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792B1 -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792B1
KR101462792B1 KR20130076419A KR20130076419A KR101462792B1 KR 101462792 B1 KR101462792 B1 KR 101462792B1 KR 20130076419 A KR20130076419 A KR 20130076419A KR 20130076419 A KR20130076419 A KR 20130076419A KR 101462792 B1 KR101462792 B1 KR 10146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ignal
light source
time
gestur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이봉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서스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서스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서스칩스
Priority to KR2013007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타겟 객체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두 개의 광원과 두 개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 신호의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한다.

Description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GESTURES}
본 발명은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광원 소스와 두 개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 신호의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ouch screen 이후 새로운 UX를 위한 기술적인 대안들이 많이 시도되었으나 신뢰성 및 비용이라는 측면에서 Touch Screen의 아성을 넘지 못하고 실패를 거듭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패들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여러 가지 기술들이 다시 도전되고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 가운데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대두되는 기술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해석하여 인터페이스 장치에 적용하려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새롭게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모션 인식 기술은 크게 기계 또는 장치에 대한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식 동작인식 센서 기술과 비접촉식 동작인식 센서 기술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접촉식 센서에는 가속도센서나 지자기센서가 있고, 비접촉식 동작인식 센서는 카메라방식, 초음파방식, 전계방식 및 IR LED 방식의 센서들이 존재한다.
이중 IR LED 방식은 다른 기술들에 비해 저전력, 소형 인수(small form factor)를 가짐으로 다른 기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러한 IR LED 방식은 광원(IR LED)과 광(IR)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로 구성되고, 물체가 광원과 포토다이오드에 근접 시 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의 크기에 대응하여 포토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 및 측정하여 물체의 접근 유무 및 움직임의 방향 등을 해석하여 UX에 이용한다.
물체의 위치에서의 변화에 의존하여 포토 다이오드에서의 감지되는 전류를 디지털 값으로 전환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컨트롤러에 의해 그 모션을 해석하는 IR LED 방식이 대두되고 있지만, 많은 수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추가 공정에 의한 비용 및 모듈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20280904호(2012.11.08), "METHOD FOR DETECTING GESTURES USING A MULTI-SEGMENT PHOTODIODE AND ONE OR FEWER ILLUMINATION SOURCES" 미국 등록특허 제7,280,714호(2007.10.09), "DEVICE AND METHOD FOR OPTOELECTRONICALLY IDENTIFYING THE DISPLACEMENT AND/OR POSITION OF AN OBJECT" 미국 공개특허 제20120293404호(2011.11.22), "LOW COST EMBEDDED TOUCHLESS GESTURE SENSOR"
두 개의 광원 소스와 두 개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 신호의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최소 수의 소자(광원부 및 수광부)를 통하여 광 간섭의 영향의 감소로 인하여 추가 차폐 장치, 주변 회로 장치, 광 노이즈 제거 회로에 대한 추가 공정에서의 비용이 절감 가능한 제스처 식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제1 축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광원부, 상기 제1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와,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패턴 정보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와,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감지 신호 또는 제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각각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시계열적 변화를 고려하여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제스처 식별 방법은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스처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단계 -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1 축의 양 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는 각각 상기 제1 축에 교차하는 상기 제2 축의 양 단에 배치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와,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와,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광원 소스와 두 개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 신호의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 수의 광원부(발광부)와 수광부(센서 또는 포토 다이오드)를 통하여 광 간섭의 영향의 감소로 인하여 추가 차폐 장치, 주변 회로 장치, 광 노이즈 제거 회로에 대한 추가 공정에서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발광부와 두 개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 식별되는 타겟 객체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한 제스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한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타겟 객체의 좌우 모션 방향으로부터 감지되는 감지 신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한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타겟 객체의 상하 모션 방향으로부터 감지되는 감지 신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스처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100)는 제1 광원부(110), 제2 광원부(120), 제1 센서부(130), 제2 센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로부터 발광된 광은 타겟 물체에 반사되고, 반사광은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에서 반사광의 크기에 따라 센싱 전류로서 감지되며, 제어부(150)는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에서의 감지된 센싱 전류의 상호 연관 정보에 따라 타겟 물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한다.
제1 광원부(110)는 제1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광원부(120)는 제1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된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는 상기 제1 축에 선정된 상대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발광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30)는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1 광원부(110)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부(130)는 제1 축의 일단 및 다른 일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제2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1 광원부(110)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40)는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고,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부(140)는 제1 축으로부터 제1 센서(130)로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의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고,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신호는 제1 광원부(110)에 대한 감지 신호 및 제2 광원부(120)에 대한 감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 신호는 제1 광원부(110)에 대한 감지 신호 및 제2 광원부(120)에 대한 감지 신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의 발광부와 센서부의 상대적 배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발광부와 두 개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광원부(110), 제2 광원부(120),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는 동일한 회로 기판(160)에 장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는 제1 축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2 광원부(120)는 제1 축의 다른 일단에 위치한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는 상기 제1 축에 선정된 상대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130)는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센서부(140)는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130)는 제1 축의 일단 및 다른 일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제2 축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2 센서부(140)는 제1 축으로부터 제1 센서(130)로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의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위치한다.
제1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방출광은 손가락과 같은 타겟 객체(170)로부터 반사되고, 타겟 객체(170)로부터 반사된 반사광(L1, L2)의 광 신호는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에서 측정된다.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는 광 신호의 크기 또는 강도에 대응하여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제2 광원부(110)으로의 반사광에 대해서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는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100)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제1 축과,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제2 축을 기준으로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로부터 각각으로부터 발광되어 타겟 객체(170)에 반사된 반사광의 상대적인 강도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에 따라 제스처를 식별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축과 제2 축이 서로 수직 이등분하여 교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도 2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축 및 제2 축이 수직 이등분하지 않는 어떠한 교차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는 포토 다이오드일 수 있고,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는 반사광의 크기에 따른 센싱 전류 또는 광다이오드 전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은 적외선 파장 또는 가시 파장에 기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제스처를 해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이차원(2D)에서의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할 수도 있고, 제1 축 및 제2 축이 형성하는 평면에 포함되지 않는 제3 축 방향에 대한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100)는 플리크(flick), 스와이프(swipe), 터치(touch), 탭(tap), 스크롤(scroll)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3차원 모션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각기 다른 시각 또는 동일한 시각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제스처 식별 장치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점등과 점멸을 단위 횟수만큼 반복한 특정 시간 구간을 제1 시간 및 제2 시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정보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들의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전류의 크기에 대한 유사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1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제1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제1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 식별되는 타겟 객체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기동 가능하고, 하나의 축인 제1 축,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X 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광원부(110, LED1) 및 제2 광원부(120, LED2)는 독립적으로 기동될 수 있고, 제1 센서부(130, PD1) 및 제2 센서부(140, PD2)는 타겟 객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각각 검출한다.
제1 센서부(130, PD1) 및 제2 센서부(140, PD2)는 다른 하나의 축인 제2 축,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Y 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센서부(130, PD1)는 X축을 수직 이등분하는 Y축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2 센서부(140, PD2)는 X축으로부터 제1 센서(130, PD1)로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의 Y축의 다른 일단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X 축과 Y 축의 교차점이 원점이 될 수 있고, 제1 센서부(130, PD1) 및 제2 센서부(140, PD2)는 원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X 축 및 상기 Y 축은 축의 식별을 위하여 편의 상 명명한 것이며, 상기 X 축 및 상기 Y 축은 다양한 변형된 형태(예를 들어, 회전된 좌표 체계 또는 상대적 좌표 체계)로 구현가능하다.
도 3(b) 및 도 3(d)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는 시계열적인 X축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타겟 객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의 모션(+X 방향 모션)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모션(-X 방향 모션)을 제스처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는 시계열적인 Y 축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타겟 객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모션(-Y 방향 모션) 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모션(+Y 방향 모션)을 제스처로서 식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한 제스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로부터 발광된 광은 타겟 물체에 반사되고, 반사광은 반사광의 크기에 따라 제1 센서부(130)에서는 센싱 전류 형태의 제1 감지 신호로 감지되며, 제2 센서부(140)에서는 반사광의 크기에 따라 센싱 전류 형태의 제2 감지 신호로 감지된다.
상기 제1 감지 신호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 각각의 반사광에 대한 감지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 각각의 반사광에 대한 감지 신호들을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제1 센서부(130) 및 제2 센서부(140)에서의 감지된 센싱 전류의 상호 연관 정보에 따라 타겟 물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50)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제스처를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비교부(151), 모션 판단부(152) 및 제스처 식별부(153)를 포함한다.
비교부(151)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부(151)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A_PD1(T1))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A_PD1(T2))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비교부(151)는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A_PD1(T1))와, 제2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A_PD2(T1))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할 수 있다.
모션 판단부(152)는 비교기(151)로부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모션 판단부(152)는 도 3에서의 (1) +X 모션 방향 및 -X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좌우 방향 모션과, (2) +Y 모션 방향 및 -Y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상하 방향 모션 중 어느 하나의 방향 모션인 지를 판단한다.
제스처 식별부(153)는 모션 판단부(152)로부터의 모션 판단 결과로부터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좌우 방향 모션,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상하 방향 모션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상하 방향 모션 인지를 식별하여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 식별부(153)는 모션 판단부(152)에서 좌우 방향 모션이라고 판단한 경우, +X 모션 방향 또는 -X 모션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지를 분석하여 해당 모션 방향에 따른 제스처를 식별한다.
반면, 제스처 식별부(153)는 모션 판단부(152)에서 상하 방향 모션이라고 판단한 경우, +Y 모션 방향 또는 -Y 모션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지를 분석하여 해당 모션 방향에 따른 제스처를 식별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스처 식별 장치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한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타겟 객체의 좌우 모션 방향으로부터 감지되는 감지 신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120)는 하나의 축인 제1 축,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X 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센서부(130, PD1) 및 제2 센서부(140, PD2)는 다른 하나의 축인 제2 축,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Y 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센서부(130, PD1)는 X축을 수직 이등분하는 Y축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2 센서부(140, PD2)는 X축으로부터 제1 센서(130, PD1)로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의 Y축의 다른 일단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타겟 객체의 제스처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감지 신호의 실시예는 도 3(a)의 타겟 객체의 제스처에 대응되고, 도 7에 도시된 감지 신호의 실시예는 도 3(c) 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는 도 3(a)에서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모션 방향(??Y 모션 방향)의 타겟 객체에 대하여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Y 모션 방향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T1)에서 타겟 객체는 제1 센서부(PD1, 130) 근처에 위치하고, 타겟 객체의 위치에서 제1 광원부(LED1, 110) 및 제2 광원부(LED2, 120)로부터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 130)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 11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 12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1 시간(T1)에서의 제2 센서부(PD2, 140)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 11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 12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간(T1)에서의 제1 센서부(PD1, 130)의 제1 감지 신호의 크기는 타겟 객체와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하여 제2 센서부(PD2, 140)의 제2 감지 신호의 크기보다 크지만,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는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6b 에서의 제1 센서부(PD1, 130)의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는 High ?? High 이고, 제2 센서부(PD2, 140)의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는 Low-Low 로 그 관계가 동일할 수 있다.
도 3a 의 실시예에서 제2 시간(T2)에서 타겟 객체는 제2 센서부(PD2)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110) 및 제2 광원부(LED2, 120)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2 시간(T2)에서의 제2 센서부(PD2, 140)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의 제1 센서부(PD1)의 제1 감지 신호의 크기는 타겟 객체와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하여 제2 센서부(PD2)의 제2 감지 신호의 크기보다 작지만,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시계열적인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와, 각 시간에서의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모션 방향의 경우에는 제1 감지신호의 크기는 시계열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제2 감지 신호의 크기는 시계열적으로 점차 증가하며, 각 시간에서의 패턴 정보는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 모두 동일하다.
다시 말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모션 방향에 대한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는 크기 및 패턴 정보를 고려한 상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는 도 3(c)에서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모션 방향(+Y 모션 방향)의 타겟 객체에 대하여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Y 모션 방향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c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T1)에서 타겟 객체는 제1 센서부(PD2, 140)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110) 및 제2 광원부(LED2, 120)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1 시간(T1)에서의 제2 센서부(PD2)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간(T1)에서의 제1 센서부(PD1)의 제1 감지 신호의 크기는 타겟 객체와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하여 제2 센서부(PD2)의 제2 감지 신호의 크기보다 작지만,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는 동일하다.
도 3c 의 실시예에서 제2 시간(T2)에서 타겟 객체는 제1 센서부(PD1)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110) 및 제2 광원부(LED2, 120)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2 시간(T2)에서의 제2 센서부(PD2)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와,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의 제1 센서부(PD1)의 제1 감지 신호의 크기는 타겟 객체와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하여 제2 센서부(PD2)의 제2 감지 신호의 크기보다 크고,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시계열적인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와, 각 시간에서의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모션 방향의 경우에는 제1 감지신호의 크기는 시계열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제2 감지 신호의 크기는 시계열적으로 점차 감소하며, 각 시간에서의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패턴 정보는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 모두 동일하다. 다시 말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모션 방향에 대한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는, 크기 및 패턴 정보를 고려한 상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한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타겟 객체의 상하 모션 방향으로부터 감지되는 감지 신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타겟 객체의 제스처와 관련하여 도 8에 도시된 감지 신호의 실시예는 도 3(b)의 타겟 객체의 제스처에 대응되고, 도 9에 도시된 감지 신호의 실시예는 도 3(d) 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는 도 3(b)에서와 같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의 모션 방향(+X 모션 방향)의 타겟 객체에 대하여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X 모션 방향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T1)에서 타겟 객체는 제2 광원부(LED2, 120)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110) 및 제2 광원부(LED2, 120)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 130)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 12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 보다 작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1 시간(T1)에서의 제2 센서부(PD2)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 12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보다 작다.
즉, 제1 시간(T1)에서의 제1 센서부(PD1) 및 제2 센서부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서의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패턴 정보는 각각 상이하지만,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감지 신호의 각각의 크기는 동일하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제2 시간(T2)에서 타겟 객체는 제1 광원부(LED1)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보다 크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2 시간(T1)에서의 제2 센서부(PD2)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시계열적인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와, 각 시간에서의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모션 방향의 경우에는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 신호 각각은 시계열적으로 다른 패턴 정보를 포함하고, 제1 광원부(LED1)로부터의 감지 신호의 크기는 점차 증가하며, 제2 광원부(IR)로부터의 감지 신호의 크기는 점차 감소하는 상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모션 방향에 대한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는 크기 및 패턴 정보가 고려된 상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스처 식별 장치는 도 3(d)에서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의 모션 방향(-X 모션 방향)의 타겟 객체에 대하여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X 모션 방향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T1)에서 타겟 객체는 제1 광원부(LED1, 110)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110) 및 제2 광원부(LED2, 120)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 130)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 12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 보다 크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1 시간(T1)에서의 제2 센서부(PD2)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 120)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보다 크다.
즉, 제1 시간(T1)에서의 제1 센서부(PD1) 및 제2 센서부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 각각의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패턴 정보는 각각 상이하지만,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에 의한 감지 신호의 각각의 크기는 동일하다.
도 3d의 실시예에서, 제2 시간(T2)에서 타겟 객체는 제2 광원부(LED2) 근처에 위치하고, 제1 광원부(LED1) 및 제2 광원부(LED2)로부터 타겟 객체의 위치의 반사광을 고려하면, 제1 센서부(PD1)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보다 작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제2 시간(T1)에서의 제2 센서부(PD2)에 수신되는 제1 광원부(LED1)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는, 제2 광원부(LED2)의 반사광에 의한 감지 신호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시계열적인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와, 각 시간에서의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모션 방향의 경우에는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 신호 각각은 시계열적으로 다른 패턴 정보를 포함하고, 제1 광원부(LED1)로부터의 감지 신호의 크기는 점차 감소하며, 제2 광원부(IR)로부터의 감지 신호의 크기는 점차 증가하는 상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모션 방향에 대한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는 크기 및 패턴 정보가 고려된 상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는 크기 및 패턴 정보를 고려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3차원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스처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0 에서 제스처 식별 장치(제1 센서부)를 통하여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1020 에서 제스처 식별 장치(제2 센서부)를 통하여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단계 1010 및 상기 단계 1020 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단계 1030 에서 제스처 식별 장치(제어부)를 통하여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1030은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030은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030은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패턴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단계 1030은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를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1030은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제1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제스처를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축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광원부;
    상기 제1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4. 제스처를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축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광원부;
    상기 제1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2 축의 다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와,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패턴 정보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와,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다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기 상하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제2 감지 신호가 동일하지 않는 상호 연관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 상기 좌우 방향 모션의 제스처인 것으로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감지 신호 또는 제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각각의 감지 신호에 대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시계열적 변화를 고려하여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 장치.
  8.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각각 제1 축의 양 단에 배치되고,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각각 상기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제스처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스처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스처 식별 방법.
  9.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각각 제1 축의 양 단에 배치되고,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각각 상기 제1 축에 교차하는 제2 축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제스처 식별 장치에서의 제스처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타겟 객체에서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광에 대한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반사광 및 상기 제2 반사광에 대한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식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와, 제2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객체의 모션에 대한 제스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스처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제2 감지 신호에 대한 상호 연관 정보로부터 제1 축 및 제2 축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 모션 또는 상하 방향 모션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스처 식별 방법.
KR20130076419A 2013-07-01 2013-07-01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419A KR101462792B1 (ko) 2013-07-01 2013-07-01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419A KR101462792B1 (ko) 2013-07-01 2013-07-01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792B1 true KR101462792B1 (ko) 2014-12-01

Family

ID=5267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419A KR101462792B1 (ko) 2013-07-01 2013-07-01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6153A (zh) * 2020-03-20 2021-10-12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识别手势的方法以及手势感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222A (ko) * 2008-12-12 2010-06-22 실리콘 래버래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광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WO2011142317A1 (ja) 2010-05-11 2011-11-17 日本システムウエア株式会社 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222A (ko) * 2008-12-12 2010-06-22 실리콘 래버래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광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WO2011142317A1 (ja) 2010-05-11 2011-11-17 日本システムウエア株式会社 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6153A (zh) * 2020-03-20 2021-10-12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识别手势的方法以及手势感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993B1 (ko) 직교 시그널링 터치 유저, 손과 객체 구별 시스템 및 방법
US10725554B2 (en) Motion detecting system
US9542016B2 (en) Optical sensing mechanisms for input devices
JP5718460B2 (ja) 非接触ジェスチャー認識および電力低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494415B2 (en) Object position determination
CN105612482B (zh) 手势感测装置的控制系统和控制手势感测装置的方法
US97213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identification based on object tracing
US20130127705A1 (en) Apparatus for touching projection of 3d images on infrared screen using single-infrared camera
JP2015043154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9552073B2 (en) Electronic device
US20110033088A1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KR102118610B1 (ko) 센서들을 이용하는 근접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US116401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s
WO2017099657A1 (en) Improved stylus identification
US94719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62792B1 (ko) 제스처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55118A (ko) 싱글 적외선 카메라 방식의 공간 터치 장치
TWI463375B (zh) 光學觸控系統、光學感測模組及其運作方法
JP2016526213A (ja) スイッチ作動装置、移動機器、および、非触覚並進ジェスチャによるスイッチの作動方法
KR101460028B1 (ko) 비접촉 조작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
KR101504148B1 (ko) 비접촉 조작 장치
KR101449833B1 (ko) 근접 감지와 압력 감지가 가능한 광학적 터치 패드 장치 및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TWI534688B (zh) 光學觸控系統、光學感測模組及其運作方法
KR101382477B1 (ko) 모션 인식 방법
KR101405252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