by pressurization,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everage concentrate and compressed ga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에 포함된 음료집적부는 깔때기 모양, 원통 모양 또는 사각형의 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어 일회 분량의 음료원액을 집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everage collecting part included in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beverage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y one of a funnel shape, a cylindrical shape, and a rectangular shape, do.

특히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는 노즐부를 통해 음료 원액이 배출된 후에 압축가스의 일부가 음료배출관과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어 음료배출관과 노즐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articularly, th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compressed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and the nozzle unit after the beverage stock solu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unit,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and the nozzle unit are cleaned.

그리고,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는 용기 몸체의 상부 입구와 노즐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노즐부는 스프링과 음료원액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 주위를 둘러싸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beverage accumul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for protect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nozzle portion, and the nozzle portion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surrounding the spring And the like.

본 발명은 다회분의 음료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일회분의 음료를 음료용기에서 배출하여 냉온수에 희석시켜 편리하게 음료원액의 맛을 즐길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 large number of beverages and, if necessary, drain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and dilute it in cold / hot water to conveniently enjoy the taste of the beverage stock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에 내장된 압축가스에 의해 일회분의 음료가 배출된 이후에 노즐부와 음료배출관을 세척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의 음료원액을 음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산소의 접촉으로 인한 산화작용을 방지함으로써 음용자에게 처음 그대로의 신선한 맛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dispenser which can clean a nozzle portion and a beverage discharge pipe after a single beverage is discharged by a compressed gas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fresh taste as it is for the first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리나 직장 또는 야구장 등 어느 곳에서든지 커피머신과 같은 고가의 장비없이도 저렴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nk inexpensively without any expensive equipments such as a coffee machine at any place, such as a street, a workplace or a baseball field.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를 거구로 하였을 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노즐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노즐부에 가압을 했을 때의 확대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accumul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a multidisciplinary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accumul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nozzle for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nozzle portion having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pressurized.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ally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technique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를 거구로 하였을 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노즐부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노즐부에 가압을 했을 때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nozzle unit having the beverage accumul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pressurized. Fig.

먼저 도1의 정면도로부터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를 설명한다.
First, from the front view of Fig. 1,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한 다회용 음료용기(100)는 압축가스(70)와 다회용 음료 원액(60)을 내장하는 용기 본체(10)와 일회 분량의 음료 원액(60)을 집적할 수 있는 음료집적부(20)와 음료집적부(20)에 집적된 음료 원액(60)을 배출하는 음료배출관(30)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며, 가압에 의해 개방되어 음료 원액(6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부(40)를 포함한다.
Th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container 100 in which a container body 10 containing a compressed gas 70 and a multidiscrete beverage stock 60 and a beverage accumulation unit 60 capable of accumulating a one- A beverage discharging pipe 30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stock 60 accumulated in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20 and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main body 10 and is opened by the pressurization to form the beverage stock 60, And a nozzle unit 40 for discharging the gas to the outside.

여기서, 음료 원액이란 시럽, 원두커피, 커피 원액, 또는 음료 농축액 등을 의미한다.
Here, the beverage stock solution means a syrup, a coffee bean, a coffee stock solution, a beverage concentrate, or the lik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음료원액 외에도 내부에 탄산음료, 주류 등 음용 가능한 다양한 액체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약제 등도 담을 수 있다.
As long as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is familiar with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liquids, such as carbonated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the like, to be used in the beverage can be contained in the beverage undiluted solution.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는 플라스틱, PET, 알루미늄, 철 등 다양한 소재의 내압 용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The vessel body 10 may be a pressure vessel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PET, aluminum, and ir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uminum is used.

여기서 내압 용기라 함은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용기가 음료 원액뿐만 아니라 압축가스도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압축가스가 충전되면 상기 압축가스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Her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refers to a container capable of withstanding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gas when the compressed gas is filled, because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store not only the raw beverage but also the compressed gas.

커버(50)는 용기 몸체의 상부 입구와 노즐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에 커버를 개폐하고 노즐부를 가압하여 음료원액을 배출하게 된다.
The cover 50 serves to protect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nozzle unit, and when necessary, opens and closes the cover and pressurizes the nozzle unit to discharge the beverage stock solution.

또한 커버(50)는 커버가 없을 경우에 노즐부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았음에도 가압에 의해 개방되어 음료원액이 배출되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ver 50 is not provided, the cover 50 is opened by the pressure even though the nozzle portion is not desired by the user, thereby protecting the beverage stock from being discharged.

음료 원액은 상기 노즐부(40)가 다회용 음료용기(100)에 부착되기 전에 외부에서 주입되거나 또는 노즐부(40)가 형성된 이후에 후술하게 되는 노즐부(40)의 통공(600)을 통해 외부에서 음료용기로 주입된다.
The beverage stock solution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before the nozzle unit 40 is attach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00 or after the nozzle unit 4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600 of the nozzle unit 40 And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outside.

음료 원액(60)이 주입된 이후에 압축가스(70)를 노즐부(40)의 통공을 통해 충전한다. 압축가스로는 질소가스가 사용되며 그 외에 음료 원액을 변질하지 않는 수소가스, 헬륨가스, 탄산가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음료의 신선도 및 음료의 독특한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가스이어야 한다.
The compressed gas 70 is fi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nozzle unit 40 after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is injected. Nitrogen gas is used as the compressed gas, and hydrogen gas, helium gas, carbon dioxide gas, and the like, which do not change the beverage liquid, can be used, and the gas should be a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beverage and the unique taste of the beverage.

본 발명에서는 음료원액을 주입한 이후에 압축가스를 충전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순서를 달리하여도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filling the compressed gas after injecting the beverage stock solu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rive the same results even if the sequence is different.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료 원액(60)이 가스보다 무겁기 때문에 음료 원액(60)은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 용기(100)의 하부에 있게 되며, 상부에는 압축가스(70)가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since the beverage stock 60 is heavier than the gas, the beverage stock 60 is in the lower part of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ressed gas 70 is in the upper part.

따라서, 음료 원액(60)이 압축가스(70)와 상존할 수 있도록 음료 원액과 압축가스의 비율이 8:2에서 7:3 정도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필요에 따라 그 비율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beverage stock solution to the compressed gas is about 8: 2 to about 7: 3 so that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can be present in the compressed gas 70. However, If so, you will be able to adjust the ratio as needed.

또한, 음료집적부(20)는 다회용 음료용기(1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지 않으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음료집적부의 가장 큰 외경은 다회용 음료용기(100)의 하부면 면적의 80~90% 이상을 차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면적을 필요에 따라 변경 또는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2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argest outer diameter of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area to occupy 80 to 90% or more of the area.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hange or modify the area as needed.

음료배출관(30)은 음료집적부(20)에 집적된 음료원액(60)이 후술하는 통공(6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으로서, PET 병과 같은 재질의 PET 필름이거나 BOPP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른 종류의 필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is a pipe for allowing the beverage stock 60 integrated in the beverage accumulation unit 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is a PET film made of a PET bottle or a BOPP film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se it as a different kind of film.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를 거꾸로 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of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provided with the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verted state.

음료 원액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용기(100)를 도 2와 같이 거꾸로 하게 되면 음료집적부에 일정분량의 음료원액이 들어가며, 나머지는 다회용 음료용기의 하측면으로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When a user intends to use the beverage liquid,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liquid enters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when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rted as shown in FIG. 2, .

이때 음료집적부에 집적되는 일정 분량의 음료원액은 음용자가 일회에 한번 냉수 또는 온수와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일회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beverage stock solution accumulated in the beverage accumulating unit is about one time so that the drinker can drink once with cold water or hot water and drink it.

또한, 음료집적부(20)의 외경이 다회용 음료용기(100) 하부면의 80~90%를 차지하기 때문에 다회용 음료용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여러 번 음료 원액을 이용하여 잔존된 음료 원액이 적을 때에도 대부분이 음료집적부에 집적될 수 있기 때문에 음료 원액을 낭비하지 않고 음용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beverage collecting part 20 occupies 80% to 90%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for multiple use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remove the beverage stock solution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most of the beverage concentrate on the beverage concentrate, so that the beverage concentrate can be consumed without being wasted.

따라서,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용기는 음료집적부를 통해 사용자는 일회 분량 정도의 음료 원액만을 음료 용기를 통해 분리할 수 있으며, 일회 분량 정도의 음료 원액만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parate only a single amount of the beverage stock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accumulation unit, and only a single amount of the beverage stock can be discharged.

상기 음료원액(60)을 후술하는 노즐부를 통해 배출하여 컵, 유리잔 등 음용원액을 저장하는 용기에 담은 후에, 거꾸로 놓여진 다회용 음료용기(100)를 바로 세우면 다회용 음료용기(100) 내에 있는 음료원액(60)이 다시 원 상태로 회복하게 되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음용을 위해 필요에 따라 다회용 음료용기를 거꾸로 함으로서 음료집적부에 다시금 일회 분량의 음료원액을 집적하게 할 수 있음으로 음료원액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여러 차례 재 음용이 가능하다.
After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is discharged through a nozzle unit described later and placed in a container for storing a drinking solution such as a cup or a glass drink, the beverage container 100 placed upside down is immediately plac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00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gain to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1, and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can be inverted as needed for drinking, so that a one-time amount of the beverage stock can be accumulated again in the beverage accumulating unit It is possible to drink again several times until all the beverage is consum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는 깔때기 모양을 이루고 있음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외에도 원통 모양 또는 사각형의 모양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As shown in FIG. 2,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unnel shape. However,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s long as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has knowledge thereof will be.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노즐부(40)의 확대도이다.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nozzle unit 40 provided with the beverage col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노즐부(40)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는 고무 밸브(400)와 고무 밸브의 중앙 홈을 관통하며 중앙부는 비어있는 노즐 몸체(300)와 노즐 몸체(300)의 하부에서 노즐 몸체(300)를 지지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노즐 몸체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스프링(500)과 음료 원액과 압축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공(600)을 포함한다.
The nozzle unit 40 includes a rubber valve 400 clos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a nozzle body 30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groove of the rubber valve and having a central hollow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300 A spring 500 for supporting the nozzle body 300 and moving the nozzle body up and down by pressurization, and a through hole 600 through which a beverage stock and a compressed ga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고무밸브의 상부는 용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거나 패킹 형태로 고정된 상태이며 다회용 음료용기(100)가 거꾸로 되어 있을 경우에 음료 원액이 노즐부를 제외한 곳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valve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or is fixed in the form of a packing, and when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is upside down, the beverage liquid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portion excluding the nozzle portion.

즉, 다회용 음료용기(100)가 거꾸로 되더라도 음료 원액은 음료집적부(20)를 통해 음료배출관(30)을 거쳐 노즐부(40)로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even if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is turned upside down, the beverage stock solution is only discharged to the nozzle unit 40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through the beverage accumulating unit 20.

고무밸브의 하부는 음료배출관(30), 후술하게 되는 보호막(70)과 연결되는 연결층 및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층이 부착되어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valve is equipped with a beverage discharge pipe 30, a connection layer connected to a protective film 7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connection layer formed with a through hole.

이렇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배출관(30) 및 보호막(70)은 다회용 음료용기(100)의 휴대 또는 상당한 충격에도 다회용 음료 용기(100)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게 된다.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and the protective film 70 are fixed inside th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100 even when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is carried or subjected to considerable impact.

고무 밸브(400)는 노즐 몸체(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노즐 몸체(300)가 중앙 홈을 관통하며 고무 밸브(400)와 밀착 고정되어 있다.
The rubber valve 400 has a central groove to allow the nozzle body 300 to be inserted therein. The nozzle body 300 passes through the center groove and is tightly fixed to the rubber valve 400.

노즐 몸체(300)의 중앙부는 스프링과 맞닿아 있는 하부면을 제외하고는 비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노즐 몸체(300)의 일측 측면 일부에 통공(600)이 형성되어 노즐 몸체가 하부로 하강하였을 때 두 개의 통공(600)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The center of the nozzle body 300 is hollow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spring. A through hole 600 is formed in a part of one side of the nozzle body 300, The two through holes 6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노즐 몸체(300)의 하부에는 노즐 몸체(300)를 지지하면서, 노즐 몸체가 눌림압력을 받았을 때 압축되어 노즐 몸체(300)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눌림압력이 해제되었을 때는 노즐 몸체(300)를 상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다.
The nozzle body 300 is supported on the lower part of the nozzle body 300 and is compressed when the nozzle body receives a pressing pressure so that the nozzle body 300 can be moved downward. 300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스프링은 여기서는 용수철 스프링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판 스프링 형태나 다른 형태의 스프링으로도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Although the spring is exemplified herein as a spring spring, it may be deformed by a leaf spring type or other types of spring as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음료 원액(60)과 스프링(500)이 접촉하여 음료 원액(60)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주위로는 보호막(700)이 형성되어 있다.
A protective film 700 is formed around the spring to prevent the beverage stock 60 and the spring 500 from contacting each other and deterioration of the beverage stock 60.

상기 보호막(700)은 고무밸브와 같은 고무재질이거나 또는 PET 병과 같은 재질의 PET 필름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나일론 필름이나 BOPP 필름 등의 공지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otective film 70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a rubber valve or a PET film made of PET bottles. If necessary, a known film such as a nylon film or a BOPP film may be used.

그리고, 보호막(700)과 고무밸브(400)는 연결층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층의 일측 측면의 일부에는 통공(600)이 형성되어 있다.
The protective film 700 and the rubber valve 400 are fixed to each other as a connection layer, and a through hole 600 is formed in a part of on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또한, 도면부호로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노즐 몸체(300)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노즐 몸체(300)의 하부는 보호막(70)의 입구 외경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30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protective film 70 so that the nozzle body 300 does not rise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노즐 몸체의 하부 구조를 보호막의 입구 외경보다 더 넓은 형태에서 어떠한 모양으로도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bottom structure of the nozzle body may be deformed to any shape wid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protective membrane.

본 발명의 노즐부(40)에 포함되는 통공(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몸체(300)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층 일측면의 중앙에도 형성되어 있다.
The through hole 600 included in the nozzle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rmed in the nozzle body 300 as shown in FIG. 3,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 노즐부에 눌림 압력을 가했을 때의 확대도이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nozzle portion having a beverage accumul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ssure is applied thereto.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몸체(300)에 형성된 통공(600)과 연결층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600)이 서로 일치되어 음료 원액(60)과 압축가스(7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the through hole 600 formed in the nozzle body 300 and the through hole 60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layer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allow the beverage stock 60 and the compressed gas 70 to be discharged, Respectively.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노즐부(40)가 가압되었을 때 두 개의 통공(600)의 위치를 정합하기 위한 스토퍼 등을 통공(600) 또는 연결층의 일부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hen the nozzle unit 40 is pressed, a stopper or the like for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two through holes 60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600 Or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layer.

또한, 음용의 편리성을 위해 노즐부(40)에 눌림 압력을 가하여 통공을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노즐부(40)가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는 방법을 위에서 기술한 노즐부(40)의 눌러주는 압력을 가하는 것 외에도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압력을 가하여 통공을 일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pressing pressure to the nozzle unit 40 for the convenience of drinking, so that the through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nozzle unit 40 is downward The method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pressure to the nozzle unit 4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applying a pressure to the nozzle unit 40, thereby matching the through holes.

이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르는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를 통해 음료 원액을 배출하여 음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ischarging a beverage stock and drinking it through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having a beverage accum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다회용 음료용기(100)에서 일회 분량의 음료원액(60)을 추출하고자 할 때에는 다회용 음료용기(100)를 거꾸로 뒤집는다.
First, when the user wishes to extract a single dose of the beverage stock 60 from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100, the user turns the beverage container 100 upside down.

다회용 음료용기(100)를 거꾸로 뒤집으면 음료집적부(20)에 일회분량의 음료원액(60)이 집적되어 음료배출관(30)을 통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나머지 음료원액은 중력에 의해 음료배출관 외부에서 다회용 음료용기(10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에 있던 압축가스(7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is turned upside down, a single beverage stock 60 is accumulated in the beverage accumulation unit 20 and is moved downward by gravity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The beverage container 100 moves from the outside of the beverage discharge pip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the compressed gas 70 at the lower portion moves upward.

사용자가 음료 원액(60)을 담을 수 있는 컵 또는 유리잔의 하부 또는 측면에 본 발명에 따르는 음료용기(100)의 노즐부(40)를 눌러주어 압력을 가한다.
The user presses the nozzle portion 40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cup or glass pan which can contain the beverage stock 60 to apply pressure.

노즐부(40)가 눌림 압력을 받게 되면 노즐 몸체(300)에 형성된 통공(600)과 연결층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600)이 서로 위치가 정합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The through hole 600 formed in the nozzle body 300 and the through hole 60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layer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passage when the nozzle unit 40 receives a pressing pressure.

이렇게 형성된 하나의 통로를 통해 음료배출관(30)을 통해 하강된 음료원액(60)은 외부 즉, 사용자의 컵 또는 유리잔으로 배출되게 된다.
The beverage stock 60, which has been lower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through one of the passage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cup or the glass of the user.

음료배출관(30)을 통해 음료 원액이 배출되면, 음료배출관(30)을 통해 압축가스(70)의 일부도 역시 음료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압축가스의 팽창압력에 의해 음료배출관(30)에 잔존되어 있는 음료원액(60)이 모조리 배출되며, 또한 배출되는 압축가스(70)에 의해 음료배출관(30)이 세척되게 된다.
A portion of the compressed gas 70 is also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when the beverage raw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is cleaned by the compressed gas 70 that is discharged.

이제 음료원액(60)이 통공(600)을 통해 모두 배출되면 압축가스(70)도 통공(600)에 잔존된 음료원액(60)을 배출하며, 또한 압축가스에 의해 통공과 노즐부 몸체(300) 중앙부의 빈공간이 세척되게 된다.
When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is completely drained through the through holes 600, the compressed gas 70 also discharges the beverage stock 60 remaining in the through holes 600, and the through holes and the nozzle body 300 ) The empty space in the center part is cleaned.

이렇게 일회 분량의 음료원액(60)이 배출될 때마다 압축가스(70)에 의해 음료배출관, 통공 및 노즐부 몸체의 빈공간이 모두 세척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의 음료원액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empty space of the beverage discharge pipe, the through hole, and the nozzle body is completely cleaned by the compressed gas 70 every time the beverage raw liquid 60 is discharged in a single amount, the beverage raw solution in a clean state can be always consumed .

또한 압축가스가 배출되기 시작하면 압축가스의 배출에 의한 특유의 배출음(예를 들어 '피이~'하는 바람빠지는 소리)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료원액이 모두 배출되었으며 압축가스가 배출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노즐부(40)의 눌림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mpressed gas starts to be discharged, a unique exhaust soun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gas is generated (for example, a 'wind noise'), so that the user can see that all of the beverage liquid is discharged and the compressed gas is discharged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nozzle unit 40 is released.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할 수 있는 다회용 음료용기(100)로부터 일회 분량의 음료원액을 원하는 시기에 어디서든지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By the repetitiv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xtract a one-time amount of the beverage stock at any desired time from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100 that can be carried.

사용자는 추출된 음료원액을 그대로 음용하거나 기호에 따라 냉수, 온수를 혼합하거나 설탕, 프림과 같은 다른 첨가물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user may drink the extracted beverage liquid as it is, or drink cold water, hot water, or other additives such as sugar and prim, depending on the taste.

본 발명의 압축가스(70)의 압력은 사용자가 음료원액을 추출하는 만큼 압축가스가 빈 공간을 보충하여야 하며, 음료 원액을 추출할 때 음료배출관(30), 통공(600), 노즐부(40)의 빈공간을 세척하면서 일부가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회용 음료용기(70)로부터 음료 원액(60)을 음용할수록 낮아질 것이다.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gas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compressed gas needs to be supplemented by the compressed gas as much as the user extracts the beverage liquid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As the user drills the beverage stock 60 from th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70, the user will be lowered.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음료 원액(60)이 없어질 때까지 압축가스(70)가 팽창하면서 음료용기를 채우고 음료배출관(30), 통공(600) 및 노즐부(40)의 빈공간이 세척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압축가스의 압력을 충분히 설정하여 압축가스를 본 발명의 다회용 음료용기(100)에 충전하면 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압축가스의 압력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compressed gas 70 is inflated to fill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empty space of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the through-hole 600, and the nozzle unit 40 can be cleaned by the user until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disappears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gas is set from the beginning so that the compressed gas can be charged into th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s familiar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경제적 측면의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 압력만큼의 압축가스가 음료배출관(3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노즐부의 일측면에 압력 제어기 등을 더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lthoug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economics, the compressed ga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0, A pressure controller or the like may be further installed.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할 수 있는 다회용 음료용기를 이용한다면 필요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일회 분량의 음료를 음료용기에서 배출할 수 있으며, 압축가스에 의해 노즐부와 음료배출관이 세척되어 항상 청결한 상태의 음료원액을 음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f a portable multi-us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single amount of beverage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at any time and anywhere, and the nozzle portion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are washed by the compressed gas It is possible to always drink the beverage stock in a clean st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용기 본체 20: 음료집적부 30: 음료배출관
40: 노즐부 50: 커버
60: 음료원액 70: 압축가스
100: 제대로 놓았을 때의 다회용 음료용기
200: 거꾸로 되었을 때의 다회용 음료용기
300: 노즐 몸체 400: 고무밸브 500: 스프링
600: 통공 700: 보호막
10: container body 20: beverage accumulating part 30: beverage discharge pipe
40: nozzle unit 50: cover
60: Beverage stock solution 70: Compressed gas
100: Multi-purpose beverage container when properly placed
200: Multidisciplinary beverage container when inverted
300: nozzle body 400: rubber valve 500: spring
600: through hole 700: shield

Claims (6)

압축가스(70)와 다회용 음료 원액(60)을 내장하는 용기 본체(10);와
일정 분량의 음료 원액(60)을 집적할 수 있는 음료집적부(20);와
상기 음료집적부(20)에 집적된 음료 원액(60)을 배출하는 음료배출관(30);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며, 가압에 의해 개방되어 음료 원액(6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40)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입구를 마감하는 고무 밸브(400);와
상기 고무 밸브(400)의 중앙 홈을 관통하며 중앙부는 비어있는 노즐 몸체(300);와
상기 노즐 몸체(300)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 몸체(300)를 지지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노즐 몸체(300)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스프링(500);과
상기 음료 원액(60)과 상기 압축가스(70)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공(600);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 원액(60)이 상기 용기 본체(10)에 주입된 이후에 상기 압축가스(70)를 상기 노즐부(40)의 상기 통공(600)을 통해 충전하며,
상기 노즐부(40)의 통공의 위치를 정합하기 위한 스토퍼가 상기 통공(600)의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

A container body 10 containing a compressed gas 70 and a multivalent beverage stock 60;
A beverage collecting unit 20 capable of colle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stock 60;
A beverage discharge pipe 30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stock 60 accumulated in the beverage accumulating unit 20;
And a nozzle unit 40 for clos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opening by being pressurized to discharge the beverage stock 60 to the outside
The nozzle unit 40 includes a rubber valve 400 for clos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10,
A nozzle body 30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groove of the rubber valve 400 and having a hollow central portion;
A spring 500 for supporting the nozzle body 300 at a low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300 and moving the nozzle body 300 up and down by pressurization;
And a through hole (600) through which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and the compressed gas (7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mpressed gas 70 is 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600 of the nozzle unit 40 after the beverage stock 60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Wherein a stopper for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of the nozzle unit (40) is formed on a part of the through hole (6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집적부(20)는 깔때기 모양, 원통 모양 또는 사각형의 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collecting part (20) has a funnel shape, a cylindrical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 beverage container (100) comprising: a beverage container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40)를 통해 상기 음료 원액(60)이 배출된 후에 상기 압축가스(70)의 일부가 상기 음료배출관(30)과 상기 노즐부(40)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음료배출관(30)과 상기 노즐부(40)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compressed gas 70 is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30 and the nozzle unit 40 after the beverage stock 60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unit 40, And cleaning the nozzle unit 40
A beverage container (100) for multi-use having a beverage accumulating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100)는 상기 용기 몸체(10)의 상부 입구와 상기 노즐부(40)를 보호하는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
The beverage container (1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100) comprises a cover (50) for protecting the upper inlet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beverage container (100)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everage collecting part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40)는 상기 스프링(500)과 상기 음료원액(60)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 주위를 둘러싸는 보호막(700)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집적부를 구비한 다회용 음료용기(10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unit (40) comprises a protective film (700) surrounding the spring (500) so that the beverage stock solution (60)
The beverage container (100)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everage collecting section (100).












KR1020120122943A 2012-11-01 2012-11-01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KR101469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943A KR101469048B1 (en) 2012-11-01 2012-11-01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943A KR101469048B1 (en) 2012-11-01 2012-11-01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33A KR20140056833A (en) 2014-05-12
KR101469048B1 true KR101469048B1 (en) 2014-12-05

Family

ID=5088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943A KR101469048B1 (en) 2012-11-01 2012-11-01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0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75Y1 (en) * 2017-02-02 2017-09-11 엔비식스㈜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everage having suds in a cup
KR200489077Y1 (en) * 2017-06-27 2019-04-29 엔비식스(주)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eve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26A (en) * 2008-01-07 2009-07-23 Maruichi Valve Co Ltd Constant amount ejecting device
KR20100065941A (en)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하나 Discharging pump of liquid instrument
KR20120004671A (en) * 2010-07-07 2012-01-13 박헌호 Receptacle for discharging required quant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26A (en) * 2008-01-07 2009-07-23 Maruichi Valve Co Ltd Constant amount ejecting device
KR20100065941A (en)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하나 Discharging pump of liquid instrument
KR20120004671A (en) * 2010-07-07 2012-01-13 박헌호 Receptacle for discharging required quant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33A (en)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678B2 (en) Ribbed water spike
RU2020135516A (en) COLD BREWING COFFEE DRINK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CA2518643A1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TE425689T1 (en) DRINK PREPARATION DEVICE WITH SEVERAL DRINK COLLECTION CHAMBERS
US20140103549A1 (en) Single serve carbonation apparatus
CN109665475B (en) Self-service vending machine for refined beer
KR101498251B1 (en) Bottle for beverage
KR20160134691A (en)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a cooling unit
KR20190115090A (en) Anhydrous Ice Crystal Nucleator For Supercooled Beverage
KR101469048B1 (en)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toring part
EP2915776B1 (en) Beverage infusing and dispensing device
WO2009026541A1 (en) Universal and restrictive enclosures for safely repressurizing sparkling wines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
KR20160001967U (en)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WO2020021412A3 (en) A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and a flavored beverage
US6401598B1 (en) Tap carbonation concentrator
US3861431A (en) Air travel alcoholic beverage dispenser
KR101434901B1 (en) Portable Carbonic Acid Water product device
CN202594745U (en) Plum-blossom-shaped bottle cap opener
KR20100006436U (en) A Liquor Bottle
KR101656422B1 (en) Bottle for beverage
JP3136939U (en) Covered containers for beverages
KR100736441B1 (en) Carbonated beverage of a carbon dioxide leak prevention and vessel with auto opening-closures
GB2578086A (en) Reusable receptacle with refill pod
WO2018033805A1 (en) Apparatus for enhancing a drink bottle
KR200174370Y1 (en) can having dual suction 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