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304B1 -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ssembly having portable terminal and cas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ssembly having portable terminal and cas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8304B1 KR101468304B1 KR1020130051523A KR20130051523A KR101468304B1 KR 101468304 B1 KR101468304 B1 KR 101468304B1 KR 1020130051523 A KR1020130051523 A KR 1020130051523A KR 20130051523 A KR20130051523 A KR 20130051523A KR 101468304 B1 KR101468304 B1 KR 101468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lens cover
- unit
- delete delete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렌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렌즈 커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렌즈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렌즈 커버 센싱부와, 상기 렌즈 커버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lens cov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ens cover. The lens cover includes a case, A camera module including a camera len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 lens cover sensing part for sensing whether the lens cover is opened or closed, and a control part for executing a camera application based on whether the lens cover is opened or closed,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 커버가 구비된 단말기의 케이스,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결합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ca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having a lens cov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amera lens, And a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terminal is movable or not.
이 중 이동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of playing music,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또한,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In addition, a built-in camera module is implemented in such a form that photographs and moving pictures can be taken.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은 단말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인식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In such a mobile terminal,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modul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it is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따라서,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the needs of users of high-performance camera modules are increasing.
그러나,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카메라 렌즈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여 화질 및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부착할 경우, 이동 단말기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외관의 디자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amera lens is exposed to the outside, scratches may occur on the camera lens,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and performance. To prevent this, a means for protecting the camera lens is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limitation that not only 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creased but also the design quality of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온(ON) 시키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시키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신속하게 촬영해야 하는 순간을 놓쳐 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Furth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may happen that a moment to shoot quickly may be missed due to the time it takes to turn on the display unit and to find and execute the camera appl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보고하기 위한 수단을,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한 별도의 단말기 케이스에 구비시켜, 이동 단말기가 갖는 슬림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카메라 렌즈의 보호가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 및 이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reporting a camera lens of a mobile terminal to a separate terminal case detachable from the mobile terminal, so that a slim and beautiful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case capable of protecting a lens and a mobile terminal detachable from the terminal case.
또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히 실행시켜, 촬영 모드로의 신속한 전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렌즈 부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quickly executing a camera application and enabling quick switching to a photographing mod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lens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와 같은 단말기 케이스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Further,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덮는 단말기 결합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덮으며, 내측에 소정 크기의 전면 절개부가 형성되는 전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전면 커버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커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상기 전면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면 절개부를 통해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전면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을 통해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면 절개부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대응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서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전면 절개부를 통하여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를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절개부는, 상기 전면 커버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전면 절개부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면 절개부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커버부가 개방되면, 상기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영역을 통한 디스플레이 및 터치 입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픽셀들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커버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면 커버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절개부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픽의 이동이나 크기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case comprising: a terminal case; And a mobile terminal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terminal case includes: a terminal connector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front cover part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front incis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side, wherein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A display unit that is selectively covered by the front cover unit and displays the image or mov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module; A camera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A first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at can be verified through the front incision part when the front cover part is closed; A seco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at can be verifi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with the front cover part op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application,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incision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display unit, Wherei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first user interface when the front cover is closed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is displayed only through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
And a shooting mode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front incision unit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while the front cover unit is closed.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The front incision part is defined by a front incision part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ront cover part, and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incision part.
And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is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front cover is opened.
In addition, display and touch input through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user interface are limited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user interface.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user interface, pixels in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region are turned off.
The mobil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front cover unit is opened or closed and switching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user interface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have.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r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r position change of the front incision part.
The size or position change of the first display area is received by receiving a touch input for moving or magnifying a graphic representing the first display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단말기 케이스에 렌즈 커버가 개폐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므로, 이동 단말기의 슬림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s cover is provided in an openable and closable form in a terminal cas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amera lens while maintaining a slim and beautiful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이동 단말기가 카메라 렌즈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이를 기초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senses whether the camera lens is opened or closed, and provides various user interfaces based on the sen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ncreased.
또한, 피사체 발견시 신속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ecute and photograph a camera application quickly when a subject is foun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에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에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로, 도2a는 렌즈 커버가 닫힌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2b는 렌즈 커버가 열린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도2a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렌즈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렌즈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7a와 도7b는 도1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7a는 렌즈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7b는 렌즈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9는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예외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및 화면 잠금 설정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및 화면 잠금 미설정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던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던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예외 상태에서, 렌즈 커버를 개방하고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촬영 모드에 진입했다가, 다시 렌즈 커버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렌즈 커버를 개방하고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촬영 모드에 진입했다가, 다시 렌즈 커버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상태에서 렌즈 커버를 개방하여 촬영 모드에 진앱했다가, 다시 렌즈 커버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으나, 렌즈 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커버 및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1은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배터리 잔량 부족을 표시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2는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블랙 박스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커버 및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4는 버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5a 및 도25b는 버튼부와 케이스 결합 센싱부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25a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가 버튼부의 N극을 감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25b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가 버튼부의 S극을 감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26은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플래시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7은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증간 현실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8은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사진 촬영 지역 표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9는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잠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30은 렌즈 커버 오픈(open)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미리 설정된 사진 효과가 반영된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3은 도32를 CC 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 가능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a terminal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rear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bile terminal is coupled to a terminal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hows a state in which a lens cover is closed,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ns cover.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lens cover.
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7A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cover is closed, and Fig. 7B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cover is opened.
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in an exceptional state.
10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in the normal state.
11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display off state and the screen lock setting state.
12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is not locked.
1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and the lens cover opened in the normal state is closed.
14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opened in the off state of the display unit is closed.
15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screen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 lens cover is closed again after entering the photographing mode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the exceptional state .
16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screen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n the lens cover is closed again after entering the photographing mode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the normal state .
17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off stat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pparatus is put in the shooting mode and then the lens cover is closed again.
18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but the lens cover is closed.
19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cover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when the lens cover is open. FIG.
22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executing the black box mode when the lens cover is open.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cover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tton portion.
25A and 25B conceptual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unit and the case-combining sensing unit. FIG. 25A shows a case where the case-combining-sensing unit senses the N-pole of the button unit, S pole is detected.
26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a flash mode of a camera application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2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 mode of either the normal shooting mode or the incremental real mode at the time of opening the lens cover.
2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 mode of either the general photographing mode or the photographic photographing area marking mode when the lens cover is open (open).
2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 mode of either the normal shooting mode or the camera lock mode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3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ny one of a normal photographing mode in which the lens cover is opened (open), and a photographing mode in which a preset photograph effect is reflected.
31 is a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terminal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2 taken along the CC line. FIG.
34 is a view showing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rst display area can be changed.
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view illustrating a camera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 및 이에 결합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terminal case and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는,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별도로 구비되며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The mobil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에 이동 단말기(1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만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도1 내지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는, 케이스 본체(210)와, 상기 케이스 본체(210)에 구비되는 렌즈 커버 장착부(230)와, 상기 렌즈 커버 장착부(2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 커버(240)를 포함한다. 1 and 2B, a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 본체(210)는 중앙 부분이 대략 편평하게 연장되다가 상하 좌우 단부 근방에서 전방을 향해 휘어져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전방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 본체(210)의 내부에는 이동 단말기(100)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이동 단말기(100)가 결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과 배면을 커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210)의 좌우 양 단부 사이의 거리는,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좌우 폭 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결합될 때, 좌우 양단부가 탄성 변형하여 벌어지며,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뒤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좌우 양 단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므로, 이동 단말기(100)와 케이스 본체(210) 사이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o explain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in more detail, the
렌즈 커버 장착부(230)는 상기 케이스 본체(2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렌즈 커버(240)는 렌즈 커버 장착부(2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기 렌즈 커버(24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도2a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렌즈 커버 장착부(230)의 구성을 설명한다.3 to 5, the lens
도3은 도2a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4는 렌즈 커버(2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상기 렌즈 커버(24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2A,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커버(240)는, 케이스 본체(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내측부(241)와, 상기 케이스 본체(22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외측부(2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243)와 상기 내측부(241)의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부(2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부(241)와 상기 외측부(243)는 모두 판 형상을 갖는다.3 to 5, the
상기 외측부(243)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부(241) 보다 더 짧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242)는 상기 내측부(241) 보다 더 짧게 연장된다.The
여기서, 상기 렌즈 커버(240)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제1 방향(x축 방향)이라 하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y축 방향)이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모두 내측부(241) 또는 외측부를 이루는 평판의 연장방향에 평행한 방향들이다. 한편,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z축 방향)이라 한다. 상기 제3 방향(z축 방향)은 상기 내측부(241) 또는 외측부를 이루는 평판에 수직한 방향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전후 방향은, 제3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렌즈 커버(240)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내측부(241)가 가장 길고, 외측부가 그 다음으로 길며, 중간부(242)가 가장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refore, the length of the
한편, 상기 렌즈 커버(240)의 제2 방향(y축 방향) 길이는, 도3을 참조하면, 내측부(241)와 외측부(243)에서 대략 동일하고, 중간부(242)가 가장 짧은 길게 형성된다. 즉 중간부(242)의 제2 방향 길이는 상기 내측부(241) 및 외측부(243)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렌즈 커버(240)는, 내측부(241) 및 외측부 사이의 중간부(242)가 제2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 오목한 홈은 가이드 홈(244)을 형성한다. 3, the length of the
한편, 상기 내측부(241)에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기(246)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 돌기(246)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제2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으로 후퇴하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렌즈 커버(240)에는 렌즈 커버 자성체(245)가 결합된다. 상기 렌즈 커버 자성체(245)는 내측부(241)의 제1 방향 끝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렌즈 커버 자성체(245)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는, 후술하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어, 렌즈 커버(240)의 개폐 상태를 제어부(180)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렌즈 커버 센싱부(141)는 렌즈 커버 자성체(245)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Meanwhile, a lens cover
한편, 상기 외측부(241)의 외측 가장자리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측부(241)는 슬라이딩되는 제1 방향의 양 단부 외측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카메라 모듈(121) 작동시, 외측부(241)로 인해 화각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최대 화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edge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렌즈 커버(2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커버(230) 장착부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커버 장착부(230)는 케이스 본체(210)의 내측면이 외측으로 단차지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내측면이 제3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렌즈 커버 장착부(230)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렌즈 커버(240)의 내측부(241)의 제3 방향 두께와 대략 동일하거나, 내측부(241) 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2A and 2B, the lens
상기 렌즈 커버 장착부(230)에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면 절개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배면 절개부(231)는 상기 케이스 본체(210)를 제3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The lens
한편, 상기 렌즈 커버 장착부(230)에는 전술한 렌즈 커버(240)의 가이드 홈(244)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32, 도3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32)는 전술한 렌즈 커버(240)의 가이드 홈(24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배면 절개부(241)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 돌기(232)의 제3 방향 폭은 케이스 본체(210)의 다른 부분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돌기(232)의 제3 방향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두껍거나 더 얇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ens
한편, 상기 렌즈 커버 장착부(230)에는 상기 탄성 돌기(246)가 삽입 가능한 돌기 삽입부(233a, 233b)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 삽입부(233a, 233b)는 상기 렌즈 커버(240) 장착부의 단차면(234)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면(234)은, 함몰되어 형성되는 렌즈 커버 장착부(230)와, 그 외측 부분 사이의 단차진 부분으로서, 대략 제2 방향(y축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 삽입부(233a, 233b)는 상기 단차면(234)의 일부가 제2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The lens
상기 돌기 삽입부(233a, 233b)는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렌즈 커버(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 돌기(246)가 삽입되는 제1 돌기 삽입부(233a)와, 상기 렌즈 커버(2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돌기(246)가 삽입되는 제2 돌기 삽입부(23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커버(24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돌기 삽입부(233a)에 삽입되어 있던 탄성 돌기(246)는, 렌즈 커버(240)가 개방되는 경우, 제1 돌기 삽입부(233a)로부터 빠져 나와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한 후, 제2 돌기 삽입부(233b)에 삽입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한편, 상기 렌즈 커버(24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44)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32)에 의해, 렌즈 커버(240)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된다.
3, the slide of the
이하, 도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단말기 케이스(200)에 결합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한 후,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상기 렌즈 커버(240)가 슬라이딩 되어 배면 절개부(231)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한다.6A and 6B, the structur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 / V (Audio / Video)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센싱부(140)는 렌즈 커버(2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의 일 예로는 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 커버 센싱부(141)는 렌즈 커버(240)에 구비된 렌즈 커버 자성체(245)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렌즈 커버(240)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근접 센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렌즈 커버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한편, 근접 센서로는 홀 센서와 같은 자기 근접 센서 이외에, 광학 근접 센서, 용량성 근접 센서, 광학 근접 센서, 와전류 근접 센서, 초음파 근접 센서, 유도성 근접 센서가 사용 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On/Off 상태를 센싱할 수 있으며,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이하,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간단히 추가 설명한 후 렌즈 커버의 물리적인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7a 및 도7b는 케이스에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1을 AA 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7a는 렌즈 커버가 닫힌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7b는 렌즈 커버가 열린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and then a physical operation method of the lens cover will be described.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a case, and Fig. 1 is a sectional view cut along the line AA. Fig. 7A shows the lens cover closed, and Fig. 7B shows the lens cover opened.
이동 단말기 내부에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도7a 및 도7b에서는 상방)에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일부인 터치 입력부(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는 제어부(180)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81)이 배치된다.A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81)의 중앙부분에는 카메라 모듈(121)이 구비되며, 카메라 모듈(121)에서 좌우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렌즈 커버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렌즈 커버 센싱부(141)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 커버 센싱부(141)는 렌즈 커버(240)에 결합되는 렌즈 커버 자성체(245)의 접근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홀 센서일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단말기 케이스(200) 및 이동 단말기(100)에 있어서,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커버(240)가 닫혀 있는 경우, 렌즈 커버(240)에 결합된 렌즈 커버 자성체(245)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영역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렌즈 커버 센싱부(141)는 홀 센서이므로, 렌즈 커버 자성체(245)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렌즈 커버(2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데, 렌즈 커버 자성체(245)가 렌즈 커버 센싱부(141)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면 렌즈 커버 센싱부(141)가 이를 감지하여, 렌즈 커버(240)가 닫힌 것을 감지할 수 있다.7A, when the
반면,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커버(240)가 열려, 렌즈 커버 자성체(245)가 렌즈 커버 센싱부(141)로부터 멀어져,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영역 밖으로 벗어나면, 렌즈 커버 센싱부(141)는 렌즈 커버(240)가 열린 것을 감지할 수 있다.7B, when the
한편, 렌즈 커버(240)가 렌즈 커버 장착부(230) 내에서 슬라이딩 할 때, 가이드 돌기(23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44)에 삽입된 채로 유지되므로, 가이드 돌기(232)와 가이드 홈(244)에 의해 렌즈 커버(240)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하,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커버(240)의 개폐 여부에 따른 제어부(18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에 도시된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전체적인 동작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닫혀 있는(closed) 렌즈 커버(240)를 슬라이딩시켜, 개방된(open) 상태로 바꾸면, 카메라 렌즈(121a)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센싱부(140)에서는 렌즈 커버(240)의 개방을 센싱한다.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240)가 개방(open)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킨다. 이때,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은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camera pre-view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를 선택하여 카메라 프리뷰 모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촬영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참고로, 촬영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촬영이 가능한 촬영 모드를 의미하며, 카메라 프리뷰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촬영이 제한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Before describing each step shown in FIG. 8, the entire operation method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when the user closes the
이하, 도8을 참조하여, 제어부(180)가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8, an operation process of the
먼저,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로부터 렌즈 커버(240)의 개방(Open)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S201).First, the
렌즈 커버(240)의 개방 상태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가 온(on) 상태인지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2).When the open state of the
디스플레이부(151)가 온(on) 상태라면, 제어부(180)는 예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예외 상태란,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Lock screen) 또는 통화 상태(in call) 등으로, 이동 단말기의 자유로운 이용이 제한된 상태이거나 우선시되어야 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예외 상태에 반대 되는 개념은 일반 상태로서, 일반 상태는 예외 상태가 아닌 나머지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일반 상태에서는 터치 조작 등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온(on) 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 상태 또는 예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If the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가 예외 상태라고 판단되면, 카메라 프리뷰 모드(camera pre-view mode)에 진입한다(S204). 즉, 카메라 프리뷰 모드를 선택하여, 카메라 프리뷰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카메라 프리뷰 모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카메라 프리뷰 모드의 인터페이스는 후술하는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301)와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302)를 포함한다. 따라서,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서는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기는 하지만, 함께 출력되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통화 상태 등의 우선 작업 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면, 촬영을 위한 터치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perform a touch input for unlocking to release the screen lock state.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서 화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The
그리고, 판단 결과 제어부(180)가 터치부로부터 화면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S206). 즉,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 이 때, 제어부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301)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한편, S203 단계에서, 제어부(180)가 예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예외 상태가 아닌 일반 상태라고 판단되면, 바로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S207). 즉,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301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301)를 조작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3 that the
한편, S202 단계에서,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1)를 오프(off) 상태라고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화면 잠금 설정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8).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2 that the
화면 잠금 설정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로 진입한다(S209). 즉, 카메라 프리뷰 모드를 선택하여,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301)와 함께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302)가 표시된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서는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301)가 출력되기는 하지만, 함께 출력되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302)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 또는 우선 작업 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면, 촬영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reen is locked,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perform a touch input for unlocking to release the screen lock state.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서 화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그리고, 판단 결과 제어부(180)가 터치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S211). 즉,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 촬영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301)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S208 단계에서, 화면 잠금 상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에 진입한다(S212). 즉,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301)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8 that the screen lock state is not set, the
도9 내지 도12는 앞서 설명한 과정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9 to 12 show the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먼저 도9는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예외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 온(on) 및 예외 상태에서 S204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카메라 프리뷰 모드의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시됨에 따라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301)와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302)가 함께 표시된다. 도9는 잠금 해제를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 중의 일예로,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는 예시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다 다양한 잠금 해제 시나리오가 제공될 수 있다.First,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the exceptional state. More specifically, the interface of the camera preview mode is output to the
한편, 도10은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S207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301)가 제공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촬영 아이콘을 숏터치 또는 롱터치 하여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the normal state. More specifically, in the on and normal states of the
한편, 도11은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및 화면 잠금 설정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되고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렌즈 커버(240)가 개방되어 S209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제어부(180)가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S209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151)에 촬영 모드의 인터페이스(301)와,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302)을 함께 출력한다. 이때,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 중 하나로, 패턴을 드래그 입력 하는 것에 의해 잠금 설정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 해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11 shows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display off state and the screen lock setting state. More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도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촬영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즉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1,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for unlocking, the screen lock state can be canceled and the user can enter the photographing mode. That is, the photographing mode can be selected.
한편, 도12는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및 화면 잠금 미설정 상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오프(off) 및 화면 잠금 미설정 상태에서, 제어부(180)에 렌즈 커버(240)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를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151)에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301)가 표시되도록 한다.
12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is not lock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이하, 도13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렌즈 커버(240)가 오프(off) 상태에서 On(온) 상태로 조작된 경우의, 이동 단말기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열려 있던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설명하며,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열려 있던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경우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13 to 1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먼저, 도13 및 도14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151)는 온(on) 되어 있으나,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5 내지 도17은 제어부가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에 진입한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13 and 14 show a user interface when the control unit does not enter the photographing mode or the camera preview mode although the
이하, 도13 내지 도17에 도시된 예를 순서대로 자세히 검토한다.Hereinafter, the examples shown in Figs. 13 to 17 will be examined in detail in order.
도13은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던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온(on) 상태이며,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가 아닌 경우, 카메라 렌즈(14)가 닫혀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온 상태이고,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가 아닌 경우, 카메라 렌즈(14)의 폐쇄(close) 신호를 수신해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환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and the lens cover opened in the normal state is closed. 13, no change occurs in the user interface even when the camera lens 14 is closed when the
이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14는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던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에서, 렌즈 커버(240)가 닫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계속 오프(off)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이고,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가 아닌 경우, 카메라 렌즈(14)가 닫혀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환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This is true even when the
한편,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유지되던 렌즈 커버(240)를 오프(off) 상태로 변환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의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기 이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15 to 17, when the
도15는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예외 상태에서, 렌즈 커버를 개방하고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촬영 모드에 진입했다가, 다시 렌즈 커버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를 참조하면, S204의 단계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하여, 앞서 설명한 도8의 S206의 단계를 통해,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렌즈 커버(240)의 폐쇄(closed)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를 종료시키고, 카메라 프리뷰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화면 잠금 상태를 안내하는 화상을 출력한다. 단, 스와입(swipe)의 경우에는 잠금 해제 화면이 아니라, 잠금 해제된 화면을 표시한다.15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screen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 lens cover is closed again after entering the photographing mode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the exceptional state . Referring to FIG. 15, when the screen lock is released in step S204 and a closed signal of the
도16은 디스플레이부 온(on) 및 일반 상태에서, 렌즈 커버를 개방하고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촬영 모드에 진입했다가, 다시 렌즈 커버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8의 S207의 단계를 통해,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렌즈 커버(240)의 폐쇄(closed)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를 종료시키고, 촬영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16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screen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n the lens cover is closed again after entering the photographing mode in the display unit on state and the normal state .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entered through the step S207 of FIG. 8 described above, the
도17은 디스플레이부 오프(off) 상태에서 렌즈 커버를 개방하여 촬영 모드에 진앱했다가, 다시 렌즈 커버를 닫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8의 S212 단계를 통해, 카메라 프리뷰 모드 또는 촬영 모드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된 경우, 렌즈 커버(240)의 폐쇄(closed)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 또는 촬영 모드를 종료 시키고, 디스플레이부(151)를 오프(off) 시켜, 원래의 디스플레이부(151) 오프(off) 상태로 되돌린다.17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lens cover is opened in the off stat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pparatus is put in the shooting mode and then the lens cover is closed again. 17, when the camera preview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is outputted through the
한편, 도18은 이동 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으나, 렌즈 커버(24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닫혀 있습니다"는 안내 메시지 또는 "렌즈 커버를 열어 주세요"라는 등의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18 shows a user interface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ut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렌즈 커버(240)가 열리면, 제어부(180)는 이를 표시하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메라의 셔터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한편, 제어부(180)는 S207 단계 또는 S212 단계에서 렌즈 커버가 오픈되는 순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빠른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은 렌즈 커버가 오픈되는 순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 시간 동안의 타임 딜레이 후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렌즈 커버 오픈 후 1초 후에 자동으로 첫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207 or step S212,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커버는 도1 내지 도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ens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lide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direc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and may be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direction Or may be configured to slid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는,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별도로 구비되며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200)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센싱부(140)가 이동 단말기(100)와 단말기 케이스(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제어부(180)는 이 센싱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In the
도20에는, 단말기 케이스(200)에 이동 단말기(10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결합 감지 자성체(250)가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100)에는 상기 결합 감지 자성체(250)의 접근을 센싱하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20 shows a case where the
따라서 도20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14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자성체는 렌즈 커버 자성체(245)에 더하여, 결합 감지 자성체(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는 자기장을 검출하여 접근 여부를 센싱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20,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단말기 케이스(200)의 다른 구성은 앞선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other components of the
이하, 도21 및 22를 참조하여, 결합 감지 자성체(250)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1 and 2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operating the
먼저 도21을 참조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상태에서, 렌즈 커버(240)가 오픈되면, 배터리 잔량 부족 정보가 디스플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21은 이러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First, referring to FIG. 21, an example in which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the
도2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200)에 결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11).Referring to FIG. 21, the
또한,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240)가 개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12).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ens
또한, 전원공급부(19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313).Based on the signal from the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가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고, 렌즈 커버가 개방되어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되면,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S314).If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se and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이때, 배터리 잔량 부족 메시지는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는 의미의 문장일 수도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는 의미의 음성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표시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배터리 잔량 부족을 표시하는 방법은 이 외에도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maining battery power shortage message may be a sentence meaning that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insufficient, or may be a voice signal meaning that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insufficient. Further, the battery indication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 variety of other methods can be used to indicate the remaining battery level.
한편, 단말기 케이스가 차량에 장착된 것일 경우,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200)에 장착되고, 렌즈 커버(240)가 오픈되면, 블랙 박스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22는 블랙 박스 모드가 실행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When the
도2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차량에 부착된 케이스(200)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1).24, the
그리고,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240)가 오픈(open)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2).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lens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차량에 부착된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고, 렌즈 커버(240)가 오픈 되었다고 판단되면, 블랙 박스 모드를 실행한다(S323). 여기서 블랙 박스 모드를 실행한다는 것은, 블랙 박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일 수도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The
[제3 실시예]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는,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별도로 구비되며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200a)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a)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24는 버튼부(26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25는 상기 버튼부(2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이하, 도23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단말기 케이스(200a)에 구비되는 결합 감지 자성체(250)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200a)에 내장되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는 자성체의 극성을 센싱하며, 제어부는 이 센싱값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3 to 28, the coupled sensing
먼저, 도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a)에는 렌즈 커버(240)의 개폐를 감지 하기 위한 렌즈 커버 자성체(245) 이외에, 이동 단말기(100a)와 단말기 케이스(200a)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결합 감지 자성체(264N, 264S)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결합 감지 자성체(264N, 264S)는 버튼부(260)에 구비된다.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a)는, 버튼부(26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앞선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버튼부(260) 이외의 다른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23, the
이하, 도24를 참조하여 버튼부(26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24는 버튼부(26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24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260)는 케이스 본체(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내측부(241)와, 상기 케이스 본체(22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외측부(2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243)와 상기 내측부(241)의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부(2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부(241)와 상기 외측부(243)는 모두 판 형상을 갖는다.24, the
상기 외측부(243)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부(241) 보다 더 짧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242)는 상기 내측부(241) 보다 더 짧게 연장된다. 상기 외측부(263)와 상기 중간부(242)는 길게 연장되는 내측부(261)의 제1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The
한편, 상기 렌즈 커버(240)의 제2 방향 길이는, 도3을 참조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내측부(241)와 외측부(243)에서 대략 동일하고, 중간부(242)가 가장 짧은 길게 형성된다. 즉 중간부(242)의 제2 방향 길이는 상기 내측부(241) 및 외측부(243)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상기 렌즈 커버(240)는, 슬라이딩 방향인 제1 방향에서 볼 때, 내측부(241) 및 외측부(263) 사이의 중간부(242)가 제2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Meanwhile, the length of the
한편, 상기 내측부(241)에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기(246)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 돌기(246)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제2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으로 후퇴하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렌즈 커버(240)에는 결합 감지 자성체(264N, 264S)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 감지 자성체(264N, 264S)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극을 갖는 제1극 자성체(264N)와, 제2 자극을 갖는 제2극 자성체(264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은 N극이며, 제2 극은 S극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sensing magnetic bodies 264N and 264S are coupled to the
상기 자성체(250)는 내측부(241)의 양쪽 단부 근방에 결합된다. 즉, 내측부(241)의 일단에는 제1 극 자성체(264N)가 결합되며, 타단에는 제2 극 자성체(264S)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결합 감지 자성체(264N, 264S)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어, 렌즈 커버(240)의 개폐 상태를 제어부(180)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upling sensing magnetic substances 264N and 264S are detected by the case
한편, 상기와 같은 버튼부(260)는 단말기 케이스(200a)의 케이스 본체(210a)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260)의 장착 위치에는, 앞서 설명한 렌즈 커버 장착부(230)와 유사한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버튼부(260)가 장착되는 버튼부 장착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the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단말기 케이스(200a)는, 버튼부(2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이 앞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말기 케이스(20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기 케이스(200a)에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에는, 버튼부(260)에 장착되는 결합 감지 자성체(25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버튼부(260)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이하, 도25a 및 25b를 참조하여, 버튼부(260)에 결합되는 자성체(264N, 264S)와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etic substance 264N, 264S coupled to the
도25a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감지 영역 내부에 N극을 가진 제1극 자성체(264N)가 인접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5b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감지 영역 내부에 S극을 가진 제2극 자성체(264S)가 인접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25A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first polar pole member 264N having an N pole is adjacent to a sensing region of the case
버튼부(260)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데, 도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260)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극 자성체(264S)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로부터 멀어지며, 제1 극 자성체(264N)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에 가까워진다. 버튼부(260)가 오른쪽으로 끝까지 슬라이딩 이동하면, 제1 극 자성체(264N)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감지 영역 내부에 존재하게 되며,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는 제1극 자성체(142)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에 의해 제1 극 자성체(142)의 자기장이 감지될 때의 버튼부(260)의 위치를 버튼부의 제1 위치라 한다. 버튼부는 탄성 돌기(266)에 의해 제1 위치인 채로 고정될 수 있는데, 탄성 돌기(26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원리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렌즈 커버(240)의 슬라이딩 및 고정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한편, 사용자가 외측부(263)를 왼쪽으로 가압하여, 버튼부(260)가 도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면, 제2 극 자성체(264S)가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영역 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의 버튼부(260)의 위치를 제2 위치라 한다. 한편, 버튼부(260)는 탄성 돌기(266)에 의해 제2 위치인 채로 고정될 수 있는데, 탄성 돌기(26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원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shes the
한편, 상기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제2 위치에 있는지와, 렌즈 커버(240)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거나,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Depending on whether the
즉,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와,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로부터 수신되는 버튼부(26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이하, 렌즈 커버(240)의 개폐정보와, 버튼부(26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이동 단말기(100) 작동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Various example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먼저, 도26을 참조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작동시 플래시(flash)의 작동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26은 이러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26, an example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a flash in operation of a camera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Fig. 2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is example.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31).The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32).The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플래시 자동 모드(auto flash mode)를 설정한다(S333). 그리고, 플래시 자동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즉,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촬영 모드 진입시, 플래쉬가 자동 동작 모드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다. 참고로, 플래쉬가 자동 동작 모드인 경우, 주변의 광량을 센싱하여 광량이 충분치 못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플래쉬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If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반면,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2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플래시 수동 조작 모드를 선택 설정한다(S334). 그리고, 플래시 자동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즉,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촬영 모드 진입시, 플래쉬는 수동 조작 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촬영시에 광량이 부족하더라도, 플래쉬는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렌즈 커버(240) 오픈 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증강 현실 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즉, 버튼부(260)의 위치에 따라, 렌즈 커버(240) 오픈 시, 제어부(180)가 일반적인 촬영 모드 또는 증강 현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27은 이러한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operate in the augmented reality mode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after the
이하 도27을 참조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증강 현실 모드에 진입하는 예를 설명한다.27, an example of entering the augmented reality mode upon execution of a camera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41).First, the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42).The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일반적인 촬영 모드를 실행시킨다(S343). 즉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프리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반면,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2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증강 현실 모드를 실행시킨다(S344). 예컨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GPS를 온(ON) 시켜, 디스플레이부(151)에 뒷배경 건물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렌즈 커버(240) 오픈 시, 촬영 모드에 진입함에 있어, 사진 촬영 지역 표기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28은 이러한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Meanwhile, when the
이하 도28을 참조하여, 렌즈 커버 오픈에 의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사진 촬영 지역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한다.28, an example in which any one of the general photographing mode and the photographing area display mode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by opening the lens cover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51).First, the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52).The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일반적인 촬영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353). 이때, 일반적인 촬영 모드로 진입한다 함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반면,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2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사진 촬영 지역 표기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354). 사진 촬영 지역 표기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GPS를 ON 시켜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사진 촬영시 이 정보가 표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사진이 이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촬영되는 사진에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ece)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렌즈 커버(240) 오픈 시, 일반 촬영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으며, 카메라 잠금 모드에 진입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제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29는 이러한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Meanwhile,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이하 도29를 참조하여, 렌즈 커버 오픈에 의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카메라 잠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한 예를 설명한다.29, an example in which any one of the general photographing mode and the camera locking mode can be selectively executed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by opening the lens cover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61).First, the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62).The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일반적인 촬영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36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반면,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2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카메라 잠금 모드에 진입한다(S364). 즉, 렌즈 커버(240)가 오픈되어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기 사용 중, 사용자가 조작상의 실수로 레즈 커버(240)를 개방하더라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이 제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렌즈 커버(240) 오픈 시, 촬영 모드에 진입함에 있어, 자주 사용하는 사진 효과를 미리 설정해 놓고, 설정된 효과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30은 이러한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하 도30을 참조하여, 렌즈 커버 오픈에 의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일반 촬영 모드 또는 미리 설정된 사진 효과가 반영된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진입 가능한 예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0,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application can be selectively entered into a general photographing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in which a predetermined photograph effect is reflec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 센싱부(14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71).First, the
또한, 제어부(180)는 케이스 결합 센싱부(142)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72).The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1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일반적인 촬영 모드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7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반면, 제어부(180)는 렌즈 커버가 오픈되었고, 버튼부(260)가 제2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사진 효과가 반영된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74).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s cover is opened and th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는,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별도로 구비되며 이동 단말기가 착탈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200b)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는, 도31 및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10)에 더하여, 전면 커버부(220)와, 연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terminal cas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and 32, th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b)는, 이동 단말기(100)가 착탈 가능한 케이스 본체(210)와, 상기 케이스 본체(2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커버 가능한 전면 커버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10)와 상기 전면 커버부(22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250)를 더 포함한다. The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21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 본체(210)와 동일하다. 즉, 도3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200b)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케이스(200a, 200b)에 전면 커버부(220) 및 연결부(250)가 추가 결합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210)의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전면 커버부(2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커버부(12)에는 전면 절개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 절개부(221)는 전면 커버부(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면 절개부(221)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상 또는 영상을 볼 수도 있으며, 터치 입력을 행할 수도 있다. The
전면 커버부(220)에는 전면 커버 자성체(222)가 장착 될 수 있다. 전면 커버부(220)에 전면 커버 자성체(221)가 장착되는 경우, 전면 커버부(220)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이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A front cover
또한 전면 커버부(220)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접촉하는 면은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기 발생 방지처리 될 수 있다. 정전기 발생 방지처리를 위해 전면 커버부(220)에 정전기 발생 방지용 물질이 도포 되거나 정전기 발생 방지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전면 커버부(220)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전면 커버 센싱부(1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1), 터치 입력부(131), 인쇄회로기판(182), 전면 커버 센싱부(143) 등을 포함하는데, 전면 커버 센싱부(143)가 추가된 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앞선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의 이동 단말기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한편, 도32에는 전면 커버 센싱부(143)가 개략적인 투시도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동 단말기(100) 내에서 전면 커버 센싱부(143)의 개략적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전면 커버 센싱부(143)의 위치는 도33에 보다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전면 커버 센싱부(143)는 인쇄회로기판(182)에 실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33은 도32를 CC 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3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상기 전면 커버 센싱부(143)는 자기장의 변화를 통하여 전면 커버부의(220)의 상태 변화를 검출 할 수 있다. The front
상기 연결부(250)는 상기 케이스 본체(210)와 상기 전면 커버부(220)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50)의 일단은 케이스 본체(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면 커버부(22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250)는 유연한(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210)에 이동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20)는 배면이 이동 단말기의 전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놓여질 수도 있으며, 대략 180도 회전하여 전면이 케이스 본체(210)의 배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놓여질 수도 있다.
The
이하, 도34 및 도35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 케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34 and 35,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가진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420)을 포함한다.The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은 전면 커버부(220)의 절개부(221)에 대응되는 영역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42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영역(active area) 전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420)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 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제공한다. In the first user interface mode, the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단말기 케이스(200b)의 전면 커버부(220)가 닫힌 경우 전면 커버부(220)의 전면 절개부(22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이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을 통해 터치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케이스(200a)의 전면 커버부(220)를 열지 않은 상태로도,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시청하거나, 터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The first user interface mode is an operation mode of the
한편,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영역(420)에 대하여서는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터치 입력을 제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픽셀에 대한 턴 온, 턴 오프가 가능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시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을 제외한 영역의 픽셀들을 오프 시 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픽셀에 대한 턴 온, 턴 오프가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 외측을 검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user interface operation mode, the
한편, 제1 인터페이스 모드 진입시,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 이외의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first interface mode, the controller may ignore the touch signal input through the area other than the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는 단말기 케이스(200b)의 전면 커버부(220)가 열린 경우, 또는 이동 단말기(100)가 단말기 케이스(200b)로부터 분리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가능 영역(active area) 전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이다. The second user interface mode is a mode in which the
상기와 같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사이의 전환은, 전면 커버 센싱부(143)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witching between the first user interface mode and the second user interface mod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ront
즉, 제어부(180)는 전면 커버 센싱부(143)의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전면 케이스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을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That is, the
반면에, 제어부(180)가 전면 커버 센싱부(143)의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전면 케이스(220)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420)을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전면 커버부(220)를 열지 않고도, 전화를 받거나, 음악을 실행시키거나 날씨를 확인 하는 등의 다양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receiving a call, executing music, checking the weather, etc. without opening the
또한 전화가 걸려오거나 문자 수신되는 등의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이벤트들이 발생한 경우,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실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단말기 케이스(200a)의 전면 커버부(220)를 열지 않고도 다양한 이벤트들을 확인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events that need to be notified to the user occur, such as a phone call or a text message being received, the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events can be executed in the first user interface mode, 220 can be opened without opening the various events.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의 크기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35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200b)를 교체하여, 전면 절개부(221)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새로운 절개부(221)에 대응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ze or position of the
제어부(18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 을 나타내는 그래픽을 이동하거나 크기를 변경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크기 및 좌표에 대한 수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의 위치와 크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The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들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각기 다르게 턴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 sources for providing light to the
이하 도 36 및 도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200b)의 전면 커버부(220)의 상태 변경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36 and 37,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of the
도 36은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부(22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tate of the
전면 커버 센싱부(143)는 단말기 케이스(200a)의 전면 커버부(220)의 상태 변경을 검출한다(S101). 전면 커버부(220)의 상태는 열림에서 닫힘으로 변경된 것과, 닫힘에서 열림으로 변경된 것을 포함한다. The front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한다(S103).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만이라도 턴 온 되어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제어부(180)는 전면 커버부(220)의 상태와 디스플레이부(151)의 턴 온 여부에 따라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결정한다(S105). The
현재 디스플레이부(151)가 턴 온 되어있고 전면 커버부(220)의 상태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변경된 것인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결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If the
도37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일 실행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화면이, 케이스 커버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Fig. 37 shows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unit executed in a camera application, which changes as the case cover is opened and closed.
좌측의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통해 표시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면 커버부(220)가 닫힘에 따라, 전면 절개부에 대응되는 크기 및 위치로 축소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left drawing,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display unit is reduced to a size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incision part as the
따라서, 앞선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커버(240)의 개폐 여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상은, 전면 커버부(2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410)을 통해서만 표시되고, 전면 커버부(2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420)을 통해서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wh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0)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덮는 단말기 결합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덮으며, 내측에 소정 크기의 전면 절개부가 형성되는 전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전면 커버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커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상기 전면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면 절개부를 통해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전면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을 통해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면 절개부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대응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서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A terminal case; And
And a mobile terminal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The terminal case includes:
A terminal coupling unit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d a front cover part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front incision part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A display unit that is selectively covered by the front cover unit and displays the image or mov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module;
A camera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A first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at can be verified through the front incision part when the front cover part is closed;
A seco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at can be verifi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with the front cover part ope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applicati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incision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display unit,
Wherei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first user interface when the front cover is closed,
Wherei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is displayed only through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상기 전면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전면 절개부를 통하여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front incision part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while the front cover part is closed.
상기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를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상기 전면 절개부는, 상기 전면 커버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로 정의되고,
상기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면 절개부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incision part is defined as an opening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ront cover part,
Wherein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incision part.
상기 전면 커버부가 개방되면, 상기 촬영 모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front cover is opened, the photographing mode interface is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영역을 통한 디스플레이 및 터치 입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isplay and touch input through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user interface are restricted in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user interface.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픽셀들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pixels in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region are turned off in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user interface.
상기 전면 커버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면 커버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ont cover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front cover unit is opened or closed and switching between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user interface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상기 전면 절개부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r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is changeable in response to a change in size or position of the front incision part.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변경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픽의 이동이나 크기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ze or position change of the first display area is performed by receiving a touch input for moving or magnifying a graphic representing the first display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523A KR101468304B1 (en) | 2013-05-07 | 2013-05-07 |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ssembly having portable terminal and case for portable terminal |
US14/271,085 US9307129B2 (en) | 2013-05-07 | 2014-05-06 |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
US15/048,417 US9661202B2 (en) | 2013-05-07 | 2016-02-19 |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523A KR101468304B1 (en) | 2013-05-07 | 2013-05-07 |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ssembly having portable terminal and case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239A KR20140132239A (en) | 2014-11-17 |
KR101468304B1 true KR101468304B1 (en) | 2014-12-03 |
Family
ID=5245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1523A KR101468304B1 (en) | 2013-05-07 | 2013-05-07 |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ssembly having portable terminal and cas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830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1183B1 (en) * | 2015-10-14 | 2022-11-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ens module and camera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KR102493579B1 (en) * | 2018-01-08 | 2023-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
KR101965540B1 (en) * | 2018-11-26 | 2019-04-03 | 이현아 | Mobile phone case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hidden camera |
KR102189351B1 (en) * | 2018-12-27 | 2020-12-09 | 홍승현 | Terminal case |
KR20200145351A (en) * | 2019-06-21 | 2020-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including a sub display |
KR20220127469A (en) * | 2021-03-11 | 2022-09-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ase device thereof |
KR20220151992A (en) * | 2021-05-07 | 2022-1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cover and method of operating in the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6527A (en) * | 2005-04-09 | 2006-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ver device of camera lens for mobile phone |
KR20070002523A (en)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urning on/off camera and flash by using magnetic sensor |
KR100924464B1 (en) * | 2007-09-03 | 2009-11-03 | (주)엘티엠에이피 | Apparatus for closing and opening camera door in mobile |
KR100970982B1 (en) * | 2008-06-03 | 2010-07-20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module for protecting camera lenz of mobile device |
-
2013
- 2013-05-07 KR KR1020130051523A patent/KR10146830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6527A (en) * | 2005-04-09 | 2006-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ver device of camera lens for mobile phone |
KR20070002523A (en)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urning on/off camera and flash by using magnetic sensor |
KR100924464B1 (en) * | 2007-09-03 | 2009-11-03 | (주)엘티엠에이피 | Apparatus for closing and opening camera door in mobile |
KR100970982B1 (en) * | 2008-06-03 | 2010-07-20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module for protecting camera lenz of mobil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239A (en) | 2014-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8304B1 (en) |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ssembly having portable terminal and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505681B1 (en) |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Photographing Image Using the Same | |
US9661202B2 (en) |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 |
KR101505688B1 (en) | Mobile termian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101917690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2009672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23472B1 (en) | Socket modul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00050595A (en) | Method of controlling instan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518031B1 (en) | Mobile termian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20120122314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101958777B1 (en) | Controll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 |
KR101816152B1 (en) |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88226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3005507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1520686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20150064535A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84591B1 (en) | Mobile terminal, stylus pen and method for data sharing using therof | |
KR20130135647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09506B1 (en) | Mobile terminal and edit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 |
KR10153150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 |
KR10184866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1999733B1 (en) |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to mobile terminal | |
KR10148019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Moving Route Using Same | |
KR101060547B1 (en) | Mobile terminal, and security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 |
KR2015002561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