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886B1 -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 Google Patents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886B1
KR101466886B1 KR20130121802A KR20130121802A KR101466886B1 KR 101466886 B1 KR101466886 B1 KR 101466886B1 KR 20130121802 A KR20130121802 A KR 20130121802A KR 20130121802 A KR20130121802 A KR 20130121802A KR 101466886 B1 KR101466886 B1 KR 10146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oduct
housing
wireless charger
charg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경환
Original Assignee
차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환 filed Critical 차경환
Priority to KR2013012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8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nd charging an electronic product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n open side of which can be opened or closed by a door; a wireless charger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o wirelessly charge an electronic product placed inside the housing; an ultraviolet lamp mounted in the housing to output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a sensor sens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ultraviolet lamp if the sensor determines that the door covers the open side; an auxiliary function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conduct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he electronic product,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func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necessary power to the wireless charger, the ultraviolet lamp, the control unit, and the auxiliary function unit, wherein a position, a height, and an angle of the wireless charger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Description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본 발명은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을 무선 충전을 하면서 살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smart phone while wirelessly charging.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A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such as an internet communication and an information search to a mobile phone. The user can install and use an application desired by the user on the smart phone.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제품으로서, 사용자는 일과시간의 대부분 동안,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다. That is, the smartphone is an electronic product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the user has the smartphone during most of the day.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중에 통화와 메일, SNS는 물론 업무처리를 위해 상기 스마트폰을 수시로 꺼내어 이용하고 있으며, 친구끼리 연인끼리 스마트폰을 교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For example, the user may take out the smartphone from time to time to process a call, an e-mail, an SNS, and a job while the user is on the move, and may exchange a smartphone among friends and lovers.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은 다양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스마트폰의 오염도가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phone may be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s,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martphone.

다양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의 오염도 수치는, 6,900RLU로서, 화장실의 변기보다 2배 더럽고, 변기 손잡이와 비교하면 20배 넘게 오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research results, the pollution level of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is 6,900 RLU, which is twice as dirty as the toilet of the toilet, and more than 20 times as contaminated as the toilet handle.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표면을 분석한 다양한 결과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표면에서 여드름을 유발하는 세균과 대장균이 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이 독감과 노로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또한, 균이 많이 존재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손을 통해서 호흡기 질환, 폐렴, 감기, 설사 같은 병이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results of analyzing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causing acne on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are detected. Research has also been published that the smartphone could carry flu and Norovirus.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using a smartphone with a lot of bacteria can cause respiratory illness, pneumonia, cold, and diarrhea through the hands.

따라서, 손을 씻는 것처럼 스마트폰 역시 깨끗하게 관리될 필요가 있으며, 보호 필름도 자주 바꾸어 주는 것이 좋다. Therefore, as with washing hands, smart phones need to be kept clean, and protective films should be changed frequently.

그러나, 일반적인 스마트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을 살균하거나 또는 보호필름을 자주 바꿔주어 주는 일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However, it is not practical for a general smartphone user to sterilize the smartphone or change the protective film frequently.

상기 스마트폰 이외에도,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액세서리 등의 웨어러블 PC(Wearable PC)와 같은 전자제품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mart phon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also occur in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wearable PC such as a tablet PC, a smart watch, and a smart accessory.

즉, 가정 또는 직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들 및 아이들의 완구나 식기류 등은 주기적으로 살균을 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That is, there is a need to periodically steriliz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products used in the home or workplace and children's toys and tableware, but a device capable of realizing such functions is not provid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제품을 살균시키면서 상기 전자제품을 충전시킬 수 있는, 전자제품 무선 충전 및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 while sterilizing the electronic produc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 충전 및 살균장치는,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출력시킬 수 있는 자외선 램프;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면을 커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충전기와 상기 자외선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기능부; 및 상기 무선충전기, 상기 자외선 램프,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보조기능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위치, 높이 및 각도는 변경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the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 wireless charger mounted on the housing and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produc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 ultraviolet lamp mounted on the housing and capable of outputting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ultraviolet lamp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ensor that the door covers the opening; An auxiliary function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product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wireless charger, the ultraviolet lamp, the control unit, and the auxiliary function unit, and the position, height, and angle of the wireless charger can be chang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자제품을 충전시키면서, 간편하게 전자제품을 살균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sterilize an electronic product while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자제품을 충전 및 살균시키면서,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while charging and sterilizing the electronic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살균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살균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살균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product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n electronic produc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n electronic produc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 충전 및 살균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액세서리 등의 웨어러블 PC(Wearable PC)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을 살균 및 충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살균장치가 스마트폰을 살균 및 충전시키는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The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and charg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wearable PC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watch, and a smart accessory. However,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s and charges a smartphon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inside of a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n electronic product charg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는,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면서, 상기 스마트폰을 살균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phone can be sterilized while charging the smartphon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는, 전면이 도어(1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박스 또는 반구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200, 300)을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120),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출력시킬 수 있는 자외선 램프(130), 상기 무선충전기(120)와 상기 자외선 램프(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40),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품(200, 3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기능부(15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을 유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내부유선충전기(170),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을 유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외부유선충전기(180) 및 상기 무선충전기(120), 상기 자외선 램프(130), 상기 제어부(140), 상기 보조기능부(150), 상기 내부유선충전기(170), 상기 외부유선충전기(18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110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box or a hemisphere so that a front surface thereof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11, A wireless charger 120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s 200 and 3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y radio, an ultraviolet lamp 130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capable of outputting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ireless charger 120 and the ultraviolet lamp 130 and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er 120 and the ultraviolet lamp 130. The control unit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 auxiliary function unit 150 for performing functions of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 an electronic functional unit 150 mounted in the housing for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Can be an internal wired charger An external wired charger 18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onic product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with wires, and an external wired charger 180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120, the ultraviolet lamp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40,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the internal wired battery charger 170, and the external wired battery charger 180.

우선, 상기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개방면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110 includes an opening, and the opening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첫째,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무선충전기(120)의 동작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파 등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housing 110 functions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of various types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er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110 Can be configured in a box shape.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하우징(110)의 형태가 박스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shape of the housing 1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ox shape.

즉, 상기 하우징(110)은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그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housing 110 is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door,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However, the shape of the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일반적으로 자기유도전류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기유도전류는, 상기 하우징(110)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컴퓨터나 사람에게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은, 평면 형태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charger 120 generally uses the principle of the magnetic induction current. In this case, the magnetic induction current may have a certain influence on a computer or a person disposed around the housing 110. Therefore, in order to block such influence, the housing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not in a planar form.

둘째, 상기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내부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무선충전기(1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130)가 장착될 수 있다. Second, the wireless charger 120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and the ultraviolet lamp 130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

셋째,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은 상기 도어(1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Third,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opened, and the front surfa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11. [

상기 하우징(110)이 반구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개방면이 전면과 상면을 향해 다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역시 다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이 박스 형태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는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When the housing 110 has a hemispherical shape, the opening may be slightly inclined toward the front surface and the top surface, and the door may also be formed in a slightly inclined shape. Even if the housing 110 is in the form of a box, for convenience of the user, the door can be inclined at various angles.

상기 도어(111)는 힌지 등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상기 도어(111)가 오픈되면,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 외부에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 부분만 보여질 수 있다. The door 11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a hinge or the like and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liding mode, when the door 111 is opened, the door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only the handle of the door can be seen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는, 자외선의 반사성 및 비투과성을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는, 상기 도어(111)가 완전히 상기 개방면을 커버한 상태에서만, 상기 자외선 램프가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reflectivity and impermeability of ultraviolet rays. In this case, in order to protect the user from the ultraviolet rays, the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ltraviolet lamp is driven only when the door 111 completely covers the opening .

이를 위해, 상기 도어(111)에는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폐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oor 111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or closed.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도어(111)가 완전히 상기 개방면을 커버한 상태에서만,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130) 또는 상기 무선 충전기(120)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40 analyzes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so that 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130 or the wireless charger 120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door 111 completely covers the opening. May be driven.

넷째,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전자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각종 차단막 등이 형성될 수 있다.
Fourthly,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hielding layers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다음,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각종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Next, the wireless charger 120 can wirelessly charge various electronic products.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er 120 may be configured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전자제품(200, 300)의 전지와 1~2cm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품의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무선충전기(120)와 상기 전자제품의 밀착될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harger 120 is charged at a very short distance of 1 to 2 cm from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product 200, 300. Therefor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wireless charger 120 and the electronic product may not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the wireless charger 120 is not fixed to the housing 110 but may be freely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전자제품(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을 충전시키기 위해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무선충전기(121) 및 링 형태의 전자제품(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watch)(300))을 충전시키기 위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무선충전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wireless charger 120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er (not shown) that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for charging a flat-plate-shaped electronic product (for example, the smartphone 200) And a second wireless charger 122 tha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fill a ring-shaped electronic product (e.g., a smart watch 300).

즉,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과 같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제품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다. That is, the wireless charger 120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so as to charge an electronic product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그러나, 손목 시계형 스마트폰(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의 경우 손목부위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와 2cm 이상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 무선충전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wristwatch-type smartphone (e.g., a smart watch), the wrist portion is curved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wireless charger by 2 cm or more.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stereoscopic wireless charger 122, as shown in FIG.

이 경우, 사용자는 링 형태의 전자제품을 상기 제2무선충전기(122)에 걸쳐둘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품이 충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place a ring-shaped electronic product over the second wireless charger 122, so that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charged.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충전기(120)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충전기(120) 및 상기 무선충전기(12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상기 전자제품(200, 3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The wireless charger 120 may use various types of wireless chargers 120 currently used. That is, the configura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s 200 and 300 that can be charged by the wireless charger 120 and the wireless charger 120 are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선충전기(120)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현재, 전동칫솔들의 충전을 위해 상용화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충전기(120)에 대한 내용은, 출원번호 10-2012-0021891, 10-2012-0020957 및 10-2012-0018670 등을 포함한 다수의 특허문서에 기재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charger 120 can be configured by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is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for charging electric toothbrushes. The content of the wireless charger 120 is disclosed in Application No. 10 -2012-0021891, 10-2012-0020957, and 10-2012-0018670,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무선충전기(120)의 높이 및 위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er 120 may be varied.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무선충전기(121)의 높이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2무선충전기(122)의 높이 및 위치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1 and FIG. 2,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first wireless charger 121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may be variously changed,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second wireless charger 122 may also be varied.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기의 높이 및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된 이유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이 상기 무선충전기에 의해 충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er are configured to be changed is that various kinds of electronic products can be charged by the wireless charger.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충전기와 상기 전자제품이 밀착되어야, 무선충전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무선충전기(121)와 밀착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와 같은 경우에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무선충전기(122)와 밀착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electronic product are in close contact,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well. In the case of a smartphone,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wireless charger 121. In the case of a smart watch, the second wireless charger 12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e.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 및 스마트 워치를 제외한 전자제품의 형태는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 무선충전기(120)가 일정한 위치, 각도 및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전자제품과 상기 무선충전기가 밀착되지 못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wireless charger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gle, and height,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wireless charger may not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충전기(120)의 위치, 각도 및 높이가 다양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ngle, and height of the wireless charger 120 may be variously changed.

이를 위해, 상기 무선충전기(120)의 지지부는, 다양한 형태의 힌지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마디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기계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으며,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support part of the wireless charger 120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hinges, a plurality of nodes, mechanically operated, a motor, etc., And may be electrically operated.

다음, 상기 자외선 램프(130)는 자외선을 출력하여, 상기 전자제품을 살균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ultraviolet lamp 130 outputs ultraviolet light to sterilize the electronic product.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은, 소독용 에탄올 등을 이용하여 소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전자제품을 살균시킬 수 있다.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smart phone can be disinfected using ethanol or the like for disinfection.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method of sterilizing with ultraviolet rays, the user can more easily sterilize the electronic product.

특히, 스마트 폰의 경우, 1주일에 최소한 1~2회는 충전하므로, 충전시간에 자외선 소독이 함께 수행된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좀 더 높아질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martphone, since it is charged at least once or twice a week, if the ultraviolet disinfection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charging tim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자외선 램프(130)는, 자외선 중에서 살균효과가 가장 큰 UV-C (1,800Å~2,800Å: 대표 파장 2537Å)을 이용하여 자외선 살균을 실행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lamp 1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ultraviolet sterilization using UV-C (1,800 Å to 2,800 Å: typical wavelength 2537 Å), which has the greatest germicidal effect among ultraviolet rays.

상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장치로는 UV 수은등 또는 UV 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s the ultraviolet ray generating device, UV mercury lamp or UV LED may be used.

상기 자외선 램프(130)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램프(130)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외선 램프(13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The ultraviolet lamp 130 may be various types of ultraviolet lamps 130 that are currently in use.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violet lamp 130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무선충전기(120)와 상기 자외선 램프(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40)는 다양한 종류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wireless charger 120 and the ultraviolet lamp 130. For this, the controller 14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buttons and displays.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무선충전기(12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는 버튼, 상기 자외선 램프(13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는 버튼, 상기 자외선 램프(130)의 턴온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 및 상기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wireless charger 120, a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ultraviolet lamp 130, a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ultraviolet lamp 130, A button for setting a time for maintaining the state,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turn-on or turn-off state.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LCD) 및 유기발광표시장(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종 버튼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touch panel. In this case, the various buttons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touch panel.

상기 보조기능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품(200, 3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product 200 or 300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 can do.

이를 위해 상기 보조기능부(150)는, 상기 전자제품(200, 300)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기(151), 상기 전자제품(200, 300)을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기(153), 상기 전자제품(200, 30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154), 상기 보조기능부(15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기(155)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may include a communicator 151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products 200 and 300 wirelessly and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products 200 and 300 An output unit 154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roducts 200 and 300, a storage unit 155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A controller 155 and a controller 152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여기서, 상기 통신기(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제품(200, 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2, the communicator 151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products 200 and 30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luetooth, NFC, etc. .

상기 보조기능부(150)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s of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will now be described.

첫째, 상기 전자제품(200, 300)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충전 및 살균되고 있을 때, 상기 전자제품으로 통화요청신호 및 문자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전자제품(200, 300)은 상기 통신기(151)로 상기 통화요청신호 및 문자를 전송한다.First, when the electronic product 200 or 300 is charged and sterilized in the housing, when the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and the character ar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the electronic product 200 or 300 is communica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51, And transmits the call request signal and the character.

상기 제어기(152)는 상기 통화요청신호 및 문자를 상기 출력기(154)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제품(200, 300)과 상기 통신기(151) 간에는 통신경로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The controller 152 may output the call request signal and the character through the output unit 154. [ To this end, a communication path must be established between the electronic product 200, 300 and the communicator 151 in advance.

또한, 상기 출력기(154)는 통화요청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54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a call request signal, and may include a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or outputting the character .

둘째, 상기 전자제품(200, 300)을 통해 사용자가 알람을 설정해 놓은 경우, 상기 알람 설정에 대응되는 시간이 도래되면, 상기 전자제품은 알람 정보를 상기 보조기능부(15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기능부(150)는 상기 출력기(154)의 스피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econdly, when a user sets an alarm through the electronic product 200 or 300, the electronic product transmits alarm information to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when a time corresponding to the alarm setting is reached. In this case,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may output the alarm information through the speaker of the output unit 154 or the display.

셋째, 사용자가 상기 입력기(153)를 통해 시간확인요청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시간확인요청신호가 상기 전자제품(200, 300)으로 전송되며, 상기 전자제품은 현재의 시각을 추출하여 상기 보조기능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출력기(154)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의 시각을 확인할 수도 있다. Thirdly, when the user inputs a time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rough the input device 153, the time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200, 300, and the electronic product extracts the current time, Unit 150 in order to transmit the data.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display of the output device 154. [

즉, 상기 보조기능부(15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전자제품을 충전 및 살균시키면서, 각종 통화나 문자를 확인할 수도 있고, 각종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전자제품에 내장되어 있는 알람기능 등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That is, by using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the user can check various kinds of calls and letters while charging and sterilizing electronic products, and can check information using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 alarm function or the like built in the system can be executed.

넷째, 상기 전자제품이 인터넷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보조기능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Fourth, when the electronic product provides a service such as the Internet, the user may use the auxiliary service function 150 to use the Internet service of the electronic product.

이 경우, 상기 출력기(154) 및 상기 입력기(153)는 터치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표시장,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54 and the input unit 153 may be a flat panel display having a touch screen,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즉,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이 점차 생활의 중심이 되어 가면서,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떨어져 있으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In other words, a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gradually become the center of their lives, users may feel uncomfortable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smartphones.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이 충전 및 살균되는 동안에도, 사용자는 상기 보조기능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보조기능부(150)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기능부(150)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through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while the smartphone is being charged and sterilized. For this purpose, the smartphone and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are link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transmits various control signals to the smartphone or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Display.

다음, 상기 내부유선충전기(170)는 상기 전자제품을 유선을 통해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부(160)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코드 또는 USB 단자가 될 수도 있다.Next, the internal wired charger 170 is for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a wire, and may be, for example, a power cord or a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0.

즉, 상기 무선충전기(120)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없는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상기 내부유선충전기(170)를 통해 충전되면서, 상기 자외선 램프(130)를 통해 살균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that can not be charged using the wireless charger 120,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sterilized through the ultraviolet lamp 130 while being charged through the internal wired charger 170.

다음, 상기 외부유선충전기(180)는 상기 전자제품을 유선을 통해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부(160)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코드 또는 USB 단자가 될 수도 있다. The external wired charger 180 is for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a wire, and may be, for example, a power cord or a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0.

즉,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투입될 수 없거나, 살균이 요구되지 않는 전자제품을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전자제품을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투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외부유선충전기(18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자제품을 충전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user who can not insert the electronic produc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or to charge the electronic product which is not required to be sterilized, It is possible to easily charge the electronic product using the battery 180.

이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자제품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가 장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 capable of mounting the electronic product.

마지막으로,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상기 무선충전기(120), 상기 자외선 램프(130), 상기 제어부(140), 상기 보조기능부(150), 상기 내부유선충전기(170), 상기 외부유선충전기(18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inally, the power supply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120, the ultraviolet lamp 130, the controller 140, the auxiliary function unit 150, the internal wired charger 170, And supplies power to the charger 18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features of the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액세서리와 같은 전자제품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이용되는 전자제품 또는 스마트폰과 연동 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들은 전기 충전 방식을 통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이 이용하는 완구나 학습도구들에 있어서도, 전기 충전 방식을 통해 이용될 수 있는 제품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들은 일반적으로 전용 밧데리 및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고 있다. 따라서, 각 전자제품들마다, 충전기기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불편하다.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smart watches, and smart accessories, as well as electronic products used in conjunction with smartphones o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that can be used without being interfaced with smart phones, ≪ / RTI > Also, for toys and learning tools used by children,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products that can be used through the electric charging system. These electronic products are generally charged by dedicated batteries and chargers. Therefore, since each electronic product requires a charger, management thereof is inconveni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는, 자기유도 전류의 원리를 이용한 무선충전기(12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자제품을 충전시키면서, 상기 전자제품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the electronic product while easily charging the electronic product using the wireless charger 120 using the principle of the magnetic induction current .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는, 상기 전자제품을 충전시키기지 않고, 살균이나 멸균만을 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충전 또는 살균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The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and sterilizing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charge the electronic product but also sterilize or sterilize the electronic product. That is, the user may selectively use the charging unit or the sterilization unit by using the control unit 140. FIG.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을 살균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steriliz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products by using the electronic product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 하우징 120 : 무선충전기
130 : 자외선 램프 140 : 제어부
150 : 보조기능부 160 : 전원공급부
170 : 내부유선충전기 180 : 외부유선충전기
200, 300 : 전자제품
110: housing 120: wireless charger
130: ultraviolet lamp 140:
150: auxiliary function unit 160: power supply unit
170: Internal wired charger 180: External wired charger
200, 300: Electronics

Claims (3)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살균용 자외선을 출력시킬 수 있는 자외선 램프;
상기 무선충전기와 상기 자외선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기능부; 및
상기 무선충전기, 상기 자외선 램프,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보조기능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전자제품의 형태에 따라 전자기 유도방식에 따른 충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지 않고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위치, 높이 및 각도는 변경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보조기능부는 상기 전자제품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 상기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기, 상기 전자제품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 상기 보조기능부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기 및 상기 통신기, 상기 입력기, 상기 출력기 및 상기 저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제품이 충전 및 살균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는 상기 보조기능부를 통해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
A housing having an open side form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 wireless charger mounted on the housing and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produc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 ultraviolet lamp mounted on the housing and capable of outputting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ultraviolet lamp;
An auxiliary function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product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wireless charger, the ultraviolet lamp, the control unit and the auxiliary function unit,
Wherein the wireless charger is freely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without being fixed to the housing so as to facilitate charging according to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auxiliary function unit comprises: a communicator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the electronic product; an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product; an output unit output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or, the input device, the output device, and the storage device, so that even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being charged and sterilized, Func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Wireless charging and steriliz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평판 형태의 전자제품을 충전시키기 위해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무선충전기; 및
링 형태의 전자제품을 충전시키기 위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er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er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for charging a flat plate-shaped electronic product; And
And a second wireless charg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charging a ring-shaped electronic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을 유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내부유선충전기;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을 유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외부유선충전기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rnal wired charger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onic produc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with a wire; And
And an external wired charger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onic product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with a wire.

KR20130121802A 2013-10-14 2013-10-14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KR101466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802A KR101466886B1 (en) 2013-10-14 2013-10-14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802A KR101466886B1 (en) 2013-10-14 2013-10-14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886B1 true KR101466886B1 (en) 2014-12-01

Family

ID=5267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802A KR101466886B1 (en) 2013-10-14 2013-10-14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88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86A (en)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나노렉스 Box having charging function for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WO2016159667A1 (en)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Commerci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mmunication-type wireless charger
KR101896461B1 (en) * 2018-02-09 2018-09-07 유형근 The apparatus of recharging by wireless power transfer
US20210041171A1 (en) * 2019-08-07 2021-02-11 Ear Technology Corporation Dryer and sanitizer with filter for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US11102588B2 (en) 2019-08-06 2021-08-24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US11122378B1 (en) 2019-08-06 2021-09-14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US11266757B2 (en) 2019-08-06 2022-03-08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with UV-reflective drying tr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59B1 (en) * 2009-12-21 2011-10-17 엠텍비젼 주식회사 Portable device and pollution level notifying method thereof
KR101163540B1 (en) * 2010-04-23 2012-07-06 주식회사 폰텔 Mobile phone keeping box having plurality of mobile phone keeping and disinfection function
KR20130028448A (en) * 2011-09-09 2013-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40100381A (en)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대창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59B1 (en) * 2009-12-21 2011-10-17 엠텍비젼 주식회사 Portable device and pollution level notifying method thereof
KR101163540B1 (en) * 2010-04-23 2012-07-06 주식회사 폰텔 Mobile phone keeping box having plurality of mobile phone keeping and disinfection function
KR20130028448A (en) * 2011-09-09 2013-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40100381A (en)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대창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86A (en)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나노렉스 Box having charging function for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KR101689870B1 (en) * 2014-12-01 2016-12-26 주식회사 나노렉스 Box having charging function for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WO2016159667A1 (en)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Commerci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mmunication-type wireless charger
KR101896461B1 (en) * 2018-02-09 2018-09-07 유형근 The apparatus of recharging by wireless power transfer
US11102588B2 (en) 2019-08-06 2021-08-24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US11122378B1 (en) 2019-08-06 2021-09-14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US11266757B2 (en) 2019-08-06 2022-03-08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with UV-reflective drying tray
US20210041171A1 (en) * 2019-08-07 2021-02-11 Ear Technology Corporation Dryer and sanitizer with filter for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886B1 (en) Sterilizing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s
JP7346652B2 (en) Disinfecting portable equipment
US20150365737A1 (en) Wireless transfer station with display
US20160049073A1 (en) Wireless gauntlet for electronic control
KR20110083073A (en) Device for sterilization and charge of mobile terminal
KR2015010961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rilization of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16181165A1 (en) A bag for use with a mobile phone
CN209862582U (en) Mobile ultraviolet disinfection earphone box
WO2021252271A1 (en) Portable sanitizing arrangement
KR102631765B1 (en) Disinfection and human machine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KR20140100381A (en)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CN105616026A (en) Control system capable of perceiving posture state of toothbrush
US9042815B2 (en) Wireless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230041401A1 (en) Communication booth
KR101275879B1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10072028A (en) Sterilizer and sterilizing method
KR101072859B1 (en) Portable device and pollution level notifying method thereof
CN110811257A (en) Intelligent cup
KR101597120B1 (en) Portable sterilizer with charging function
KR20100123539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GB2609903A (en) Communication booth
CN209847885U (en) Disinfection device
KR102557948B1 (en) Isolated light switch sterilizer and integral light switch sterilizer
CN213526519U (en) Electronic product disinfection device
CN212282228U (en) Ultraviolet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