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44B1 -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44B1
KR101465144B1 KR1020140066014A KR20140066014A KR101465144B1 KR 101465144 B1 KR101465144 B1 KR 101465144B1 KR 1020140066014 A KR1020140066014 A KR 1020140066014A KR 20140066014 A KR20140066014 A KR 20140066014A KR 101465144 B1 KR101465144 B1 KR 10146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temperature
heat
ho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이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준 filed Critical 이재준
Priority to KR102014006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1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a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to control power supplied to a heating line, and a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a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ase which has a power cable which supplies power to a heating line; a power supply part which supplies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terminal groove to the heating line through the power cable; a first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the temperature of a pipe; and a second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external temperature.

Description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wire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reezing of a hair, and a heating wir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heating wir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계 설비 배관에 구비된 열선을 제어하는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ay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a frost wave to control a heat ray provided in a mechanical piping and a heat ra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건물 주차장 부위,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배관에 동파가 일어나게 되는 것은 영하로 내려가는 외부의 기온이 배관에 전해져서 배관 내부의 유체를 얼리게 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Generally, the occurrence of the frost in various parts of the pip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partment building or the parking lot of the building occurs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own to zero is transmitted to the piping to freeze the fluid inside the piping.

최근에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 외부에 구비된 열선에 전기를 공급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배관이 얼지 않도록 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event freezing of piping, electricity is supplied to a hot line provided outside the piping to prevent the piping exposed to the outside from freezing.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배관 동결 방지 장치는 누전 차단기, 외부 온도 감지 조절기, 전자 접촉기 및 열선을 포함하여, 외부 온도 감지 조절기에서 셋팅한 외부 온도가 5도 내지 10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선에 전원이 투입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배관에 동파가 발생되려면 배관 내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떨어져야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배관 동결 방지 장치는 상기와 같이 외부 온도만 감지하여 전기를 투입하기 때문에, 한번 전기가 공급되면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하루 종일 전기가 공급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관 동결 방지 장치는 열선에 누전이 발생되거나 회로에 이상이 생겨도 관리자가 동파 이후에나 알 수 있게 되고, 또한 열선을 감은 어떤 부위는 오히려 배관내 온도가 85도까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외부 온도만으로 동파날 것을 예상하여 열선에 전기를 투입하는 것은 막대한 전기소모가 발생하여 현재의 에너지 절감 시책에도 맞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pipeline freeze prevention apparatus includes a circuit breaker, an external temperature sensing regulator, a magnetic contactor, and a hot wire.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set by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ing controller falls below 5 to 10 degrees, Respectively. However, in order to generate a wave in the pip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temperature in the pipe to 0 degree or less. 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piping freezing prevention apparatus senses only the external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hereto, electricity can be supplied all the day, regardless of the day and night, and unnecessary power is wasted . Further, in the conventional pipeline freeze prevention device, even if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hot wire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ircuit, the manager can know the temperature after the freeze wave,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pe is increased to 85 degrees .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hot wire in anticipation of ripping only by the external temperature, so that a great amount of electricity is consumed and it is not compatible with the current energy saving measur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182호 '동파 방지용 열선장치의 전력절감기'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7182 'Electric power saving device of heat ray device for preventing frost'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4879호 '열선을 이용한 안테나 결빙 방지 장치'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4879 " Anti-icing device for antenna using hot wi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종 기계 설비로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고, 동파 방지를 위하여 배관에 구비된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는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wire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a hot-wire provided in a pipe for preventing freezing and a hot-wir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is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a fluid to various mechanical equipments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는 각종 기계 설비로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고, 동파 방지를 위하여 상기 배관에 구비된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열선 제어 장치이고,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상기 열선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열선 제어 장치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열선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열선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를 오프시켜 상기 대기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원 차단부를 온시켜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온도 조절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wir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fluid to various kinds of mechanical equipment and for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provided in the pipe for preventing freez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hot wire; A temperature sensing unit including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pipe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pipe control unit; A power cutoff unit for shutting off power supply to the hot wir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 standby power cutoff unit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of the hot-wi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in the on state,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power cutoff unit to supply power to the hot wire,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can be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program to be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of the pip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 크기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hot line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urrent magnitude per predetermined hot line length.

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는 다수의 상태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등;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열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등; 상기 열선 또는 열선 제어 장치 내부의 누전 여부를 표시하는 누전 표시등; 및 상기 열선 또는 열선 제어 장치 내부의 과부하 또는 과열 발생시 위험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경보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al conduc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hair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tatus indicator lamps,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ower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ntrol unit; An operation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to the hot wire; A leakage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a short circuit has occurred in the hot or hot wire control device; And an alarm indicator for indicating a danger occurrence signal when an overload or overheating occurs in the heat or heat ray control apparatus.

상기 전원 표시등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가 오프되어 상기 대기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The power indicator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to indicate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ntrol unit even when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is turned off and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 상기 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열선에 흐르는 전류를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값으로 제한하는 과전류 억제부;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온도 조정부; 상기 제1 기준온도값, 상기 제2 기준온도값, 상기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값, 상기 온도 조절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판단부, 제2 판단부 및 전류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결과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A firs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ex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sensor is out of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seco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magnitud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ot wire; An overcurrent suppressing unit for limit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hot line to a reference current value per hot line length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current; A temperature regulator for regulating an intensity of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in proportion to a temperature of the pip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reference current value for the hot line length, and the temperature control program;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result output from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and the current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통하여 상기 열선의 누전 여부를 판단하는 누전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leakag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hot wire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current.

또한, 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를 구비한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시스템은 각각의 기기번호가 할당되는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와 각각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로부터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및 열선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중앙 감시반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와 상기 중앙 감시반은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conduction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freeze damage, which includes the thermal conduction preventing heat wave control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wave control heat conduction devices to which respective device numbers are assigned; And a plurality of heat wave control heat conduction devices for receiv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the heat conduction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heat wave prevention heat conduction control devices, And the central monitoring unit can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은 외부 온도에 따라 대기 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배관 온도에 따라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비례 조정하여 배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heat-ray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reeze da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ra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can reduce energy by shutting off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proportionally adjust power supplied to the heat- Can be kept consta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관에 구비된 열선 길이에 따른 과전류 억제 설정을 통하여 배관에서 과전류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Als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in the piping through the setting of the overcurrent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heat line provided in the pip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에 기기 번호를 셋팅하여 중앙 감시반과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is set to each of the heat-ray-blocking heat-ray-controlling devices 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so that the user can efficiently monitor the respective heat-ray-blocking heat-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의 모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S. 1A to 1C are views showing a model of a heat-ray-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eez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eat-ray-controlling device for preventing freeze of the wind,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ase of FIG. 1A.
Fig. 3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heat-ray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reeze of motion shown in Fig. 2.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unit of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ray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freez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의 모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a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eat-ray-controlling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wind,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ase of FIG. 1A; FIG. 2 3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heat ray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reeze of hair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ection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는 각종 기계 설비로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고, 동파 방지를 위하여 배관에 감겨진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열선은 건축물 등에 구비된 각종 기계 설비와 연결되는 배관 중에 동절기에 내부의 유체가 결빙되어서 동파할 우려가 있는 위치의 배관에 감겨져 있다. The heat-ray control apparatus 1 for preventing frost da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fluid to various kinds of mechanical equipment and is a device for adjusting power supplied to a hot wire wound around a pipe for preventing freezing. In addition, the hot wi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around piping in a position wher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luid inside the pipe is frozen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is likely to be frozen, in piping connected to various mechanical equipments provided in a building or the like.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는 육각 형상의 전면부 및 후면부와, 전면부 및 후면부의 측부를 연결하는 제1 측벽 내지 제6 측벽을 포함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제1 측벽 내지 제6 측벽 중 모서리를 이루는 측벽에는 케이스(10) 내부의 발생되는 열을 환기시키는 환기구(12)가 구비되고, 환기구(12)가 구비된 측벽에 인접되는 측벽 상에는 환기구 커버(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환기구(12) 또는 환기구 커버(11)가 구비된 측벽에 인접되는 상부 측벽에는 외부(예를 들면, 도 5의 중앙 감시반(10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홈(13)과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단자홈(14)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부 측벽에는 배관(20)과 연결되는 연결관(21)이 구비되고, 연결관(21) 내부에는 열선(3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부에는 복수 개의 상태 표시등(151, 152, 153, 154)과 온도 표시부(155, 156)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10)의 전면 또는 후면, 측벽들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위치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A to 1C, the thermal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1 for preventing freeze is provided with a hexagonal front face portion and a rear face portion, and a case including first to sixth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face portion and the rear face portion 10). A side wall of each of the first to sixth sidewalls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12 for ventilating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case 10, A vent cover (11)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The upper side wall adjoining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ventilation port 12 or the vent cover 11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groove 13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1000 in FIG. 5)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groove 14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outside. A connection pipe 21 connected to the pipe 2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wall of the case 10 and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hot wire 30 to supply power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21. A plurality of status indicators 151, 152, 153 and 154 and temperature indicators 155 and 15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structures provided on the front, rear, and side walls of the case 1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A to 1C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a design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는 전원 공급부(110), 온도 감지부(120), 전원 차단부(130), 대기전력 차단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10), 전원 차단부(130), 대기전력 차단부(140) 및 제어부(150)는 케이스(10) 내부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또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전자소자 등을 기판 상에 구현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2, the thermal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1 for preventing frost damag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a temperature sensing unit 120, a power shutoff unit 130, a standby power shutoff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control unit. Here, the power supply unit 110, the power cutoff unit 130,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one printed circuit board or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case 10, A plurality of electronic elements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substrate.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즉, 상용 전원)을 열선(30)으로 공급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부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의 전압이 일률적인 전압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a power supply (that is, a commercial power supply) Although not shown,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AC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o a direct current, and a constant voltage unit for maintaining the voltage of the rectified direct current power at the rectifying unit at a uniform voltage.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배관(2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배관(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와,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열선 제어 장치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센서(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와 제2 온도 감지 센서(122)는 제어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감지된 외부 온도 및 배관(20) 내 온도를 제어부(150)로 제공하고, 제어부(150)로 하여금 외부 온도를 기초로 대기 전력을 차단하고, 배관(20) 내의 온도를 기초로 열선(30)에 공급되는 전력을 비례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외부 온도만을 기초로 열선(30)으로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존 기술에 비하여 배관(20)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121)는 배관(20)의 외주연에 테이프로 감거나 기타 방법으로 밀착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1 install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2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2 for sensing an ex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to provide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in the pipe 20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 unit 150 interrupts the standby power based on the external temperature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 line 30 can be proportionally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 the pipe 20.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nergy can be saved by keeping the temperature in the pipe 20 constan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hot wire 30 based only on the external temperature. Meanwhil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20 by tape or other means.

상기 전원 차단부(130)는 전원 공급부(110)와 대기전력 차단부(140) 사이에 연결되어 열선(3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누전 차단 장치로서,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의 감지결과에 따라 열선(3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러한 전원 차단부(130)는 대기전력 차단부(140)가 온 상태에서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온 상태가 되도록 동작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전원 차단부(130)는 전원이 투입되는 중에도 부하(즉, 열선(30)) 측에 이상이 발생하여 누전이 되면 작동되어 열선(3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이 투입되는 중에도 부하(즉, 열선(30)) 측에 이상이 발생하여 누전이 되는 경우에는 열선(30)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표시부(150)의 경보 표시등(154)을 동작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 1개에 여러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누전으로 인하여 누전 차단기가 차단되더라도 관리자가 콘트롤 판넬을 확인하지 않으면 동파 발생을 인지하지 못하는 종래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육안 또는 통신으로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ower cutoff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so a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line 30. The first power cutoff unit 13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121,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wire 30 is cut off. The power cutoff unit 130 may be turned 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121 is out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while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is on . Accordingly, the power cut-off unit 130 may be operated when there is a short circuit due to an abnormality on the side of the load (i.e., the hot line 30) while the power is turned on, there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ot line 30.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rror occurs on the side of the load (that is, the heat line 30) while the power is turned on to cause a short circuit, the power supply to the heat line 30 is cut off and the alarm display 15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reezing of the vehicle by relatively visualiz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conventional apparatus which can not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frost if the administrator does not confirm the control panel even i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shut off due to leakage, Can be easily recognized.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140)는 전원 차단부(130)와 제어부(15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부(150) 내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로서, 제2 온도 감지 센서(12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열선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을 차단한다. 이러한 대기전력 차단부(140)는 제어부(150)에 전원이 투입되더라도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전원 표시등(151)을 제외한 모든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i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power cut-off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50 to cut off standby power in the control unit 150. The standby power cut- The standby power of the hot wire control device is cut of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can cut off all the power sources except for the power indicator 151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deviates from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eve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50, do.

상기 표시부(150)는 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와 외부 온도 및 배관 온도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may b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LED (Light Emitting Diode), an OLED (Organic LED), or the like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heat ray control device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the pipe temperature.

상기 표시부(150)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제어부(150)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등(151)과, 제어부(150)로부터 열선(3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등(152)과, 열선(30) 또는 열선 제어 장치 내부의 누전 여부를 표시하는 누전 표시등(153)과, 열선(30) 또는 열선 제어 장치 내부의 과부하 또는 과열 발생시 위험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경보 표시등(154)과, 외부 온도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는 외부온도 표시창(155)과, 배관 온도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는 배관 온도 표시창(1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a power indicator 151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controller 150 and a power indicator 151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to the hot wire 30 A leakage light indicator 153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short circuit inside the heating wire 30 or 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and an operation indicator lamp 152 for indicating a risk of overload or overheating in the heating wire 30 or 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An alarm display lamp 154 for displaying a signal, an external temperature display window 155 for digitizing and displaying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a pipe temperature display window 156 for digitizing and displaying the pipe temperature.

이때, 상기 전원 표시등(151)은 전원 공급부(110)와 대기 전력 차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가 오프되어 대기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제어부(150)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indicator 151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Accordingly, even when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unit is turned off and the standby power is interrupted,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control unit 150.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50)에 전원이 투입되어도 부하측 및 내부 회로 상에 전원이 투입된 전원 표시등(151) 외에는 일체의 전력 소모가 없게 되므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50,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without any power consumption other than the power indicator 151 which is turned on on the load side and the internal circuit.

상기 제어부(15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2 온도 감지 센서(122)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예를 들면, 동절기에는 영상 3~5?))을 벗어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부(140)를 오프시켜 대기 전력을 차단하고, 대기전력 차단부(140)가 온 상태에서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예를 들면, 동절기에는 영상 0~2도))을 벗어나는 경우 전원 차단부(130)를 온시켜 열선(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온도 조절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열선(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열선(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 크기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so that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2 is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for example, images 3 to 5 in winter)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121 in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is in the second (For example, 0 to 2 degrees in the winter)), the power cutoff unit 130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to the hot wire 30.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30 to be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by a preset temperature control program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an reduc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eating wire 30 to a predetermined current magnitude or less.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50)는 통신부(161), 제1 판단부(162), 제2 판단부(163), 전류 검출부(164), 과전류 억제부(165), 온도 조정부(166), 메모리부(167), 누전 판단부(168) 및 전력 제어부(169)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is operation, 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61, a first determination unit 162, a second determination unit 163, a current detection unit 164, an overcurrent suppression unit 165, 166, a memory unit 167, a leakage determination unit 168, and a power control unit 169.

상기 통신부(161)는 외부 장치(즉, 도 5의 중앙 감시반(10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외부 장치와 RS-485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통신부(16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TCP/I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ME(Mobile Explorer)), 와이파이(wifi)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1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in FIG. 5),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n RS-485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communication unit 161 is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units such as TCP / I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 Mobile Explorer (ME), WiFi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zigbee method, a bluetooth method, 3G, 4G, LTE, LTE-A, and the equivalent method may be applied.

상기 제1 판단부(162)는 제2 온도 감지 센서(122)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62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2 is out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제2 판단부(163)는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163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is out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상기 제1 판단부(162) 및 제2 판단부(163)는 제2 온도 감지 센서(122) 및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센서에서 감지한 값을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비교 연산 처리하여 전력 조정부에 전송한다.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62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16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2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to detect a value sensed by each sensor as a digital data valu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power adjustment unit.

상기 전류 검출부(164)는 열선(30)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되어, 해당 열선(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164)는 미리 설정된 단위 길이(예를 들면, 2m)당 열선(30)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rrent detector 164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heating wire 30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eating wire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detection unit 164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30 in parallel per unit length (for example, 2 m) set in advance.

상기 과전류 억제부(165)는 전류 검출부(164)에 의하여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열선(30)에 흐르는 전류를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값으로 제한한다.The overcurrent suppression unit 165 limi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heating line 30 to a reference current value per heating line length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164.

즉, 상기 과전류 억제부(165)는 포설된 열선 길이에 따라 검출되는 전류치를 미리 설정하여 과전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 센서의 검출에 의한 단순 ON/OFF 제어만을 하여 과전류가 발생되어도 차단기 이외에는 전류를 차단할 수 없는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과전류 억제부(165)를 통하여 과전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overcurrent suppressing unit 165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overcurrent by presetting the detected current valu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installed heat ray. The overcurrent can be suppressed through the overcurrent suppressing unit 165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device which can not interrupt the current other than the breaker even if the overcurrent is generated by only the simple ON / OFF control by the detec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 The st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상기 온도 조정부(166)는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열선(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온도 감지 센서(121)로부터 배관(20)의 온도값을 제공받아 이에 비례하도록 부하측 전력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배관(20)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급격한 에너지 변화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temperature adjusting unit 166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30 to be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1.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is suppli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and the load side power is controlled to be proportional thereto, the temperature in the pipe 20 can be kept constant, .

상기 메모리부(167)는 제1 기준온도값, 제2 기준온도값,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값, 온도 조절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메모리부(167)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모리부(167)는 본 열선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 및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67 stores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reference current value per a heat ray length, and a temperature control program. The memory unit 167 may be a RAM, a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or a hard disk drive (HD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memory unit 167. The memory unit 167 stores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verall control and execution of the present hot-wire control apparatus.

상기 누전 판단부(168)는 전류 검출부(164)에 의하여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통하여 열선(30)의 누전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누전 판단부(168)는 열선(30)의 제작 과정이나 주변 환경에 의하여 오염된 유기물, 습기 또는 열선 파괴 등의 문제로 인하여 열선(30)에 발생되는 누전을 감지한다.The leakage determining unit 16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eating wire 30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unit 164. That is, the leakage determination unit 168 detects a short circuit to be generated in the heat ray 30 due to a problem of organic materials, moisture, or heat ray damage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eat ray 30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 전력 제어부(169)는 제1 판단부(162), 제2 판단부(163) 및 전류 검출부(164)로부터 출력되는 결과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전력 제어부(169)는 제2 온도 감지 센서(122)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부(140)를 오프시켜 대기 전력을 차단하고, 대기전력 차단부(140)가 온 상태에서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전원 차단부(130)를 온시켜 열선(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제1 온도 감지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20)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열선(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열선(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 크기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unit 169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utput from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62,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163, and the current detection unit 164. That i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2 is out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power controller 169 turns of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140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deviates from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while the cutoff unit 140 is turned on, the power cutoff unit 130 is turned on, And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30 to be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1 and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30 The magnitude of the flowing current can be suppress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magnitude per predetermined hot line length.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는 외부 온도에 따라 대기 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배관 온도에 따라 열선(30)에 공급되는 전력을 비례 조정하여 배관(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배관(20)에 구비된 열선 길이에 따른 과전류 억제 설정을 통하여 배관(20)에서 과전류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heat-ray control apparatus 1 for preventing freezing can cut off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to save energy,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30 is proportional to the pip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pipe 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and the over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ipe 20 by setting the overcurrent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heat line provided in the pipe 20.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ray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freez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시스템은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시스템은 각각의 기기번호가 할당되는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와,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와 각각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로부터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및 열선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의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중앙 감시반(10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in the heat ray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freezing of 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ray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freez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eeze prevention heat ray control devices 1a to 1e to which respective device numbers are assigned, And a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control devices 1a to 1e for receiv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the heat conduction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control devices 1a to 1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hannels with the plurality of heat conduction control devices 1a to 1e, And a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ray control devices 1a to 1e for preventing the freeze of the frost.

본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시스템은 열선(30)이 감겨진 배관(20)을 관리하고자 하는 구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구역마다 도 1a 내지 도 4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를 설치하여 각 구역의 열선 제어 장치(1a~1e)의 동작을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In the heat conduction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the freeze of winter, the conduit 20 wrapped around the heat wire 30 is divided into zones to be managed, and the heat conduction controlling devices 1a to 1e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the parts shown in FIGS.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t-wire control devices 1a to 1e in the area.

이를 위하여 복수 개의 열선 제어 장치(1a~1e)는 각각의 고유한 번호의 채널을 통하여 중앙 감시반(10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 감시반(1000)은 각각의 열선 제어 장치의 채널과 일치하는 주파수를 부여하여 각자가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plurality of hot-wire control devices 1a to 1e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through respective unique channels.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may be provided with a frequency coinciding with a channel of each of the heat-ray control devices, so that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can simultaneou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와 중앙 감시반(1000)은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와 중앙 감시반(1000) 간의 통신 방식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TCP/IP, HTTP, WAP/ME,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the heat-ray controllable heat-ray control devices 1a to 1e and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can form communication channels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the plurality of coagulation preventing heat-ray control devices 1a to 1e and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but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CP / IP, HTTP, WAP / ME, Wi- A Bluetooth, a 3G, a 4G, an LTE, an LTE-A, and an equivalent metho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1a~1e)에 기기 번호를 셋팅하여 중앙 감시반(1000)과 RS-485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여 중앙 감시반(1000)에서 각 기기마다의 동작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및 감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numbers are set to each of the heat-ray-shielding heat-ray control devices 1a to 1e, and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monitoring unit 1000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Thereby enabling efficient monitoring and monitoring.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올레핀계 수지 25~39중량%와, 유리섬유 또는 황산바륨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인 무기충전제 61~7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10 may be made of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25 to 39% by weight of an olefin resin, and 61 to 75% by weight of an inorganic filler which is glass fiber or barium sulfate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25~39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고결정성 수지로 무기 충전제의 흐름성을 향상시키고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강성 및 열변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25중량%미만이면 무기 충전제가 과량으로 사용되어 수지의 흐름성과 성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39중량%를 초과하면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 시, 강도, 내충격성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초고결정성 올레핀계 수지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 프로필렌-1-부텐 코폴리머, 프로필렌-1-헥센 코폴리머 및 프로필렌-4-메틸-1-펜텐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lefin-based resin preferably contains 25 to 39% by weight of the ultrafine crystalline resin and improves the flowability of the inorganic filler and improves the heat resistance, rigidity and thermal deformation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inorganic filler is excessively used to lower the flowability and moldability of the resin. If the amount is more than 39% by weight,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is no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rength, impac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I have a problem. Specifically, the ultra-crystalline olefin-based resin may be an isotactic polypropylene,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a propylene-1-butene copolymer, a propylene-1-hexene copolymer and a propylene- Polymer, and a copolymer or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1~70g/10min(2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g/10min이다.The olefin resin preferably has a melt index of 1 to 70 g / 10 min (230 ° C), more preferably 3 to 30 g / 10 min.

또한, 상기 올레핀계 수지 중 호모 부분의 C13-NMR에 의한 아이소택틱(isotactic) 펩타드분율이 96~99%인 것이 바람직한데, 96%미만이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강성 및 열변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sotactic peptad fraction of the homo part in the olefin resin is 96 to 99% by C13-NMR. If it is less than 96%, the heat resistance, rigidity and heat change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re deteriorated .

상기 무기 충전제는 유리섬유 또는 황산바륨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것이 바람직한데, 61~75중량%를 포함하여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 시, 강도,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충전제가 61중량% 미만이면 강도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저중량으로 인한 문제점을 나타내며, 7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중량 및 고강성으로 인하여 생산 공정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진다.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glass fiber, barium sulfate, or a mixture there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s 61 to 75% by weight of the inorganic filler and improves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during injection molding. If the amou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less than 61% by weight, the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are lowered and the problem is caused by the low weight. When the inorganic filler is more than 75% by weight, the production process is not smooth due to high weight and high rigidity.

상기 유리섬유는 평균입경이 5~15㎛이고, 길이가 1~16㎜인 쵸핑된 스트랜드(chopped strand)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입경이 5㎛미만이면 혼합하는 동안에 유리섬유가 깨지기 쉬워 강성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을 나타내며,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 시, 성형품의 변형이 악화되어 외관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또한, 길이가 1㎜미만이면 강도, 내충격성 및 중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1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 공정에서의 투입이 어려워 생산 공정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리섬유는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표면이 처리된 유리섬유인 것이 바람직한데,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 시, 성형품의 강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은 아크릴산, 타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디트라콘산, 소르빈산 및 인그리카산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수물은 산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및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구체적인 예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무수디트라콘산, 아크릴산 나트륨 및 메타크릴산 나트륨 등이 있다. 상기 유리섬유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과 촉매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180~22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융함으로써 제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유리섬유는 1:9의 비율로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lass fiber preferably has a chopped strand shap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 to 15 탆 and a length of 1 to 16 mm.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5 탆, the glass fiber tends to be broken during mixing The stiffness effect is insufficient. When the thickness exceeds 15 탆, the deformation of the molded article may be deteriorated and the appearance of the molded article may be deteriorated. If the length is less than 1 mm, the strength, impact resistance and weight are lowered. If the length is more than 16 mm,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material in the processing step.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fiber is a glass fiber whose surface has been treated with a modified polypropylene obtained by grafting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its anhydride. In the case of injection molded articles, the strength, impac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are improved .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preferabl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tricryl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crotonic acid, ditralic acid, sorbic acid and phosphoric acid, and the anhydride is preferably an acid anhydride, an ester, And metal salts,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anhydrodithioconic acid, sodium acrylate, and sodium methacrylate. In order to treat the surface of the glass fiber, it is preferable to use a modified polypropylene prepared by charging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its anhydride and a catalyst to a crystalline polypropylene into a twin-screw extruder and melting by heating at 180 to 220 ° C , The modified polypropylene and the glass fiber are preferably treated at a ratio of 1: 9.

상기 황산바륨은 레이저회절 산란법에 의한 평균입경이 0.5~1㎛인 것이 바람직한데, 유리섬유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고중량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며, 0.5㎛미만이면 고중량 및 고강성의 물성이 저하되며 가공 공정에서의 투입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며, 1㎛를 초과하면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 시 성형품의 표면 외관의 광택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The barium sulfate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to 1 μm by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glass fibers, the barium sulfate plays an effective role in exhibiting high weight characteristics. If less than 0.5 μm, high weight and high rigidity properties And it is difficult to inject in the processing step. When the thickness exceeds 1 탆,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loss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molded article is lowered during the production of an injection molded article.

또한, 상기 유리섬유와 황산바륨을 혼합하여 무기충전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유리섬유 및 황산바륨의 혼합비가 2:8~8:2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6~5:5이다.When the glass fiber and barium sulfate are mixed and used as an inorganic filler, the mixing ratio of glass fiber and barium sulfate is preferably 2: 8 to 8: 2, more preferably 4: 6 to 5: 5.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가공 조건을 토대로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융점 이상에서 배합하고 혼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 및 압출성형 등의 통상적인 성형법을 통하여 케이스(10)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an be applied based on the production method and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resin composition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polypropylene may be blended at the melting point or higher and used. That is,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for producing the case 10 through a conventional molding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and extrusion molding.

이하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 &Lt;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

올레핀계 수지 및 무기충전제를 투입하고 리본믹서에서 0.5~4시간 동안 드라이 블렌드한 후, 혼련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180~220도의 온도에서 용융혼련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 성분의 투입 함량은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The olefin resin and the inorganic filler were charged into a hopper of a kneading extruder after being dry blended in a ribbon mixer for 0.5 to 4 hours and melt kneaded at 180 to 220 ° C. to prepare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중량%)Category (% by weight)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올레핀계 수지Olefin resin 3939 3030 2525 3939 100100 7070 4646 7070 무기
충전제
weapon
Filler
유리섬유-1Fiberglass-1 3131 3030 3030 -- -- 3030 -- --
유리섬유-2Fiberglass-2 -- -- -- 2121 -- -- -- -- 유리섬유-3Fiberglass-3 -- -- -- -- -- -- -- 3030 황산바륨Barium sulfate 3030 4040 4545 4040 -- -- 5454 --

(단, 올레핀계 수지는 초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용융수지: 1~70g/10min, 에틸렌 단위함량: 10.5몰%, 아이소택틱 펩타드분율: 96~99%)을 사용하였으며, 유리섬유-1은 평균입경이 9~13㎛, 길이가 3.0~4.5㎜이며, 유리섬유-2는 평균입경이 9~13㎛, 길이가 10.0~15.0㎜이며, 유리섬유-3은 평균입경이 28~32㎛, 길이가 3.0~4.5㎜인 것을 사용함.)(1 to 70 g / 10 min, ethylene unit content: 10.5 mol%, isotactic peptad fraction: 96 to 99%) was used as the olefinic resin, and the glass fiber-1 The glass fiber-2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9 to 13 탆 and a length of 10.0 to 15.0 mm, and the glass fiber-3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8 to 32 탆 , And a length of 3.0 to 4.5 mm is used.)

<시험예><Test Example>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를 통해 제조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70℃의 금형온도 및 60~100bar의 사출압력에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measu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prepared through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specimens were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at a mold temperature of 70 ° C. and an injection pressure of 60 to 100 ba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구분divisio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 90,00090,000 100,000100,000 100,000100,000 70,00070,000 14,00014,000 62,00062,000 31,00031,000 89,00089,000 상온충격강도Impact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1515 1515 1515 2121 1010 1515 44 2222 저온충격강도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1212 1212 1212 1818 55 99 33 1313 비중importance 1.531.53 1.871.87 1.911.91 1.671.67 0.910.91 1.121.12 1.561.56 1.121.12 MD 수축률MD Shrinkage 3.13.1 3.13.1 3.13.1 2.82.8 15.815.8 9.09.0 9.09.0 8.88.8 TD 수축률TD shrinkage 2.62.6 2.62.6 2.62.6 2.42.4 15.815.8 2.02.0 8.88.8 1.91.9 표면광택Surface gloss 3535 3030 2828 4040 7575 2020 6060 1010

상기 시험예에 있어서, 굴곡탄성률(kg/㎠)은 ASTM D 790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고, 상온 충격강도(kg·㎝/㎝)는 ASTM D 256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으며, 저온 충격강도(kg·㎝/㎝)는 ASTM D 256의 방법으로 -10 ℃에서 측정하였고, 비중은 ASTM D 1238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으며, 표면광택(%, 60′)은 ASTM D 523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고, MD 수축률(%)은 ASTM D 955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흐름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측정하였으며, TD 수축률(%)은 ASTM D 955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흐름직각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측정하였다.The flexural modulus (kg / cm 2)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by the method of ASTM D 790 and the impact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kg · cm / cm)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by the method of ASTM D 256, (kg · cm / cm) was measured at -10 ° C. according to the method of ASTM D 256, and specific gravity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ethod of ASTM D 1238. The surface gloss (%, 60 ') was measured by ASTM D 523 And the MD shrinkage (%)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ASTM D 955 in the machine direction at room temperature. The TD shrinkage (%)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ASTM D 955 at roo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를 통해 제조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4에 비하여 굴곡탄성률, 충격강도 및 비중이 높고, 수축률이 낮으므로 치수 안정성에 있어서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have higher flexural modulus, impact strength and specific gravity than the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have a low shrinkage ratio, have.

따라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을 통하여 케이스(10)로 제조 시, 강도, 내충격성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an improve the strength, impac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when manufactured into the case 10 through injection molding.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10: 케이스
11: 환기구 커버 12: 환기구
13: 전원 공급 단자홈 14: 통신 단자홈
20: 배관 21: 연결관
30: 열선 110: 전원 공급부
120: 온도 감지부 121: 제1 온도 감지 센서
122: 제2 온도 감지 센서 130: 전원 차단부
140: 대기전력 차단부 150: 표시부
151: 전원 표시등 152: 동작 표시등
153: 누전 표시등 154: 경보 표시등
160: 제어부 161: 통신부
162: 제1 판단부 163: 제2 판단부
164: 전류 검출부 165: 과전류 억제부
166: 온도 조정부 167: 메모리부
168: 누전 판단부 169: 전력 제어부
1000: 중앙 감시반
1: Heat wave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frost 10: Case
11: vent cover 12: vent
13: Power supply terminal groove 14: Communication terminal groove
20: piping 21: connector
30: heat line 110: power supply unit
120: temperature sensing unit 121: first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2: second temperature sensor 130: power cut-
140: standby power cutoff unit 150: display unit
151: Power indicator 152: Operation indicator
153: Light leakage indicator 154: Alarm indicator
160: control unit 161:
162: first judgment unit 163: second judgment unit
164: current detection unit 165: overcurrent suppression unit
166: Temperature adjusting unit 167: Memory unit
168: Leakage judging unit 169:
1000: Central monitoring board

Claims (7)

각종 기계 설비로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에 구비된 열선;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환기시키는 환기구를 구비하고, 상부 측벽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홈과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단자홈을 구비하고, 하부 측벽에는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상기 열선에 연결되어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전원 공급 단자홈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열선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관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를 오프시켜 상기 대기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원 차단부를 온시켜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등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열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등과, 상기 열선 또는 열선 제어 장치 내부의 누전 여부를 표시하는 누전 표시등과, 상기 열선 또는 열선 제어 장치 내부의 과부하 또는 과열 발생시 위험 발생 신호를 표시하는 경보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자홈을 통해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가 제1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와, 상기 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열선에 흐르는 전류를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값으로 제한하는 과전류 억제부와,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온도 조정부와, 상기 제1 기준온도값, 상기 제2 기준온도값, 상기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값 및 상기 온도 조절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1 판단부, 제2 판단부 및 전류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결과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와, 상기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통하여 상기 열선의 누전 여부를 판단하는 누전 판단부를 포함하되, 미리 설정된 온도 조절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제1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관의 온도에 따라 비례하도록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열선 길이당 기준 전류 크기 이하로 억제하며,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상기 전원 차단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표시등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가 오프되어 상기 대기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A hot wire provided in a pipe for supplying fluid to various kinds of mechanical equipment;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groove for receiving data from / to the outsid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groove for receiving data from / to the outside. The lower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A case having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hot wire to supply power to the hot wire;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built in the case and supply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groove to the hot wire through the power cable;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pipe to sense a temperature of the pip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to sense an external temperature;
A power cutoff unit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cut off a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hot wire through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 standby power cutoff unit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cut off standby power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urn off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unit to shut off the standby powe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controller turns on the power cutoff unit to supply power to the hot wire through the power cable. And
A power indicator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case for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controller, an operation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to the hot wire, Or a leakage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an electric current is leaked in the heating wire control device and an alarm indicator for indicating a dangerous occurrence signal when an overload or an overheating occurs in the heating wire or heat wire control device; , &Lt; / RTI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groove, a firs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sensor is out of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seco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temperature of the pip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magnitud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ot wire, An overcurrent suppressing unit that limit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hot wire to a reference current value per hot wire length by using a magnitude of a current flowing in the hot wire,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 reference current value per the hot line length, and a temperature adjustment program A pow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result output from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and the current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hot wire to be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of the pip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by a preset temperature control program,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urrent magnitude per a predetermined line length,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cutoff unit and the control unit to cut off standby power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he power indicator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to indicate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ntrol unit even when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is turned off and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
Wherein the heat-radiating member is a heat-radiat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배관을 관리하고자하는 구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구역마다 설치되되, 각각 기기번호가 할당된 제 1 항의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상기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와 각각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로부터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및 열선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상기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중앙 감시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시스템.
A heat conduc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frost dam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it is divided into zones to be managed, and the devi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zones; And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heat-ray-blocking-use heat-ray control device, the respectiv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the heat-ray control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heat-wave-prevention heat-ray control device, A central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element.
KR1020140066014A 2014-05-30 2014-05-30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465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014A KR101465144B1 (en) 2014-05-30 2014-05-30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014A KR101465144B1 (en) 2014-05-30 2014-05-30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144B1 true KR101465144B1 (en) 2014-11-28

Family

ID=5229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014A KR101465144B1 (en) 2014-05-30 2014-05-30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44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85B1 (en) 2016-03-23 2016-09-07 (주)삼일피엔유 Electric heat trace control lamp kit system
KR101682349B1 (en) * 2016-04-08 2017-01-09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carbon fiber heating cable
KR101788258B1 (en) 2016-11-25 2017-10-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interior temperature and apparatus for launching guided vehicle with the device
KR101834071B1 (en) * 2016-04-27 2018-03-02 오형재 Control system for heating cable of fire protection piping
KR101869358B1 (en) 2018-02-06 2018-06-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Multichannel Integrated Pipeline Heat Line Temperature Control Monitoring System
KR101934726B1 (en) * 2018-03-27 2019-01-03 한국남동발전주식회사 Heating cable Smart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KR200493856Y1 (en) * 2020-10-29 2021-06-16 강원구 hot wire controller
KR20210147344A (en) *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라온익스 Pipe Freeze Prevention Heating Wire Controller with IoT
KR20230027942A (en) * 2021-08-20 2023-02-28 김현규 Pipe freeze and burst prevention system
KR20240013530A (en)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Hot wire for preventing freez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374B1 (en) * 2006-08-09 2009-01-07 (주)화연산업 Heating cable controller for boiler or geyser
KR20140000885A (en) * 2012-06-26 2014-01-06 김광열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heating device for rupturing of the water pi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374B1 (en) * 2006-08-09 2009-01-07 (주)화연산업 Heating cable controller for boiler or geyser
KR20140000885A (en) * 2012-06-26 2014-01-06 김광열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heating device for rupturing of the water pip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85B1 (en) 2016-03-23 2016-09-07 (주)삼일피엔유 Electric heat trace control lamp kit system
KR101682349B1 (en) * 2016-04-08 2017-01-09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carbon fiber heating cable
KR101834071B1 (en) * 2016-04-27 2018-03-02 오형재 Control system for heating cable of fire protection piping
KR101788258B1 (en) 2016-11-25 2017-10-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interior temperature and apparatus for launching guided vehicle with the device
KR101869358B1 (en) 2018-02-06 2018-06-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Multichannel Integrated Pipeline Heat Line Temperature Control Monitoring System
KR101934726B1 (en) * 2018-03-27 2019-01-03 한국남동발전주식회사 Heating cable Smart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KR20210147344A (en) *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라온익스 Pipe Freeze Prevention Heating Wire Controller with IoT
KR102377418B1 (en) * 2020-05-28 2022-03-22 주식회사 라온익스 Pipe Freeze Prevention Heating Wire Controller with IoT
KR200493856Y1 (en) * 2020-10-29 2021-06-16 강원구 hot wire controller
KR20230027942A (en) * 2021-08-20 2023-02-28 김현규 Pipe freeze and burst prevention system
KR102586514B1 (en) * 2021-08-20 2023-10-06 김현규 Pipe freeze and burst prevention system
KR20240013530A (en)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Hot wire for preventing freez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144B1 (en) Heating line control device for anti-freezing and heating lin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EP2755443B1 (en) Intelligent heating cable having a smart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34726B1 (en) Heating cable Smart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JP2017011907A (en) Power measur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101869358B1 (en) Multichannel Integrated Pipeline Heat Line Temperature Control Monitoring System
CN102365008A (en) Partitionable temperature control cabinet possessing all-digital monitoring function
KR101587957B1 (en) Power control system in power distribution panel
CN204350549U (en) Electric power equipment cabinet
CN101603719A (en) Machine room air-conditioning energy-saving operation control system
CN102706094B (en) Refrigeration house temperature overrun reminding device
CN104216302B (en) The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electric equipment products
CN207380579U (en) A kind of extruder temperature controller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04503520A (en) On-off control circuit for heater in power distribution cabinet
CN205721436U (en) Constant-temperature heating system
CN204669541U (en) A kind of vedeo controlling box
CN204836607U (en) Chemical material heater
CN206227284U (en) A kind of environmental control of the poultry with oxygen detection function
KR101539990B1 (en) End lamp apparatus installed in a industrial heating cable system
CN203759569U (en) 3G network-based intellig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r
CN203702745U (en) High-power aluminum profile extruding machine hydraulic pump station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06813342A (en) A kind of infrared humidific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18562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electric panel
CN206377927U (en) A kind of cooling-water machine control system
CN105429024A (en) Power distribution box cooling protection apparatus
CN204514483U (en) Transformer pile head protective cover temperature surveys moni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