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774B1 - 휴대용 약물주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약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774B1
KR101468774B1 KR1020120118503A KR20120118503A KR101468774B1 KR 101468774 B1 KR101468774 B1 KR 101468774B1 KR 1020120118503 A KR1020120118503 A KR 1020120118503A KR 20120118503 A KR20120118503 A KR 20120118503A KR 101468774 B1 KR101468774 B1 KR 10146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ntrol unit
drug infusion
flow rat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223A (ko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3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휴대용 약물주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는, 휴대용 약물주입기로서, 약물주입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약물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측정유닛;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약물의 유동방향상 상기 압력측정유닛의 후방에 마련되어 약물의 배출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압력측정유닛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따르면,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관에서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속도(유량)를 측정한 후 이 측정 값을 기반으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최종 배출 유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약물주입기{PORTABLE INFUSING DEVICE FOR MEDICINE}
본 발명은,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관에서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 차이를 측정한 후 이 측정 값을 기반으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최종 배출 유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하는 전기기계식 유체 조절장치로서의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환자에게 주입코자하는 약물의 양을 의사가 처방해주면, 간호사가 약물을 환자의 주사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시키고, 경험에 의해 비틀림 나사형태로 이루어진 개폐부가 내장된 밸브를 조절하여 일정량의 주사액이 투입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진통제 등의 약물을 주사받는 환자의 경우, 간헐적으로 경련이나 진통이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주사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하지만, 주사량의 처방은 전문가인 의사가 처방한 주사량대로 투입되어야 하므로 환자 스스로 그 주사량을 조절하게 되면 매우 위험하다. 하지만, 간헐적인 고통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의사나 간호사이 주사량을 조절해주기란 병원환경에서 매우 힘든 일이며, 의사나 간호사들도 시간적인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사액을 조절하는 간호사의 경험이 미숙한 경우에는 처방받은 양을 정확히 정량 주입되도록 시간당 주사량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평상시 주사받지 않으면서 특수한 질환발병시에만 주사받는 환자의 경우, 예컨대 급성 심장발작증세 등을 갖는 환자의 경우에는 신속한 약물의 주입이 필요하므로 개인이 늘 약물을 휴대해야 되고 주사시 정확한 정량을 맞춰서 주사해야 되므로 정량 주사에 숙련된 상태가 되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주사 숙련자라고 할지라도 실수로 약물을 초과투입할 위험성이 늘 공존하였으며, 약물에 이물질이나 공기가 포함되어져 있거나 튜브가 기타 물건 등에 의해 눌린 경우에 환자가 매우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정량의 약물을 자동으로 투입해주는 약물 자동투입기로서 등록특허 제10-0472044호(명칭: 약물 주입량 조절장치) 또는 공개특허 제10-2012-0025673호(명칭: 약물 조절장치) 등의 기술이 나타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약물 자동투입기는 단지 약물을 워터펌프에 의해 강제 주입하는 방식이며, 별도의 센서가 장착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가 열릴 때에는 일시에 많은 양의 약물이 환자에게 공급되어져 생명의 위험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 기술은 주입되는 약물의 양 내지 약물의 속도 등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관에서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 차이를 측정한 후 이 측정 값을 기반으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최종 배출 유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하는 전기기계식 유체 조절장치로서의 휴대용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토대로 적절하게 압력 보상하는 구성이 약물주입배관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인체 내에 주입되는 약물이 외부 기구 및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약물이 외부 물질에 오염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휴대용 약물주입기로서, 약물주입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약물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측정유닛;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약물의 유동방향상 상기 압력측정유닛의 후방에 마련되어 약물의 배출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압력측정유닛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압력측정유닛은, 상기 약물주입배관의 일측부를 푸싱하여 상기 약물주입배관 내부에 압력 차이를 발생하는 저항블록; 상기 저항블록과 연결되는 연결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저항블록의 전후 또는 좌우 방에 양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저항블록에 의한 압력차이 발생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가 조절되는 측정판; 및 상기 측정판의 중앙 영역인 상기 연결봉에 마련되어 상기 약물주입배관에 대한 상기 측정판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항블록을 상기 약물주입배관 측으로 접근하거나 이격시키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판; 상기 연결봉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판 사이에 마련되는 가압체; 및 상기 가압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체를 회전시키거나 탄성압축 또는 탄성팽창시켜 상기 저항블록의 가압정도를 조절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체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가압체는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압체의 회전에 따라 나사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고정판은 상기 약물주입배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중심으로 상기 저항블록 및 상기 측정판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결합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향하거나 반대의 방향으로 직선 왕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볼트이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는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하도록 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주입배관은,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하도록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물주입배관은, 금속, 실리콘,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유닛, 상기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전원인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따르면, 휴대용 약물주입기에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관에서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속도(유량)를 측정한 후 이 측정 값을 기반으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약물주입배관 내부를 침투하여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측정유닛 및 유량조절유닛이 약물주입배관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인체 내에 주입되는 약물이 외부 기구 및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약물이 외부 물질에 오염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의 압력측정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의 유량조절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의 압력측정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의 유량조절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이하, '약물주입기'라 함)는, 작은 크기의 관에서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약물)의 서로 이격된 부분 사이의 유압 차이를 측정한 후 이 측정값을 기반으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유체를 정량이면서도 일종 속도로 최종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약물주입배관(10)상에 설치되어 약물주입배관(10)을 따라 유동하는 약물의 유속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유닛(100), 약물주입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약물의 유동방향상 압력측정유닛(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약물의 배출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200), 및 압력측정유닛(10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유량조절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약물주입배관(10)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하도록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약물주입배관(10)은, 금속, 실리콘,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약물주입배관(1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명 '자바라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측정유닛(100)은 약물주입배관(10)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약물의 특정 부분 사이의 압력(유압) 차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약물주입배관(10)의 일측부를 푸싱하여 약물주입배관(10) 내부에 압력 차이를 발생하는 저항블록(110), 저항블록(110)과 연결되는 연결봉(120)에 연결되되 저항블록(110)의 전후 또는 좌우 방에 양단부가 위치하여 약물주입배관(10)을 푸싱하는 측정판(130), 및 측정판(130)의 중앙 영역인 연결봉(120)에 마련되어 약물주입배관(10)에 대한 측정판(13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약물주입배관(10)의 일측 방향에는 약물주입배관(10)의 일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50)이 마련되며, 압력측정유닛(100)은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즉, 지지판(150)은, 약물주입배관(10)을 중심으로 저항블록(110) 및 측정판(13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약물주입배관(10)을 지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블록(110)은 약물주입배관(10)을 일정 이상 가압하여 약물주입배관(10) 내부에서 압력 차이를 발생하는 것이며, 약물주입배관(10)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약물과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가압한다. 부연하자면, 저항블록(110)은 약물주입배관(10) 내부의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도록 탄성재질의 배관을 외부에서 압착하여 약물이 이동할 경우 높은 압력차이를 유발시킨다.
측정판(130)은 저항블록(110)과 연결되는 연결봉(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저항블록(110)의 전후 또는 좌우 방에 양단부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측정판(130)은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항블록(110)의 가압을 통해 약물주입배관(10) 내부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면 이러한 압력 차이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 및 방향이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A' 부위가 'B'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압력이 높게 형성되면 측정판(130)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갖게 된다. 여기서, 'A' 지점은 약물의 유동 방향상 'B'영역의 전방에 위치한다.
부연하자면, 약물주입배관(10) 내부의 약물 흐름에 따라 저항블록(110)의 양측 영역에 위치하는 약물 사이에 유압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유압 차이에 의해 약물주입배관(10)에 단부가 접촉하는 측정판(130)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측정판(130)는 약물주입배관(10)의 탄성계수와 길이에 의해 결정된 측정판(130)의 비틀림 힘(토크)와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기울어짐이 멈추게 되며, 후술하는 가압부재(160)를 약물주입배관(10)으로 접근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측정판(130)의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판(13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지 않고 측정판(130)의 양단부로 각각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여 'A', 'B'영역 사이의 유체 압력 차이 및 유속 차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약물주입배관(10)과 접촉 가능한 양단부에 각각 압력센서(미도시) 또는 로드셀(미도시)을 부착하여 'A','B' 영역의 유체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측정판(130)이 기울어진 경우 측정판(130)에 양단부에 걸리는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후술하는 유량조절유닛(200)의 구동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울어짐 측정부(140)는, 측정판(130)의 중앙 영역인 연결봉(120)에 마련되어 약물주입배관(10)에 대한 측정판(13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기울어짐 측정부(140)는 일종의 전기 기계식 각도계로서, 측정판(13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여 어느 측으로 기울어지는 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연결봉(120)에 설치된다. 기울어짐 측정부(140)는 일종의 포텐티오미터의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저항블록(110)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가압부재(16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160)는, 연결봉(1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저항블록(110)을 약물주입배관(10) 측으로 접근하거나 이격시키게 된다.
가압부재(16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판(161), 연결봉(120)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고정판(161) 사이에 마련되는 가압체(162), 및 가압체(162)의 단부에 마련되어 가압체(162)를 회전시키거나 탄성압축 또는 탄성팽창시켜 저항블록(110)의 가압정도를 조절하는 손잡이(1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고정판(161) 중 도면상 상측에 배치된, 즉 손잡이(163)에 보다 가깝게 배치된 고정 상태이며, 하측에 배치된 고정판(161)은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한 쌍의 고정판(161)은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증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압체(162)는 연결봉에 단부가 연결되어 손잡이(163)의 동작에 의해 실질적으로 저항블록(110)을 약물주입배관(10) 측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것으로서, 일 예로 탄성 스프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63)를 약물주입배관(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푸싱하여 저항블록(110)이 약물주입배관(10)을 가압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가압체(162)는 한 쌍의 고정판(161) 중 어느 하나(도면상 상측에 배치된 것)에 나사 결합되며, 하측에 배치된 고정판(161)은 연결봉(120)에 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가압체(162)의 일단부는 하측에 배치된 고정판(161)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손잡이(163)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63)를 회전시키게 되면 가압체(162) 또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고정판(161)은 약물주입배관(10) 측으로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국 저항블록(110)을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유닛(200)은, 약물주입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약물의 유동방향상 압력측정유닛(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약물의 배출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A(약물 유동 방향상 전방)', 'B(약물 유동 방향상 후방)' 영역의 압력 차이를 전달받아 이를 토대로 최종 배출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유량조절유닛(200)은, 모터(210), 모터(210)의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체(220), 및 회전체(220)와 결합되되 회전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약물주입배관(10)을 향하거나 반대의 방향으로 직선 왕복하는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210)는 배터리(40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 가능하며, 일 예로 dc 모터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모터(210)의 회전축에는 회전체(220)가 연결되어 모터(210) 구동시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2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는 볼트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액츄에이터(230)의 일측에는 볼트와 나사 결합하도록 너트(240)가 마련된다. 액츄에이터(230)의 내측에는 회전체(220), 즉 볼트가 수용 가능하도록 홈이 마련되며 이러한 홈의 내면과 볼트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격 거리가 마련된다. 따라서, 모터(2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볼트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액츄에이터(230)를 약물주입배관(10) 측으로 이동시켜 약물주입배관(1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약물의 유량은 보다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모터(21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볼트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액츄에이터(230)를 약물주입배관(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약물의 유량은 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210)는 정역 회전 및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30)의 주변에 마련되어 액츄에이터(230)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즉 액츄에이터(230)가 보다 약물주입배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블록(25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블록(250)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210)를 지지하는 별도의 브래킷(미도시)에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약물주입배관(10)을 지지하여 액츄에이터(230) 구동시 약물주입배관(10)을 충분히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액츄에이터(23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에는 약물주입배관(10)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판이 더 마련된다.
다음, 제어부(300)는 압력측정유닛(10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유량조절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측의 유압이 'A'측의 유압보다 일정 이상 큰 경우, 이러한 유압 차이에 대응하는 정도로 모터(210)를 구동하여 액츄에이터(230)로 약물주입배관(10)을 일정이상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B'측의 유압이 'A'측의 유압보다 일정 이상 작은 경우, 이러한 유압 차이에 대응하는 정도로 모터(210)를 구동하여 액츄에이터(230)가 약물주입배관(10)으로부터 좀 더 이격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메모리에는 'A' 부분과 'B' 부분의 압력 차이에 따른, 즉 최종 배출 유량을 보정하기 위해 압력 차이 수치에 대응하는 모터(210)의 정역 방향 회전수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측정판(130)의 기울어진 정도를 통해 'A' 부분과 'B' 부분의 압력 차이를 산출하도록 내부 연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산부에서 연산된 압력 차이 수치는 메모리로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측정유닛(100), 유량조절유닛(200) 및 제어부(300)의 구동 전원인 배터리(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울어짐 측정부(140), 모터(210) 및 제어부(300)의 PCB 구동부 등은 배터리(400)의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물주입기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약물주입배관(10) 상의 'A' 영역은 약물의 배출을 위한 유동 방향상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B' 영역은 약물 배출 유동 방향상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일 예로, 'B' 영역의 유압이 'A' 영역의 유압보다 작은 경우, 측정판(130)은 도면상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는 곧 'B' 영역의 약물 배출 유량이 'A' 영역의 약물 배출 유량보다 감소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보정하지 못하는 경우, 약물의 최종 배출 유량은 초기보다 감소하는 상태로 배출될 수 밖에 없으며, 반대인 경우에는 초기보다 증가하는 상태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압력 차이에 따른 약물 배출 유량 증감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약물이 정량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유량조절유닛(200)이 마련된다.
한편, 제어부(300)는 측정판(130)의 기울어진 각도를 'A'부분과 'B' 부분의 유압 차이로 환산한 후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유압 차이에 따라 적절하게 모터(21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량조절유닛(200) 측에 마련되는 약물주입배관(10)의 배출구를 증감하여 최종 배출 유량을 정량적으로 가져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B' 영역의 유압이 'A' 영역의 유압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300)는 모터(21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액츄에이터(230)가 약물주입배관(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B' 영역의 유량보다 최종 배출 유량이 보다 증가하도록 한다.
반대로, 'B' 영역의 유압이 'A' 영역의 유압보다 큰 경우, 제어부(300)는 모터(21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액츄에이터(230)가 약물주입배관(10)를 좀 더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B' 영역의 유량보다 최종 배출 유량이 보다 감소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약물주입배관(10) 상 어느 일 영역에서의 압력 차이 발생 정도를 감지한 후 이를 기초로 후방에서 배출 유량의 증감을 조절하므로 약물이 최종적으로 정량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약물주입배관(10) 내부를 침투하여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측정유닛(100) 및 유량조절유닛(200)이 약물주입배관(10)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인체 내에 주입되는 약물이 외부 기구 및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약물이 외부 물질에 오염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압력측정유닛 110: 저항블록
120: 연결봉 130: 측정판
140: 기울어짐 측정부 150: 지지판
160: 가압부재 161: 고정판
162: 가압체 163: 손잡이
200: 유량조절유닛 220: 회전체
230: 액츄에이터 250: 가이드블록
300: 제어부

Claims (13)

  1. 휴대용 약물주입기로서,
    약물주입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약물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측정유닛;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약물의 유동방향상 상기 압력측정유닛의 후방에 마련되어 약물의 배출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압력측정유닛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측정유닛은,
    상기 약물주입배관의 일측부를 푸싱하여 상기 약물주입배관 내부에 압력 차이를 발생하는 저항블록;
    상기 저항블록과 연결되는 연결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저항블록의 전후 또는 좌우 방에 양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저항블록에 의한 압력차이 발생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가 조절되는 측정판; 및
    상기 측정판의 중앙 영역인 상기 연결봉에 마련되어 상기 약물주입배관에 대한 상기 측정판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항블록을 상기 약물주입배관 측으로 접근하거나 이격시키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판;
    상기 연결봉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판 사이에 마련되는 가압체; 및
    상기 가압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체를 회전시키거나 탄성압축 또는 탄성팽창시켜 상기 저항블록의 가압정도를 조절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탄성 스프링인 휴대용 약물주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압체의 회전에 따라 나사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고정판은 상기 약물주입배관 측으로 이동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중심으로 상기 저항블록 및 상기 측정판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결합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약물주입배관을 향하거나 반대의 방향으로 직선 왕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볼트이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는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하도록 너트가 마련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배관은,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하도록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배관은, 금속, 실리콘,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유닛, 상기 유량조절유닛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전원인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물주입기.
KR1020120118503A 2012-09-13 2012-10-24 휴대용 약물주입기 KR101468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6 2012-09-13
KR20120101356 2012-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23A KR20140035223A (ko) 2014-03-21
KR101468774B1 true KR101468774B1 (ko) 2014-12-08

Family

ID=5064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503A KR101468774B1 (ko) 2012-09-13 2012-10-24 휴대용 약물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60A (ko) 2017-07-26 2019-02-08 최은희 휴대용 액상 약품 정량 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940B1 (ko) * 2022-01-13 2023-1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의 저장과 배출 기능을 가진 피하주사용 챔버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005A1 (en) * 2001-10-12 2005-01-27 Flaherty J. Christopher Laminated patient infusion device
KR20110076690A (ko) * 2009-12-29 2011-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조절튜브 및 이를 이용한 약물조절장치
KR20120025673A (ko) * 2010-09-08 2012-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005A1 (en) * 2001-10-12 2005-01-27 Flaherty J. Christopher Laminated patient infusion device
KR20110076690A (ko) * 2009-12-29 2011-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조절튜브 및 이를 이용한 약물조절장치
KR20120025673A (ko) * 2010-09-08 2012-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60A (ko) 2017-07-26 2019-02-08 최은희 휴대용 액상 약품 정량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23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515B2 (en) Pump startup algorithm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AU2019269322B2 (en) Syringe driver for infusion
EP2190516B1 (en) High precision infusion pump controller
US5055001A (en) Volumetric pump with spring-biased cracking valves
US11590282B2 (en) Insertion site monitoring methods and related infusion devices and systems
US20210128834A1 (en) Infusion devices and related rescue detection methods
KR101468774B1 (ko) 휴대용 약물주입기
US20150314068A1 (en) Detecting blockage of a reservoir cavity during a seating operation of a fluid infusion device
US20190231977A1 (en) Infusion devices and related patient ratio adjustment methods
CA2983997C (en) Infusion devices for therapy recommendations
NZ755823B2 (en) Volume-based flow rate compensation technique for infus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