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353B1 -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353B1
KR101467353B1 KR1020130049449A KR20130049449A KR101467353B1 KR 101467353 B1 KR101467353 B1 KR 101467353B1 KR 1020130049449 A KR1020130049449 A KR 1020130049449A KR 20130049449 A KR20130049449 A KR 20130049449A KR 101467353 B1 KR101467353 B1 KR 10146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thickness
hybrid
carbon nanotubes
carbon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899A (ko
Inventor
박영빈
정무영
박형욱
김나리
김수기
이상환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경보 포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경보 포리머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3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는, 고분자 수지와 서로 다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성 소재를 혼합하여 발열 복합재를 구성함으로써, 발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로 탄성을 갖는 PDMS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발열이 필요한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섬유와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를 최적의 중량비인 4.5:1 내지 5.5:1 범위내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발열 성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Sheet-type hybrid heating composite }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와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를 최적으로 배합하여 발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탄소(Carbon)를 이용한 면상발열체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탄소를 이용한 면상발열체는 아파트나 펜션 등의 주거용 난 방재, 상업 또는 농업 등 각종 산업용 난 방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면상발열체는 탄소 분말을 소정의 패턴으로 절연체에 도포하고, 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면상 발열체는 탄소만으로는 충분한 발열 효과를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226764호에서는 면상 발열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많은 제작공정이 필요하고 충분한 발열 효과를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는,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시트구조를 가지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에 첨가되고,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와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가 설정 비율로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는,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시트 구조를 가지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에 각각 혼합되는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들 및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탄소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는 100 내지 300마이크론이고, 종횡비는 100 내지 1000이며, 상기 탄소섬유의 길이는 10 내지 20mm이고, 직경은 6 내지 10마이크론이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의한 상기 탄소섬유의 전기 네트워크 연결을 증가시키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한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소섬유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는 4.5:1 내지 5.5:1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탄소섬유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의 질량비는 전체의 1 내지 5wt%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는, 고분자 수지와 서로 다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성 소재를 혼합하여 발열 복합재를 구성함으로써, 발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로 탄성을 갖는 PDS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발열이 필요한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섬유와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를 최적의 중량비인 4.5:1 내지 5.5:1 범위내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발열 성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의 실험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탄소나노튜브와 탄소섬유의 중량비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탄소나노튜브와 탄소섬유의 중량비에 따른 발열온도 시험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열 복합재(10)는, 매트릭스(16)와, 하이브리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릭스(16)는,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절연성을 갖는 다양한 고분자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DMS(Polydimethylsiloxane)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PDMS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면상 발열체로 사용이 용이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소재는, 상기 매트릭스(16)에 첨가되는 첨가재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소재는, 서로 다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1차원 전도성 불연속 소재가 2종류 이상이 섞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이브리드 소재는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와,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가 설정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두께는, 원통형 구조의 소재에서는 직경을 의미하고, 판형 구조에서는 일반적인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서 나노 스케일은 100㎚이하이고, 마이크로 스케일은 0.1㎛ 보다 크고 999㎛ 이하로 정의된다.
상기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는, 탄소나노튜브, xGNP(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및 GNP(Graphite Nanoplatelets)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이하, MWCNT라 칭함)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WCNT(14)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MWCNT(14)의 길이는 약 100 내지 300 마이크론이고, 상기 MWCNT(14)의 종횡비(aspect ratio, A.R.)는 약 100 내지 1000이다. 상기 종횡비는 길이를 직경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는 마이크로 길이로 절단된 탄소섬유(Carbon Fiber)(12)가 사용된다. 상기 탄소섬유(12)의 길이는 10 내지 20mm로 설정되고, 상기 탄소섬유(12)의 직경은 6 내지 10마이크론 범위 내로 설정된다.
상기 탄소섬유(12)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율은 4.5:1 내지 5.5:1 범위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5:1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MWCNT(14)와 상기 탄소섬유(12)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10)의 질량비는 전체의 1 내지 5wt%범위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wt%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MWCNT(14)와 상기 탄소섬유(12)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10)의 질량비가 약 3wt%일 때 퍼콜레이션 임계값(Percolation threshold)에 가깝다. 상기 퍼콜레이션 임계값은 비전도성 고분자가 순간적으로 전도도를 띠기 시작하는 전도성 충전재의 함량을 뜻한다. 즉, 상기 퍼콜레이션 임계값은 전기전도 연결망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상기 MWCNT(14)와 상기 탄소섬유(12)의 최적비는 상기 매트릭스(16)와 상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비에 따라 달리질 수도 있으나, 상기 퍼콜레이션 임계값 근방에서는 상기 MWCNT(14)와 상기 탄소섬유(12)의 최적비는 5:1로 도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의 실험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MWCNT(14)와 상기 탄소섬유(12)가 첨가된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의 발열 성능을 시험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매트릭스(16)로 PDMS(16)를 준비한다. 상기 PDMS(16)는 상기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의 97wt%를 차지한다.
상기 PDMS(16)에 첨가되는 첨가재인 하이브리드 소재는, 상기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의 3wt%를 차지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소재는, 약 10mm로 잘라진 탄소 섬유(12)와, 약 250마이크로 길이를 갖는 MWCNT(14)가 사용되었다. (S1)
삼단 롤 밀(Three-roll mill)을 사용하여 혼합한다.(S2) 이 때, 상기 탄소섬유(12)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율을 1:1 내지 10:1로 변화시켜서, 복수의 시편을 제조한다.
이후, 핫 프레스 가공하고, 경화하여 하이브리드 발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발열 시트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150mm이다.(S4)
상기 복수의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들(10)에 12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였다. 상기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가 발열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의 발열 성능은 도 4의 Y축인 발열 평균 온도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온도는 면상의 상기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의 표면에서 측정한 온도이다. 동일한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평균 온도가 높다는 것은 발열 성능이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발열성능이 최대화되는 최적의 상기 탄소섬유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를 알 수 있다.
도 3b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소섬유(12)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가 5:1일 때, 평균발열도가 최대임을 알 수 있다.
도 3c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탄소섬유(12)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가 5:1보다 높은 경우, 주 연결망을 형성하는 상기 탄소섬유(12)사이에서 상기 MWCNT(14)가 가교(Bridge)역할을 하기에 상기 MWCNT(14)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평균 발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도 3b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소섬유(12)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가 5:1보다 낮은 경우, 상기 MWCNT(14)가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많으나, 주 연결망을 형성하는 상기 탄소섬유(12)의 양이 너무 적으며, 상기 MWCNT(14)가 반데발스(Van der walls)작용에 의해 응집되는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평균 발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상기 탄소섬유(12)와 상기 MWCNT(14)의 중량비가 5:1로 설정하여 배합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10)의 발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12: 탄소 섬유
14: MWCNT 16: PDMS

Claims (10)

  1.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시트구조를 가지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에 첨가되고,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와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가 설정 비율로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에 의한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의 전기 네트워크 연결을 증가시키고, 상기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의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한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와 상기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의 중량비는 4.5:1 내지 5.5:1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2.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시트구조를 가지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에 첨가되고,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와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가 설정 비율로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는 탄소나노튜브이고,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탄소섬유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의한 상기 탄소섬유의 전기 네트워크 연결을 증가시키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한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소섬유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는 4.5:1 내지 5.5:1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는, 탄소나노튜브, xGNP 및 GNP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소재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는 100 내지 300마이크론이고, 종횡비는 100 내지 1000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의 길이는 10 내지 20mm이고, 직경은 6 내지 10 마이크론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PDMS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10.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시트 구조를 가지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에 각각 혼합되는 나노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들 및 마이크로 스케일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는 100 내지 300마이크론이고, 종횡비는 100 내지 1000이고 상기 탄소섬유의 길이는 10 내지 20mm이고, 직경은 6 내지 10마이크론이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의한 상기 탄소섬유의 전기 네트워크 연결을 증가시키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한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소섬유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는 4.5:1 내지 5.5:1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탄소섬유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소재의 질량비는 전체의 1 내지 5wt%인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KR1020130049449A 2013-05-02 2013-05-02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KR10146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449A KR101467353B1 (ko) 2013-05-02 2013-05-02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449A KR101467353B1 (ko) 2013-05-02 2013-05-02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99A KR20140130899A (ko) 2014-11-12
KR101467353B1 true KR101467353B1 (ko) 2014-12-02

Family

ID=5245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449A KR101467353B1 (ko) 2013-05-02 2013-05-02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749A (ko) 2021-10-14 2023-04-24 주식회사 바이오램프 면상 발열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128B1 (ko) * 2016-09-27 2018-11-1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전도성 파이프
KR102512082B1 (ko) * 2021-04-30 2023-03-21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치유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체 및 그 자기치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83521B1 (ko) * 2021-06-09 2023-09-27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안구 마사지기용 카본계 고전도성 실리콘 고무복합패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렇게 제조된 안구 마사지기용 카본계 고전도성 실리콘 고무복합패드가 구비된 안구 마사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455A (ja) * 1998-01-08 1999-10-08 Xerox Corp フュ―ザ材
KR20120127904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정착장치
KR20120129297A (ko) * 2011-05-19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455A (ja) * 1998-01-08 1999-10-08 Xerox Corp フュ―ザ材
KR20120127904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정착장치
KR20120129297A (ko) * 2011-05-19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정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749A (ko) 2021-10-14 2023-04-24 주식회사 바이오램프 면상 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2653813B1 (ko) * 2021-10-14 2024-04-03 주식회사 바이오램프 면상 발열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99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i et al. Thermal conductiv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ic composites based on solution-exfoliated boron nitride and graphene nanosheets: a morphology-promoted synergistic effect
He et al. Low percolation threshold of graphene/polymer composites prepared by solvothermal reduction of graphene oxide in the polymer solution
Li et al. Carbon nanotube–graphene nanoplatelet hybrids as high-performance multifunctional reinforcements in epoxy composites
Lu et al. Nanopaper enabled shape-memory nanocomposite with vertically aligned nickel nanostrand: controlled synthesis and electrical actuation
Paleo et al. The piezoresistive effect in polypropylene—carbon nanofibre composites obtained by shear extrusion
Naz et al. Comparative review on structure, properties, fabrication techniques, and relevance of polymer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 and graphite fillers
Sun et al. Highly elastic and ultrathin nanopaper-based nanocomposites with superior electric and thermal characteristics
KR101467353B1 (ko) 하이브리드 면상 발열 복합재
Tang et al. Synergetic effects of carbon nanotubes and carbon fibers on electrical and self-heating properties of high-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Lu et al. Study on 3-D high conductive graphene buckypaper for electrical actuation of shape memory polymer
Castellino et al. Electrical conductivity phenomena in an epoxy resin–carbon-based materials composite
Lee et al. Effects of hybrid carbon fillers of polymer composite bipolar plates on the performance of direct methanol fuel cells
Akhtar et al. Multi-component MWCNT/NG/EP-based bipolar plates with enhanced mechan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fabricated by compression moulding
KR20120020582A (ko) 유연성을 갖는 열전 변환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Naz et al. Influence of graphite filler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mer/graphite composites: a review
Jiang et al. Electrical Breakdown‐Induced Tunable Piezoresistivity in Graphene/Polyimide Nanocomposites for Flexible Force Sensor Applications
KR101896103B1 (ko)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혼합 제작되어 활용과 효율이 높은 조성물
JP2014029932A (ja) 熱電変換材料、熱電変換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電変換モジュール
Lv et al. Three-dimensional printing to fabricate graphene-modified polyolefin elastomer flexible composites with tailorable porous structure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nd thermal management application
Bhadra Low percolation threshold and enhanced electr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graphite powder/poly (vinyl alcohol) composites
Ye et al. Vitrimer-assisted construction of boron nitride vertically aligned nacre-mimetic composites for highly thermally conductive thermal interface materials
JP2017034219A (ja) 混合グラファイトを用いた放熱材
Wang et al. Utility of whiskerized carbon fabric surfaces in resistive heating of composites
KR100975885B1 (ko)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Aliheidari et al. 3D-printed conductive nanocomposites for liquid sens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