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44B1 -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44B1
KR101461944B1 KR1020080022482A KR20080022482A KR101461944B1 KR 101461944 B1 KR101461944 B1 KR 101461944B1 KR 1020080022482 A KR1020080022482 A KR 1020080022482A KR 20080022482 A KR20080022482 A KR 20080022482A KR 101461944 B1 KR101461944 B1 KR 10146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mark
information
specific reference
specif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381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72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on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11B7/00781Auxiliary information, e.g. index marks, address marks, pre-pits, gray c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45Multiplexing processes, e.g. aperture, shift, or wavefront multiplexing
    • G03H1/265Angle multiplexing; Multichannel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의 일 예는,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재생시의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외란에도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으며, 복잡한 데이터 이미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군집오류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비하여 해결할 수 있다.
기록매체, 데이터 이미지, 기준마크, 페이지, 위치 보정

Description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Method for Compensating Data Image,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때에,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고용량, 고밀도의 기록매체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 예를 들면, 기존의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하여 최근 획기적으로 기록 용량을 증대시킨 차세대 기록매체인 BD(Blu-ray Disc)나 홀로그래피(Holography)를 이용한 기록매체 등이 있다.
특히, 홀로그래피(Holography)를 이용한 기록매체의 경우, 광의 회절 및 간섭 특성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볼륨에 데이터를 중첩하여 기록할 수 있어 그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광축 정렬 혹은 광학적 부품 간의 오차로 인한 오차나 이미지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실정을 반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홀로그램에서 데이터 재생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의 일 예는,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는, 전체 데이터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모든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평균값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의 표준편차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기준마크는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외되는 기준마크의 수만큼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정량화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량화는 해당 재생 시스템에서 미세 이동량의 값을 리샘플링하기 위해 필터의 해상도로 샘플링하는 경우의 최소 샘플링 단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은 해당 재생 시스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은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마다 유동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일 예는,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를 독출하고, 독출되는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광변조부; 및 상기 계산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계산된 위치를 보정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는 전체 데이터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모든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평균값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의 표준편차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기준마크는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외되는 기준마크의 수만큼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계산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함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정량화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계산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함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는 해당 재생 시스템에서 미세 이동량의 값을 리샘플링하기 위해 필터의 해상도로 샘플링하는 경우의 최소 샘플링 단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재생 시스템을 고려하여 N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마다 N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상방법 및 기록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첫째, 기록매체의 재생시의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양한 외란에도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복잡한 데이터 이미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군집오류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비하여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 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 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록매체로서 디스크 특히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기록매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1은 일반적인 구성 요소들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광원부(11), 제1, 2 광분할부(13, 16), 광조절부(14), 광변조부(15), 메모리(17), 이미지 센서(18)와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는 간섭성이 매우 높은 광 예를 들어, 레이저 빔과 같은 광을 발생시키는 기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또는 반도체 다이오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광원부(11)에서 출력된 광이 분산되지 않도록 모아주는 렌즈 등이 출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는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분할부(13)는 광원부(11)에서 출력된 광을 받아 신호광 및 기준광으로 분할한다. 제1 광분할부(13)는 하나 이상의 투명 기판과 광을 회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격자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혹은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나머지를 통과시키는 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분할부(13)를 통과한 광의 일부는 제2 광분할부(16)로 입사하고, 일부는 광변조부(15)로 입사한다.
광변조부(15)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서, 제1 광분할부(13)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광을 생성한다. 일 예로, 광변조부(15)는 신호광에 흑백의 도트(dot)로 표현되는 2진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편의상 백색의 도트는 "온(On)"으로 흑색의 도트는 "오프(Off)"로 명명하거나, 또는 반대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신호광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 일련의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이외에도 기록되는 데이터로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구역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 등이 있다.
또한, 광변조부(15)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는 2차원의 이미지를 갖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편의상 "데이터 이미지"라 명명할 수 있다. 데이터 이미지는 전술한 대로 온(0n)/오프(Off)의 2진 도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광변조부(15)는 데이터 이미지의 각 픽셀을 2진 도트로 표현하기 위해서, 픽셀 단위 혹은 픽셀 블록 단위로 데이터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신호빔이 기록매체(100)에 조사되는 동시에, 기록매체(100)에는 참조빔이 조사된다. 참조빔은 제1 광분할부(13)로부터 입사된 빔이 제2 광분할부(16)로 입사되며, 제2 광분할부(16)에서 나온 빔은 광조절부(14)를 거쳐 기록매체(100)로 입사되는 빔이다.
참조빔은 기준빔이라는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기준빔은 기록매체(100)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신호빔과 간섭을 일으키는 빔을 의미한다. 또한, 참조빔은 기록매체(10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때 사용되는 빔을 의미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빔과 기준빔은 같은 광원에서 나오는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광조절부(14)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서 제2 광의 입사 각도, 방향, 파장, 위상 등을 조절하여 제2 광을 기록매체(100) 입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준빔의 위상 및 파장에 따라서 기록매체(100)에 다른 간섭 무늬가 기록된다. 따라서, 기준빔의 위상 또는 파장을 달리하여 기록매체(100)의 동일한 영역에 반복하여 중첩적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피 기록매체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한 영역에 다수 개의 데이터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혹은, 전술한 광원과 제1 광분할부(13)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로서 "제1 광출력부"라 명명되는 구성 요소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광원과 제2 광분할부(16) 및 광조절부(14)를 포함한 구성 요소로서 "제2 광출력부"라 명명되는 구성 요소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의 기록시에는 제1 광분할부(13)와 제2 광분할부(16)가 모두 사용되어야 한다. 반면, 기록매체의 재생시에는 참조빔만 사용되어도 기록매체(100)에 기록된 이미지를 독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100)의 재생시에는 제2 광분할부(16)만 사용될 수도 있다.
재생시에는 기록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위상 및 파장의 광을 기록매체(100)에 조사하여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시에 사용된 광의 위상, 파장, 광조절부(14)의 입사 각도 등이 기록되거나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재생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기록장치에 따른 왜곡 특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되는 기준 패턴의 위치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기록매체(10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매체(100)에 기록하게 하거나, 기록/재생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기록매체(100)에 기록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100)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 사용자 데이터 이외의 정보들도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광검출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광검출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00*200, 1000*800 등과 같은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다수 개의 광검출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는 기록매체(100)를 통과하거나, 기록매체(100)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에 포함된 데이터 이미지를 촬영/판독한다.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18)는 기록매체(100)를 통과하는 광을 수신하는 것이다. 혹은 기록매체(100)로부터 반사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위상 공액(phase conjugate) 신호광(데이터 이미지에 해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8)는 광수신부라는 명칭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메모리(17) 혹은 기록매체(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오거 나,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변조부(1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광변조부(15)를 제어하여 메모리(17)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흑백의 도트로 표현되는 2차원 비트맵(Bitmap)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광조절부(14)를 제어하여 제1 광과 간섭을 일으키는 제2 광의 세기, 입사 각도, 위상, 파장 등을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광조절부(14)를 제어하여, 기록매체(100)의 동일한 영역에 다수 개의 데이터 이미지(데이터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20)는 광조절부(14)를 제어하여 기록시와 동일한 조건의 빔을 입사시켜서 기록매체(100)에 저장된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이미지 센서(18)에 의해 판독되는 데이터의 2차원 각 방향, 즉, x방향(가로), y방향(세로)의 광세기(휘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데이터 이미지의 보정을 할 수 있다.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의 한 예로, 위치 및 패턴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기준마크를 데이터 이미지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있다. 제어부(20)는 기준마크가 포함된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때에, 기준마크의 위치, 이동량 혹은 왜곡량을 측정하여 데이터 이미지 내의 이동 및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한 경우,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상하여 데이터 이미지 보상에 반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상기 기준마크의 오검출 여부 판단에 따라 데이터 이미지 보상과 아울러, 메모리(17)에 현재 재생 데이터 페이지에 이웃하는 데이터 페이지들의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된 데이터 페이지들의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현재 재생 데이터 페이 지 내의 기준마크의 위치정보 보상에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해당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의 오검출 여부 판단 이후 데이터 이미지를 보상하는 방법에 나아가 상기와 같이 보상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에 재생할 데이터 페이지에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면서 빠르게 재생할 데이터 페이지의 기준마크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후 해당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데이터 페이지는 이웃하는 같은 북에 기록된 이웃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기록매체(100)로는 디스크 형태 또는 볼륨 형태의 기록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에 기준마크를 삽입한 일 예이다. 도 2에 등간격으로 삽입된 사각형은 기준마크를 나타낸다.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다양한 구역으로 나누어 구역별로 데이터 이미지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알고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와 패턴을 이용하여, 재생시에는 기준마크의 이동량 등을 측정함으로써 데이터 이미지 보상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준마크 사이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기준 패턴은 등간격으로 삽입되었지만, 기록/재생 장치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기준 패턴의 간격이 조정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다만, 기준마크를 독출하여 데이터 이미지의 보상을 할 경우, 기준마크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독출해내는 것이 요구된다. 만일,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하게 된다면, 데이터 이미지를 정확히 보상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할 경우, 오검출한 기준마크에 해당하는 영역 전반에 걸쳐서 오류가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군집 오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3은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하여 발생한 군집 오류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흑백의 도트(dot)로 표현된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한 한 예이다. 도 3의 원 내부의 영역은 백색의 도트가 밀집되어 있는데, 이는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위치를 잘못 독출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보상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4a에서 각 원은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들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각 원 즉, 각 기준마크에 부착된 직선은 해당 기준마크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은, 미리 위치정보를 알고 있는 기준마크에 대해서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서, X, Y는 예를 들어, 미리 알고 있는 기준 패턴의 위치와 독출된 기준 패턴 위치차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로 들고 있는 데이터 이미지의 경우, 2차원의 데이터 이미지이다. 따라서, 데이터 이미지 내에서 2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한 예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방향, 제2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의 세로 방향으로 할 수 있다. 편의상 X는 가로 방향의 차이, Y는 세로 방향의 차이로 둘 수 있다.
도 4b는 다수 개의 데이터 페이지들에 포함된 특정한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변화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의 일 예이다. 이때, 도 4b에서 특정한 기준마크 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총 64개의 기준마크 중 예를 들어, 26번째와 27번째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 변화 추이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x 표준편차 평균
26(4,2) 0.0974 2.3097
27(4,3) 0.17946 2.8116
표 1은 상기 도 4b의 다수 개의 데이터 페이지들에 포함된 특정한 기준마크의 표준편차와 평균값을 도시한 실험값의 일 예이다. 표 1과 도 4b를 참조할 때, 그래프 내 각 점선은 예를 들어, 해당 각 기준마크를 기준으로 모든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미세 이동량의 평균(표 1의 평균 참조)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든 데이터 페이지가 아닌 현재 재생할 페이지를 기준으로 일부의 데이터 페이지일 수도 있다. 또한,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의 표준편차는 상기 표 1에 첨부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상기 표준편차는 예를 들어, 특정 페이지 내 해당 기준마크가 해당 기준마크의 평균치로부터 얼마만큼 많이 변화되는지를 알려준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들의 위치정보를 보상하는 알고리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보상 알고리즘에 따라 재생 데이터 페이지의 기준마크들의 위치정보 보상에 따른 SNR 변화를 도시한 일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의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이전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재생 데이터 페이지의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한 이전 재생 데이터 페이지(들)의 대응되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보상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준편차와 평균값을 이용하여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에 대하여 계산된 위치의 보정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재생된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변화 추이를 알 수 있고, 이 중 평균값으로부터 표준편차가 미리 설정한 특정 수치이상인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는 대응되는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해당 기준마크의 위치 보상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제외하고 나머지 정보들만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보상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외되는 정보만큼 기 저장된 이전 데이터 페이지의 대응되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함으로써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해당 기준마크의 위치정보 보상의 정확성에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 수치는 예를 들면, 실제 시스템에서 미세 이동량의 값을 리샘플링(resampling)하기 위해 필터의 해상도로 샘플링하는바, 최소 샘플링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a의 보상 알고리즘은 저장한 이전 재생 데이터 페이지 모두의 대응되는 기준마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혹은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N은 해당 재생 시스템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혹은 효율성을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 5b에서는 상기 N이 3인 경우와 5인 경우 즉, 보정 전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해당 기준마크의 위치정보와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를 기준으로 3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를 이용하여 보상한 경우(N=3)와 5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를 이용하여 보상한 경우(N=5)의 SNR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의 SNR의 변화를 살펴보면, N=3인 경우와 N=5인 경우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해당 시스템에서 N=3으로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해당 시스템이나 기타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위의 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N=3인 경우 현재 재생 데이터 페이지의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보상하기 위한, 저장된 이전 3개의 재생 데이터 페이지의 대응되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재생 데이터 페이지의 대응되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 즉, 평균치를 기준으로 표준편차가 기정의된 특정수치 이상이어서 위치정보 보상에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나머지 데이터 페이지만으로 위치정보를 보상할 수도 있으며, 혹은 그 개수만큼 이웃하는 데이터 페이지의 기준마크를 더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보상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에서는, 재생 데이터 페이지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기준마크 중 특정 기준마크에 대한 위치 보상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나, 상기 다수 개의 기준마크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재생 데이터 페이지(예를 들어, K번째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특정 기준마크(RBK)의 위치를 계산한다(S601).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특정 기준마크(RBK)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S602).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전체 데이터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모든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평균값에 관한 정보와, 상기 평균값에 관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의 표준편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RBK -1,...,RBK -N)의 위치정보를 독출한다(S603).
독출된 N개의 각 기준마크(RBK -1,...,RBK -N)의 위치정보 내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이상인지 판단한다(S604). 여기에서, 상기 판단은 독출된 N개의 각 기준마크(RBK-1,...,RBK-N)에 대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의 위치 보정에 이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단 결과, 독출된 모든 기준마크(RBK -1,...,RBK -N)의 위치정보 내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독출된 모든 기준마크(RBK -1,...,RBK -N)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에 대하여 계산된 위치를 보정한다(S605).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 독출된 모든 기준마크들(RBK -1,...,RBK -N+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마크의 위치정보 내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기준마크를 제외한 나머지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에 대하여 계산된 위치를 보정한다(S606).
상기 S605 단계와 S606 단계에서,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에 대하여 계산된 위치 보정시, 기 계산된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의 위치도 참조하여 보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606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준마크를 제외한 나머지 기준마크만으로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에 대하여 계산된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외되는 기준마크의 개수만큼 이전의 데이터 페이지의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정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정의된 N값이 '1'이라고 가정하자. 상기 N=1이라는 것은 참조할 기준마크가 1개라는 말과 같다. 그러나 상기 참조할 기준마크의 위치정보 내 표준편차가 만약 상기 기 설정한 특정 수치이상이라면, 이를 위치 보정에 이용하기보다는 제외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참조할 기준마크를 제외한다면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N은 적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해 충분히 커야하나 상술한 도 5b와 같이 N값이 크다고 하여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재생 시스템에 가장 적합하도록 최적화된 N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마다 상기 N값은 유동적일 수 있어 그 값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외하는 경우에 참조되는 기준마크의 수가 적어 정확성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재생 시스템의 결정으로 임의의 개수만큼의 기준마크를 포함함으로써 제외되는 기준마크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위치 보정은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의 위치와 참조되는 이전 데이터 페이지의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평균한 값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표준편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각 기준마크의 표준편차들과 계산된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RBK)의 표준편차의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구한 평균값으로부터 현재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의 표준편차와 비교를 통해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에 기준마크를 삽입한 일 예
도 3은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하여 발생한 군집 오류의 한 예를 도시한 것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을 도시한 일 예
도 4b는 여러 데이터 페이지에서 특정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의 일 예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들의 위치정보 보상 알고리즘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5b는 상기 도 5a의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재생 데이터 페이지의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보상하여 위치정보 보상에 따른 SNR 변화를 도시한 일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 광원부 13, 16; 제1, 2 광분할부
14; 광조절부 15; 광변조부
17; 메모리 18; 이미지 센서
20; 제어부

Claims (20)

  1.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에 있어서,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는,
    전체 데이터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모든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평균값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의 표준편차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기준마크는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외되는 기준마크의 수만큼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정량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는 해당 재생 시스템에서 미세 이동량의 값을 리샘플링하기 위해 필터의 해상도로 샘플링하는 경우의 최소 샘플링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마다 유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된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
  11.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를 독출하고, 독출되는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광변조부; 및
    상기 계산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특정 기준마크의 계산된 위치를 보정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는 전체 데이터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모든 기준마크들의 미세 이동량의 평균값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각 기준마크의 미세 이동량의 표준편차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마크의 제2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기준마크는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외되는 기준마크의 수만큼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계산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함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특정 수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정량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계산된 특정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함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는 해당 재생 시스템에서 미세 이동량의 값을 리샘플링하기 위해 필터의 해상도로 샘플링하는 경우의 최소 샘플링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18. 삭제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데이터 페이지 내 기준마크마다 N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N개의 이전 데이터 페이지 내 상기 특정 기준마크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KR1020080022482A 2008-03-11 2008-03-11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KR10146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82A KR101461944B1 (ko) 2008-03-11 2008-03-11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82A KR101461944B1 (ko) 2008-03-11 2008-03-11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81A KR20090097381A (ko) 2009-09-16
KR101461944B1 true KR101461944B1 (ko) 2014-11-14

Family

ID=4135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482A KR101461944B1 (ko) 2008-03-11 2008-03-11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9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850A (ko) * 2004-07-28 2006-05-18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홀로그램 장치, 공간 광 변조기와 촬상 소자의 위치결정방법 및 홀로그램 기록 재료
JP2006251675A (ja) 2005-03-14 2006-09-21 Fujitsu Ltd 光記録媒体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再生方法
KR20070016287A (ko) * 2005-08-02 2007-0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회전된 데이터페이지 보정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페이지 포맷
KR100717065B1 (ko) 2006-05-03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 홀로그램 기록 재생 방법 및홀로그램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850A (ko) * 2004-07-28 2006-05-18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홀로그램 장치, 공간 광 변조기와 촬상 소자의 위치결정방법 및 홀로그램 기록 재료
JP2006251675A (ja) 2005-03-14 2006-09-21 Fujitsu Ltd 光記録媒体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再生方法
KR20070016287A (ko) * 2005-08-02 2007-0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회전된 데이터페이지 보정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페이지 포맷
KR100717065B1 (ko) 2006-05-03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 홀로그램 기록 재생 방법 및홀로그램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81A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6464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US20120188618A1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8995245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in a hologram, apparatus for 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stored in a hologram, and a method for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in, or 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from, a hologram
US7903527B2 (en) Recording medium using reference patter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of the same and apparatus thereof
JP5753767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光情報記録再生方法、光情報記録媒体
KR101461944B1 (ko)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장치
EP2224434B1 (en) Signal quality evalu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JP4680225B2 (ja) 光情報処理装置及び光情報処理方法
KR101356506B1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와 기록매체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414606B1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KR101435807B1 (ko)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재생 장치
JP2006209613A (ja) ホログラフィー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ホログラフィー媒体
CN102057430B (zh) 用于在记录介质上记录/从记录介质再现的方法和装置
KR20100006441A (ko) 기록매체의 틸트 보상 방법 및 보상 장치
JPWO2013175525A1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記録条件調整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KR20080070366A (ko)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100801505B1 (ko) 비트방식의 홀로그래픽 저장 및 이종 데이터 저장장치
KR20090085354A (ko)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KR20060068464A (ko) 홀로그래픽 정보 저장 매체의 트래킹 제어 방법 및 장치,이미지 캡쳐 방법 및 장치
WO2016163312A1 (ja) 光情報再生装置及び光情報再生方法
KR20080010914A (ko)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기록매체
US20090207415A1 (en) Method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 holographic data storage medium and holographic data read out device
US20150380039A1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20090032251A (ko)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장치
JP2009288429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