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980B1 -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980B1
KR101462980B1 KR1020120154672A KR20120154672A KR101462980B1 KR 101462980 B1 KR101462980 B1 KR 101462980B1 KR 1020120154672 A KR1020120154672 A KR 1020120154672A KR 20120154672 A KR20120154672 A KR 20120154672A KR 101462980 B1 KR101462980 B1 KR 10146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indow
clicked
selection window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798A (ko
Inventor
윤하정
문운경
김연주
정우석
전우진
정재운
김도순
에이 스티븐슨 마크
타이 타잉 호아 응웬
오리어리 브라이언
이 카펜터 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5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9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병발생 빈도 산출, 표본 수 산정 등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학 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APPARATUS FOR FIELD EPIDEMI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APPLICATION IN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스마트폰'으로 약칭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로 약칭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어풀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 특허 제10-1044243호에 의하면, 낚시에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어플이 내장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피싱인포맵 어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인터넷 등에 연결 없이 스마트폰 상에서 클릭만 하면 역학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역학(epidemiology)이란 집단의 질병 및 건강에 대한 연구활동을 말한다. 질병은 전염성 및 감염성 질병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인 관절염, 암, 요도염 등의 질환도 포함되며, 환경 오염물의 노출 및 상해 등도 포함된다. 나아가, 좋은 건강과 질 좋은 삶을 안전하게 장기간 유지하는 웰빙에 관여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도 역학의 범위에 속한다.
집단이란 어떤 지역에 속하는 그룹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서울시 주민, 특정 농장의 젖소, 어떤 지역의 양계 농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역학 연구란 특정 집단에 속하는 개별적인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정보뿐만 아니라, 그 집단에 속하는 다른 환자나 동물 등의 질병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분석하는 일련의 자료분석 과정이 수반된다.
그런데, 종래 질병발생 빈도 산출, 표본수 산정 등에 관한 필요한 역학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사이트(www.cdc.gov; www.openepi.com 등)에 일일이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어 왔다.
특히, 집단에 역학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현장에서 빠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담당 전문가가 현장에서 스마트폰으로 상기 웹사이트 등에 접속하며 대처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일정한 한계가 있어 왔다.
그 결과, 현장에서 채취할 수밖에 없는 질병 진단에 필요한 표본의 적정수를 결정하거나, 농장의 경우에는 질환에 걸린 가축이나 집단을 치료할 것인가 아니면 모두 폐사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데에 필요한 관련 질병의 역학 분석 자료가 현장에서 적절하게 제공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역학 분석 자료가 현장에서 적절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질병발생 빈도 산출, 표본수 산정 등이 가능한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가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연결 없이도 담당 전문가가 현장에서 역학 정보 분석을 직접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적용하여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일체로 입력부, 제어부, 연산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생성된 역학실행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시작화면으로 둘 이상의 역학연산 어플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역학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바로 그 결과를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은 제어창과 어플 실행창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어창은 홈아이콘과 함께, 어플이름, 정보아이콘 및 질문아이콘 중에서 하나 이상 더 형성되고, 상기 어플 실행창은 역학 또는 연산 변수가 입력되는 입력창과 연산 결과가 보여지는 결과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디스플레이창에 연산 결과가 보여진 이후에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에서 상기 홈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시작화면으로 돌아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먼저 설정시간을 초과하였는지와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하였는지 판단하여, 설정시간을 초과하였거나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한 경우에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설정시간 이내로 난수생성 어플 외의 어플을 클릭한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어플의 연산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문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어플의 질문과 답변을 상기 어플 실행창에 보여주고,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외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종료시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홈아이콘을 클릭하면, 난수생성 어플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여, 난수생성 어플이 실행 중이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난수생성 어플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난수생성 어플이 실행 중이 아니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연결 없이 구동되는 자립형 어플 장치에 의하여, 스마트폰으로 현장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역조치에 대한 의사결정(검사 시료수 산출 등)을 할 수 있고, 검사법의 정밀도 수준을 감안하여 실제 질병 발생상황 해석, 모니터링 및 질병 감시를 위한 계획 설정이나, 역학 관련 연구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력을 증명할 수 있는 연구대상 규모 산출에도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임상의사, 동물방역 담당자, 임상수의사 및 관련 연구원 등의 역학 관련 분야 업무 수행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역학적 개념을 산출함으로써, 업무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가 제어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가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구현되는 구체적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는 플래시기반(flash-based)의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자립형(stand alone) 어플로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폰(iPhone), 아이패드(iPad) 등 각종 스마트폰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과 일체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는, 도 1과 같이, 크게 입력부(100), 제어부(200), 연산부(300), 저장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00)는 역학 정보 분석 데이터가 입력되는 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구성하는 스마트폰의 터치 패드에 활성화되는 키 패드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일체 입력수단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본 발명에 의한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가 설치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 등 각종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 연산 어플이 구동되어 상기 입력부(100)로 입력된 역학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나 각종 연산 모듈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부(100)로 입력된 역학 데이터 및 상기 연산부(300)에서 처리된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의 각종 저장장치(RAM 포함)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의한 구동 결과물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의 출력장치로 구현되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어부(200)가 제어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가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구현되는 구체적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를 어플 제공 서버(예컨대, 어플 마켓 등)로부터 유, 무료로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설치하면, 도 3과 같이, 스마트폰 어플 목록에 역학실행아이콘(1)이 형성된다.
상기 역학실행아이콘(1)은 다른 어플과 같이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에 형성하게 할 수 있는데, 이를 클릭(시작)하면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500)에, 도 4와 같이, 시작화면으로 역학연산 어플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100).
상기 시작화면은 가운데 어플 이름(14)과 함께 좌, 우측에 각각 홈아이콘(12) 및 정보아이콘(16)으로 구성된 제어창(10)과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을 보여주는 어플 실행 창(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은, 도 4와 같이, 질병 발생 빈도 어플, 2x2 표 어플, 질병 검출 어플, 평균 추정 어플, 유병률 추정 어플, 노모그램 어플, 진단검사법 어플, 난수생성 어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어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고, 먼저, 도 2를 참조하며, 본 실시 예에 따른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가 제어부(20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어떻게 동작 되는지 설명한다. 이는 제어부(200)에 의하여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을 구성하는 각 어플을 동작시키는 공통적인 제어 방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S110),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500)에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30).
여기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할 때(S1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설정시간을 지나서 클릭한 것인지 및/또는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한 것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120), 설정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130), 설정시간 이내에 클릭한 것일 경우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해당 어플의 연산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S180).
또한 제어부(200)는 상기 S120 단계에서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한 경우에 난수생성 어플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130),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한 경우가 아니라면, 설정시간 초과 유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S130, S180).
이렇게 상기 S120 단계를 더 진행함으로써,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의 각 어플의 기존 연산결과를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S130 단계로 디스플레이부(500)에 보여지는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은, 도 5와 같이, 크게 제어창(10)과 어플 실행창(20)으로 구분되고, 여기서 어플 실행창(20)은 역학 변수 등을 입력하는 입력창(22)과 연산결과 등을 보여주는 결과디스플레이창(24), 그리고 하나 이상의 선택창(21, 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입력창(22)에 각 변수가 입력되면(S140) 연산부(300)에 의하여 해당 어플의 수학식에 의하여 연산되도록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연산을 수행하여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부(500)의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바로 표시되도록 하고(S150), 그렇지 않고 상기 입력창(22)에 역학 변수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전 단계(S130)를 계속 유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연산결과가 보여진 상태에서 제어창(10)의 홈아이콘(12)을 클릭하게 되면(S160), 제어부(200)는 저장부(140)에 상기 연산결과를 저장하고 시작화면으로 되돌아가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을 다시 디스플레이하게 하고(S170), 그렇지 않고 홈아이콘(12)을 클릭하지 않을 경우는 이전 단계(S150)를 계속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연산결과는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보여진 연산결과뿐만 아니라 이를 얻기 위한 조건 즉 입력창(22)에 입력된 변수 및 하나 이상의 선택창(21, 23)으로 선택된 역학 정보도 포함한다.
이렇게 상기 S170 단계로 홈아이콘(12)의 클릭으로 시작화면으로 되돌아 갈 때, 마지막 어플 실행창(20)에 보여진 연산결과를 저장부(140)에 저장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 중 다른 어플을 실행한 이후에도 이전에 실행한 어플의 연산결과를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S1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500)에 저장된 연산결과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에, 입력창(22)에 새로운 변수가 입력되면(S190), 제어부(200)는 상기 S150 단계를 진행시켜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새로운 연산결과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이런 방법으로 저장부(400)에 저장된 각 어플의 연산결과를 바꿀 수 있다.
다음, 본 실시 예에 따른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를 종료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의 각 어플에 대한 연산결과를 보여주는 화면 또는 각 어플 실행 화면에서 제어창(10)의 홈아이콘(12)을 클릭하면, 제어부(200)는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이 보여지는 시작화면으로 돌아오게 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화면에서 다시 제어창(10)의 홈아이콘(12)을 클릭하면(S200), 제어부(200)는 난수생성 어플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여(S210), 난수생성 어플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 바로 종료(끝)하고, 그렇지 않고 난수생성 어플이 실행 중인 상태에 있으면, 저장부(400)에 저장된 난수 생성 변수 및 생성 결과를, 도 11과 같이, 각각 디스플레이부(500)의 입력창(22)과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보여준다(S180).
여기서, 난수생성 어플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라 함은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에 있는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하지 않은 경우와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하여 난수를 생성했어도 입력부(100)에 속하는 스마트폰의 리턴버튼(미도시) 터치에 의하여 난수생성 어플 동작이 취소된 경우도 포함한다.
기타, 시작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하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에 관한 정보(예컨대, 어플에 대한 설명, 버전, 어플 제공자 등)를 디스플레이부(500)의 어플 실행창(20)에 보여준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며, 도 4의 시작화면에 보이는 역학연산 어플 항목(30)의 각 어플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질병 발생 빈도 어플
질병 발생 빈도 어플은 현장에서 파악되는 질병의 유병률, 발생위험 및 발생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해당 질병의 발생 빈도를 평가하고 예상되는 질병의 추이를 분석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유병률(Prevalence Rate)은 특정 집단을 일정 기간 동안 조사하였을 때 집단 전체 구성원 중에서 어떤 질병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 개체의 분율로 정의되므로, 아래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PR=Dis+/N
여기서, PR는 유병률, Dis+는 질병에 걸린 환례수, N은 집단의 총 개체수이다.
상기 발생위험(Outbreak Risk, OR)은 누적발생 (cumulative incidence)을 의미하는 것으로, 질병 발생의 위험이 있는 집단의 구성원(개체) 중 (누적되는) 질병 발생 개체수(신규 환례수)의 분율로 정의되므로, 아래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2] OR=nDis+/(N-iDis+))
여기서, OR은 발생위험, nDis+는 신규 환례수, iDis+는 초기관찰 시 환례수, N은 집단 총 개체수이다.
상기 발생률(발생밀도, Incidence Density)은 개체들이 위험에 노출된 시간을 총 합하여 그동안 질병 발생 건수를 밀도의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정의되므로, 아래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3] ID=nDis+/[(A*tA)+(B*tB)+...+(Z*tZ)]
여기서, ID는 발생률, nDis+는 신규 환례 수, A, B, ..., Z은 관찰한 집단의 총 개체수(N)을 구성하는 각 개체수이고(A+B+...+Z=N), tA 는 A 개체수를 관찰한 시간, tB 는 B 개체수를 관찰한 시간, tZ 은 Z 개체수를 관찰한 시간이다. 분모단위는 관찰시간에 따라 인-년, 인-월, 인-일, 인-시간 등으로 표현된다.
상기 발생률은 관찰되는 모든 개체가 정해진 기간 동안에 다 관찰되지 못하고 개체에 따라 관찰기간이 달라지는 요인이 있을 경우에 상기 유발률이나 발생위험의 산출방식을 적용할 때 실제 발생률과 차이가 있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집단의 총 개체수가 5 개체인 집단에서 5년 동안에 2 개체수에 질병이 발생하였는데, 5년 동안 5 개체 중 2 개체는 2년 관찰 후 missing 되었고, 나머지는 각각 2.5년, 3년, 4년 관찰 후 missing 되었다면,
발생률 ID=2/[(2*2)+(1*2.5)+(1*3)+(1*4])=2/13.5(인-년)=14.8/100(인-년)이 된다.
상기 유병률, 발생위험 및 발생률은 관찰 대상 집단의 총 개체수(N) 모두를 관찰(조사)하기 어려우므로, 특정 표본 수에 대한 관찰(조사)로 집단 전체의 유병률, 발생위험 및 발생률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는 역학 유형별로, 즉 유병률, 발생위험 및 발생률 별로 특정 표본 수에 대한 환례 발생 건 수로 각각 연산 되도록 하고, 각 연산 결과에는 신뢰구간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집단 전체에 대한 역학 결과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신뢰구간은 역학 유형별로 달리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 유병률과 발생위험 연산에서는 Winson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도록 하였고, 발생률은 Byre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도록 하였다[Rothman KJ (2002). Epidemiology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pp. 130-143 참조]
그러므로, 본 질병 발생 빈도 어플의 어플 실행창(20)은, 입력창(22)에 환례 발생건수, 질병발생 위험이 있는 집단의 표본 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역학 연산 결과를 % 등으로 얻기 위해 연산결과에 곱하는 수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신뢰구간과 역학 연산유형은 각각 선택창(21)(23)으로 구비하여, 이를 통해 선택되도록 한다. 이는 신뢰구간 선택창(21)을 클릭하면, 0.90, 0.95. 0.9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팝업창(미도시)이 뜨게 하고, 역학 연산유형 선택창(23)을 클릭하면, 유병률, 발생위험 및 발생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팝업창(미도시)이 뜨게 하여 각각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는 상기 신뢰구간과 역학 연산유형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창(22)에 각 역학 변수가 입력되면, 도 5와 같이, 바로 연산 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입력창(22)에 각 역학 변수를 입력하기 위해, 시작화면에서 본 질병 발생 빈도 어플이 선택되어 클릭될 때(S110), 제어부(200)는 입력창(22)의 하단부에 입력부(100)의 스마트폰 키 패드(미도시)를 띄울 수 있게 하고, 상기 입력창(22)에 각 역학 변수가 모두 입력되거나 키 패드 상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도 5의 화면과 같이 키 패드는 사라지고 결과디스플레이창(24)까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와 같은 본 질병 발생 빈도 어플의 실행 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역학 연산유형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은 질문아이콘(18)으로 바뀔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화면에서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할 때,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2. 2x2 표 어플
2x2 표 어플은 각각 2개씩 행과 열로 2x2 표로 표현된 발생-비발생 빈도수 분포를 이용하여, 연관성의 강도(발생위험의 비, 발생률의 비,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유발되는 효과(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의 기여위험도 및 기여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위험도 및 기여분) 등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본 어플에서 사용된 용어나 수식은 아래 참고문헌에 기재된 것이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othman KJ (2002). Epidemiology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pp. 130-143.
Hanley JA (2001). A heuristic approach to the formulas for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5: 508-514.
Jewell NP (2004). Statistics for Epidemiology. Chapman, Hall/CRC, London, pp. 84-85.
본 어플은, 도 7과 같이,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와 달리 어플 실행화면에 분석유형 선택창(25)이 더 구비되는 데, 분석유형 선택창(25)을 클릭하면, 제어부(200)는 코호트 빈도수, 코호트 시간, 단면 및 환례-대조군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팝업창(미도시)이 뜨게 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에서 분석유형이 선택되면, 제어부(200)는 해당 입력창(22)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입력창(22)에 각 변수가 입력되면, 해당 분석 유형에 따른 소정의 수식에 의하여 연산부(300)는 즉시 연산하여 그 결과를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보여지도록 한다.
여기서도,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와 같이,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는 해당 연산 유형에 대한 결과가 신뢰구간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신뢰구간과 연산 유형의 선택은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신뢰구간 선택창(21), 연산 유형 선택창(23)을 각각 클릭하면 해당 팝업창이 뜨게하여 각각 선택,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도 7(a)는 분석유형은 코호트 빈도수, 신뢰구간은 0.95, 연산 유형은 발생위험에 대한 비로 각각 선택하고, 입력창(22)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키 패드 등을 통해 해당 역학 변수를 입력했을 때, 보여지는 실행 결과화면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분석유형만 코호트 시간으로 바꾸어 선택하고, 입력창(22)에 해당 역학 변수를 입력했을 때, 보여지는 실행 결과화면이다.
도 7(c)는 도 7(b)에서 연산 유형 선택창(23)을 클릭했을 때, 본 어플로 연산 가능한 항목을 보여주고, 선택받게 하는 팝업창(27)을 띄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어플로 연산 가능한 항목은, 분석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유형이 코호트 빈도수일 경우에는, 연산 유형 선택창(23) 클릭시 팝업창(27)에 발생위험에 대한 비,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위험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을 보여주고 이 중에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분석유형이 코호트 시간일 경우는 팝업창(27)에, 도 7(c)와 같이, 발생위험에 대한 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을 보여주고 이 중에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분석유형이 단면인 경우는, 팝업창(27)에 유병률의 비,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유병률,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유병률,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을 보여주고 이 중에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유형이 환례-대조군인 경우, 팝업창(27)에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유병률,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유병률,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추정값)을 보여주고 이 중에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기타, 본 어플 실행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에는,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에 대한 설명이나 참고자료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고,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시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3. 질병 검출 어플
질병 검출 어플은 질병을 검출하기 위하여 표본으로 검사해야할 개체수(표본 수)를 산출하는 것으로, (1)유병률의 기대값, (2)질병발생 위험이 있는 집단의 크기, (3)원하는 신뢰수준 및 (4)진단 검사법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역학 조사 현장에서 손 쉽게 적정한 표본 수를 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어플에서 사용된 용어나 수식은 아래 참고문헌에 기재된 것이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ohoo I, Martin W, Stryhn H (2003). Veterinary Epidemiologic Research. AVC Inc, Charlottetown, Prince Edward Island, Canada, pp. 47 and 102-103.
본 어플은, 도 8과 같이, 어플 실행화면에 예상 유병률(0~1), 모집단의 크기, 검사 민감도(0~1)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22), 신뢰도 선택창(21) 및 결과디스플레이창(24)이 구비된다.
본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제어 방식은 앞서 상술한 두 어플과 동일하게 입력창(22)에 해당 변수를 입력하고 신뢰도가 선택되면 바로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최소로 필요한 표본 수와 표본의 총 수를 보여준다.
기타, 본 어플 실행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에는, 2x2 표 어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에 대한 설명이나 참고자료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고,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시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4. 평균 추정 어플
평균 추정 어플은 모집단에서의 평균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표본 수를 산출하는 것으로, (1)변수의 표준편차, (2)표본 평균과 모집단 평균 사이의 차이로 인정할 수 있는 최대값 및 (3)원하는 신뢰수준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어플에서 사용된 용어나 수식은 아래 참고문헌에 기재된 것이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Levy PS, Lemeshow S (1999). Sampling of Populations Methods and Application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London, pp. 70-75.
본 어플의 실행화면은 관련 도면이 미첨부되었으나, 앞서 설명한 어플들과 같이, 변수의 표준편차, 모집단의 평균과 표본으로 선발한 집단에서 측정한 평균의 차이로 인정할 수 있는 최대값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 신뢰도 선택창 및 결과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다.
본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제어 방식도 앞서 상술한 어플들과 동일하게 입력창에 해당 변수를 입력하고 신뢰도가 선택되면 바로 결과디스플레이창에 특정 신뢰도에서 검사해야 할 표본 수를 보여준다.
기타, 본 어플 실행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에는, 상술한 각 어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에 대한 설명이나 참고자료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고,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시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5. 유병률 추정 어플
유병률 추정 어플은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종합하여 해당 개체가 실제로 질병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인 사후 확률을 산출하는 것으로, (1)진단 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 (2)모집단의 실제값과 실제 유병률과의 차이로 허용할 수 있는 최대값, (3)계급내 상관계수, (4)집단 크기의 평균 및 (5)원하는 신뢰수준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어플에서 사용된 용어나 수식은 아래 참고문헌에 기재된 것이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Levy PS, Lemeshows (1999). Sampling of Populations Methods and Application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London, pp. 70-75.
본 어플의 실행화면은 관련 도면이 미첨부되었으나, 전체 집단에서의 유병률 추정값, 모집단의 실제값과 실제 유병률과의 차이로 허용할 수 있는 최대값, 세부 집단 내에서의 상관계수 및 집단 크기의 평균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 신뢰도 선택창 및 결과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다.
본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제어 방식도 앞서 상술한 어플들과 동일하게 입력창에 해당 변수를 입력하고 신뢰도가 선택되면 바로 결과디스플레이창에 특정 신뢰도에서 필요한 표본 수를 보여준다.
기타, 본 어플 실행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에는, 상술한 각 어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에 대한 설명이나 참고자료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고,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시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6. 노모그램 어플
노모그램 어플은 (1)진단 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 (2)양성 또는 음성 우도비 등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종합하여 해당 개체가 실제로 질병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인 사후 확률을 산출한다.
본 어플에서 사용된 용어나 수식은 아래 참고문헌에 기재된 것이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unink M, Glasziou P (2001). Decision Making in Health and Medicine-Integrating Evidence and Val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8-156.
본 어플의 실행화면은, 도 9와 같이, 진단 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적용하여 우도비를 산출할 것인지 기존 우도비를 적용할 것인지 선택하는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26), 상기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26)의 선택에 따른 역학 변수 입력창(22), 실험실 정밀검사 결과의 양성/음성 선택창(29) 및 결과디스플레이창(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창(22)은,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26)에서, 도 9와 같이, 우도비 산출로 선택될 경우 질병 이환에 대한 사전 확률-기존에 알려진 유병률, 진단 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기존 우도비 적용으로 선택될 경우엔 질병 이환에 대한 사전 확률-기존에 알려진 유병률과 기존 우도비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제어 방식도 앞서 상술한 어플들과 동일하게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26)이 선택된 상태에서 입력창(22)에 해당 변수를 입력하고 양성/음성 선택창(29)이 선택되면 바로 결과디스플레이창에 우도비, 질병 이환에 대한 사후 확률 등을 보여준다.
기타, 본 어플 실행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에는, 상술한 각 어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에 대한 설명이나 참고자료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고,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시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7. 진단 검사법 어플
진단 검사법 어플은 각각 2개씩의 행과 열로 구성된 2x2 표에서 각 셀에 할당된 빈도를 이용하여 참유병률과 현성유병률, 진단 검사법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음성 예측값, 양성/음성 우도비 등을 산출한다.
본 어플에서 사용된 용어나 수식은 아래 참고문헌에 기재된 것이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ltman DG, Machin D, Bryant TN, and Gardner MJ (2000). Statistics with Confidence, second edition. British Medical Journal, London, pp. 28-29.
Bangdiwala SI, Heado AS, Natal ML (2008). The agreement chart as an alternative to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for diagnostic test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1: 866-874.
Collett D (1999). Modelling Binary Data. Chapman, Hall/CRC, Boca Raton Florida, pp. 24.
Scott IA, Greenburg PB, Poole PJ (2008). Cautionary tales in the clinical interpretation of studies of diagnostic tests. Internal Medicine Journal 38: 120-129.
Simel D, Samsa G, Matchar D (1991). Likelihood ratios with confidence: Sample size estimation for diagnostic test studi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4: 763-770.
본 어플의 실행화면은, 도 10과 같이, 역학 변수 입력창(22), 신뢰구간 선택창, 연산 유형 선택창(23) 및 결과디스플레이창(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23)을 클릭하면, 제어부(200)는 팝업창으로 유병률, 민감도-특이도, 예측값, 우도비를 선택할 수 있게 보여준다.
기타, 본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제어 방식도 앞서 상술한 어플들과 동일하게 신뢰구간 선택창(21) 및 연산 유형 선택창(23)이 선택된 상태에서 입력창(22)에 해당 변수를 입력하면 바로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해당 연산 유형의 연산 결과를 보여준다.
그리고, 본 어플 실행화면에서 제어창(10)의 정보아이콘(16)을 클릭할 때에는, 상술한 각 어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2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에 대한 설명이나 참고자료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고, 제어창(10)의 질문아이콘(18)을 클릭시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본 어플의 활용 관련 질문 및 답변 예문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질문 및 답변 예문은 본 어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플 제공자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8. 난수생성 어플
난수생성 어플은 역학 조사 현장에서 적정한 표본 수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을 사용하여 정해지면, 표본을 선발하여 시료나 자료를 채취해야 하는 데, 이때 편견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예컨대, 집단의 개체 식별용 일렬번호)의 숫자를 입력하여, 난수를 생성하게 하는 것으로, 이렇게 생성된 난수에 따라 차례로 표본 수 만큼의 개체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어플의 실행화면은, 도 11과 같이, 난수 생성 시작 숫자와 끝 숫자를 입력하는 입력창(22)과 난수 생성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디스플레이창(24)으로 구성된다.
본 어플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제어 방식도 앞서 상술한 어플들과 동일하게 입력창(22)에 난수 생성 시작 숫자와 끝 숫자를 입력하면 바로 결과디스플레이창(24)에 해당 구간 사이에서 생성된 난수를 보여준다.
이상 설명한 상기 각 어플은 제어부(200)의 동일 또는 유사한 제어방식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각각의 입력 변수에 따라 산출된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비록, 상기 각 어플은 독립적으로 구동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400)에 각 어플의 연산 결과를 저장하게 함으로써, 다른 어플의 입력 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질병 발생 빈도 어플에서 유병률을 산출할 수 있는 데, 여기서 얻은 유병률을 유병률 추정 어플의 예상 유병률 입력창에 입력하면 적절한 표본 수를 확정할 수 있고, 이렇게 구해진 표본 수에 해당되는 표본은 난수 생성 어플을 사용하여 얻어진 모집단의 개체 식별번호 난수로부터 해당 표본 수 만큼 각 개체를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견이 없이 모집단으로부터 유병률을 추정하기 위한 적절한 표본을 선택하여 각 표본으로부터 원하는 시료를 취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로 신뢰성 있는 역학 정보(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단 검사 어플을 사용하여 산출된 민감도와 특이도, 우도비 등은 노모그램 어플의 입력창에 입력하여 그 결과로 질병이환의 주요 지표인 사후확률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예상되는 질병의 확산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역학 정보를 현장에서 바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 역학실행아이콘
10: 제어창
12: 홈아이콘
14: 어플 이름
16: 정보아이콘
18: 질문아이콘
20: 어플 실행창
21: 신뢰구간 선택창
22: 입력창
23: 연산유형 선택창
24: 결과디스플레이창
25: 분석유형 선택창
26: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
27: 팝업창
29: 양성/음성 선택창
30: 역학연산 어플 항목

Claims (15)

  1.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일체로 입력부, 제어부, 연산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생성된 역학실행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시작화면으로 둘 이상의 역학연산 어플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역학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바로 그 결과를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은 제어창과 어플 실행창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어창은 홈아이콘과 함께, 어플이름, 정보아이콘 및 질문아이콘 중에서 하나 이상 더 형성되고,
    상기 어플 실행창은 역학 또는 연산 변수가 입력되는 입력창과 연산 결과가 보여지는 결과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디스플레이창에 연산 결과가 보여진 이후에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에서 상기 홈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시작화면으로 돌아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먼저 설정시간을 초과하였는지와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하였는지 판단하여, 설정시간을 초과하였거나 난수생성 어플을 클릭한 경우에 상기 해당 어플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설정시간 이내로 난수생성 어플 외의 어플을 클릭한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어플의 연산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문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어플의 질문과 답변을 상기 어플 실행창에 보여주고,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외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홈아이콘을 클릭하면, 난수생성 어플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여, 난수생성 어플이 실행 중이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난수생성 어플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난수생성 어플이 실행 중이 아니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은 상기 난수생성 어플을 포함하되, 질병 발생 빈도 어플, 2x2 표 어플, 질병 검출 어플, 평균 추정 어플, 유병률 추정 어플, 노모그램 어플 및 진단 검사법 어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어플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질병 발생 빈도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유병률, 발생위험 및 발생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연산 유형 선택창과 신뢰구간 선택창을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 또는 상기 신뢰구간 선택창을 클릭하면, 팝업창을 띄워 선택받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2x2 표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코호트 빈도수, 코호트 시간, 단면 및 환례-대조군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분석유형 선택창과, 상기 분석유형 선택에 따른 연산 유형 선택창 및 신뢰구간 선택창을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분석유형 선택창,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 및 상기 신뢰구간 선택창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팝업창을 띄워 선택받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유형 선택창에서 상기 코호트 빈도수가 선택되면,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은 상기 팝업창으로 발생위험에 대한 비,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위험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및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을 보여주고 이 중에서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분석유형 선택창에서 코호트 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은 상기 팝업창으로 발생위험에 대한 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비,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및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을 보여주고 이 중에서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분석유형 선택창에서 단면이 선택되면,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은 유병률의 비,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유병률,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유병률,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및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을 보여주고 이 중에서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분석유형 선택창에서 환례-대조군이 선택되면,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은 교차위험도,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유병률,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유병률, 위험요인에 노출된 그룹에서의 기여분 및 전체 집단에서의 기여분(추정값)을 보여주고 이 중에서 선택되도록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질병 검출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신뢰도 선택창이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입력창은 예상 유병률(0~1), 모집단의 크기 및 검사 민감도(0~1)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평균 추정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신뢰도 선택창이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입력창은 변수의 표준편차와 모집단의 평균과 표본으로 선발한 집단에서 측정한 평균의 차이로 인정할 수 있는 최대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유병률 추정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신뢰도 선택창이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입력창은 전체 집단에서의 유병률 추정값, 모집단의 실제값과 실제 유병률과의 차이로 허용할 수 있는 최대값, 세부 집단 내에서의 상관계수 및 집단 크기의 평균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노모그램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 및 양성/음성 선택창이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입력창은 상기 우도비 산출/적용 선택창의 선택에 따른 역학 변수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화면에서 상기 역학연산 어플 항목 중 상기 진단 검사법 어플을 클릭하면, 상기 어플 실행창은 유병률, 민감도-특이도, 예측값 및 우도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연산 유형 선택창과 신뢰구간 선택창을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연산 유형 선택창 또는 상기 신뢰구간 선택창을 클릭하면, 팝업창을 띄워 선택받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KR1020120154672A 2012-12-27 2012-12-27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KR10146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72A KR101462980B1 (ko) 2012-12-27 2012-12-27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72A KR101462980B1 (ko) 2012-12-27 2012-12-27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98A KR20140084798A (ko) 2014-07-07
KR101462980B1 true KR101462980B1 (ko) 2014-11-18

Family

ID=5173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72A KR101462980B1 (ko) 2012-12-27 2012-12-27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9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952A (ja) * 2000-04-28 2002-05-10 Bryan K Chan 慢性病と健康のオンライン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287619A (ja) * 2003-03-19 2004-10-14 Ntt Data Corp 疫学情報管理装置、疫学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952A (ja) * 2000-04-28 2002-05-10 Bryan K Chan 慢性病と健康のオンライン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287619A (ja) * 2003-03-19 2004-10-14 Ntt Data Corp 疫学情報管理装置、疫学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98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an et al. Predicting data saturation in qualitative surveys with mathematical models from ecological research
Arah Bias analysis for uncontrolled confounding in the health sciences
Bulteel et al. Using raw VAR regression coefficients to build networks can be misleading
Andrianakis et al. History matching of a complex epidemiological model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mission by using variance emulation
Jackson Diagnostics for confounding of time-varying and other joint exposures
Levy et al. A framework of statistical tests for comparing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s
Harmon et al. Causes and consequences of apparent timescaling across all estimated evolutionary rates
Heckerman et al. A perspective on confidence and its use in focusing attention during knowledge acquisition
Gustafson et al. Integrating expert judgment in veterinary epidemiology: Example guidance for disease freedom surveillance
Walker et al. Models for measuring anthelmintic drug efficacy for parasitologists
Hanagal et al. Bayesian inference in Marshall–Olkin bivariate exponential shared gamma frailty regression model under random censoring
Delord et al. Multiple imputation for competing risks regression with interval-censored data
Gugole et al. Uncertainty quantific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COVID-19 exit strategies in an individual-based transmission model
Lombardi et al. Piecewise constant averaging methods allow for fast and accurate hierarchical Bayesian estimation of drift diffusion models with time-varying evidence accumulation rates
Goldstein et al. Accurately measuring nonconscious processing using a generative Bayesian framework.
Carroll et al. Realizing scientific methods for cyber security
Garabed et al. Use of expert opinion for animal disease decisions: an example of foot-and-mouth disease status designation
Wang et al. IEA: an answerer recommendation approach on stack overflow
KR101462980B1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역학 정보 분석 어플 장치
Lafit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operationalizations of affect and preprocessing choices on power-based sample size recommendations in intensive longitudinal research
Boersch-Supan et al. Two case studies detailing Bayesian parameter inference for dynamic energy budget models
Juni et al. Research design
Armas-Cervantes et al. Bp-diff: a tool for behavioral comparison of business process models
Bulteel Multivariate time series,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and dynamic networks in psychology: Extensions and reflections
Yi et al. Methods for bivariate survival data with mismeasured covariates under an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