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148B1 -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148B1
KR101467148B1 KR1020140064523A KR20140064523A KR101467148B1 KR 101467148 B1 KR101467148 B1 KR 101467148B1 KR 1020140064523 A KR1020140064523 A KR 1020140064523A KR 20140064523 A KR20140064523 A KR 20140064523A KR 101467148 B1 KR101467148 B1 KR 101467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상봉
서광복
Original Assignee
서상봉
서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봉, 서광복 filed Critical 서상봉
Priority to KR102014006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1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connection device for a washbasin applicable to drains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ain connection device which is applicable to drains of washbasins, bathtubs, and the like, and seals a space between a drainpipe body and an overflow passage by a contact portion and a pressing means,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leaking downward, in a case where a drain is replaced with another drain with a different inner diameter, and the diameter of the drainpipe body varies. According to the drain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a drain is replaced with another drain with a different inner diameter, and the diameter of the drainpipe body varies, a space between the drainpipe body and the overflow passage is sealed, whereby it is possible to use an existing washbasin as it is, and even in a case of replacing an existing washbasin with a new one,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drainpipe body to seal the lower space, and thus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drains having various inner diameters. Therefore, in a case of replacing a drain with another drain having a different size, it becomes unnecessary to replace both of the drainpipe body and the washbasin, whereby the efficiency is improved and wasteful costs are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conomic effects and solve problems such as waste accumulation and microorganism inhabitation.

Description

다양한 내경을 갖는 배수구에 적용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drainage holes for various drainage holes having various diameters,

본 발명은 다양한 내경을 갖는 배수구에 적용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등의 배수구에 적용되어 다양한 내경 크기를 갖는 배수구 몸체를 밀폐되도록 하여 하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수구의 내경이 변경될 경우에도 배수구 몸체를 변경할 필요 없이 종전의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세면대를 교체할 경우에도 종전의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connection device for a wash compartment applicable to a drain hole having various internal diame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 connection device for a sink or a bathtub so as to seal a drain hole body having various internal diameters,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drain hole body as it is without changing the drain hole body and to use the existing drain hole body as it is when replacing the sink.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욕조, 세면대 등은 일정하게 물을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기 등으로 제조되는 저수통, 상기 저수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및 상기 저수통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A water tub installed in a bathtub or a toilet, a sink such as a wash basin or the like is made of a low-water tub made of ceramics or the like capable of using water in a constant manner, a water supply device supplying water to the low- .

상기 배수 장치는 저수통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에 삽입 거치되어 저장된 물을 배수관으로 흘려보내는 배수구 몸체, 상기 배수구 몸체와 연결되어 물을 하수관 등으로 흘려보내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과 배수구 몸체를 연결시키고 팝업 장치를 장착하는 배수 트랩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몸체 상부에는 상하 팝업 이동에 의해 개폐되어 물을 저장하거나 아래쪽으로 흘려보내는 팝업 장치가 구비된다. The drain device includes a drain hole formed at a central lower portion of a lower water tank, a drain hole body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to store water stored in the drain hole into a drain pip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hole body to drain water into a drain pipe, And a drain trap to which the pop-up device is connected. The pop-up device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drain hole body by vertically popping up to store water or flow downward.

또한, 상기 배수구 몸체의 상부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는 배수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수공은 저수통의 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통로와 연통되어 저수통의 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홀을 통해 흘러넘친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통로를 거쳐 배수공으로 유입되고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A drain hol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hole body o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in hole body. The drain hole communicates with an overflow passag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low water tube, and water overflowing through an overflow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 water tube, And flows into the drainage through the passag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이와 같이 종래의 배수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필요하여 조립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리고 유지 관리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requires a lot of parts, which complicates the assembly, lowers the productivity, takes a long time, and is difficult to maintain.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279호는 세면대 본체의 공간에 저장된 물의 배수를 안내하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배수구에 장착되는 몸체의 내주면 일측에 승강된 배수안내마개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구비된 배수안내부재와; 상기 배수안내부재의 몸체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배수안내부재를 개폐시키는 배수안내몸체의 상부에 배수안내몸체를 승하강시키는 개폐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안내몸체의 하단부에 배수안내부재의 지지돌기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배수안내마개와; 상기 배수안내마개가 장착된 배수안내부재를 세면대본체의 배수구에 고정시키면서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배수를 안내하도록 체결너트가 일체로 구비된 배수안내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의 개폐구조를 제안한다. 이 기술은 세면대의 배수구에 이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배수안내마개를 승하강시키면서 세면대 본체의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의 원활한 배수를 안내할 수 있고 배수안내마개의 구조를 간소화하며 조립 공정을 단축시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세면대 등의 저수 장치에서 배수구 내경이 다양한 크기로 변화하고 있는데, 종래의 장치는 배수구의 내경이 변하면 배수구에 장착되는 배수구 몸체와 배수안내마개를 교체해야 하는데 배수구 몸체의 내경에 맞도록 배수관도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공사가 커지고 불필요하게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7279 discloses a washing machine having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A drainage guide member provided; Closing handl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drain guide bod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guid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guide member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guide member, A water drain guide cap provided with a catch for catching the water; And a drainage guide tube integrally provided with a fastening nut to guide the drainage water of the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while fixing the drainage guide member having the drainage guide stopper to the drainage hole of the washstand body. I suggest. This technology can guide the drainag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washstand body by moving up and down the drainage guide stopper installed to allow the drainage hole to be detached from the drainage hole of the washstand,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stopper, shorten the assembly process, Can be improved. However, in recent years, the inner diameter of a drain hole changes in various sizes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sink. In the conventional device, when the inner diameter of a drain hole changes, the drain hole body and the drain guide plug attached to the drain hole need to be repla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work is increased and the cost is increased unnecessari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선행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894호)를 통해 세면대의 배수구 크기에 관계없이 세면대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몸체를 밀착되게 고정할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관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기술은 세면대 배수구에 안착 결합되는 배수구 몸체와; 중심부에 배수구 몸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편이 구비되며 측면에는 배수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구비된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 구성된 배수관 장치를 제안하여, 상기 가압 수단에 구비된 끼움부가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과 밀폐부의 관통공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배수구의 직경이 달라져 이에 결합되는 배수구 몸체의 직경이 달라질 경우에도 오버플로우되는 물 및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or proposed a drain pipe apparatus for a washstand capable of firmly fixing a body mounted on a drain port of a washstand regardless of the drain port size of the washstand through a prior patent (Korean Patent No. 10-1371894) There is a bar. Specifically, this technique includes a drain body to be seated on a wash basin drain; A seal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drain hole body is formed at a central part thereof, a latch part at an upper part thereof,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 drain hole at a side thereof; Wherein the fitting portion of the pressing means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drain hol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closed portion so that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differs to change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to be connected thereto Even if the water flows into the drain and the water that overflows to the drain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bottom.

그러나, 이 기술에서 사용된 밀폐부는 배수구 몸체의 플랜지(걸림부) 바로 하부로부터 배수구 몸체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상하로 길게 삽입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이렇게 길게 형성된 밀폐부의 고무를 상기 끼움부가 밀어올림에 따라 임의 형태로 구겨져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된 고무 틈으로 곰팡이 등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고,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낄 수 있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sealing portion used in this technique is required to be inserted up and down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rain hole body directly below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of the drain body, there is a difficulty in installing the rubber sealing por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microorganisms such as fungi can be inhabited and foreign materials such as hair can be caught, and the improvement has been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선행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894호)를 통해 본 발명자가 제안한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배수구의 내경이 달라져 배수구 몸체의 직경이 변할 경우, 예를 들어 배수구의 내경이 작아져서 배수구 몸체의 직경이 작아질 경우에, 배수구 몸체에 연결되는 새로운 구조의 배수구 몸체로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하여 오버플로우되는 물 및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삽입 설치가 편리하고, 형태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곰팡이 등 미생물 서식이 적고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배수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and further developed the techniqu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Korean Patent No. 10-1371894), and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is changed and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insid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ecomes small and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becomes small, the existing drain hole body is used as it is without replacing the drain hole body with a new structure connected to the drain hole body,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water from leaking to the bottom while preventing the water from leaking to the bottom and preventing the distortion of the shape due to the insertion of the micro-organisms such as molds and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from being caught.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수구에 장착되고 측면에는 오버플로우통로와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구 몸체;A drain body mounted on the drain hole and having a drain hole connected to the overflow passage on a side surface thereof;

상기 배수구 몸체 상부에 거치되어 상하 승강함에 의해 상기 배수구 몸체를 개폐하는 팝업부;A pop-up unit mounted on the dr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drain body by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상기 배수구 몸체의 배수공 하부에 결합되며 배수공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배수공과 오버플로우통로 사이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경은 상기 배수구 몸체의 외경과 같고 외경은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될수록 작아지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부; 및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of the drain hole body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drain hole and the overflow passage, The outer diameter is smaller as the outer diameter is progress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is made of rubber material; And

상기 밀착부 하부에 상기 밀착부의 하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밀착부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회전부로 구성된 가압수단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portion, and a rotating portion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upporting portion and m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up and down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And a drain port connection device for a sink for a sink.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drain port connecting device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먼저, 가압 수단에 구비된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밀착부가 하방으로부터 강한 지지를 받으며 오버플로우통로와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완전 밀폐하고, 상기 밀착부가 고무 소재로 되어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경이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배수구 몸체의 직경이 달라질 경우에도 오버플로우되는 물 및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First,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provided in the pressing means, the tightly coupled part is strongly supported from below,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verflow passag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body is completely sea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and water flowing out to the drain from being leaked to the lower part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is changed.

2. 또한, 상기 밀착부는 그 하부에 밀착부의 하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상기 밀착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일체화된 밀착부 및 지지부는 지지부를 수용하고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부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되, 그 상승 높이는 배수공 하부까지이므로 상기 밀착부의 형태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 형태 변형으로 인한 구겨짐 및 오물 축적, 미생물 발생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2. The contact portion has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 contact por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integrated tight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receive the support portion and move up and down And the raised height is u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Therefore, the shape of the tightly fitting portion is not deformed, and problems such as wrinkling, accumulation of dirt and microorganisms can be prevented.

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는 배수구의 내경 변경과 이에 따른 배수구 몸체의 직경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세면대를 교체할 경우에도 기존에 사용하던 배수구 몸체를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물 축적 가능성을 줄였기 때문에 오물로 인한 냄새 발생, 세균 발생, 배수관 막힘 현상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cope with the chang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and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and it is excellent in shape re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it as it is without replacing it, and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occurrence of odor due to dirt, generation of bacteria, clogging of drain pipe due to reduced possibility of accumulation of dirt.

도 1a 및 도 1b는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894호)에 제안된 배수구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세면대 설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구 연결 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수구 연결 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가압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가 설치된 세면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an exploded view showing a drain connec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ior patent of the present applica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1894) and a sectional view of a washstand installa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drain conn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drain conn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ing means used in the drai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washstand provided with a drai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while indic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and thus are not limita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894호)에 제안된 배수구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세면대 설치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an exploded view showing a drain connec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ior patent of the present applica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1894) and a sectional view of a washstand installa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에서는 본 발명과 동일하게 세면대에서 배수구 크기가 변경될 경우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배수구 몸체로 변경하지 않아도 기존의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하여 배수관을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기술에서는 배수구의 내경이 변하여 배수관 몸체의 직경이 달라질 경우 배수관 몸체(10) 외주면과 오버플로우통로(50) 사이 공간이 벌어져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 몸체를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감싸는 밀폐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배수관 몸체 사이를 원뿔 모양으로 끼워지는 끼움부(31)를 구비한 가압수단(30)으로 밀어올림에 의해 밀폐부와 배수관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달라질 경우에도 밀폐되도록 할 수 있는 배수구 연결장치를 제안한다. 1A and 1B, in the patent application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ze of the drain hole is changed in the wash basi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drain hole body is used as it is without changing to a drain hole body having a new structure, And proposed a structure that can be sealed. In this technique,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changes and the diameter of the drain pipe body change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body 10 and the overflow passage 50 to prevent leakage, The space between the sealing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body is changed by pushing up the pressing means 30 having the fitting portion 31 having the conical fitting portion 31 between the sealing portion and the water pipe body. Even if it is possible to close the drain connection.

그러나, 이 기술은 밀폐부를 배수관 몸체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감싸기 때문에 밀폐부의 삽입이 번거롭고, 끼움부가 상기 배수관 몸체 외주면과 밀폐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밀어올림에 따라 내부의 밀폐부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있고 이 부분에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여 악취가 발생될 수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the sealing portion is entirely wrapp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pipe body, so that insertion of the sealing portion is troublesome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is warped or deformed as the fitting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pipe body and the sealing portion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because fungi, bacteria and the like may breed in this part, and odor may be genera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구 연결 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rain conn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는 2 and 3, the drai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배수구에 장착되고 측면에는 오버플로우통로(161)와 연결되는 배수공(111)이 형성된 배수구 몸체(110);A drain hole body 110 mounted on the drain hole and having a drain hole 111 connected to the overflow passage 161 on the side surface thereof;

상기 배수구 몸체(110) 상부에 거치되어 상하 승강함에 의해 상기 배수구 몸체를 개폐하는 팝업부(120);A pop-up unit 120 mounted on the drain hole body 110 to open and close the drain hole body by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상기 배수구 몸체(110)의 배수공(111) 하부에 결합되며 배수공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배수공(111)과 오버플로우통로(161) 사이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경은 상기 배수구 몸체(110)의 외경과 같고 외경은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될수록 작아지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부(130); 및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hole (111) of the drain hole body (110)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drain hole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drain hole (111) and the overflow passage (161) The inner diameter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11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ightening portion 130 is smaller as the outer diameter is increas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상기 밀착부(130) 하부에 상기 밀착부의 하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141)와 상기 지지부(141)를 수용하고 상기 밀착부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회전부(142)로 구성된 가압수단(140)A supporting portion 141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130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portion 130 and a rotating portion 142 accommodating the supporting portion 141 and lifting the tightening portion up and down, (14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130)는 하단부는 수직 일자형으로 구성되다가 일정 부분부터 상부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가압수단(140)에 의해 상기 밀착부가 상부로 밀어올려질 때 배수구 몸체(110)의 외주면과 오버플로우통로(16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라도 이를 밀폐할 수 있게 되며, 배수구 몸체의 직경 변화로 상기 공간이 변하더라도 상기 밀착부의 테이퍼드된 형태로 인해 공간 크기에 상관없이 밀폐가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ht fitting part 130 has a vertically straight shape at its lower end and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from a certain portion to an upper part. When the tight fitting part is pushed up by the pressing part 140, Even if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flow passage 161 and the overflow passage 161, even if the space is changed due to a change in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the tapered shape of the close- .

상기와 같이 밀착부가 상기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과 오버플로우통로 사이의 공간을밀폐하기 위해서는 탄성 구조이고 패킹이 가능해야 하므로 상기 밀착부는 고무 소재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and the overflow path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portion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since it has an elastic structure and can be pack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130)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가압수단(140)은 상기 밀착부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41)와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회전부(142)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는 결합부(144)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부(13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의 하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부(142)는 상기 밀착부와 지지부의 결합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승강시킨 후에는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밀착부와 지지부의 결합체와는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ans 140 for vertically moving the tight fitting portion 130 is composed of a supporting portion 141 provided below the tight fitting portion and a rotating portion 142 for receiving the supporting portion. And has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ly coupled portion. The rotation unit 142 moves up and down the combined body of the tight contact unit and the support unit. Since the rotary unit 142 is separated after being lifted and lowered, the combined unit of the tight contact unit and the support unit is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142)의 내부면에는 나사산(143)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 몸체(11)의 외주면에도 대응하는 나사산(113)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142)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143)과 상기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113)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가압수단(140)이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밀착부가 배수공 하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 thread 143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142 and a thread 113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body 11, The pressing means 140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screwing the threads 143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and the threads 113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body,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ditional drain hole.

본 발명에서 상기 나사산은 가압을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2~5회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3회전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 is preferably 2 to 5 rotations, more preferably 2 to 3 rotations in order to accelerate pressing.

도면에서 부호 120은 팝업식 상하 이동에 의해 배수구 몸체의 배수 공간을 개폐하는 팝업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팝업부는 터치식으로 상하 이동하는 자동식팝업장치일 수 있고, 레버식으로 상하 이동하는 수동팝업장치일 수 있으며, 기타 배수구 몸체의 배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임의의 팝업 장치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up unit 120 may be an automatic pop-up device that moves up and down in a touch manner, and may be a manual pop-up device that moves up and down in a lever manner. Up device and includes any pop-up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space of the other drain bod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수구 연결 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rain conn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기본적인 구조는 도 2 및 도 3과 같으나, 상기 가압수단(140)의 회전부(142) 내주면과 상기 배수구 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만 다르다. 이와 같이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강한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압수단을 상부로 밀어올림에 의해 밀착부를 상기 배수공(111) 하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하강시킬 때는 상기 밀착부를 아래로 잡아 내림으로써 하강시킬 수 있다.
4 and 5 are basically similar to those of FIGS. 2 and 3 except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142 of the pressing means 1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110 are not provided with threads. When the threaded portion is not provided,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push the pressing means upward so that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111. When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lowered, ha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가압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ing means used in the drai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가압수단은 상부에 일정 높이로 수직 측부를 갖고 그 이상은 상부로 진행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며 고무 소재로 구성된 밀착부(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41)와 상기 지지부(141)를 하부로부터 수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밀착부의 결합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회전부(14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142)의 내주면에는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143)가 구비된다.
6, the pressurizing means used in the drai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tical side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er diamet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rotation part 142 which receives the support part 141 from below and moves up and down the combined body of the support part and the close part by rot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42 is provided with a screw part 143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screw part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가 설치된 세면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터치식 자동식팝업장치가 구비된 세면대를 나타낸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washstand provided with a drai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washstand provided with a touch type automatic pop-up devic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의 내경이 변경되어 배수구 몸체의 직경이 달라질 경우에는 오버플로오통로(161)와 배수구 몸체(110)의 외주면이 밀착되지 않고 일정 정도 틈이 벌어질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밀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상기 변경된 배수구 몸체에 맞는 세면대를 새로이 제작해야 했다. 7, when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is changed by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the overflow passage 16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110 may not b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Conventionally, in such a case, a method of sealing by using silicone or the like has been used, or a washstand adapted to the modified drain hole body has to be newly manufacture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낭비와 비효율을 없애고 기존의 세면대와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을 고안한 것이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w technology is devised to eliminate the waste and inefficiency and to use the existing sink and drain body as it is.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부쪽으로 테이퍼드된 형태를 이루는 밀착부를 이용하고 이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가압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배수구 몸체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세면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세면대가 파손 등의 이유로 인해 새로운 세면대로 교체될 경우에도 기존의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하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tight fitting unit having a certain width and being tapered toward the upper side is used, and the pressing unit for lif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is used, The existing sink can be used as it is, and even when the sink is replaced with a new sink due to breakage or the like, the existing drain hole body can be used as it is and the lower space can be seal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세면대(160)의 배수구에 본 발명의 배수구 몸체를 안착 결합할 때 배수구 몸체가 정합되지 않을 경우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구 몸체의 플랜지(115) 하부는 패킹부(116)가 밀착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in hol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drain hole of the washstand 160, leakage may occur when the drain hole body is not aligned. To solve this problem, The packing portion 116 can be closely attach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수단을 이루는 지지부(141) 및 회전부(142)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141 and the rotation portion 142 constituting the pressing means are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연결 장치는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부쪽으로 진행할수록 테이퍼드된 형태를 이루는 밀착부를 이용하고 상기 밀착부를 승강시키는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배수구 몸체의 변경시 배수구 몸체와 오버플로우통로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기존의 세면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새로운 세면대로 교체될 경우에도 기존의 배수구 몸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하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내경을 갖는 배수구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수구 크기가 달라질 경우 배수구 몸체와 세면대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비효율을 해결하고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부가 배수공 부분까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배수공 하부에만 형성되므로 오물 축적, 미생물 서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apered contact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and to have a certain width and to advance toward the upper portion. By using the pressurizing means for moving up and down the close contact por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sink as it is by closing the space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drain hole body and the overflow passage, and when replacing with a new sink, it is possible to seal the lower space while using the existing drain hole body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a drain hole having various inner diameters.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drain hole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efficiency of replacing both the drain hole body and the sink, and to prevent the unnecessary cost from being raised, thereby increasing the economic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adhered portion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formed not only in the drain hole portion but also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accumulation of dirt and microorganism habi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10: 배수구 몸체 20: 밀폐부
30: 가압수단 31: 끼움부
50: 오버플로우통로
110: 배수구 몸체 111: 배수공
113: 나사부 114: 원통형 바디
115: 플랜지 116: 패킹부
120: 팝업부 130: 밀착부
140: 가압수단 141: 지지부
142: 회전부 143: 나사부
144: 결합부 150: 배수관
160: 세면대 161: 오버플로우통로
162: 오버플로우홀
10: drain hole body 20: sealing part
30: pressing means 31:
50: overflow passage
110: Drain body 111: Drain
113: threaded portion 114: cylindrical body
115: flange 116: packing part
120: pop-up unit 130:
140: pressing means 141:
142: rotation part 143:
144: coupling portion 150: drain pipe
160: Sink 161: Overflow passage
162: Overflow hole

Claims (6)

배수구에 장착되고 측면에는 오버플로우통로와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구 몸체;
상기 배수구 몸체 상부에 거치되어 상하 승강함에 의해 상기 배수구 몸체를 개폐하는 팝업부;
상기 배수구 몸체의 배수공 하부에 결합되며 배수공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배수공과 오버플로우통로 사이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경은 상기 배수구 몸체의 외경과 같고 외경은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될수록 작아지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 하부에 상기 밀착부의 하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밀착부를 상하부로 승강시키는 회전부로 구성된 가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수단의 지지부 및 회전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A drain body mounted on the drain hole and having a drain hole connected to the overflow passage on a side surface thereof;
A pop-up unit mounted on the dr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drain body by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body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of the drain hole body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drain hole and the overflow passage, The outer diameter is smaller as the outer diameter is progress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is made of rubber material; And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portion, and a rotating portion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upporting portion and m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up and down
And,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rotating portion of the pressing means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과 상기 배수구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가압수단이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밀착부가 배수공 하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crew thread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body and a screw thread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to rotate the rotary part to the left or to the left to form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raised and lowered by screwing of the screw threads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2~5회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read is comprised of 2 to 5 rota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터치식 자동식팝업장치 또는 레버식 수동팝업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p-up unit comprises a touch-type automatic pop-up device or a lever-type manual pop-up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몸체의 플랜지 하부에 분리형 패킹이 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The drain connection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acking is closely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of the drain hole body.
삭제delete
KR1020140064523A 2014-05-28 2014-05-28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KR101467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23A KR101467148B1 (en) 2014-05-28 2014-05-28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23A KR101467148B1 (en) 2014-05-28 2014-05-28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148B1 true KR101467148B1 (en) 2014-12-01

Family

ID=5267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523A KR101467148B1 (en) 2014-05-28 2014-05-28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1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13A (en) * 2015-02-04 2016-08-12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faucet installing a sink
KR101706887B1 (en) * 2016-03-09 2017-02-14 김도균 Drain with a decorative function
KR102011633B1 (en) * 2019-02-01 2019-08-16 서광복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capable of length vari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58A (en) * 2000-05-31 2001-12-14 Yasumi Ota Drain valve device
KR200437279Y1 (en) * 2006-12-28 2007-11-21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structur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waterway in washstand
KR101082393B1 (en) * 2009-05-26 2011-11-10 태성정밀(주) Draining apparatus for washstand
KR101371894B1 (en) * 2013-04-01 2014-03-10 서광복 Drainpipe for washbas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58A (en) * 2000-05-31 2001-12-14 Yasumi Ota Drain valve device
KR200437279Y1 (en) * 2006-12-28 2007-11-21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structur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waterway in washstand
KR101082393B1 (en) * 2009-05-26 2011-11-10 태성정밀(주) Draining apparatus for washstand
KR101371894B1 (en) * 2013-04-01 2014-03-10 서광복 Drainpipe for washbasi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13A (en) * 2015-02-04 2016-08-12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faucet installing a sink
KR101677666B1 (en) * 2015-02-04 2016-11-21 (주)신대륙금속 Device and method for faucet installing a sink
KR101706887B1 (en) * 2016-03-09 2017-02-14 김도균 Drain with a decorative function
KR102011633B1 (en) * 2019-02-01 2019-08-16 서광복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capable of length vari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148B1 (en)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for basin applicable to drainage hole with various inner diameters
KR101166553B1 (en) Urinal anhydrous
KR101177790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op-up device and its contruction method
KR200395156Y1 (en) Drain apparatus for bathtub
KR101241107B1 (en) A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washstand
KR200437279Y1 (en) structur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waterway in washstand
KR101391478B1 (en) A one-touch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drainage hole
JP5651830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ank and drainage
KR101371894B1 (en) Drainpipe for washbasin
KR101674159B1 (en) Bathtub a drainage system
US20230111926A1 (en) Pop-up sink drain assembly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band
KR101778234B1 (en) Adjustable trap for cleaning sinks
KR102011633B1 (en) Connecting device of drainage hole capable of length variation
KR102090044B1 (en) Piping structure
CN105839768A (en) Anti-odor and anti-overflow floor drain
JP6454841B2 (en) Drainage structure with collecting member
KR20180123858A (en) Lavatory plug
CN205894153U (en) Water storage tank of toilet bowl
KR20100002133U (en) Draining trap for sink
KR101698366B1 (en) Drain unit for sink
CN204443714U (en) A kind of ornamental fishpond draining and use water device
KR102536793B1 (en) Drain trap assembly
KR102155447B1 (en) Pop-up valve for a draining hole stopper of a washstand
KR101190327B1 (en)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have an access hole
CN213805673U (en) Deodorant antiseep drainer that can install f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