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100B1 -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송신-가능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송신-가능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100B1
KR101461100B1 KR1020127015889A KR20127015889A KR101461100B1 KR 101461100 B1 KR101461100 B1 KR 101461100B1 KR 1020127015889 A KR1020127015889 A KR 1020127015889A KR 20127015889 A KR20127015889 A KR 20127015889A KR 101461100 B1 KR101461100 B1 KR 10146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dium
transmitted
wireless communic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527A (ko
Inventor
아빈에쉬 자인
산토쉬 폴 아브라함
히맨쓰 샘패쓰
모함메드 호센 테그하비 나스라바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노드의 범위 밖의 또 다른 무선 노드가 송신 중일 때 무선 노드에 의해 통신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송신-가능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CONFIRMING RECEPTION OF CLEAR-TO-SEND FRAME FOR VIRTUAL CARRIER SENSING}
본 특허 출원은 출원일이 2009년 11월 20일이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confirming the receipt of CTS frame to solve the problem of virtual carrier sensing"인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61/263,24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 가 특허 출원은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그로 인해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참조로 통합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캐리어 감지의 경우에 송신-가능(CTS: Clear-to-send)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신-요구(RTS: Request-to-send) 및 송신-가능(CTS: Clear-to-send)은 IEEE 802.11 분산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에 의해 이용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통신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채널 예비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RTS-CTS 프로토콜은 가상 캐리어 감지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히든(hidden) 무선 노드들이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경우 채널 예비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히든 노드 문제는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스테이션(STA)(예를 들어, STA A)이 데이터를 제 2 스테이션(예를 들어, STA B)으로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될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STA B의 이웃에 제 3 스테이션(예를 들어, STA C)이 존재할 수 있지만, STA A의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STA C의 송신은 STA B에서 간섭을 생성할 수 있지만, STA A에서는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STA B에서의 간섭을 스스로 알지 못하는 STA A의 불능(Inability)은 2가지 양상들을 갖는다. 일 양상에서, STA A는 STA C가 송신 중인지 또는 아닌지를 알지 못할 수 있다. STA C가 송신 중인 경우, STA A로부터 STA B로의 어떤 송신도 디코딩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STA C는 STA A의 범위 밖에 있는 요청을 디코딩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STA A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RTS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송신을 위한 매체를 예비할 수 없을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고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노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장치에 의해 송신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또 다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2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 ― 상기 검출기는 또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2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2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장치에 의해 송신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또 다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2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검출하고 ―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실행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노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제 1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 ― 상기 검출기는 또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 2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제 1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프레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앞서 개시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상기 간략하게 요약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상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들에 예시된다. 그러나, 설명은 다른 등가적인 유효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전형적인 특정 양상들만을 예시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2개의 노드들이 통신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히든 무선 노드의 존재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송신을 위한 매체를 요청하는 사용자 스테이션(STA)에서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매체에 대한 요청(들)을 청취하는 STA에서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6에 도시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매체를 예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제어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매체를 예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질 것이며,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본 개시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결합되든 간에,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개시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개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과 더불어 또는 그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개시의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되는"의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이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이들 양상들의 많은 변형들 및 치환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일부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 이익들, 용도들 또는 객체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며, 이들 중 일부는 도면들에서의 예를 통해, 그리고 선호되는 양상들의 다음의 설명에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법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이용한다. 이들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OFDM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포되는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인터리빙된 FDMA(IFDMA),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로컬화된 FDMA(LFDMA),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강화된 FDMA(EFDMA)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OFDM을 사용하여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 SC-FDMA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를 들어, 노드들)로 통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 일부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Node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eNode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부("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라디오 기지국("RBS")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은 액세스 단말,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사용자국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알려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STA"),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일부 다른 적합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교시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전화(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또는 스마트 전화),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추적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즉, 액세스 포인트)(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2개의 안테나들이 도시되지만,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과 같이,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차례로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복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지국(102)은 홈 기지국, 펨토 기지국 등일 수 있다.
기지국(102)은 디바이스(116)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은 디바이스(116)와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개수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며,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디바이스(116)로 정보를 송신하며,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들(122 및 124)은 이를테면, 피어-투-피어 구성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22)는 링크들(126 및 128)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24)와 통신한다. 피어-투-피어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서로의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디바이스들(122 및 144)은 이들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기지국(102) 및/또는 유선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없이 서로 직접 통신한다. 추가적으로, 피어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은 트래픽을 중계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은 기지국들과 유사하게 기능하고, 트래픽이 자신의 궁극적인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들과 유사하게 기능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 통신들 또는 트래픽을 중계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또한 피어 노드들 간의 데이터 송신을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또는 유선) 통신 중인 임의의 개수의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노드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다른 노드들과 또는 다른 노드들의 이용을 통해 이를테면, 다중-홉 토포그래피(multi-hop topography)에서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통신들은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노드로부터 노드까지 호핑(hop)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전송기 노드는 수신기 노드와 통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전송기 노드와 수신기 노드 간의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노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임의의 노드가 전송기 노드 및/또는 수신기 노드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시에(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또는 통신할 수 있음)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 정보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개시한 노드들이 그 세션을 집적 접속으로 이동시키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접 접속되는 노드들은 임의의 캡슐화없이 본래 그대로(natively) 패킷들을 교환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홈리스(homeless)" 노드는 자신의 진행중인 세션들을 잃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로 스위칭할 수 있다. "홈리스"에 의하면, 홈리스 노드는 외부 네트워크들로 스위칭하는 동안 진행 중인 세션들을 활성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어떠한 홈 에이전트 엔티티도 갖지 않고 또한 그 노드의 현재 위치로 새로운 세션들을 설정하기 위해서 어떠한 새로운 인입 요청(들)도 포워딩하지 않는 노드를 의미한다.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노드들은 이동식(예를 들어, 무선), 정적(예를 들어, 유선), 또는 이들의 조합들(예를 들어, 하나의 노드는 정적이고, 제 2 노드는 이동식, 양자 노드들 모두 이동식, 등)일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2개의 노드들이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게 하는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제 1 노드(Node1)(202) 및 제 2 노드(Node2)(204)는 시스템(200)에 포함된다. 노드들(202 및 204)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제 1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206)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홈 네트워크,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케이블,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기반, 3GPP2(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기반, 또는 관심있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에 상호접속성을 제공하고 이에 라우팅하는 임의의 다른 기술일 수 있다.
노드들(202 및 204)의 인터페이스들은 유선(예를 들어,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무선(예를 들어, WAN), 또는 이들의 조합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ode1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으며, Node2 인터페이스는 유선일 수 있거나, 또는 Node2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으며, Node1 인터페이스는 유선일 수 있고, 양자의 인터페이스들은 무선일 수 있거나, 또는 양자의 인터페이스들은 유선일 수 있다.
예시를 목적으로, 각각의 노드(202, 204)의 제 1 인터페이스는 WAN 인터페이스(208 및 210)이다. WAN 인터페이스들(208, 210)은 링크들(212 및 214)에 의해 도시되는 네트워크(206)를 통한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노드(202, 204)는 적어도, 직접 접속되는 피어들을 갖는 로컬 네트워크 또는 다중-홉 메쉬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기술일 수 있다. 예시를 목적으로, 각각의 노드(202, 204)의 제 2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인터페이스(216, 218)로서 예시된다. D2D 인터페이스들(216, 218)은 노드들(202, 204)이 직접 링크(220)에 의해 예시되는 직접 통신들을 수행하게 한다.
네트워크(206)를 통해 세션을 시작시키고, (예를 들어, 직접 링크(220)를 통해) 직접 세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는 프로시저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예시를 목적으로, Node1(202)이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통신들은 소스 주소로서 자신의 모바일 IP 홈 주소를 이용하는 Node1(202)에 의해 수행된다. 홈 주소는 노드에 할당되는 유니캐스트 라우팅가능한 주소이며, 노드의 영구적인 주소로서 사용된다. Node1(202)은 각각의 제 1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WAN 인터페이스들(208, 210))을 통해 패킷들을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206)(예를 들어, WAN)를 통해 Node2(204)와 통신한다. 패킷들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네트워크(206)에 포함될 수 있는 홈 에이전트로의 MIPv6 터널에 캡슐화될 수 있거나, Node2(204)로의 직접적인 루터 최적화 터널에 캡슐화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도 1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2, 116, 122, 124) 중 하나이거나 또는 도 2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202, 204) 중 하나이다.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엘리먼트들(302, 304)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버스(309)를 통해 함께 연결된 프로세서(302) 및 메모리(304)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양상들에서,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은 프로세서(302) 내부에 위치된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광학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일부 양상들에서는 포함한다. 출력 모듈(308)은 출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광학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일부 양상들에서 포함한다.
프로세서(302)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애플리케이션 경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 경보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신호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이전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를 전달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일 수 있고, 때때로 기지국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는 위치 정보이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무선 피어 투 피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무선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02)는 제 2 신호에 포함되는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 및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취할 동작을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일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2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제 1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이며, 상기 동작은 위치 기반 트래픽 업데이트 동작 및 위치 기반 광고 업데이트 동작 중 하나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발생된 제 1 애플리케이션 경보에 응답하여, 정보 요청 신호를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매체 예비 및 가상 캐리어 감지
도 1의 무선 시스템(100)의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즉, 사용자 스테이션(STA)), 도 2의 시스템(200)의 네트워크(206) 내의 노드들(STA들)(202, 204) 각각 및 도 3의 통신 디바이스(STA)(300)는 그의 연관된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카운터를 유지할 수 있다. NAV 카운터는 물리적 캐리어 감지가 매체가 통신에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STA가 매체를 통해 피어 엔티티와의 접속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는 시간 유닛들에서의 카운터를 나타낼 수 있다. NAV 카운터는 시간 유닛마다 감소될 수 있고, STA는 NAV 카운터가 경과할 때까지 매체가 예비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히든 무선 노드(예를 들어, 사용자 STA)의 존재시 한 쌍의 STA들 간의 통신에 대한 예(400)를 도시한다. STA(402)는, STA(402)의 NAV가 비어있고, 물리적 캐리어 감지가 매체가 비어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또 다른 STA(404)와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STA(402)는 STA(402)가 매체를 예비하기를 원하는 시간 듀레이션(duration)을 포함할 수 있는 송신-요구(RTS)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RTS 요청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STA(404)는 NAV가 비어있고, 물리적 캐리어 감지가 매체가 비어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송신-가능(CTS)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은 또한 요청된 매체가 예비될 시간 듀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RTS 요청 프레임 또는 CTS 제어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STA들(402, 404) 외의 임의의 STA는 이러한 2개의 제어 프레임들에서 시간 듀레이션 필드에 따라 그의 NAV 카운터를 세팅할 수 있다. 이것은 가상 캐리어 감지를 나타내고, 또한 이것은 STA들(402, 404)이 매체 예비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TA(406)는 STA(402)의 범위(408) 밖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STA(406)는 STA(402)로부터 전송되는 RTS 메시지를 수신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STA(406)는 STA(404)로부터 전송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고, 따라서 그의 NAV 카운터를 세팅가능할 수 있다.
STA(402)가 RTS 프레임을 송신할 때, STA(402)는 요청된 매체가 STA(404)에서 사실상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인지하지 않을 수 있다. 자신의 NAV 카운터를 사용하여, STA(402)는 매체가 STA(402)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단지 인지할 수 있다. 매체가 STA(404)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즉, STA(404)의 NAV 카운터가 0이 아니거나 또는 물리적 캐리어 감지가 송신을 표시하는 경우, STA(404)는 수신된 RTS 프레임에 응답하여 CTS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STA(406)가 데이터를 STA(404)로 송신 중일 때 STA(402)가 RTS 프레임을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에서, STA(402)로부터 송신되는 RTS 프레임을 수신하는 임의의 STA는 그의 NAV 카운터를 RTS 프레임 내에 특정되는 듀레이션 값으로 세팅할 수 있다. STA(404)는 STA(402)의 RTS 요청을 승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RTS 요청을 수신하는 STA들은 송신 중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매체는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자원 낭비의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자원 낭비의 문제는 RTS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들이 일부 시간 듀레이션 동안 대기할 수 있으며, 이후 CTS 응답 프레임이 송신되어야 함을 요청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이후, STA들은 STA(402)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패킷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STA들이 이 패킷을 디코딩할 수 있는 경우, STA들은 STA(402)로부터 송신되는 RTS 요청 프레임이 자신의 피어 엔티티(STA(404))에 의해 승낙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STA들은 자신들의 NAV 카운터들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어떠한 패킷 송신도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STA들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 STA들은 자신들의 NAV 카운터들을 리셋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종류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만이 지원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된 솔루션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이 솔루션을 지향성 MAC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RTS 및 CTS 프레임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레이트 제어 프레임들을 나타낼 수 있다. STA(402)에 의해 송신되는 패킷의 디코딩은 패킷 헤더가 RTS 프레임의 레이트와 동일하거나 이에 비해 더 낮은 레이트를 가질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러한 솔루션의 사용을 특정 물리 계층(PHY)으로 제한한다.
전술된 솔루션은 전통적인 IEEE 802.11 MAC에 특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TS, CTS 및 패킷 송신들은 시간상 연속적으로(back to back) 수행되는데 즉, 프레임들의 자연 연속성(natural succession)이 존재한다. 그러나, 패킷 송신이 추후에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패킷의 디코딩은 더 긴 시간 듀레이션 동안의 대기를 요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TS 프레임은 매체에 대한 요청을 변경하도록 허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TA(404)는 STA(402)에 의해 요청되는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작은 시간 듀레이션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킷 헤더의 디코딩은 매체가 예비되는 것을 결정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RTS 및 CTS 프레임들이 전-방향으로(omni-directionally) 전송하지 않고, 빔형성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특정 방향으로만 전송되는 경우, MAC 프로토콜은 지향성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은 높은 주파수 통신 네트워크들 이를테면, 60 GHz 네트워크들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빔형성 이득은 임의의 종류의 패킷 디코딩에 필수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RTS 및 CTS 프레임들이 특정 방향들로 송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AV 카운터들이 지향성일 수 있는데 즉, 특정 방향에서 RTS 프레임을 청취할 수 있는 STA들은 RTS 프레임이 수신되었던 방향으로의 송신만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간 기간 동안, STA는 상이한 STA들로부터의 하나 보다 많은 방향으로 수신되는 RTS 프레임들을 관측할 수 있다. STA는 패킷 송신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자신의 빔을 회전시킴으로써) 상이한 방향들로 상이한 RTS 프레임들을 디코딩가능할 수 있지만, STA는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해서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청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가 상이한 방향들에서 상이한 RTS 프레임들을 수신함으로써 이러한 방향들을 따라 송신되는 패킷들을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제어 프레임에 기초하여 히든 노드의 경우에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솔루션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도 4에 도시되는 히든 무선 노드 이를테면, STA(406)의 경우에 전술된 가상 캐리어 감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또 다른 제어 프레임 즉, CTS 확인 프레임의 사용을 지원한다. CTS 확인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도 4의 STA(402)에 의한) CTS 프레임의 성공적 디코딩에 이어서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동일한 STA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CTS 확인 프레임은 CTS 제어 프레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TS 제어 프레임은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시간 듀레이션 정보 외에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 제어 프레임 및 CTS 확인 프레임 양자는 또한 어떤 주파수들이 송신 중에 이용될 수 있는지, 데이터 프레임의 어떤 시간 세그먼트가 통신을 위해서 허용될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정보, 또는 매체 예비가 주기적인지 또는 1회 예비를 나타내는지를 표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에서, CTS 확인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STA(404) 외의 임의의 STA는 CTS 확인 프레임 내의 정보에 따라 그리고 근본적인 MAC 프로토콜에 따라 자신의 NAV 카운터를 세팅할 수 있다. 그 외 모든 것은 이전에 MAC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CTS 확인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는 RTS 프레임으로부터의 정보 대신 이용될 수 있다.
CTS 확인 프레임의 목적은 STA(402)에 의해 CTS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응답하기 위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CTS 확인 프레임의 디코딩은 STA(404)에 의해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확인응답으로서의 CTS 확인 프레임의 사용은 이 제어 메커니즘의 추가 이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송신을 위한 매체를 요청하는 사용자 STA에서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500)을 도시한다. 502에서, 사용자 STA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즉, RTS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504에서, STA는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1 프레임(즉, CTS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506에서, 제 1 프레임에 응답하여, STA는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즉, CTS 확인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요청은 매체를 사용하도록 요청되는 제 1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매체 예비 정보는 매체가 승인되는 제 2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된 제 2 듀레이션은 요청되는 제 1 듀레이션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매체 예비 정보는 송신을 위해, STA에 의해 사용될 매체의 주파수들, STA로부터의 송신을 위해서 허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세그먼트들, 또는 매체의 예비가 주기적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또 다른 STA에 의해 송신되는 매체에 대한 요청을 청취하는 사용자 STA에서 실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600)을 도시한다. 602에서, STA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즉, RTS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604에서, STA는 요청에 응답하여 제 3 STA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프레임(즉, CTS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다른 STA에 의해 송신되는 제 1 프레임(즉, CTS 확인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은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606에서, STA는 매체 예비 정보에 기초하여 매체로의 액세스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카운터의 값은 매체 예비 정보에 따라 STA에서 세팅될 수 있으며, 여기서 NAV 카운터의 값은 STA가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시간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을 검출함으로써, STA는 제 1 프레임이 다른 STA로부터 송신되었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STA는 결정된 방향으로의 매체를 통한 송신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매체 예비 정보는 다른 STA에 의해 사용될 매체의 주파수들에 대한 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TA는 매체의 이러한 특정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지만, STA는 일부 다른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매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지향성 MAC 프로토콜의 경우에, CTS 확인 프레임이 송신되는 방향이 중요할 수 있다. CTS 확인 프레임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채널 예비를 위해서 이용되고 있고, RTS 및 CTS 프레임들 양자가 특정 방향을 따라 송신되는 경우, CTS 확인 프레임은 또한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 송신될 수 있다. RTS 및 CTS 프레임들이 빔 트레이닝을 위한 채널을 예비하기 위해서 등대(lighthouse) 방식으로 송신되고 있는 경우(즉, 대응하는 STA들의 모든 지원되는 방향들을 따라 송신되고 있는 경우), CTS 확인 프레임은 또한 RTS 프레임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동일한 방향들을 따라 등대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안되는 'RTS-CTS-CTS 확인' 프로토콜은 임의의 여분 매체(extra medium)(채널) 예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빔 트레이닝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RTS 프레임은 등대 방식으로 각각의 지원되는 송신 방향을 따라 STA(40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RTS 프레임의 송신 빔 인덱스는 RTS 프레임에 명백하게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RTS 프레임의 송신 빔 인덱스는 기준 시간에 비해 RTS 프레임의 상대적인 타이밍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RTS 프레임은 등대 방식으로 수신 빔을 회전시킴으로써 STA(404)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RTS 프레임을 디코딩함으로써, STA(404)는 STA(404)의 선호되는 수신 빔 방향 및 STA(402)의 선호되는 송신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STA(404)는 STA(404)의 모든 지원되는 송신 방향들을 따라 등대 방식으로 CTS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은 STA(402)의 미리 결정된 선호되는 송신 빔을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TA(402)는 모든 가능한 수신 빔 방향들을 따라 등대 방식으로 수신 빔을 회전시킴으로써 CTS 프레임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을 디코딩한 이후, STA(402)는 STA(402)의 선호되는 수신 빔 방향(예를 들어, CTS 프레임이 최고 신호-대-잡음 비로 디코딩될 수 있는 방향) 뿐만 아니라, STA(404)의 선호되는 송신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CTS 확인 프레임은 모든 이용가능한 송신 빔 방향들을 사용하여 등대 방식으로 STA(40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자원들을 절약하기 위해서, CTS 확인 프레임은 STA(402)의 선호되는 송신 빔 방향을 사용하여 오직 한 번 송신될 수 있다. STA(404)는 RTS 프레임을 디코딩함으로써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자신의 선호되는 수신 빔 방향을 사용하여 CTS 확인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RTS-CTS-CTS 확인' 프로토콜이 빔 트레이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향성 MAC 설계들에 대하여, RTS 및 CTS 프레임들과 달리, CTS 확인 프레임은 등대 방식으로 송신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CTS 확인 프레임을 송신할 시에 발생되는 비용은 낮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하나의 비컨 간격 동안의 수퍼-프레임 구조(700)의 예시적인 송신을 도시한다. 수퍼-프레임(700)은 비컨(702) 및 제어 프레임(7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프레임(704)은 가상 캐리어 감지 및 매체 예비를 위한 제안되는 'RTS-CTS-CTS 확인'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RTS 서브-프레임(706), CTS 서브-프레임(708) 및 CTS 확인 서브-프레임(7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RTS 서브-프레임(706) 및 CTS 서브-프레임(708) 양자는 빔 트레이닝을 목적으로 등대 방식으로 송신 및 디코딩될 수 있다. 한편, CTS 확인 서브-프레임(710)은 오직 하나의 송신 방향을 따라(예를 들어, 선호되는 송신 방향을 따라) 송신될 수 있으며, 오직 하나의 수신 방향을 따라(예를 들어, 선호되는 수신 방향을 따라) 디코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매체(채널) 예비를 위한 계층적 'RTS-CTS-CTS 확인' 프로토콜(800)의 예를 도시한다. 수퍼-프레임(802)에서, STA는 매체를 요청하기 위해서 RTS 프레임(804)을 송신할 수 있다. 수퍼-프레임(802)의 플래그가 빔 트레이닝이 요구됨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즉,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래그 'Beam_Train_Required'가 '1'과 동일함), RTS 프레임(804)은 STA의 다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될 수 있다. CTS 프레임(806)이 STA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CTS 확인 프레임(808)은 STA로부터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TA는 랜덤 백오프가 활성화될 때까지 RTS 프레임들(810)을 송신함으로써 매체에 대한 요청을 지속할 수 있다.
랜덤 백오프가 만료된 이후, STA는 수퍼-프레임(812)의 빔 트레이닝 플래그에 의해 특정되는 바와 같이, STA의 다수의 송신 방향들을 사용하여 수퍼-프레임(812) 내의 RTS 프레임(814)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STA는 STA의 다수의 수신 방향들을 사용하여, RTS 프레임(814)의 수신에 응답하여 또 다른 STA에 의해 송신되는 CTS 프레임(816)을 수신할 수 있다. 일단 CTS 프레임(816)이 수신되면, CTS 확인 프레임(818)은 수신된 CTS 프레임(816)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체의 예비와 함께, STA는 RTS, CTS 및 CTS 확인 프레임들(814-818)에 기초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방향 RTS 프레임, CTS 프레임 및 CTS 확인 프레임에 기초하여 매체 및 빔 트레이닝을 예비하는 동일한 프로시저가 또한 수퍼-프레임(820)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후속하는 수퍼-프레임(822)에서, STA는 수퍼-프레임(822)의 빔 트레이닝 플래그에 의해 특정되는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송신 방향을 사용하여 RTS 프레임(824)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STA는 오직 하나의 수신 방향을 사용하여, RTS 프레임(824)의 수신에 응답하여 또 다른 STA에 의해 송신되는 CTS 프레임(826)을 수신할 수 있다. 일단 CTS 프레임(826)이 STA에서 수신되면, CTS 확인 프레임(828)은 수신된 CTS 프레임(826)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CTS 확인 프레임(828)은 RTS 프레임(824)의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는 STA의 동일한 단일 송신 방향으로 송신될 수 있다. 매체가 예비된 이후, 수퍼-프레임(822)의 데이터(830)는 예를 들어, RTS 프레임(824) 및 CTS 확인 프레임(828)의 송신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향을 사용하여 STA에 의해 지향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매체 예비에 대한 동일한 프로시저는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퍼-프레임(832)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되는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되는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하는 상대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동작들(500 및 600)은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되는 컴포넌트들(500A 및 600A)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정하는"이라는 용어는 폭 넓고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프로세싱하는, 유도하는, 조사하는, 검색(표, 데이터 베이스 또는 또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검색)하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선출하는, 설정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칭한다. 일례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 이를테면,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되는 임의의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적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기 예를 들어, 도 3의 통신 디바이스(300)의 출력 모듈(308)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기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입력 모듈(306)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을 위한 수단은 디코더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주문형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검출기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억제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기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출력 모듈(308)을 포함할 수 있다. 세팅하기 위한 수단은 주문형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신호(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removable)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을 통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서로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되는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에서 또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connection)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IR),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데 반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탠저블 매체(tangible media))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양상들에 대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된(그리고/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지물(packaging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또한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적용가능하면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디바이스에 저장 수단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상기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변경들, 변화들 및 변형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들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다른 그리고 추가 양상들이 본 개시의 기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고안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58)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1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reservation)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요청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선호되는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프레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동일한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요청이 송신되는 복수의 송신 방향들의 각각의 송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었고;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된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복수의 수신 방향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수신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매체를 사용하기 위해 요청되는 제 1 시간 듀레이션(duration)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가 승인되는 제 2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송신을 위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사용될 상기 매체의 주파수들, 상기 장치로부터의 송신을 위해서 허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세그먼트들, 또는 상기 매체의 예비가 주기적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선호되는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동일한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요청이 송신되는 복수의 송신 방향들의 각각의 송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었고;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된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 방향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매체를 사용하기 위해 요청되는 제 1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가 승인되는 제 2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를 통한 송신을 위해서 사용될 상기 매체의 주파수들, 상기 매체를 통한 송신을 위해서 허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세그먼트들, 또는 상기 매체의 예비가 주기적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요청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선호되는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동일한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요청이 송신되는 복수의 송신 방향들의 각각의 송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었고;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된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 방향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수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수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매체를 사용하기 위해 요청되는 제 1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가 승인되는 제 2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송신을 위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사용될 상기 매체의 주파수들, 상기 장치로부터의 송신을 위해서 허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세그먼트들, 또는 상기 매체의 예비가 주기적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고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하고,
    상기 요청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선호되는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6. 무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된 제 1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 상기 제 1 프레임은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요청은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송신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선호되는 송신 방향으로 송신되는,
    무선 노드.
  2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 ― 상기 검출기는 또한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었던 선호되는 방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confirmation)으로서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 및 검출된 선호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가 상기 제 1 장치에 승인되는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시간 듀레이션 동안 예비된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표시되는 상기 시간 듀레이션은 상기 요청에 표시되는 다른 시간 듀레이션과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사용될 상기 매체의 주파수들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카운터의 값을 세팅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NAV 카운터의 값은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시간 유닛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된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었던 선호되는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으로서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 및 검출된 선호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가 상기 제 1 장치에 승인되는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시간 듀레이션 동안 예비된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표시되는 상기 시간 듀레이션은 상기 요청에 표시되는 다른 시간 듀레이션과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사용될 상기 매체의 주파수들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매체 예비 정보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카운터의 값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AV 카운터의 값은 상기 장치가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시간 유닛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었던 선호되는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으로서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 및 검출된 선호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매체가 상기 제 1 장치에 승인되는 시간 듀레이션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억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시간 듀레이션 동안 예비된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표시되는 상기 시간 듀레이션은 상기 요청에 표시되는 다른 시간 듀레이션과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는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사용될 상기 매체의 주파수들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억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매체 예비 정보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예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카운터의 값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NAV 카운터의 값은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수의 시간 유닛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2.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었던 선호되는 방향을 검출하고 ―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으로서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그리고
    상기 매체 예비 정보 및 검출된 선호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3. 무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복수의 송신 방향들로 제 1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 ― 상기 검출기는 또한 상기 제 1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프레임을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었던 선호되는 방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프레임의 수신의 확인으로서 상기 제 1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무선 노드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되는 송신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매체를 예비하기 위한 동일한 매체 예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매체 예비 정보 및 검출된 선호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KR1020127015889A 2009-11-20 2010-11-19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송신-가능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61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324809P 2009-11-20 2009-11-20
US61/263,248 2009-11-20
US12/949,516 2010-11-18
US12/949,516 US20110286403A1 (en) 2009-11-20 2010-11-18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rming reception of clear-to-send frame for virtual carrier sensing
PCT/US2010/057517 WO2011063295A1 (en) 2009-11-20 2010-11-19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rming reception of clear-to-send frame for virtual carrier sen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527A KR20120097527A (ko) 2012-09-04
KR101461100B1 true KR101461100B1 (ko) 2014-11-13

Family

ID=4359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889A KR101461100B1 (ko) 2009-11-20 2010-11-19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송신-가능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86403A1 (ko)
EP (1) EP2517522B1 (ko)
JP (1) JP5453548B2 (ko)
KR (1) KR101461100B1 (ko)
CN (1) CN102668682B (ko)
WO (1) WO2011063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2900B2 (en) * 2010-09-23 2014-07-29 Nokia Corporation Autonomous unlicensed band reuse in mixed cellular and device-to-device network
GB2487909B8 (en) 2011-02-04 2015-01-21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CN106686558A (zh) 2012-05-26 2017-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转发方法、装置和系统
US9204377B2 (en) 2012-07-16 2015-12-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proximity-based communication
GB2510140A (en) 2013-01-24 2014-07-30 Sony Corp Virtual carrier for reduced capability wireless devices
KR102057949B1 (ko) * 2013-03-19 2020-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CN104185269B (zh) * 2013-05-22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毫米波无线通信链路的建立方法及终端设备
ES2741535T3 (es) 2013-10-25 2020-02-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ocolo MAC para transmisiones directivas
CN105706515A (zh) * 2013-10-25 2016-06-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接收机信道预留
US9806860B2 (en) * 2014-08-28 2017-10-3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chanisms for single user (SU) and multiple user (MU) transmission and association via polling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60028321A (ko) *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108633A1 (ko) 2014-12-30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리거 프레임 수신 후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및 장치
US9332536B1 (en) * 2015-04-28 2016-05-0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on a wireless channel
US10397796B2 (en) * 2015-07-08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Over-the-air signaling for an increased reuse factor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135640B2 (en) * 2015-12-30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wireless devices
US10142132B2 (en) * 2015-12-30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wireless devices
US10405348B2 (en) * 2016-10-25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Slotted transmission and directional reception of RTS
US10925090B2 (en) * 2017-09-29 2021-02-16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listen-before-talk
EP3751750A4 (en) * 2018-02-14 2021-01-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EMISSION PROCESS AND DEVICE
US11038643B2 (en) * 2018-02-27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porting for active beams
WO2019191997A1 (zh) * 2018-04-04 2019-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11368896B2 (en) * 2020-05-01 2022-06-2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Flexible distributed antenna arr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772A1 (en) 2005-03-15 2006-09-21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Coordinated directional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30519A1 (en) 2006-12-01 2008-06-0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Cognitive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7315B2 (en) * 2003-02-12 2011-09-27 Nortel Networks Limited Antenna diversity
US8175532B2 (en) * 2006-06-06 2012-05-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via at least one of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 antennas
US8837435B2 (en) * 2007-10-31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edium access control in communication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772A1 (en) 2005-03-15 2006-09-21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Coordinated directional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30519A1 (en) 2006-12-01 2008-06-0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Cognitive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7522A1 (en) 2012-10-31
CN102668682A (zh) 2012-09-12
WO2011063295A1 (en) 2011-05-26
KR20120097527A (ko) 2012-09-04
EP2517522B1 (en) 2013-12-25
US20110286403A1 (en) 2011-11-24
JP2013511920A (ja) 2013-04-04
CN102668682B (zh) 2015-06-24
JP5453548B2 (ja)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100B1 (ko) 가상 캐리어 감지를 위한 송신-가능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EP2494845B1 (en) Method for forwarding i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302357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setup through relays
KR101394073B1 (ko)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US97947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plified store and forward relays
KR20190053862A (ko) 지연된/스케줄링된 블록 확인응답 메커니즘을 사용한 신뢰가능한 wi-fi 패킷 전달
KR20160086371A (ko) 고효율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개선된 통신 효율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812149B1 (ko) 높은 효율성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개선된 통신 효율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8464041B (zh) 基于请求寻址或请求信道的调节方法及装置
US20160360397A1 (en) Color coding for data confirmation signals
KR101819588B1 (ko) 무선 메시지에서 지연 표시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