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91B1 - Jet nozzle for fire-fighting - Google Patents

Jet nozzle for fire-f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91B1
KR101465191B1 KR1020130050659A KR20130050659A KR101465191B1 KR 101465191 B1 KR101465191 B1 KR 101465191B1 KR 1020130050659 A KR1020130050659 A KR 1020130050659A KR 20130050659 A KR20130050659 A KR 20130050659A KR 101465191 B1 KR101465191 B1 KR 10146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llow
nozzle
hos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1724A (en
Inventor
송민정
Original Assignee
송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정 filed Critical 송민정
Priority to KR102013005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191B1/en
Publication of KR2014013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으로서, 소방호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소방호스에 연통된 중공부가 마련되고, 전방에는 상기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형성되어 소화시 화염으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소방수 중 일부를 상기 분사노즐의 후방으로 분사시키는 보조분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은 보조 분사부에 의해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된 소방수 중 일부가 소방관에게 분사되므로 소화시 화염의 복사열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할 수 있으며, 소방관 주위의 먼지를 제거하여 소방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nozzle, which is connected to a fire hose and has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e hose, a spray nozzle formed at the front of the fire hose and having an injection port for spraying fi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e hose, And an auxiliary injection part formed in the nozzle and injecting a part of the fire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low part to the rear of the injection nozzle to protect the firefighter from the flame during the fire extinguishing.
The firebox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firefighter from the radiant heat of the flame during fire extinguishment because some of the firefight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e hose is sprayed to the firefighter by the auxiliary jetting part and the dust around the firefighter is removed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firefighter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Description

소방용 관창{Jet nozzle for fire-fighting}{Jet nozzle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수 중 일부를 소방관 측으로 분사하는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gu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part of a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from a fire hose,

최근 날로 증가하는 화재에 신속하고 완벽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현대화, 첨단화 및 실용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그리고, 현 화재현장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소율은 방수 개시 시간이 짧은 만큼 연소율이 낮아지며 따라서 빠른 방수 개시가 연소저지의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In order to respond quickly and completely to the increasing fire in recent years, modernization, modernization and practical use of equipment are urgently need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ctual fire scene survey, it is well known that the burning rate is lowered as the waterproofing start time is short, and therefore, the quick waterproofing can exert a great effect of the combustion inhibiting.

이러한 물의 방수는 소방차와 연결된 연결호스의 단부에 설치된 관창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관창의 특성에 따라 방수거리가 결정되고, 이에 따른 소화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e waterproofing of such water is performed by a nozz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hose connected to the fire engine. Therefore, the waterproof dista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zzle, and the digestion function is affected thereby.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 공개 번호 1997-0058739호에는 와류식 안전관창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안전관창은 헤드, 미들 기어로 이루어지며, 압력을 조절하여 주기 위한 압력 조절장치와, 이상 압력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안전장치의 작동과 지지를 위한 지지스프링과, 안전관창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고무링과 안전장치와 압력 조절장치를 연결해 주고 이동한계를 제어해 주기 위한 연결봉과, 방수되는 물이 와류식으로 돌아나아 갈 수 있도록 압력 조절장치의 스크류식하부들과, 스크류식 연결지지대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In view of this, Patent Publication No. 1997-0058739 discloses a whirlwind safety valve. The disclosed safety nozzle comprises a head and a middle gear,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regulating the pressure, a safety device for preparing against abnormal pressure, a support spring for actuating and supporting the safety device,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rubber ring, a safety device and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to control the movement limit, a screw type bottom of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returning the water to be swirled, And a connection support.

그리고 실용신안 등록 제 0243380호에는 소방용 방사 관창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소방용 관창은 호스 삽입부, 방사 조절부, 변류기, 중앙 몸체부, 및 변류시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통사의 소방용 방사 관창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를 구성하는 상기 변류시트가 그 내면에 나사식 체결부가 그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직경 및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식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어 상기 중앙 몸체부에 확고하게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43380, a fire-extinguishing spinning nozzl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ation nozzle for a fire prevention firefighter having a structure comprising a hose inserting portion, a radiation adjusting portion, a current transformer, a central body portion, and a change sheet, wherein the current changing sheet constituting the current transformer has a threaded fastening portion And are firmly fixed to the central body portion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y threaded fastening means having a diameter and a thread to be inserted and mutually coupled.

또한 등록 실용신안 제 20-0313917호에는 또 다른 예의 소방용 관창이 개시되어 있다. 샌드위치 패널 등의 철제 장애물을 관통하여 내부에 방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합 할 수 있는 소방용 관창이 개시되어 있다.Another example of a fire extinguishing nozzle is disclos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13917. There is disclosed a fire extinguishing gun which can penetrate an iron obstacle such as a sandwich panel and waterproof the inside thereof to effectively fire fire.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소방용 관창은 단수이 물을 방수하거나 물을 분사각를 넓혀 확산시킬 수 있는 구조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형화재시 즉, 화력이 상대적으로 큰 화재 시 관창을 잡고 소화하는 소방관이 복사열에 의해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서는 소방관이 화염으로부터 노출도어 화상 등과 같은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e-extinguishing nozzle has only a structure in which water can be water-dispersed or water can be spread by spreading the water. Therefore, when a large fire occurs,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by the fire extinguisher, and further, there is a risk such as an exposed door image from the fl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된 소방수 중 일부를 소방관에게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가 마련된 소방용 관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which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jection part for spraying a part of fire water supplied from a fire hose to a fire figh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은 소방호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소방호스에 연통된 중공부가 마련되고, 전방에는 상기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형성되어 소화시 화염으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소방수 중 일부를 상기 분사노즐의 후방으로 분사시키는 보조분사부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e extinguishing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ire hose, a hollow portion communicated with the fire hose is provided therein, and a spray nozzle And an auxiliary injection unit formed in the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a part of the fire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low part to the rear of the injection nozzle to protect the firefighter from the flame during the fire extinguishing.

상기 보조분사부는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면에 상기 소방수가 분출되는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벽면 내부에, 일단이 상기 분출공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중공부에 연통된 다수의 유동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동통로는 일단이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Wherein the auxiliary jet portion has a plurality of jet holes for jetting the jet of the water je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et nozzle, and a plurality of flow channels, one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jet hole, A passage is formed, and the flow passage extends obliquely so that one end is located behind the other end.

상기 유동통로들은 상기 분출공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소방수의 방향이 다양하도록 상기 노즐본체의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한 경사각이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ow passages are formed such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nozzle body with respect to the fore and aft center lin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jet of water sprayed through the jet hole varies.

상기 분사노즐은 후단부에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소방호스에 연통되는 제1중공이 마련된 호스연결관과, 상기 호스연결관의 전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의 전단부에 연통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중공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3중공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상기 제3중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본체와,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호스연결관에 고정되며, 상기 노즐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호스연결관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본체에 대한 호스연결관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중공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2 및 제3중공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디스크가 마련된 스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본체는 외주면에 다수의 상기 분출공이 형성되고, 벽면 내부에 상기 유동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동통로은 타단이 상기 제3중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A hos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e hose at a rea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and having a first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e hose therein; A third hollow is formed,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llow, extending forward, and provided with a third hollow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low, A rod fixed to the hose connection pipe by a fixing unit and extending forward to the hose connection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and a rod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od, And a spindle provided with a disk which can be se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hollow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hollow in accordance with the joining position of the hose connecting tube to the nozzle body The nozzle body has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low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wall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flow passag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hollow.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은 보조 분사부에 의해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된 소방수 중 일부가 소방관에게 분사되므로 소화시 화염의 복사열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할 수 있으며, 소방관 주위의 먼지를 제거하여 소방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ebox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firefighter from the radiant heat of the flame during fire extinguishment because some of the firefight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e hose is sprayed to the firefighter by the auxiliary jetting part and the dust around the firefighter is removed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firefighter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방용 관창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소방용 관창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extinguisher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e extinguisher window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100)이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 fire extinguish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소방용 관창(100)은 소방호스(15)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소방호스(15)에 연통된 중공부가 마련되고, 전방에는 소방호스(15)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분사구(225)가 형성된 분사노즐(200)과, 상기 분사노즐(200)에 형성되어 소화시 화염으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중공부를 통해 유동하는 소방수 중 일부를 분사노즐(200)의 후방으로 분사시키는 보조분사부(30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fire-fighting nozzle 100 is connected to a fire hose 15, a hollow portion communicated with the fire hose 15 is provided therein, and a fire- A portion of the fire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low portion is sprayed toward the rear of the spray nozzle 200 so as to protect the firefighter from the flame at the time of fire extinguishing, And an auxiliary spraying unit (300).

분사노즐(200)은 소방호스(15)에 연결되는 호스연결관(210)과, 호스연결관(210)에 나사결합되는 노즐본체(220)와, 노즐본체(220) 내부에 삽입되도록 호스연결관(210)에 설치되는 스핀들(230)을 구비한다. The injection nozzle 200 includes a hose connection pipe 210 connected to the fire hose 15, a nozzle body 220 screwed to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a hose connection 220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220, And a spindle 230 installed in the tube 210.

호스연결관(210)은 소정의 외경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호스연결관(210)의 내부에는 소방호스(15)로부터 공급된 소방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제1중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호스연결관(210)의 외주면에는 노즐본체(22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has a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hollow (211) is formed in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so that the fire water supplied from the fire hose (15) can flow.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so that the nozzle body 220 can be screwed.

호스연결관(210)의 후방에는 소방호스(15)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브라켓(214)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1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브라켓(214)은 후단에 소방호스(15)가 연결되며, 내부에 소방호스(15)에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전단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12)는 호스연결관(2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연결브라켓(214)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중공(211)에 연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A connection member 21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so that a connection bracket 214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e hose 15 can be screwed. The connection bracket 214 is connected to a fire hose 15 at a rear end thereof,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e hose 15 is formed therein,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The connection member 212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low 211 so that the connection bracket 214 can be inserted and screwed, A fastening hole 213 in which an acid is formed is formed.

노즐본체(220)는 호스연결관(210)의 전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후단부에 암나사산이 마련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정된 제2중공(221)이 형성되고, 제2중공(221)의 전단부에 연통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중공(221)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제3중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노즐본체(220)는 제2 및 제3중공(221,222) 사이에 후술되는 스핀들(230)의 디스크(232)의 하면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안착면(2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본체(220)의 전면에는 제3중공(222)에 연통되는 상기 분사구(2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중공(211,221,222)은 소방호스(15)에 연통되어 소방호스(15)로부터 공급된 소방수가 유동하는 중공부를 구성한다. The nozzle body 220 has a second hollow 221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having a female screw hole at its rear en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ose coupling tube 210 can be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inside, A third hollow portion 222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21 and extending forwardly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21 is formed. At this time, the nozzle body 220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hollows 221 and 222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232 of the spindle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asily seated, Is formed. The nozzle hole 2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nozzle body 2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hollow space 222. The first to third hollows 211, 221 and 222 are communicated with the fire hose 15 to constitute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supplied from the fire hose 15 flows.

그리고 노즐본체(220)는 소방관이 파지시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 외주면에 다수의 마찰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돌기(224)는 노즐본체(220)의 외주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다수개가 노즐본체(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2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nozzle body 220 so as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firefighter pipe is gripped. The friction protrusions 224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220 and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nozzle body 220 .

스핀들(230)은 고정유닛(240)에 의해 상기 호스연결관(21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로드(231)와, 로드(231)의 전단부에 형성된 디스크(232)를 구비한다. The spindle 230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by the fixed unit 240 and includes a rod 23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disk 232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od 231, Respectively.

고정유닛(240)은 호스연결관(210)의 전단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241)과, 로드(231)의 후단부에 연장된 형성된 고정볼트(242)와, 고정볼트(242)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43)를 구비한다. The fixing unit 240 includes a fixing bracket 241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a fixing bolt 24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od 231, And a fixing nut (243).

고정브라켓(241)은 고정볼트(2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구가 형성된 결합블럭(241)과, 결합블럭(24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호스연결관(210)의 내측면에 상기 결합블럭(241)을 지지시키는 복수의 지지바(245)를 구비한다. The fixing bracket 241 includes a coupling block 241 having a through hole so as to penetrate the fixing bolt 24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coupling block 24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241,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245 for supporting the coupling block 241 on a side surface thereof.

결합블럭(241)은 외주면과 호스연결관(210)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소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호스연결관(2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지지바(245)는 결합블럭(24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결합블럭(241)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다. 지지바(245)는 결합블럭(241)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호스연결관(21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결합블럭(241)에 2개의 지지바(245)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지지바(245)의 형성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방수의 수압 및 호스연결관(21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upling block 24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se coupling pipe 210 so that the fire water can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se coupling pipe 210, . The supporting bars 245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241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241, respectively. The support bar 245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241 and is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se coupling pipe 2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ing block 245 is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241, but the number of the supporting bars 245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 plurality of the openings 210 may be formed.

고정볼트(242)는 로드(231)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결합블럭(241)의 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블럭(241)의 관통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너트(243)는 결합블럭(241)의 관통구에 삽입된 고정볼트(242)의 단부에 체결되어 로드(231)를 결합블럭(241)에 고정시킨다. The fixing bolt 24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 at the rear end of the rod 231 and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block 24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block 241, Male threads are formed. The fixing nut 243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fixing bolt 242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block 241 to fix the rod 231 to the coupling block 241.

로드(231)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결합블럭(241)의 관통구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디스크(232)는 로드(231)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호스연결관(210)에 대한 노즐본체(220)의 체결위치에 따라 가장자리가 노즐본체(220)의 안착면(223)에 안착되어 제2중공(2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중공(221)의 외경보다 크고, 제3중공(222)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232)는 제2중공(221)을 통과하는 소방수를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d 231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formed into a round bar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of the coupling block 241. The disk 232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rod 231 and the edge of the disk 232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3 of the nozzle body 220 according to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nozzle body 220 with respect to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hollow (221) and smaller than the third hollow (222) so that the second hollow (221)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disc 232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ical shape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rear so as to guide fire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low 22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보조분사부(300)는 상기 노즐본체(220)의 외주면에 상기 소방수가 분출되는 다수의 분출공(301)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본체(220)의 벽면 내부에, 일단이 상기 분출공(301)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중공부에 연통된 다수의 유동통로(302)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30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220 so as to eject the water from the nozzle body 220. One end of the ejection hole 301 is form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nozzle body 22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302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분출공(301)들은 노즐본체(22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되, 노즐본체(220)의 마찰돌기(224)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출공(301)은 소방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의 입자가 미세하도록 내경이 0.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출공(301)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의 입자가 미세하므로 소방관 주위의 미세먼지와 용이하게 접촉하여 먼지 제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ejection holes 30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220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formed between the rubbing protrusions 224 of the nozzle body 220. The spray hole 301 preferably has an inner diameter of 0.5 mm or less so as to fine particles of fire-figh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e-fighting pipe. Since the particles of the fire-figh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pray hole 301 are f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st removal efficiency is improved by easily contacting with the fine dust around the fire-fighting pipe.

유동통로(302)들 분출공(301)들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며, 분출공(301)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노즐본체(220)의 후방으로 용이하게 분사되도록 일단이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동통로(302)들은 분출공(301)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의 방향이 다양하도록 노즐본체(220)의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한 경사각이 상호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동통로(302)들은 70°, 45°또는 30°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ow passages 302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ray holes 301 so that one end is positioned behind the other end so that the water spray injected through the spray hole 301 is easily sprayed to the rear of the nozzle body 220 And is inclin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low passages 302 are formed such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nozzle body 220 with respect to the fore-and-aft center line of the nozzle body 2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zzle body 220 so as to vary the direction of the jet of water sprayed through the jet hole 301.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passages 302 ar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any one of 70 °, 45 °, or 30 °.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소방수의 분사를 중단할 경우, 호스연결관(210)에 대해 노즐본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노즐본체(220)를 회전시킨다. 노즐본체(2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안착면(223)에 스핀들(230)의 디스크(232) 후면이 안착되면 상기 디스크(232)가 제2중공(221)을 폐쇄하여 분사구(225)로의 소방수 분사가 중단된다. First, when the injection of the fire water is stopped, the nozzle body 220 is rotated so that the nozzle body 220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When the nozzle body 220 is moved forwar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k 232 of the spindle 23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3, the disk 232 closes the second hollow 221, Spraying is stopped.

다음, 소방수를 직사로 주수할 경우, 호스연결관(210)에 대해 노즐본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노즐본체(220)를 회전시킨다. 노즐본체(2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디스크(232)와 안착면(223) 사이가 이격되고, 디스크(232)와 안착면(223)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통해 소방수가 제3중공(222)으로 유입된다. 제3중공(222)을 통해 유동하는 소방수는 분사구(225)를 통해 직사로 주수된다. 이때, 유동통로(302)의 타단부 인근에서의 소방수는 속도가 높고, 압력이 낮으므로 유동통로(302)로 유입되지 않아 분출공(301)을 통해 후방으로 분사되지 않는다. Next, when injecting the fire water directly, the nozzle body 220 is rotated so that the nozzle body 220 moves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The nozzle body 220 is moved backward so that the disk 232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surface 223 and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disk 232 and the seating surface 223 into the third hollow 222 ≪ / RTI > The fir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hollow (222) is injected directly through the injection port (225). At this time, the fire water near the other end of the flow passage 302 has a high velocity and a low pressure, so that it does not flow into the flow passage 302 and is not sprayed backward through the spray hole 301.

소방수를 분사범위가 확장되도록 확산시켜 분사할 경우, 디스크(232)가 노즐본체(220)의 분사구(225)에 인입되도록 노즐본체(220)를 호스연결관(2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분사구(225)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는 디스크(232)의 후방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사된다. 이때, 유동통로(302)의 타단부 인근에서의 소방수는 속도가 낮고, 압력이 높으로므로 유동통로(302)로 유입되어 분출공(301)을 통해 소방관으로 분사된다. 분출공(301)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는 소방관 주위에 수막을 형성시켜 화염의 복사열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며, 소방관의 방한복에 직접 접하여 소방관의 방한복을 냉각시키고, 소방관 주위의 먼지를 흡착하여 제거하므로 소방관의 시야를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The nozzle body 220 is moved to the rear of the hose connection pipe 210 so that the disk 232 is drawn into the injection port 225 of the nozzle body 220. [ At this time, the water jetted through the jetting port 225 is guid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disk 232 to be jetted to a wider range. At this time, the fire water near the other end of the flow passage 302 has a low velocity and a high pressure, so that it flows into the flow passage 302 and is injected into the fire pipe through the spray hole 301. The fire water injected through the ejection hole 301 forms a water film around the firefighter to protect the firefighter from the radiant heat of the flame and cool the firefighting clothes of the firefighter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firefighting clothes of the firefighter,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field of view.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소방용 관창
200: 분사노즐
210: 호스연결관
211: 제1중공
220: 노즐본체
221: 제2중공
222: 제3중공
223: 안착면
224: 마찰돌기
225: 분사구
230: 스핀들
231: 로드
232: 디스크
240: 고정유닛
241: 고정브라켓
242: 고정볼트
243: 고정너트
300: 보조분사부
301: 분출공
302: 유동통로
100: Fire extinguisher
200: injection nozzle
210: Hose connector
211: 1st hollow
220: nozzle body
221: Second hollow
222: Third hollow
223:
224: Friction projection
225:
230: spindle
231: Load
232: disk
240: fixed unit
241: Fixed bracket
242: Fixing bolt
243: Fixing nut
300: auxiliary dispensing part
301: Spout ball
302: flow passage

Claims (4)

소방호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소방호스에 연통된 중공부가 마련되고, 전방에는 상기 소방호스를 통해 공급된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형성되어 소화시 화염으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소방수 중 일부를 상기 분사노즐의 후방으로 분사시키는 보조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분사부는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면에 상기 소방수가 분출되는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벽면 내부에, 일단이 상기 분출공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중공부에 연통된 다수의 유동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동통로는 일단이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유동통로들은 상기 분출공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소방수의 방향이 다양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한 경사각이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fire hose and having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e hose therein and having an injection port for spraying the fi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e hose at the front;
And an auxiliary spraying part formed in the spraying nozzle and spraying a part of the fire-figh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low part to the rear of the spraying nozzle to protect the fire-fighting pipe from the flame during fire extinguishing,
The sub-
And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injection nozzle so that one end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spray hol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portion , The flow passage extends obliquely so that one end is located behind the other end,
Wherein the flow passages are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injection nozzl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rections of the fire water injected through the ejection holes va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후단부에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소방호스에 연통되는 제1중공이 마련된 호스연결관과,
상기 호스연결관의 전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의 전단부에 연통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중공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3중공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상기 제3중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본체와,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호스연결관에 고정되며, 상기 노즐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호스연결관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본체에 대한 호스연결관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제2중공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2 및 제3중공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디스크가 마련된 스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본체는 외주면에 다수의 상기 분출공이 형성되고, 벽면 내부에 상기 유동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동통로은 타단이 상기 제3중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jection nozzle
A hos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e hose at a rear end thereof and having a first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e hose therein,
Wherein a second hollow is formed therein so th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hose connection pipe can be inserted and screwed in, and is communicated with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pipe and extends forwardly, and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low A nozzle body having a third hollow having an outer diameter and having a nozzl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hollow,
A rod fixed to the hose connection pipe by a fixing unit and extending forwardly with respect to the hose connection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and a hose connection pip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od, And a spindle provided with a disc formed to be able to be se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hollow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hollow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pindle,
Wherein the nozzle body has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low passage is formed in a wall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flow passage is communicated with the third hollow.






KR1020130050659A 2013-05-06 2013-05-06 Jet nozzle for fire-fighting KR101465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59A KR101465191B1 (en) 2013-05-06 2013-05-06 Jet nozzle for fire-f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59A KR101465191B1 (en) 2013-05-06 2013-05-06 Jet nozzle for fire-figh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24A KR20140131724A (en) 2014-11-14
KR101465191B1 true KR101465191B1 (en) 2014-11-28

Family

ID=5229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659A KR101465191B1 (en) 2013-05-06 2013-05-06 Jet nozzle for fire-f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37A (en) * 2015-06-25 2017-01-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re figh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445B1 (en) 2021-05-31 2022-12-06 서울특별시 A Nozzle For Vehicle Fire Suppre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197B1 (en) * 1997-11-27 2000-07-15 박승옥 Radial shape fire fighting nozzle
KR20070027413A (en) * 2005-09-06 2007-03-09 서봉수 Jet nozzle for fire-figh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197B1 (en) * 1997-11-27 2000-07-15 박승옥 Radial shape fire fighting nozzle
KR20070027413A (en) * 2005-09-06 2007-03-09 서봉수 Jet nozzle for fire-figh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37A (en) * 2015-06-25 2017-01-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re fighting
KR101695853B1 (en) * 2015-06-25 2017-01-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re f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24A (en)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765B1 (en) nozzle for fighting the fire
KR101700211B1 (en) 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sprinkler type
KR102075290B1 (en) Fire fighting nozzle having mixing air
KR101831163B1 (en) Water nozzle for fire fighting hose
KR101662590B1 (en) 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sprinkler type
KR101465191B1 (en) Jet nozzle for fire-fighting
KR20070024449A (en) A liquid atomizer unit having a double nozzle system for fire extinction
EP0991448B1 (en) Sprinkler or spray head
KR101943015B1 (en) Dry type sprinklers pendent
KR101277009B1 (en) Water Pressure Control Nozzle for Fire-fighting
KR20130020041A (en) Fire fighthing water nozzle
KR101947067B1 (en) sprinkler head for fire fighting
WO2012001774A1 (en) Liquid spray nozzle and liquid spray system
KR101771035B1 (en) fire fighting nozzle
CA2679002A1 (en) Ambient mist head
CN214971417U (en) Fire-fighting spray water gun
KR20160111804A (en) water injection device
CA3029714A1 (en) End cap agent nozzle
CN216169539U (en) Telescopic adjustable flow squirt
KR101305962B1 (en) Pipe spear for fire fighting
JP2016022055A (en) Spray head for fire extinguishing
KR100457646B1 (en) hybrid nozzle
KR20210031082A (en) Safety fire extinguisher
KR101045660B1 (en) Fire Fighting Equipment
KR101799182B1 (en) Spray nozzle for fire-extingu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