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339B1 -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339B1
KR101465339B1 KR1020130065713A KR20130065713A KR101465339B1 KR 101465339 B1 KR101465339 B1 KR 101465339B1 KR 1020130065713 A KR1020130065713 A KR 1020130065713A KR 20130065713 A KR20130065713 A KR 20130065713A KR 101465339 B1 KR101465339 B1 KR 10146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assembly
plate
connection sock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옥
Original Assignee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곤 filed Critical 김태곤
Priority to KR102013006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이 개시된다.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은 중심부에 사각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단면으로 볼 때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외측둘레면들에 형성되며 상기 사각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홈을 갖는 본체 프레임; 제1 확장판, 상기 제1 확장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가능한 제1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제1 연결소켓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확장판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1 확장 부재; 제2 확장판, 상기 제2 확장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가능한 제2 조립돌기 및 상기 제2 조립돌기로부터 상기 제2 조립돌기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3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조립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외측둘레면 및 그 외측둘레면에 수직한 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2 확장 부재; 및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제1 확장 부재의 저면의 모서리 영역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PREFABRCATED FOR OUTDOOR TABLE}
본 발명은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가 견고한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주5일제 근무의 확대로 인한 생활패턴의 변화와 다양한 여가문화의 발달로 야외의 가족단위 행사와 각종 친목을 도모하는 야외행사가 많아지고 있고, 또한 레저용 차량(Recreational Vehicle)의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야외행사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의 하나로서 테이블을 들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레저용 차량 등에 적재하여 이를 야외에서 활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테이블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플라스틱 테이블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가족단위의 야외행사나 소규모 야외행사 행사시, 주로 레저용 차량이나 승용차, 승합차 등의 소형차를 통해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차량 운반시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운반이 불편하고, 특히 승용차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테이블을 적재할 수 없으며, 취급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의자와 일체로 이루어진 테이블의 경우에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어 접이식 테이블 형태로 사용되거나 조립형 테이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 테이블, 조립식 테이블은 부피에 대한 문제점은 경감되지만 다른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접이식 야외 테이블은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바베큐나 숫불갈비 등을 조리를 할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기구가 판재에 놓여 조리시 위험할 수 있으며, 또한 사람이 소수일 경우에는 하나의 테이블만 사용하더라도 충분할 수 있으나 행사 및 다수의 사람이 사용시 야외 테이블을 증대하기 위해 또 다른 테이블을 옆으로 붙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테이블과 테이블이 소정의 공간이 생기며 결속력이 약해 테이블과 테이블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야외용 테이블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100794호 "야외 테이블"이 있다. 이 특허는, 테이블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테이블을 증설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테이블을 증설할 때 각 테이블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연구 끝에,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함으로서,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며,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하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조립 상태를 이룰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로서, 중심부에 사각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단면으로 볼 때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외측둘레면들에 형성되며 상기 사각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홈을 갖는 본체 프레임; 제1 확장판, 상기 제1 확장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가능한 제1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제1 연결소켓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확장판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1 확장 부재; 제2 확장판, 상기 제2 확장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가능한 제2 조립돌기 및 상기 제2 조립돌기로부터 상기 제2 조립돌기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3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조립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외측둘레면 및 그 외측둘레면에 수직한 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2 확장 부재; 및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제1 확장 부재의 저면의 모서리 영역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제3 연결소켓은, 상기 제2 조립돌기;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확장판의 단면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확장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립돌기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과 평행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제2 조립돌기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한 면과 평행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소켓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을 감싸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조립홈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에 수직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소켓은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면 또는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에 수직한 면 아래에 위치한 면에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소켓은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 확장판의 상면 상에 위치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아래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3 개구부의 아래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4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확장판이 복수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조립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연결소켓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 상기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제2 연결소켓 각각은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소켓 및 제2 연결소켓에 형성된 나사결합부는 상기 제1 확장판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나사결합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다리는 상기 나사결합부들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본체 프레임 또는 제1 확장판과 연결되며 여러 개의 결합공을 갖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여러 개의 각도조절홈을 갖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내부에 상부가 연결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밀착되며 상부에 장홈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를 갖는 제1 다리; 상기 제1 다리의 내부에 일부가 끼움되며 제1 다리의 내부로 끼움된 제2 다리의 상부에 형성된 상광하협 형태의 나사부의 외측에 밀착부재가 조립되어 제2 다리가 회전함에 따라 밀착부재의 위치가 변동되며 제1 다리의 내면을 가압하여 변형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에 의하여 다리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제2 다리; 상기 고정판의 장홈을 관통하여 각도조절홈에 끼움되는 고정봉이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확장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연결소켓을 확대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연결소켓을 확대 도시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 각각에 도시된 제1 연결소켓 및 제2 연결소켓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확장부재가 본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확장부재 및 지지다리가 본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지지다리의 형태를 예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다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확장부재가 복수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확장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은 본체 프레임(100); 제1 확장부재(200); 제2 확장부재(300); 및 지지다리(40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00)은 제1 확장부재(200) 및 제2 확장부재(300)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한 베이스이다. 본체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사각 형상의 개구(100a)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이다. 일 예로, 이러한 본체 프레임(100)은 제1 방향(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101), 제1 프레임(101)과 평행하는 제2 프레임(102),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에 수직한 방향(예를 들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103), 제3 프레임(103)과 평행하는 제4 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들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서로 조립되기 위한 복수의 조립부재(105)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부재(105)들은 상기 각 프레임들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조립되기 위하여 각 프레임들의 양측 단부에 각각 조립되며, 이때 각 조립부재(105)들은 본체 프레임(100)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과 같은 중심부에 개구(100a)를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프레임(100)은 제1 확장부재(200) 및 제2 확장부재(300)의 조립을 위해 복수의 조립홈(106)을 갖는다. 복수의 조립홈(106)들은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둘레면들에 형성되며 사각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조립홈(106)들은 상기 각 프레임(101, 102, 103, 104)들의 일측 측면, 즉 상기 개구(100a)의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각의 조립부재(105)는 상기 조립홈(106)들이 위치하는 면들에 이웃하는 면들에, 조립홈(106)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삽입부(105a)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체 프레임(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개구(100a) 내에는 복수의 판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예를 들면, 테이블로 이용 가능하도록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프레임(100)의 개구(100a) 내에는 단턱부(10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턱부(107)는 제3 프레임(103) 및 제4 프레임(104)에서 상기 개구(100a)를 형성하는 일측 측면(조립홈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00a) 및 단턱부(107)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재가 안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버너를 거치할 수도 있다. 버너를 거치하는 경우에는 버너를 거치할 수 있는 버너 거치대(미도시) 또는 버너 거치용 플레이트(미도시)를 개구(100a) 내에 삽입한 후 버너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 프레임(100)의 재질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금속,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확장부재(200) 및 제2 확장부재(30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금속재질 일 수 있다.
제1 확장부재(200)는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테이블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확장(증설)되는 부재이다. 제1 확장부재(200)는 테이블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되기 위하여, 제1 확장판(210), 제1 연결소켓(220) 및 제2 연결소켓(230)을 포함한다. 제1 연결소켓(220) 및 제2 연결소켓(230)은 도 3 내지 도 5에 잘 나타나 있다.
제1 확장판(210)은 테이블의 상판으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1 확장판(2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 프레임(1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확장판(210)은 본체 프레임(100)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거나, 더 긴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확장판(210)은 예를 들면, 메인 테이블의 상판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본체 프레임(100)의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소켓(220)은 제1 확장판(210)에 장착되어 제1 확장판(210)을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연결소켓(220)의 장착 방향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본체 프레임(100)의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에 평행하는 횡방향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연결소켓(220)은 본체 프레임(100)의 제1 프레임(101) 또는 제2 프레임(102)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소켓(220)은 고정부(221) 및 제1 조립돌기(222)를 포함한다.
고정부(221)는 제1 확장판(210)에 제1 연결소켓(220)을 장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일 예로, 이러한 고정부(221)는 제1 확장판(210)의 단면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21)의 절곡된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제1 확장판(2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이면 모두 가능하고, 예를 들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221)는 개구된 일측이 제1 확장판(210)의 단부에 끼워지고,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조립돌기(222)는 본체 프레임(100)의 조립홈(106)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일 예로, 제1 조립돌기(222)는 고정부(221)에서 제1 확장판(210)의 상면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축부(222a) 및 축부(22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2b)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222b)는 제1 조립돌기(222)가 조립홈(106)에 체결될 때, 조립홈(106) 내로 삽입되어 조립홈(106) 내에 지지되고, 이에 의해 제1 연결소켓(220)이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된다.
제2 연결소켓(230)은 제1 확장판(210)에 장착되어 제1 확장판(210)이 복수로 서로 결합되는 경우 이용되는 부분이다. 제2 연결소켓(230)은 제1 연결소켓(22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제1 확장판(2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이러한 제2 연결소켓(230)은 제1 확장판(210)이 복수로 서로 결합되기 위하여, 고정부(231) 및 체결홈(232)을 포함한다.
고정부(231)는 앞서 설명된 제1 연결소켓(220)의 고정부(221)와 동일 및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체결홈(232)은 고정부(231) 상에 형성되며, 제1 확장판(210)이 복수로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 연결소켓(220)의 제1 조립돌기(222)가 조립되기 위한 부분이다. 일 예로, 이러한 체결홈(232)은 제1 조립돌기(222)와의 조립을 위해, 제1 개구부(232a), 제2 개구부(232b), 제3 개구부(232c) 및 제4 개구부(23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232)은 도 4 및 도 5에 잘 나타나 있다.
제1 개구부(232a)는 고정부(231)에서 제1 확장판(210)의 상면 상에 위치한 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232a)는 제1 조립돌기(222)의 체결부(222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232b)는 고정부(231)에서 제1 확장판(210)의 상면 상에 위치한 면에 수직하는 면에 위치하며, 제1 개구부(232a)로부터 제1 개구부(232a)의 아래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3 개구부(232c)는 제2 개구부(232b)가 위치한 면에 위치하며, 제2 개구부(232b)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232a)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4 개구부(232d)는 제2 개구부(232b)가 위치한 면에 위치하며, 제3 개구부(232c)로부터 제3 개구부(232c)의 아래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수직하게 연장된 방향은 제2 개구부(232b)와 평행하는 방향이다.
이러한 제2 연결소켓(230)의 체결홈(232)에 제1 연결소켓(220)의 제1 조립돌기(222)가 체결되는 경우, 제1 조립돌기(222)는 체결홈(232) 내로 삽입되어 상기 각 개구부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체결홈(232)에 체결된다.
한편, 제2 확장부재(300)는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보조 테이블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확장(증설)되는 부재이다. 제2 확장부재(300)는 보조 테이블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되기 위하여, 제2 확장판(310) 및 제3 연결소켓(320)을 포함한다.
제2 확장판(310)은 보조 테이블의 상판으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2 확장판(3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 프레임(1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확장판(310)은 제1 확장판(210) 및 본체 프레임(10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확장판(310)의 길이는 본체 프레임(100)의 종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2 확장판(310)의 폭은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판(21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확장판(310)은 예를 들면, 보조 테이블의 상판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본체 프레임(100)의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확장부재가 본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확장부재 및 지지다리가 본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연결소켓(320)은 제2 확장판(310)에 장착되어 제2 확장판(310)을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3 연결소켓(320)의 장착 방향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본체 프레임(100)의 제3 프레임(103) 및 제4 프레임(104)의 종방향에 평행하는 제2 확장판(310)의 종방향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연결소켓(320)은 본체 프레임(100)의 제3 프레임(103) 또는 제4 프레임(104)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연결소켓(320)은 고정부(321), 제2 조립돌기(322) 및 지지부(323)를 포함한다.
고정부(321)는 앞서 설명된 제1 연결소켓(220)의 고정부(221)와 동일 및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조립돌기(322)는 본체 프레임(100)의 조립홈(106)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2 조립돌기(322)는 고정부(321)에서 제2 확장판(310)의 상면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제2 확장판(310)의 상면과 평행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예로, 제2 조립돌기(322)는 고정부(321)에서 제2 확장판(310)의 상면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수직하고 고정부(3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22a) 및 수평부(322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322b)는 제2 조립돌기(322)가 조립홈(106)과 체결될 때 조립홈(106) 내로 삽입되어 조립홈(106) 내에 지지되며, 이에 의해 제3 연결소켓(320)이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된다.
지지부(323)는 제2 조립돌기(3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조립돌기(322)로부터 절곡형성된다. 일 예로, 지지부(323)는 제1 면(323a) 및 제2 면(3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23a)은 상기 수평부(322a)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면(323b)은 제1 면(323a)으로부터 수직하고 고정부(3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23)는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둘레면 및 외측둘레면에 수직한 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3 연결소켓(320)이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될 때,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면(323a)은 제2 조립돌기(322)가 삽입되는 조립홈(106)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을 감싸며, 제2 면(323b)은 제2 조립돌기(322)가 삽입되는 조립홈(106)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에 수직하는 본체 프레임(100)의 저면, 예를 들면, 제3 프레임(103) 또는 제4 프레임(104)의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23)는 본체 프레임(100)의 저면에 지지되어 고정부(321) 및 제2 조립돌기(322)를 받치고 있는 영역이므로 제2 확장판(310)의 자중에 의한 하중 또는 제2 확장판(310)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제3 연결소켓(320) 또는 제2 조립돌기(322)가 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연결소켓(320)은 연장부(324)를 더 포함하다. 연장부(324)는 지지부(323)의 제1 면(323a) 또는 제2 면(323b)으로부터 고정부(321)에서 제2 확장판(310)의 상면에 수직한 면 아래에 위치한 면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324)는 지지부(323) 및 고정부(321)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지지부(323)가 고정부(321) 및 제2 조립돌기(322)를 받치는 지지력을 보강하여, 결과적으로 제3 연결소켓(3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다리(400)는 각각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제1 확장 부재의 저면의 모서리 영역들에 결합되어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를 지면에 지지하여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의 테이블 형태를 완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수의 지지다리(400)가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에 결합되는 형태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지지다리(400)는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에 나사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 프레임(100), 제1 연결소켓(220) 및 제2 연결소켓(230)은 나사결합부(501, 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소켓(220) 및 제2 연결소켓(23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502)는 제1 확장판(210)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501)는 본체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본체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나사결합부(501)는 각 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결합부(501, 502)들에 조립되기 위하여, 지지다리(400)는 나사구멍(400a)을 형성할 수 있고, 나사구멍(400a)이 나사결합부(501, 502)들에 나사결합되어 지지다리(400)가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지지다리의 형태를 예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다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로, 다수의 지지다리(400')는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에 고정되어, 길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지지다리(400')는 본체 프레임(100), 제1 연결소켓(220) 및 제2 연결소켓(230)과 연결되며 여러 개의 결합공(401a')을 갖는 연결판(401'); 상기 연결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여러 개의 각도조절홈(402a')을 갖는 조절판(402'); 상기 조절판의 내부에 상부가 연결핀(40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밀착되며 상부에 장홈(4032a')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4032')를 갖는 제1 다리(403'); 상기 제1 다리의 내부에 일부가 끼움되며 제1 다리의 내부로 끼움된 제2 다리(404')의 상부에 형성된 상광하협 형태의 나사부(미도시)의 외측에 밀착부재(미도시)가 조립되어 제2 다리가 회전함에 따라 밀착부재의 위치가 변동되며 제1 다리의 내면을 가압하여 변형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미도시)에 의하여 다리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제2 다리(404'); 상기 고정판의 장홈을 관통하여 각도조절홈에 끼움되는 고정봉(406a')이 형성된 손잡이(4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다리(400)는 도 9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이동시에는 접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의 높이를 가변하여, 좌식 또는 입식의 형태의 테이블로서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의 조립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에 지지다리(400)를 결합하고, 다음으로 본체 프레임(100) 및 제1 확장부재(200)에 결합된 지지다리(400)들을 지면에 지지시킨 후 본체 프레임(100)에 제1 확장부재(200) 및 제2 확장부재(300)를 조립한다.
제1 확장부재(200)의 조립은, 먼저 제1 연결소켓(220)의 제1 조립돌기(222)를 제1 프레임(101) 또는 제2 프레임(102)에 형성된 조립홈(106)의 끝단측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 조립돌기(222)의 체결부(222b)를 조립홈(106) 내로 삽입 및 슬라이딩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제1 확장부재(200)는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본체 프레임(100)의 종방향으로 확장되고, 메인 테이블로서 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2 확장부재(300)의 조립은, 먼저 제3 연결소켓(320)의 제2 조립돌기(322)를 제3 프레임(103) 또는 제4 프레임(104)에 형성된 조립홈(106)의 끝단측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2 조립돌기(322)의 수직부(322b)을 조립홈(106) 내로 삽입 및 슬라이딩 결합한다. 이때, 지지부(323)는 상기 조립홈(106)이 형성되어 있는 면 및 상기 조립홈(106)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수직한 제3 프레임(103) 또는 제4 프레임(104)의 저면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2 확장부재(300)는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본체 프레임(100)의 횡방향으로 확장되고, 보조 테이블로서 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확장부재가 복수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제1 확장부재(200)는 복수의 제1 확장부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도 10과 같이 제1 확장부재(200)를 복수로 연결하는 경우, 본체 프레임(100)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제1 확장부재의 제2 연결소켓에 형성된 체결홈의 위로 추가로 연결되는 제1 확장부재의 제1 연결소켓에 형성된 제1 조립돌기가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제1 조립돌기를 체결홈 내로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때, 체결홈 내로 삽입되는 제1 조립돌기는 체결홈의 서로 수직 및 수평하는 각 개구부들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경우, 본체 프레임(100)에는 버너를 거치하여 음식을 가열 및 조리하기 위한 버너부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제1 확장부재(200)는 조리된 음식이 놓이는 식사를 위한 메인 테이블(식탁)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제2 확장부재(300)는 음식의 조리를 위한 음식 재료 또는 조리 도구들을 놓아 둘 수 있는 보조 테이블(조리대)로서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식탁은, 본체 프레임(100)에 형성된 조립홈(106)에 제1 조립돌기(222) 및 제2 조립돌기(322)를 삽입 및 슬라이딩 결합하는 과정에 의해 제1 확장부재(200) 및 제2 확장부재(300)를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하는 과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된 제2 확장부재(300)는 지지부(323)가 본체 프레임(100)의 저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지지부(323)가 고정부 및 제2 조립돌기(322)를 받쳐주고, 제2 조립돌기(322) 및 지지부(323)의 사이에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둘레면 일부가 물려있는 형태를 이루므로 제2 확장부재(30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짐에 따라 제2 확장부재(300)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확장부재(300)의 지지부(323) 및 연장부(324)에 의해 제2 확장부재(30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지고, 제3 연결소켓(320)의 강도가 증가하므로 제2 확장판(310)의 자중에 의한 하중 및 제2 확장판(310)의 상면에 가해지는 외부 하중에 의한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제2 확장부재(300)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확장부재(200)를 복수로 연결하는 경우, 제1 연결소켓(220)의 제1 조립돌기(222)가 제2 연결소켓(230)의 수평 및 수직하게 서로 연장되어 있는 개구부(232a, 232b, 232c, 232d)들에 슬라이딩 결합하므로 제1 조립돌기(222)를 개구부들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분리하지 않는 한 제1 조립돌기(222)가 체결홈(23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서로 연결된 제1 확장부재(20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은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며,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하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조립 상태를 이루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로서,
    중심부에 사각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단면으로 볼 때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외측둘레면들에 형성되며 상기 사각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홈을 갖는 본체 프레임;
    제1 확장판, 상기 제1 확장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가능한 제1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제1 연결소켓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확장판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1 확장 부재;
    제2 확장판, 상기 제2 확장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가능한 제2 조립돌기 및 상기 제2 조립돌기로부터 상기 제2 조립돌기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3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조립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외측둘레면 및 그 외측둘레면에 수직한 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2 확장 부재; 및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제1 확장 부재의 저면의 모서리 영역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연결소켓은, 상기 제2 조립돌기; 상기 지지부; 고정부; 및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확장판의 단면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확장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립돌기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과 평행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제2 조립돌기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한 면과 평행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면 또는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에 수직한 면 아래에 위치한 면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소켓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을 감싸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조립홈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에 수직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지지되고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가 제2확장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 상기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제2 연결소켓 각각은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소켓 및 제2 연결소켓에 형성된 나사결합부는 상기 제1 확장판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나사결합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다리는 상기 나사결합부들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본체 프레임 또는 제1 확장판과 연결되며 여러 개의 결합공을 갖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여러 개의 각도조절홈을 갖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내부에 상부가 연결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밀착되며 상부에 장홈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를 갖는 제1 다리;
    상기 제1 다리의 내부에 일부가 끼움되며 제1 다리의 내부로 끼움된 제2 다리의 상부에 형성된 상광하협 형태의 나사부의 외측에 밀착부재가 조립되어 제2 다리가 회전함에 따라 밀착부재의 위치가 변동되며 제1 다리의 내면을 가압하여 변형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에 의하여 다리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제2 다리;
    상기 고정판의 장홈을 관통하여 각도조절홈에 끼움되는 고정봉이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KR1020130065713A 2013-06-10 2013-06-10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KR10146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13A KR101465339B1 (ko) 2013-06-10 2013-06-10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13A KR101465339B1 (ko) 2013-06-10 2013-06-10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339B1 true KR101465339B1 (ko) 2014-11-26

Family

ID=5229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713A KR101465339B1 (ko) 2013-06-10 2013-06-10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3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4264A (zh) * 2016-04-29 2017-11-10 株式会社Kovea 野营用桌子
KR101824655B1 (ko) * 2016-04-29 2018-02-01 주식회사 코베아 캠핑용 테이블
KR20180001549U (ko) 2016-11-16 2018-05-25 김영선 가변형 조립식 책상
KR20200115928A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한스캠 캠핑용 수납박스
KR102312371B1 (ko) * 2021-03-17 2021-10-15 임정희 파라솔 포스트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상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64Y1 (ko) * 1999-11-25 2000-06-15 이철수 씽크대의 다리 체결장치
KR200460065Y1 (ko) * 2011-09-15 2012-05-02 전성옥 야외 테이블용 접철식 다리
KR101218779B1 (ko) * 2010-03-05 2013-01-04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야외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64Y1 (ko) * 1999-11-25 2000-06-15 이철수 씽크대의 다리 체결장치
KR101218779B1 (ko) * 2010-03-05 2013-01-04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야외 테이블
KR200460065Y1 (ko) * 2011-09-15 2012-05-02 전성옥 야외 테이블용 접철식 다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4264A (zh) * 2016-04-29 2017-11-10 株式会社Kovea 野营用桌子
KR101824655B1 (ko) * 2016-04-29 2018-02-01 주식회사 코베아 캠핑용 테이블
KR20180001549U (ko) 2016-11-16 2018-05-25 김영선 가변형 조립식 책상
KR20200115928A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한스캠 캠핑용 수납박스
KR102264203B1 (ko) * 2019-03-29 2021-06-15 주식회사 한스캠 캠핑용 수납박스
KR102312371B1 (ko) * 2021-03-17 2021-10-15 임정희 파라솔 포스트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상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339B1 (ko)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
US7293510B1 (en) Telescopic leg structure of a table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9474385B2 (en) Foldable bed frame structur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US7156466B1 (en) Chair arm adjustment mechanism
KR101218779B1 (ko) 야외 테이블
US8128173B2 (en) Chair that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CN107327898B (zh) 一种取暖器
KR100939518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60999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JP2021522000A (ja) 昇降支柱用のスライダー装置
US20150366358A1 (en) Table and Chair Structure for Assembling Bed
KR20170083013A (ko) 캠핑용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091545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US20160273568A1 (en) Diy leg frame and diy furniture using same
JP6796522B2 (ja) 組立家具
KR101824655B1 (ko) 캠핑용 테이블
KR200479533Y1 (ko) 캠핑 테이블
US8118358B2 (en) Chair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200402515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다리연결구조
KR101968844B1 (ko) 가스레인지 케이싱
KR20200062527A (ko) 조립이 간편한 우드 롤 테이블
CN212036525U (zh) 一种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