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687B1 - Pneumatic Radial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Radial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687B1
KR101467687B1 KR20130067819A KR20130067819A KR101467687B1 KR 101467687 B1 KR101467687 B1 KR 101467687B1 KR 20130067819 A KR20130067819 A KR 20130067819A KR 20130067819 A KR20130067819 A KR 20130067819A KR 101467687 B1 KR101467687 B1 KR 10146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tire
corrugated
tread
ti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일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6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6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59Depth of the sipe
    • B60C11/1263Depth of the sipe different within the sam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8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 B60C23/19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for dissipat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2011/0334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radial tire comprised of threads, a sidewall, and a bead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thread blocks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thread; and a tie bar formed between the thread blocks. The tie bar includes one or more waveform kerfs.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rigidity and control stability of the tire without separation due to the abnormal abrasion and stress concentration.

Description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Pneumatic Radial Tire}{Pneumatic Radial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드의 횡그루브 내에 개량된 타이바(tie bar)를 구비하여 주행방향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마모 중/후반부의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고 블록간 자유도를 높여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타이바를 구비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inlet radial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inlet radial tire having an improved tie bar in a transverse groove of a tread to maintain traction performance during wear / To an air inlet radial tire having an improved tie bar capable of preventing cracking by raising the tie bar.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 상기 인너라이너의 외주에 적층되는 카카스, 상기 카카스의 외주에 적층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외주에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타이어의 양쪽 측부를 구성하는 양쪽 사이드월, 및 휠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부로 구성된다. Generally, the pneumatic tire includes an inner liner constituting the inside of the tire, a carcass stack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liner, a belt lamin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rcass, a tread , Both sidewalls constituting both sides of the tire, and both bead portions coupled to the wheel to maintain air pressure.

이러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브(11)와,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그루브(12)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그루브들(11, 12)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들(13)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tread portion 10 of the pneumatic ti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11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grooves 12 form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thereof , And a plurality of tread blocks (13) are formed by the grooves (11, 12).

타이어는 트레드블록(13)에 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블록이 찌그러지게 되고 특히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종그루브(11)나 횡그루브(12)와 트레드블록(13)이 연결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트레드가 찢어지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입 타이어에 인접하는 트레드블록(13)과 트레드블록(13)의 사이를 연결하는 사각형 모양의 타이바(tie bar)를 형성하여 트레드블록(13)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트레드블록(13)의 파열과 이상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트럭, 버스 등의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에서는 블록과 블록을 연결시켜 주어 강성을 높이는 하나의 브릿지 역할을 하도록 블록들 사이에 타이바(tie bar)를 형성하고 있다. When the tire is subjected to stress on the tread block 13, the block is distorted. In particular, when the tire runs on an unpaved road,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portion where the longitudinal grooves 11 and the lateral grooves 12 and the tread blocks 13 are connected The tread is prone to tear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quare tie bar connecting the tread block 13 adjacent to the pneumatic tire to the tread block 13 is formed to suppress excessive movement of the tread block 13 Thereby preventing rupture of the tread block 13 and abnormal wear phenomenon. Particularly in radial tires for air-inlet tires such as trucks and buses, a tie bar is formed between the blocks to serve as a bridge to increase the rigidity by connecting blocks and blocks.

일례로 국내특허 공개 제2012-109320호에서는 블록의 크기에 따라서 타이바의 폭을 설정하여 힐앤토우 마모방지 및 조정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타이어에서는 타이바까지 마모가 되면 트랙션 성능을 잃고 리브타입의 패턴 모양으로 변하게 되어 트랙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과 트레드 블록 사이의 강력한 타이바의 역할로 인해 트레드 블록들의 자유도가 떨어져 트레드 블록과 타이바의 연결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어 각종 크랙의 원인이 되어 타이바가 오히려 타이어의 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109320 discloses a technique of setting the width of a tie bar according to the size of a block to secure the prevention of heel and toe abrasion and the adjustment stability. However, in such a tire, The shape of the rib-type pattern is changed, and the trac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In addition, due to the strong tie bar between the tread block and the tread block,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tread blocks is reduced and the stress is concent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read block and the tie bar, which causes various cracks. .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타이바의 고유한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면서도 이상 마모 또는 트랙션 성능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이어의 강성과 조종안정성이 더욱더 향상된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treadmill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abnormal wear or deterioration of traction performance while faithfully performing a unique function of a tie bar, And to provide a tire whose stability is further improv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및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로 이루어진 그루브;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의해 분할 형성되는 트레드 블록들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는 트레드블록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트레드블록에 접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타이바(tie ba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이바에는 각각의 트레드 블록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중앙 영역에, 타이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형 커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A tread grounded on the road surface; A groove formed in the tread and including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in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groove formed in a tire width directio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include both ends of the tread blocks adjacent to the adjacent tread blocks to prevent movement of the tread blo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e bars are formed with a corrugated cuff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n a central region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tread block, Tires.

본 발명의 개량된 구조의 타이바를 구비하는 타이어는 트레드 블록 사이에 파형 커프를 구비하는 타이바가 형성되어 종래의 타이바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커프가 열리는 구조로 자유도가 증가하고 열방출 역할까지 하게 된다. 접지 시에는 주행방향의 강성을 높여 조정안정성을 높이고, 마모 중/후반부 이후 마모 말기까지 트랙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접지하지 않을 때에는 방열기능을 더해 열방출 및 블록간의 자유도를 높여 응력 집중으로 인한 크랙 및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Tires with improved trea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ie bar with a corrugated cuff between the tread blocks to improve the problem of conventional tie bars. That is, the cuff is opened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and also to release heat. When grounding, the rigidity of the running direction is increas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adjustment, and the traction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wear period after the wear / Cracks and separ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에 의하면 접지 시에 트레드 블록의 자유도를 높여 힐앤토우를 방지할 수 있고, 마모 중후반기에 타이바와 블록간의 리브화로 인한 트랙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tread block can be increased at the time of grounding to prevent hill-ground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raction performance due to ribing between tie bars and blocks in the middle of wear.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형성되는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타이바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타이바의 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파형 커프의 형상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3차원 파형 커프를 구비하는 타이바의 사시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tread pattern shape of a general air inlet radial ti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tread pattern shape formed in a tread portion of an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ie bar of an air inlet radial ti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pecification of a tie bar of an air inlet radial ti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waveform cuff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a tie bar having a three-dimensional wave cuff of an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개량된 타이바를 구비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ir inlet radial tire having the improved ti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형성되는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타이바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tread pattern shape formed in a tread portion of an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tie bar configuration Fig.

본 발명의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며, 트레드부에 다수 개의 트레드 블록들과 다수 개의 그루브들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은 단위 피치(P) 내에 형성된 단위 패턴 형상이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되며 전체 트레드 패턴을 이룬다. 트레드 패턴은 기본적으로 종그루브(11), 횡그루브(12), 및 이들에 의해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13) 등이 이루는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The air inlet radial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portion, a side wall portion and a bead portion, and a plurality of tread blocks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tread portion. 2, the tread pattern of 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unit pattern shape formed within a unit pitch P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o form an entire tread pattern. The tread pattern is basically determined by the shape formed by the longitudinal grooves 11, the lateral grooves 12, and the tread blocks 13 partitioned by them.

횡그루브(12)내에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트레드 블록들(13)을 서로 연결하는 타이바(14)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횡그루브(12) 내에 형성되는 타이바(15)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트레드 블록들(13)을 서로 잡아주도록 형성되어 블록들 사이의 힐 앤 토우와 같은 이상마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ie bars 14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grooves 12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tread blocks 1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hus, the tie bar 15 formed in the transverse groove 12 is configured to hold the tread blocks 13 toge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bnormal wear such as heels and tears between the blocks .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바(14)의 파형 커프(15)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파형 커프이거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파형 커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ed cuffs 15 of the tie bar 14 may be one or more transverse corrugated cuffs or may b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orrugated cuffs.

상기 타이바(14)는 파형 커프(15)를 중심으로 양측의 암 타이바 및 수 타이바로 구성되고, 상기 암 타이바 및 수 타이바의 블록의 깊이(h)는 트레드 블록의 깊이 보다 작고, 서로 동일하거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Wherein the tie bar (14) is constructed with arm tie bars and tie tie bars on both sides about the corrugated cuff (15), the depth (h) of the blocks of the arm tie bar and the tie bar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tread block, They may be the same or have a step difference.

단차를 갖는 경우에, 상기 암 타이바 및 수 타이바 가운데 하나의 높이(h1)는 다른 하나의 높이(h2)의 타이바의 1.3배~1.6배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타이바(15)와 타이바(15)가 트레드 블록들(13)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횡그루브(12)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또한 그 타이바(14)의 높이로 인해 횡그루브(12)의 깊이가 줄어들어 트레드의 마모 후반에 트랙션 성능이 하락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암 타이바와 수 타이바의 높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할 경우 리브화를 지연시켜 트레드의 마모 후반까지 트랙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타이바의 역할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In the case having a step, the arm and the tie bars can tie a height (h 1) of the bar may have a height of 1.3 times to 1.6 times the tie bars of the other one of the height (h 2). When the tie bar 15 and the tie bar 15 are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tread blocks 13 they occupy most of the transverse grooves 12 and because of the height of the tie bars 14, The depth of the tread is reduced, and the tract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tread. Therefore, if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arm tie and the tie bar height as described above, The tie bars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functions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spa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형 커프의 저부에 캐비티(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파형 커프(15)의 저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캐비티(16)가 형성되면, 타이바(14)에 형성된 파형 커프(15)의 저부의 응력 집중이 완화되어 저부로부터의 균열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vity 16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rrugated cuff. That is, when the cavity 16 having the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rrugated cuff 15, stress concentration at the bottom of the corrugated cuff 15 formed in the tie bar 14 is relaxed, Can be suppres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파형 커프의 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파형 커프(15)의 깊이(h)는 메인 그루브의 깊이의 약75% 내지 약 85% 정도의 범위내이다. 파형 커프의 깊이(h)가 메인 그루부의 깊이의 85%를 초과하면 배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75% 미만이면 타이바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pecifications of a waveform cuff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h of the corrugated cuff 15 is in the range of about 75% to about 85% of the depth of the main groove. If the depth h of the corrugated cuff exceeds 85% of the depth of the main grooved portion, the drainability may deteriorate. If the depth h is less than 75%, the tie bar can not exhibit its function properly.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이어에서 파형 커프(15)의 두께(t)는 0.5mm 이상이고, 파형 커프의 주기(p)와 진폭(w)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thickness t of the corrugated cuff 15 in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5 mm or more, and the period (p) and the amplitude (w) of the corrugated cuff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p ≥ P/2p? P / 2

w ≤ W/2w? W / 2

상기 식에서, p는 파형 커프의 주기이고, P는 트레드의 단위 피치(P)이며, Where p is the period of the waveform cuff, P is the unit pitch (P) of the tread,

w는 파형커프의 진폭이고, W는 타이어의 전체 폭임. w is the amplitude of the waveform cuff, and W is the total width of the tire.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파형 커프(15)는 파형부(17)와 비파형부(18)가 교호로 형성된 파형 커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파형부(17)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본 형상이 반원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파형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파형부들의 형상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상이한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일방의 파형부(17)는 반원형이고, 대향하는 파형부(19)의 형상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5(c)와 같이 일방의 파형부(17)는 사다리꼴이고, 대향하는 파형부(19)의 형상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파형부(17)와 비파형부(18)가 교호로 형성되면 트레드 블록간 강성을 향상시켜주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rrugated cuff 15 may be a corrugated cuff in which the corrugated portion 17 and the non-corrugated portion 18 are alternately form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shape of the corrugated portion 17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emicircular shape, a triangular shape, or a trapezoidal shape as seen in plan view. 5 (a), one of the corrugated portions 17 is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shape of the opposed corrugated portion 19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opposed corrugated portion 19 May have a triangular shape. 5 (c), one of the corrugated portions 17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and the opposite corrugated portion 19 may have a triangular shape. If the corrugated portion 17 and the non-corrugated portion 18 are alternately formed,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rigidity between the tread blocks can be improved.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파형 커프(15)는 타이어의 폭 방향 및 타이어의 주행 방향의 양 방향으로 형성된 3차원 파형 커프일 수 있다. 이러한 파형 커프(15)는 평면 상으로 본 형상이 파형일 뿐만 아니라, 측면 상으로도 파형으로 형성되어 3차원 파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3차원 커프는 보다 가혹한 환경에서 타이어의 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구동과 제동이 빈번하거나 도로가 온/오프 조건일 경우, 3차원 파형의 커프가 형성된 타이바를 갖는 타이어는 횡방향의 파형에 종방향의 파형까지 주어 접지면에서 타이바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솔리드 타이바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rrugated cuff 1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ree-dimensional corrugated cuff formed in bo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ire. The waveform cuff 15 is formed not only in a planar shape as a waveform but also as a waveform on a side surface to form a three-dimensional waveform. These three-dimensional cuffs can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ires in harsher environments. That is, when the driving and braking are frequent or the road is on / off, a tire having a tie bar having a three-dimensional wave cuff is provided with a wavefor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wave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tie bar on the ground surface It can act like a solid tie ba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드 패턴 형상을 최적화하여 타이어의 다른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트랙션과 제동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어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tread pattern to improve traction and braking performance without affecting other performance of the tire. It is possible to run safely on snowy roads and ice roads, thereby ensuring stability of driving.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 종그루브 12 : 횡그루브
13 : 트레드 블록 14 : 타이바
15 : 파형 커프 16 : 캐비티
11: longitudinal groove 12: lateral groove
13: Tread block 14: Tie bars
15: Wave cuff 16: Cavity

Claims (8)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및 타이어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로 이루어진 그루브;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의해 분할 형성되는 트레드 블록들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들에는 트레드블록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트레드블록에 접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타이바(tie ba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이바에는 각각의 트레드 블록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중앙 영역에, 타이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형 커프가 형성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파형 커프를 중심으로 양측의 암 타이바 및 수 타이바로 구성되고, 상기 암 타이바 및 수 타이바의 블록의 깊이(h)는 트레드 블록의 깊이 보다 작고, 상기 암 타이바 및 수 타이바 가운데 하나의 높이(h1)는 다른 하나의 높이의 타이바의 1.3배~1.6배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A tread grounded on the road surface; A groove formed in the tread and including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in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groove formed in a tire width direction; The pneumatic tire includes tread blocks divided by the plurality of grooves,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include both end portions in contact with adjacent tread blocks to prevent movement of the tread blocks, Wherein at least one tie bar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ead bar, and the tie bar is provided with a corrugated cuff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n a central region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tread block ,
Wherein the tie bars are constructed with arm tie bars and water tie bars on both sides with a corrugated cuff as the center, the depth (h) of the blocks of the arm tie bar and the water tie bar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tread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h1 of one of the tie bars has a height of 1.3 to 1.6 times the height of the tie bar of the other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의 파형 커프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파형 커프이거나 횡방향 및 종방향의 파형 커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2. The air inlet radial tire of claim 1, wherein the tie bar cuff is at least one transverse cuff or a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uf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커프의 저부에는 파형 커프의 길이 방향으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vity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rrugated cuf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ugated cu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커프의 두께(t)는 0.5mm 이상이고, 파형 커프의 주기(p)와 진폭(w)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p ≥ P/2
w ≤ W/2
상기 식에서, p는 파형 커프의 주기이고, P는 트레드의 단위 피치(P)이며,
w는 파형 커프의 진폭이고, W는 타이어의 전체 폭임.
The radial air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t of the corrugated cuff is 0.5 mm or more, and the period p and the amplitude w of the corrugated cuff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p? P / 2
w? W / 2
Where p is the period of the waveform cuff, P is the unit pitch (P) of the tread,
w is the amplitude of the waveform cuff, and W is the total width of the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커프의 파형은 타이어의 폭 방향 및 타이어의 주행 방향의 양 방향으로 형성된 3차원 파형 커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veform of the corrugated cuff is a three-dimensional corrugated cuff formed in bo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커프는 비파형부와 파형부가 교호로 형성된 파형 커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ugated cuff is a corrugated cuff in which the non-wave portion and the corrugated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의 평면상으로 본 형상이 반원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The air inlet radial tir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lat shape of the corrugated portion is semicircular, triangular, or trapezoidal.
KR20130067819A 2013-06-13 2013-06-13 Pneumatic Radial Tire KR101467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819A KR101467687B1 (en) 2013-06-13 2013-06-13 Pneumatic Radial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819A KR101467687B1 (en) 2013-06-13 2013-06-13 Pneumatic Radial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687B1 true KR101467687B1 (en) 2014-12-01

Family

ID=5267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819A KR101467687B1 (en) 2013-06-13 2013-06-13 Pneumatic Radial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6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7554A (en) * 2018-12-04 2020-06-12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Tyre for vehicle whe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12A (en) * 1992-07-06 1994-02-01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Structure of tire tread
JP2005271792A (en) * 2004-03-25 2005-10-06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12A (en) * 1992-07-06 1994-02-01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Structure of tire tread
JP2005271792A (en) * 2004-03-25 2005-10-06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7554A (en) * 2018-12-04 2020-06-12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Tyre for vehicle whe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535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circumferential auxiliary grooves
US9669663B2 (en) Tire including a tread provided with incisions including wide portions and narrow portions
US8616253B2 (en) Tyre for vehicle wheels
US9656520B2 (en) Pneumatic tire
US10239355B2 (en) Pneumatic tire
US10780745B2 (en) Incised tread for civil engineering tire
RU2008109462A (en) PNEUMATIC TIRE
US20160375729A1 (en) Tread Band Having Curved Blocks with Sipes
US20200317004A1 (en) Winter tyre
US20220402306A1 (en)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JP3657934B2 (en) Heavy duty tire
JP2013147115A (en) Pneumatic tire
KR101541593B1 (en) Pneumatic Radial Tire
KR101631758B1 (en) Kerf structure and pneumatic tire comprising the same
JP6816506B2 (en) tire
KR101467687B1 (en) Pneumatic Radial Tire
US10000092B2 (en) Pneumatic tire
JP5698622B2 (en) tire
JP7037350B2 (en) Pneumatic tires
US20170297380A1 (en) Pneumatic Tire
KR100888281B1 (en) Tread pattern of heavy duty penumatic radial tire
KR101027585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WO2019044514A1 (en) Pneumatic tire
JP7119645B2 (en) tire
US11912068B2 (en) Ty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