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631B1 -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631B1
KR101468631B1 KR20130068457A KR20130068457A KR101468631B1 KR 101468631 B1 KR101468631 B1 KR 101468631B1 KR 20130068457 A KR20130068457 A KR 20130068457A KR 20130068457 A KR20130068457 A KR 20130068457A KR 101468631 B1 KR101468631 B1 KR 10146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vibration
bobbin coil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현
오규석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6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transducer transducing electrical energy into vibration energy and a structure for vibrating a display window that vibrates directly the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vibration transducer to generate a haptic function or sound, and the vibration transducer includes a frame forming appearance, a yoke assembly installed in the frame to configure a magnetic circuit, a bobbin coil installed to be placed in an air gap formed at the yoke assembly, and first and second dampers connected to the bobbin coil and vertically vibrating, wherein the vibration transducer includes the first damper that has an external circumferential part fixed to the frame, and an internal circumferential part to which the bobbin coil is fixed, and enables the bobbin coil to vertically vibrate; the second damper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damper fixed to the frame and vertically vibrating along with the first damper; and a vibration transmission medium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to protrude upwards and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amper, wherein the second damper includes a material that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ir gaps to prevent sound from ringing out when there is vertical vibration.

Description

진동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장치{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transducer,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변환기와 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직접 진동시켜 햅틱 기능이나 음향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converter for converting electric energy into vibration energy, and a display window vibration structure for generating a haptic function or sound by directly vibrating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근래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 이외에 음악,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화통화시 수화음을 듣기 위한 리시버 스피커와 별도로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터가 필요하게 되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emphasized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listening to music, moving pictures, or playing games in addition to a simple telephone call function. For this purpose, a loud speaker and a vibration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are needed separately from a receiver speaker for listening to a harmony sound during a telephone call.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된 라우드 스피커는, 통상적으로 10mm 내지 15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서 외부로 음을 방출하도록 설치된다.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는 700Hz 이하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출력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즉,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는 완전한 음을 방출할 수 없게 되고, 특히 저주파수 영역에 해당되는 저음의 방출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내장된 진동판의 지름이 작을수록 출력되는 음이 고주파수에 치우치기 때문이므로,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에 내장된 진동판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름을 큰 진동판을 갖는 스피커를 설치할 수 있으나 그러면 단말기의 설계 및 구조가 복잡해지고,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 loudspeaker us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to emit a micro speaker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mm to 15 mm from a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outside. Conventional micro speakers have significantly reduced output in the frequency range below 700 Hz. That is, the conventional micro speaker can not emit complete sound, and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emission of bass corresponding to a low frequency region. This is because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diaphragm built in the micro speaker is, the more the output sound is deviated to the high frequency. Therefore, the size of the diaphragm built in the conventional micro speaker is not 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peaker having a diaphragm having a large diameter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e design and structure of the terminal are complicated and the size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햅틱 기능이나 무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별도의 진동발생기가 설치된다. 종래의 진동발생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진동력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d의 진동발생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케이스를 진동시켜야 하므로 큰 진동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상태에 따라서 진동이 급속하게 감쇄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a separate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a haptic function or a silent signal. Conventional vibration generators transmit vibration power to a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user can feel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or of the prior art d needs to vibrate the entir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not only a large vibration is required but also vibration is rapidly attenu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se.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평판 진동형 스피커가 개발되었다. 평판 진동형 스피커는 기존의 음성 코일이 진동판에 부착되어 있는 전통적인 스피커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스피커로서, 진동판이 생략된 스피커를 말한다. 이러한 스피커를 평판 진동형 스피커라 하는데, 스피커에 맞닿아 있는 평판을 직접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킨다.Accordingly, recently, flat-plate vibrating loudspeakers have been developed which generate vibration using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lat-plate vibrating loudspeaker is a new concept speaker that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loudspeaker system in which a conventional voice coil is attached to a diaphragm, and refers to a speaker in which a diaphragm is omitted. Such a speaker is called a flat vibrating type speaker, and the flat plate touching the speaker directly vibrates to generate sound.

이러한 종래 평판형 스피커는 부피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출력이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스피커의 문제점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평판으로 구현할 수 있고, 출력을 고출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면서도,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 새로운 방식의 스피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flat type speak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volume can be made thin, but the output is very wea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of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peaker. There is a need for a speaker of a new type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 flat plate, output an output with a high output, and improved frequency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각, 힘, 운동감 등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햅틱(Haptic) 기능을 달성하거나, 저주파수 영역에 해당되는 저음이 보강된 음을 방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이용한 진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진동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uses a display window as a diaphragm to generate vibration or emit sound, And to provide a vibration device using a display window for achieving a haptic function for allowing a user to feel a feeling of movement or feeling, or to emit a bass reinforced sound corresponding to a low frequency region.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는,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집합체와, 상기 요크 집합체에 형성된 에어 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빈코일과, 상기 보빈코일에 접속되어 상하로 진동하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동변환기에 있어서,A bobbin coil disposed in an air gap formed in the yoke aggregate, and a bobbin coil connected to the bobbin coil and configured to oscillate up and down; 1. A vibration transducer comprising a first damper and a second damper,

상기 프레임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내주부에는 상기 보빈코일이 고정되어 상기 보빈코일이 상하로만 진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댐퍼와;A first damper having an outer periphery fixed to the frame and fix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bbin coil so that the bobbin coil oscillates only up and down;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 댐퍼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댐퍼와 함께 상하로 진동하는 제2 댐퍼와;A second damper fix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fixed to the frame and vibrat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damper;

상기 제2 댐퍼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제2 댐퍼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전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a vibration transmitting bod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so as to protrude upward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second damper to the outside;

상기 제2 댐퍼는 상하로 진동할 때 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공극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amp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voids so as not to generate sound when vibrating up and dow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차단체가 더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ibration diffuser for attenuating vibration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상기 진동전달체는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댐퍼의 내부링과 유사한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has a planar shape similar to the inner ring of the first damper.

상기 진동차단체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댐퍼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The vibration damper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second damper.

상기 진동차단체와 진동전달체는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과 하면에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ing body 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are made of the same thickness, and adhesive means such as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상기 제2 댐퍼는 가운데에 설치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에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부와 에지부에는 공기가 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amper includes a center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and an edge portion provided at an edge of the center portion.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ir flows.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며, 가운데 부분에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외연에 단턱이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단턱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하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The display case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display window. The display case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display case. The display case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display case. And a rear case for receiving the display module and the electric circuit bo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동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And one or more vibration transducer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상기 진동변환기는, The vibration converter includes:

상기 진동변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A frame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vibration transducer;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집합체와;A yoke assembly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constituting a magnetic circuit;

상기 요크 집합체에 형성된 에어 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빈코일과;A bobbin coil installed in an air gap formed in the yoke assembly;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상기 보빈코일의 상단이 고정되는 내 주부와 상기 외주부와 내주부 사이에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제1 댐퍼와;A first damper including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bobbin coil, and a leg portion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면에 내주부가 고정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a second damper having an outer periphery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n inner periphery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상기 제2 댐퍼는 상하로 진동할 때 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공극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amp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voids so as not to generate sound when vibrating up and down.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관통부의 외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는 진동변환기를 안착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jaw is formed on an outer edge of the through-hole of the front case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window and the display module. A vibration transduc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And a seat part is form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동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피커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또 음 방출 구멍을 생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라우드 스피커와 진동장치를 통합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 transduc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window vibrating apparatus using the vibration transduc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downsiz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speaker de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omitting the hole,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by integrating the loudspeaker and the vibr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제2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보빈코일이 수직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이물질이 진동변환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second damper, it is possible to guide the bobbin coil to vibrat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vibration transducer.

또한, 본 발명은 제2 댐퍼와 디스플레이 윈도우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진동전달체를 설치함으로써 제2 댐퍼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윈도우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댐퍼와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transferring body having a constant height between the second damper and the display window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second damper is smooth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window and the second damper and the display window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진동변환기와 디스플레이 윈도우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진동차단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진동이 진동변환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vibrations of the display window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transducer by providing a vibrating body having a constant height between the vibration transducer and the display window.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장치는, 저음역의 음을 보강하거나 사용자에게 햅틱 기능을 제공한다.The display window vibrating apparatus using the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a low-frequency sound or provides a haptic function to a user.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는, 랩탑, PDA 및 스마트폰 등 각종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isplay devices of various portable devices such as a laptop, a PDA, and a smart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댐퍼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댐퍼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화기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6,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bration 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변환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변환기(1)는, 프레임(10), 요크 집합체(20), 보빈코일(30), 제1 댐퍼(40) 및 제2 댐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transduc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vibration transduc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a yoke assembly 20, a bobbin coil 30, a first damper 40, and a second damper 50 .

프레임(10)은 진동변환기(1)의 외관을 이루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다. 요크 집합체(20)는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플레이트(21), 마크네트(22a,22b) 및 상부플레이트(23a,22b)로 구성되며 자기회로를 구성한다.The frame 10 is a plastic injection molding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vibration transducer 1, The yoke assembly 2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 and comprises a lower plate 21, mark nets 22a and 22b and upper plates 23a and 22b to constitute a magnetic circuit.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빈코일(30)과 제1 댐퍼(40) 및 제2 댐퍼(50)는 자기회로의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자를 구성한다. 보빈코일(30)은 통 형상의 보빈에 코일을 감은 것이거나 또는 코일을 통 형상으로 감은 것이다. 제1 댐퍼(40)는 금속판이나 F-PCB로 이루어지고, 보빈코일(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다리를 구비한다. 제2 댐퍼(50)는 제1 댐퍼(4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빈코일(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obbin coil 30 and the first damper 40 and the second damper 50 provided inside the frame 10 constitute a vibrator that vibrates up and down by a magnetic circuit. The bobbin coil 30 is formed by winding a coil on a cylindrical bobbin or winding the coil in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damper 40 is made of a metal plate or an F-PCB and has a plurality of legs for supporting the bobbin coil 30 in a resilient manner. The second damper (5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damper (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bbin coil (30) and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바람직하게 제2 댐퍼(50)는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 댐퍼(50)의 외주부는 제1 댐퍼(40) 상면에 접착되고, 제1 댐퍼(40)의 내주부는 제2 댐퍼(50)의 하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제1 댐퍼(40)의 외주부는 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된다. Preferably, the second damper 50 is installed to close the open top of the frame 10.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damper 50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4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damper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50. [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damper 4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보빈코일(30)은 제1 댐퍼(40)나 제2 댐퍼(5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보빈코일(30)을 제2 댐퍼(50)의 하면에 접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빈코일(30)이 제1 댐퍼(40)의 가운데에 형성된 관통부를 관통할 수 있어야 한다. 반대로 상기 보빈코일(30)이 제1 댐퍼(40)의 관통부를 관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빈코일(30)의 상단은 제1 댐퍼(40)의 하면에 접착되게 된다. 따라서 보빈코일(30)이 제1 댐퍼(40) 및 제2 댐퍼(50)를 진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경우나 가능하며 본 발명은 어느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The bobbin coil 30 can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damper 40 and the second damper 50. In order to adhere the bobbin coil 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50, the bobbin coil 30 must be able to penetrate the penetra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damper 40. The upper end of the bobbin coil 30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40 when the bobbin coil 30 can not penetrate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rst damper 40.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case where the bobbin coil 30 can vibrate the first damper 40 and the second damper 5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보빈코일(30)의 하단은 요크 접합체(20)의 내측 마그네트(22a)와 외측 마그네트(22b)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보빈코일(30)이 상하로 진동하면, 상기 제1 댐퍼(40)와 제2 댐퍼(50)가 함께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bobbin coil 30 is positioned in an air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magnet 22a and the outer magnet 22b of the yoke assembly 20. [ Therefore, when the bobbin coil 30 vibrates up and down, the first damper 40 and the second damper 50 vibrate up and down together.

제1 댐퍼(40)는 외주부가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코일(30)의 진동이 상하로만 이루어지도록 억제하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댐퍼(50)도 외주부가 상기 제1 댐퍼(40)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어 보빈코일(30)의 진동이 상하로만 이루어지도록 잡아주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댐퍼(5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을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진동변환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damper 40 has a damping function of fix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coil 30 to the frame 10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bobbin coil 30 is limited only up and dow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damper 50 is also fixed to the frame 10 through the first damper 40 to perform a damping function to hold the bobbin coil 30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bobbin coil 30 is only up and down. In addition, the second damper 50 closes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vibration transduce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제2 댐퍼(50)는 상하로 진동할 때 음향은 생성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제2 댐퍼(50)는 다공성 플라스틱 필름이나 천 소재의 시트 또는 메쉬(mesh)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2 댐퍼(50)는 종래의 진동판과 같이 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하로 진동하지만 음향을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홀(55)이나 공극률이 형성된다. 즉, 제2 댐퍼(50)이 상하로 진동할 때, 제2 댐퍼(50)에 형성된 관통홀(55)이나 공극을 통해서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소리가 발생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 댐퍼(50)에 형성되는 관통홀(55)과 공극은 공기가 잘 빠져나갈 수 있으면서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damp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sound when it vibrates up and down. For this purpose, the second damper 50 is made of a porous plastic film, a cloth sheet, or a mesh structure. That is, the second damper 5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like the conventional diaphragm, and the through holes 55 and the porosity are formed to vibrate up and down but not generate sound. That is, when the second damper 50 vibrates up and down, no air is generated because the air escapes through the through hole 55 formed in the second damper 50 or the air gap. Therefore, the through holes 55 formed in the second damper 50 and the air gaps have a size capable of preventing the air from escaping and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제2 댐퍼(50)는 종래의 진동판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댐퍼(50)는 가운데에 센터부(51)가 형성되고 센터부(51)의 가장자리에 에지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부(51)는 다공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에지부(52)에는 다공성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damper 50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diaphragm. For example, the second damper 50 may have a center portion 51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dge portion 52 at the edge of the center portion 51. At this time, the center portion 51 is made of a porous plastic film and the edge portion 52 can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rous silicon.

제1 댐퍼(40)는 는 스테인레스스틸, 인청동 등의 금속 재질이나 F-PCB(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댐퍼(40)는 댐핑 기능과 함께 보빈코일(30)에 외부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댐퍼(40)는 연성 PCB를 사용할 경우, 동박 패턴을 구성하여 +신호와 -신호에 대한 신호구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댐퍼(40)의 외주부에는 프레임(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외주링(41)이 형성되고, 내주부에는 보빈코일(20)의 상단이 접착하는 내주링(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링(41)과 외주링(42) 사이에는 다수 개의 다리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43)는 소정의 곡선 형상으로 구부러져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고, 상기 내주링(42)의 가운데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The first damper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phosphor bronze or an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first damper 40 functions to supply an external electric signal to the bobbin coil 30 together with the damping function. To this end, when the flexible PCB is used, the first damper 40 forms a copper foil pattern so that a signal configuration for the + signal and the - signal is possibl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damper 40 is form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ring 41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form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ring 42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bobbin coil 20 is bonde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43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ring 41 and the outer peripheral ring 42. The leg portion 43 is bent in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to impart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ring 42.

또한, 다리부(43) 사이에는 관통구멍(45)이 형성되어 상하로 진동할 때도 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내주링(42)의 외측에는 상기 보빈코일(30)의 리드선을 납땜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된 패드부(4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주링(41)의 안쪽에는 프레임(10)에 구비된 접속단자(12)와 연결되는 접속부(46)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46)는 프레임에 구비된 접속단자(11)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댐퍼(40)는 보빈코일(30)과 프레임(10)에 구비된 외부 접속단자(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45 is formed between the leg portions 43 so that no sound is generated even when vibrating up and down. A pad portion 44 having a pad for soldering the lead wire of the bobbin coil 30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ring 42. And a connection portion 46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 provided on the frame 1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ring 41. The connection portion 46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provided in the frame. Accordingly, the first damper 40 electrically connects the bobbin coil 3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 provided on the frame 10 to receive an electric signal from the outsid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댐퍼(4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제1 댐퍼(40)의 경우에는 하나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외주링(41), 내주링(42) 및 다리부(43)를 구성하되, +신호와 -신호에 대한 두 개의 독립적인 회로가 구성되도록 외주링(41)와 내주링(42)에 각각 대응하는 절결부(47)를 형성한다. 그리고 외주링(41)의 외측에는 상기 절결부(47)를 감싸는 링크부(48)를 형성하여 연결한다. 또한, 제1 댐퍼(40)의 패드부(44)와 보빈코일(30)에는 Ni, Sn 등을 도금하여 납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댐퍼(40)의 내주링(42)에는 보빈코일(30)의 리드선이 관통되는 도피 홈(49)을 형성한다. 따라서 보빈코일(30)을 제1 댐퍼(40)의 하면에 부착할 때 리드선이 내주링(42)과 보빈코일(30)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도피 홈(49)을 이용하여 리드선을 관통시키면 보빈코일(3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빈코일(30)을 제1 댐퍼(40)의 하면에 부착한 후에는 링크부(48)을 절단하여 +신호와 -신호에 대한 두 개의 독립적인 회로가 구성되도록 한다.5A and 5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damp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first damper 40 using a metal material, the outer ring 41, the inner ring 42 and the leg 43 are formed by using one metal plate, A notch 47 corresponding to the outer ring 41 and the inner ring 42 is formed so that two independent circuits for the signal are formed. A link portion (48) surrounding the notch (47)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ring (41) and connected. Ni, Sn, or the like is plated on the pad portion 44 of the first damper 40 and the bobbin coil 30 to be solderable. An escape groove 49 through which the lead wire of the bobbin coil 30 passes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ring 42 of the first damper 40. Therefore, when the bobbin coil 3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40, the lead wire is not caught between the inner ring 42 and the bobbin coil 30. [ When the lead wire is passed through the escape groove 49, the bobbin coil 30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5B, after the bobbin coil 3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40, the link portion 48 is cut so that two independent circuits for the plus signal and the minus signal are formed. do.

따라서, 보빈코일(30)에 외부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보빈코일(30)과 자기회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인력과 척력이 상호작용하여, 보빈코일(30)을 상하로 진동시킨다. 그러면 보빈코일(30)과 접속되어 있는 제1 댐퍼(40)와 제2 댐퍼(50)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댐퍼(40)에는 관통구멍(45)이 형성되고, 제2 댐퍼(50)에는 관통홀(55)이나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댐퍼(40)와 제2 댐퍼(50)가 상하로 진동하여도 음향은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bobbin coil 30, the attractive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bobbin coil 30 and the magnetic circuit cooperate to vibrate the bobbin coil 30 up and down. Then, the first damper 40 and the second damper 50 connected to the bobbin coil 30 vibrate up and down. A through hole 45 is formed in the first damper 40 and a through hole 55 and a cavity are formed in the second damper 50 so that the first damper 40 and the second damper 50 No sound is generated even when the sound is vibrated up and dow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1)는 종래의 스피커의 진동판과 유사한 형태의 제2 댐퍼가 구비되되, 상기 제2 댐퍼는 상하로 진동할 때 음향을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홀이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같은 별도의 진동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변환기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진동시켜서 사용자에게 햅틱 기능을 제공하거나 저주파대의 음을 제공하는 진동변환기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transdu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damper which is similar to a diaphragm of a conventional speaker, and the second damp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or a gap so as not to generate sound when vibrating up and down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on transducer for vibrating a separate diaphragm such as a display window. That is, it is a vibration converter that vibrates a display window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haptic function to a user or provide a sound of a low frequency band.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1)에는 진동전달체(60)와 진동차단체(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진동전달체(60)는 진동변환기(1)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윈도우 등의 진동판으로 잘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진동차단체(70)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진동이 진동변환기(1)로 다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진동전달체(60)와 진동차단체(70)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진동변환기(1)와 디스플레이 윈도우 사이에 접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vibration transdu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vibration transducer 60 and a vibration transducer 70. The vibration transducer 60 allows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transducer 1 to be transmitted to a diaphragm such as a display window. The vibrating body 70 blocks the vibration of the display window from being transmitted back to the vibration transducer 1.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and the vibrating body 70 can be adhered between the vibration transducer 1 and the display window through a bonding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진동전달체(60)는 진동변환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지 않고 전달할 수 있도록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60)는 강화플라스틱, 세라믹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전달체(60)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진동변환기(1)의 진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진동전달체(60)는 1mm~10mm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즉, 진동전달체(60)의 높이가 1mm이하이면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진동변환기(1)의 진동이 방해받을 수 있고, 진동전달체(60)의 높이가 10mm이상이면 진동변환기(1)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체(60)의 폭은 1mm이상의 폭으로 한다. 즉, 진동전달체(60)의 폭이 1mm이면 진동력의 완전하게 전달하기 어렵다. The vibration transducer 6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so as to transmit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transducer 1 without attenua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ceramic, or aluminum. The vibration transducer 6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vibration transducer 1 is not disturbed. Preferably,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has a height of about 1 mm to 10 mm. 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is 1 mm or less, the vibration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vibration transducer 1 may be disturbed. If the height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is 10 mm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e width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60 is 1 mm or more. That is, when the width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60 is 1 mm,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transmit the vibration force.

한편, 진동전달체(60)는 제1 댐퍼(40)의 내주링(42)과 유사하게 원형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있다. 이때, 상기 진동전달체(60)의 형상과 무게는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진동전달체(60)의 무게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각 판 형상의 진동전달체(60)를 사용할 경우 무게가 증가되어 공진 주파수가 615Hz로 줄어들었고, 사각 틀 형상의 진동전달체(60)를 사용할 경우 무게가 감소하여 공진 주파수가 815Hz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진동전달체(60)는 제2 댐퍼(50)의 상면에 부착하되 제1 댐퍼(40)의 진동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 댐퍼(40)의 내주링(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similar to the inner ring 42 of the first damper 40, or in a rect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shape and the weight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serve to control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vibrator. For exampl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oscillator can be controll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weight of the oscillation transducer 60. That is, when a rectangular plate-shaped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is used, the weight is increased to reduce the resonance frequency to 615 Hz, and when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is used, the weight decreases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ncreases to 815 Hz.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ring 42 of the first damper 40 so as to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50 and directly receive the vibration of the first damper 40 .

이어, 진동차단체(70)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변환기(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즉,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진동이 진동변환기(1)로 전달되면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원하지 않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진동차단체(70)는 다공성 소재나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펀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이 완충력이 있고 통기성이 있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차단제(70)의 높이는 진동전달체(60)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동전달체(60)는 제2 댐퍼(5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되 프레임(10)의 상면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Next, the vibration difference group (70) prevents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display window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nverter (1). That is, when the vibration of the display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transducer 1, unwanted vibration occurs in the display window. To this end, the vibrating roller assembly 70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or a soft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that is buffering and breathable, such as sponge or silicone or rubber, is preferred. The height of the vibration blocking member 70 is the same as that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60. Further,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second damper 50 and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그리고 상기 진동전달체(60)와 진동차단체(7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저면과 제2 댐퍼(50)의 상면 사이에 상기 진동전달체(60)와 진동차단체(70)를 부착한다.Adhesion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body 60 and the vibration transmission body 70, respectively. Therefore,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and the vibration absorbing body (70) are attach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5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마이크로 스피커와 달리 진동판을 보호하기 위한 그릴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두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마이크로 스피커와 달리 외부 충격에 취약한 박막 진동판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두께를 낮출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댐퍼(50)는 소리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빈코일(30)의 진동을 억제하고 잡아주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rille for protecting the diaphragm is not provided unlike the conventional micro speaker,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Further, unlike the conventional micro speak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pply a thin film diaphragm which is vulnerable to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durability is improved and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Particularly, the second damp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sound, but performs a damping function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vibrator and to suppress and hold the vibration of the bobbin coil 3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1)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quipped with the vibration transdu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front case 111 and a rear case 121, which form 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21.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21.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6 참조)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13,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and the sound input unit 117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case 111.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display module 141 (see FIG. 6)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for visually expressing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3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a key area configured to receive a touch input of a user on the window unit. The sound input unit 117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in order to receive voice, sound, etc. of a user.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A second operation unit 123, an interface 124,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ase 121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3 may b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21.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3 together with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6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므로,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에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를 설치하여 파손에 대비한다. The display unit 113 is an output interface for externally display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or the like is used. Since the display unit 113 is susceptible to external impacts, the display unit 113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case 111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140 is installed outside to prepare for damage.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 우(140)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주로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강화 유리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부 측에는 스피커(S)가 노출되는 스피커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 측에는 홈버튼(HB)이 노출되는 홈버튼 구멍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window 140 is made of transparent reinforced plastic mainly made of acrylic resin or the like and made of transparent tempered glass made of a glass material so as to withstand impacts. The display window 140 is formed with speaker holes through which the speaker S is exposed, And a groove button hole through which the groove button HB is expose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 우(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41)이 위치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중앙부위에 사각형의 투명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투명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하면에는 검은색으로 인쇄되어 이루어지는 검은색 인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lay window 140 is formed with a black printing part printed in black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transparent part so that a rectangular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corresponding to the part where the display panel 141 is positioned . In addition, an electrode is formed inside the display window 140. The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conductive pattern. Charges can be charged to the electrodes, and as the conductors move at close distances,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can vary. When a conductor, for example a user's finger, touches the window,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electrode changes, which is like the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electrode. The electrodes of the display window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example a circuit board 170, which senses changes in the amount of charge. For this electrical connecti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70 through the holes 152.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에 고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하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변환기(1)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변환기(1)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인쇄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변환기(1)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 구비된 안착부(103)에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103)는 프론트 케이스(111)에 형성된 지지턱(102)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102)은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와 디스플레이 모듈(14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다. 진동변환기(1)는 상기 지지턱(102)에 의해서 지지된다. The display window 140 is fixed to a step formed at an edge of the front case 111. The vibration transdu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140. Preferably, the vibration transducer 1 is attached to the printing portion of the display window. The vibration transducer 1 is installed in a seat 103 provided in the front case 111. The seat portion 103 is formed on a support protrusion 102 formed on the front case 111. The support jaw 102 form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isplay window 140 and the display module 140. The vibration transducer (1)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jaw (102).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의 안착부(103)에 진동변환기(1)를 설치한 후, 진동전달체(60)와 진동차단체(7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를 프런트 케이스(111)의 단턱(140b)에 설치하면, 상기 진동전달체(60)와 진동차단체(70)가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저면에 접착되게 된다. Therefore, after the vibration transducer 1 is installed on the seat 103 of the front case 111, the release sheet of the double-side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body 60 and the vibration transmission body 70 is removed,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70 are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140 by installing the display window 140 on the step 140b of the front case 111. [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는 임의의 형상을 하는 것이 가능하나, 통상적으로 4각형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모듈(141)보다 약간 큰 4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는 프론트 케이스(111)에 고정된다.The display window 140 may have any shape, but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whic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splay module 141, and the edge is fixed to the front case 111.

그리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가장자리에는 에지(106)나 완충재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를 프론트 케이스(111)에 고정한다. 상기 에지(106)는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와 프론트 케이스(111)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디스플레이 윈도우(140)가 뒤틀리지 않으면서 일정한 위치에서 진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에지는 실리콘이나 발포고무 또는 압축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와 프론트 케이스(111)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이나, 완충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가장자리 상면이 걸리도록 하는 단턱(108)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8, an edge 106 or a cushioning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display window 140 to fix the display window 140 to the front case 111. The edge 106 prevents foreign objects from entering between the display window 140 and the front case 111 and guides the display window 140 to vibr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twisting. The edge may be made of silicone, foam rubber, compression sponge or the like. A spring or a cushion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window 140 and the front case 111 to appl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isplay window 14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tep 108 on the front case 111 so that the upper edge of the display window 140 is caught.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진동변환기(1)에 외부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진동변환기(1)가 진동하고, 그 진동이 진동전달체(6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가 상하로 진동하여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저주파 대역의 음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변환기(1)의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와 프론트 케이스(111) 사이에 개재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댐퍼(60)의 진동은 진동전달체(6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윈도우(140)로 전달하지만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의 진동은 진동차단체(7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진동변환기(1)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external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vibration transducer 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quipped with the display window vibrating device, the vibration transducer 1 vibrates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vibration transducer 60 To the display window (140). Then, the display window 140 may vibrate up and down to generate vibrations that the user can feel or to emit low frequency bands. The vibration of the second damper 6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window 140 through the vibration transmitting body 60 because the vibration damper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display window 140 and the front case 111 of the vibration transducer 1 However, the vibration of the display window 140 is blocked by the vibrating body 70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nverter 1. [

이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하나의 진동변환기(1)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40)에 두 개 이상의 진동변환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음향출력부(114)가 함께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single vibration transducer 1 is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t is possible to install two or more vibration transducers in the display window 140. Also, althoug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is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진동변환기 10: 프레임
20: 요크 집합체 21: 하부플레이트
22: 마그네트 23: 상부플레이트
30: 보빈코일 40: 제1 댐퍼
50: 제2 댐퍼 55: 관통홀
60: 진동전달체 70: 진동차단체
100: 휴대폰 단말기 102: 지지턱
103: 안착부 111: 프론트 케이스
113: 디스플레이부 114: 제1 음향출력부
115: 영상 입력부 116: 제1 조작부
117: 음향 입력부 121: 리어 케이스
140: 디스플레이 윈도우 141: 디스플레이 모듈
1: Vibration transducer 10: Frame
20: yoke assembly 21: bottom plate
22: magnet 23: upper plate
30: Bobbin coil 40: First damper
50: second damper 55: through hole
60: Vibrating carrier 70: Vibrating carrier
100: mobile phone terminal 102: support jaw
103: seat part 111: front case
113: display unit 114: first sound output unit
115: image input unit 116: first operation unit
117: sound input unit 121: rear case
140: display window 141: display module

Claims (13)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집합체와, 상기 요크 집합체에 형성된 에어 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빈코일과, 상기 보빈코일에 접속되어 상하로 진동하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동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내주부에는 상기 보빈코일이 고정되어 상기 보빈코일이 상하로만 진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댐퍼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 댐퍼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댐퍼와 함께 상하로 진동하는 제2 댐퍼와;
상기 제2 댐퍼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제2 댐퍼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전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댐퍼는 상하로 진동할 때 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공극을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진동변환기.
A bobbin coil disposed in an air gap formed in the yoke aggregate, and a bobbin coil connected to the bobbin coil and configured to oscillate up and down; 1. A vibration transducer comprising a first damper and a second damper,
A first damper having an outer periphery fixed to the frame and fix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bbin coil so that the bobbin coil oscillates only up and down;
A second damp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rst damper fixed to the frame and vibrat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damper;
And a vibration transmitting bod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so as to protrude upward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second damp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cond damp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r voids formed thereon so as not to generate sound when vibrating up and dow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차단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변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ibration wave group for attenuating vibration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외부링과, 상기 보빈코일의 상단이 고정되는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과 내부링 사이에 설치된 다수 개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사이에 구비된 관통구멍과, 상기 내부링의 외측에 구비된 패드부와, 상기 외부링의 내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변환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damper includes an outer r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 inner ring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bobbin coil is fixed, a plurality of legs provided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A pad, a pad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ing, and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ng.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외부링과 내부링에 절결홈을 형성하여 -신호와 +신호에 대응하는 독립된 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외부링의 외측에는 절결홈을 감싸는 링크부를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되, 제1 댐퍼에 보빈코일을 부착한 후에 링크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변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damper forms a cut-out groove i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to constitute a separate circuit corresponding to a signal and a + signal, and a link portion surrounding the cut-out groove is formed outside the outer ring, And the link portion is cut after the bobbin coil is attached to the first damp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에는 상기 보빈코일의 리드선이 관통하는 도피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변환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inner ring is formed with an escape groove through which the lead wire of the bobbin coil penetrat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체는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댐퍼의 내부링과 유사한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변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bration transmission body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has a planar shape similar to an inner ring of the first dam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는 가운데에 설치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부와 에지부에는 공기가 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변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amper comprises a center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and an edge portion provided at an edge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ir flows.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며, 가운데 부분에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외연에 단턱이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단턱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하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동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변환기는,
상기 진동변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집합체와;
상기 요크 집합체에 형성된 에어 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빈코일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상기 보빈코일의 상단이 고정되는내주부와 상기 외주부와 내주부 사이에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제1 댐퍼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면에 내주부가 고정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댐퍼는 상하로 진동할 때 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공극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A display case fixed to a front end of the front case; a display unit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window;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odule; and a rear case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and the electric circuit board,
And one or more vibration transducer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The vibration converter includes:
A frame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vibration transducer;
A yoke assembly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constituting a magnetic circuit;
A bobbin coil installed in an air gap formed in the yoke assembly;
A first damper including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bobbin coil, and a leg portion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a second damper having an outer periphery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n inner periphery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amper;
Wherein the second damp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r voids so as not to generate sound when vibrating up and dow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관통부의 외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턱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 상기 진동변환기를 안착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 support jaw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and having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isplay window and the display module is provided on an outer edge of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ront case, and a seat for seating the vibration transduc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의 상면에 일정한 높이를 갖고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 진동전달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a vibration transmitting body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상기 진동변환기의 프레임 사이에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진동차단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vibrating body made of a porous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window and the frame of the vibration transducer.
KR20130068457A 2013-06-14 2013-06-14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468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57A KR101468631B1 (en) 2013-06-14 2013-06-14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57A KR101468631B1 (en) 2013-06-14 2013-06-14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631B1 true KR101468631B1 (en) 2014-12-05

Family

ID=5267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457A KR101468631B1 (en) 2013-06-14 2013-06-14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63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51B1 (en) 2018-01-17 2019-01-24 부전전자 주식회사 Vibrational transducer with muti-coil for display panel
KR101972002B1 (en) 2017-12-23 2019-08-23 부전전자 주식회사 Vibrational transducer for display panel
KR20190106618A (en) 2018-03-07 2019-09-18 부전전자 주식회사 Slim type vibrational transducer for display or oled lighting panel
CN114155789A (en) * 2021-11-25 2022-03-08 中山市万得福电子热控科技有限公司 Magnetic attraction display device, magnetic attraction fixing device and wall-hung type controller
WO2023090713A1 (en)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CN114155789B (en) * 2021-11-25 2024-06-07 中山市万得福电子热控科技有限公司 Magnetic attraction display device, magnetic attraction fixing device and wall-mounted contro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306A (en)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Speak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peaker
KR101235984B1 (en) * 2011-09-07 2013-02-21 부전전자 주식회사 Speaker and speaker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43937A (en) * 2011-10-21 2013-05-02 부전전자 주식회사 Speaker integrated with damp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306A (en)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Speak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peaker
KR101235984B1 (en) * 2011-09-07 2013-02-21 부전전자 주식회사 Speaker and speaker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43937A (en) * 2011-10-21 2013-05-02 부전전자 주식회사 Speaker integrated with damp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002B1 (en) 2017-12-23 2019-08-23 부전전자 주식회사 Vibrational transducer for display panel
KR101941851B1 (en) 2018-01-17 2019-01-24 부전전자 주식회사 Vibrational transducer with muti-coil for display panel
KR20190106618A (en) 2018-03-07 2019-09-18 부전전자 주식회사 Slim type vibrational transducer for display or oled lighting panel
KR102035641B1 (en) * 2018-03-07 2019-10-23 부전전자 주식회사 Slim type vibrational transducer for display or oled lighting panel
WO2023090713A1 (en)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CN114155789A (en) * 2021-11-25 2022-03-08 中山市万得福电子热控科技有限公司 Magnetic attraction display device, magnetic attraction fixing device and wall-hung type controller
CN114155789B (en) * 2021-11-25 2024-06-07 中山市万得福电子热控科技有限公司 Magnetic attraction display device, magnetic attraction fixing device and wall-mounted con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8922B2 (en) Electronics
KR101051237B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5859116B2 (en) Electronic equipment, panel unit
JP5734473B2 (en) Electronics
WO2013153827A1 (en) Electronic device
WO2013153828A1 (en) Electronic device
WO201316499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14082791A (en) Electronic apparatus
WO2006011604A1 (en) Loudspeaker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 electronic device
US9386375B2 (en) Miniature speaker
KR101468631B1 (en)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3236130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22507565A (en) mobile computer
JP2013219584A (en) Electronic apparatus
JP6022209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9363588B2 (en) Panel-form loudspeaker
JP2013232853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6005999B2 (en) Electronics
JP6006530B2 (en) Electronics
KR20200067721A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KR20190100832A (en) Hybrid actuator and multimedia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57279B2 (en) Electronics
JP5856199B2 (en) Electronics
JP6073074B2 (en) Electronics
CN109361992B (en) Key soun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