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247B1 -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 Google Patents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247B1
KR101460247B1 KR1020130055592A KR20130055592A KR101460247B1 KR 101460247 B1 KR101460247 B1 KR 101460247B1 KR 1020130055592 A KR1020130055592 A KR 1020130055592A KR 20130055592 A KR20130055592 A KR 20130055592A KR 101460247 B1 KR101460247 B1 KR 10146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psule
fixed wheel
engag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유삼
정민영
Original Assignee
전유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삼 filed Critical 전유삼
Priority to KR102013005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2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6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having provision for multiple compartmen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a turn table type, which can be stored and taken out by inputting a number key,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volume, facilities the storage of an umbrella, accommodates all the length of a big or small umbrella, and can be operated in silence without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a turn table type comprises: an umbrella storage enclosure having an outlet for inputting the umbrella on the front;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umbrella storage enclosure; a fixing wheel directly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motor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a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connected to the fixing wheel, arranged on the circumference by having the predetermined radius, and storing the umbrella; and an umbrella stopp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mbrella capsule and performing a role of supporting the umbrella when the umbrella is inputted.

Description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Automatic storage device for turntable umbrella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본 발명은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번호키의 입력으로 수납 및 반출이 가능하고, 부피가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우산의 보관이 용이하고 우산 대소의 길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고, 소음없는 정숙한 동작이 가능한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a turntable type umbrella,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a turntable type umbrella, which is capable of being stored and taken out by inputting a number ke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a turntable type umbrella capable of quiet operation without noise.

일반적으로 출입이 빈번한 식당, 관공서, 은행 등등에는 우천시 우산의 빗물을 처리할 수 있는 비닐 봉투가 공급된다. 비닐 봉투는 비닐 보관통에서 낱장씩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닐 통투에 우산을 집어넣은 후 휴대하게 된다. 이럴 경우 분실을 막기 위해 비닐 봉투에 담긴 우산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In general, restaurants, government offices, banks, etc., where access is frequent, are provided with plastic bags that can handle the rainwater of umbrellas in case of rain. The plastic bag is fed one by one from the plastic container. Therefore, the user puts an umbrella in a vinyl lid and then carries it.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 umbrella in a plastic bag to prevent los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16621호(공개일 2005.02.21)로서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가 있다. 이는 장치본체와, 길이 방향이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기단부가 지지된 하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우산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관되어 있는 우산의 손잡이부 등이 젖어 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기술의 경우 우산의 보관 분실을 막기 위해 우산유지자물쇠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16621 (published on February 21, 2005) has an umbrella storage device and an umbrella retaining lock. This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one support member which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which the base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a support member which is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plurality of umbrella retaining locks for retaining the to-be-inspected retaining portions of the umbrella. This solves the problem that the handgrips and the like of the umbrella stored are wet. This technique requires the use of an umbrella retaining pad to prevent the umbrella from being stored and lost.

다른 배경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20387호로서 '우산 보관용 비닐 팩'이 있다. 이는 비닐 팩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우산 외부에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우산 지지대가 비닐 팩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우산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비닐 팩의 하부에 걸려 최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닐 팩의 최하부로 빗물이 고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에도 분실의 염려가 없도록 사용자가 휴대를 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0387, 'Vinyl pack for umbrella storage'.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a top of the upper package having a slope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low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oth sides of the plastic pack. The umbrella support part, which is partially protruded outside the umbrella, When inserted, it is caught by the lower portion of the vinyl pack having a relatively smaller inner diameter than the umbrella and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lowermost portion, and the rainwater is form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vinyl pack. However, this technique also inconveniences the user from having to carry around so that there is no fear of loss.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5000호로서 '우산케이스가 구비된 보관함'이 있다. 이는 우산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쪽이 크게 개방된 입구, 상기 우산을 집어넣은 채 운반하기 쉽도록 구비된 끈, 적재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안으로 돌출된 요부를 입구 타단부에 갖으며 몸통이 입구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원통형의 우산케이스와, 상기 우산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 이 고정돌기들을 고정하는 수개의 구멍들이 타공된 고정틀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운반이 가능하도록 운반손잡이 및 빗물의 배수를 위해 하부 한쪽 귀퉁이에 배수구가 형성된 상자모양의 보관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5000, "Storage Box with Umbrella Case" is available. It has an inlet with a large opening to allow the umbrella to be inserted, a strap for easy carrying with the umbrella inserted, and a recessed portion protruding inwardly for easy loading and unloading.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umbrella case, a fixing frame in which several holes for fixing the fixing protrusions are sequentially connected, and a lower portion for discharging the carrying handle and the rainwater, And a box-shaped storage box having a drain hole formed at one corner thereof.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there is no technical alternative for preventing loss.

본 발명은 번호키의 입력으로 수납 및 반출이 가능하고, 부피가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우산의 보관이 용이하고 우산 대소의 길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고, 소음없는 정숙한 동작이 가능한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table type umbrella which can accommodate and carry out by inputting a number key, can be manufactured with a small volume, can easily store an umbrella, accommodates both the length of the umbrella and the silent operation without nois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면부에 우산 투입겸용 반출구를 갖는 우산 보관 함체와;An umbrella storage enclosure having an umbrella inlet and outlet port in the front portion thereof;

상기 우산 보관 함체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A driving motor installed inside the umbrella storage case;

상기 구동모터의 회력축과 직결되게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 휠과;A fixed wheel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motor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고정 휠과 연결되어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원주상에 배치되어 우산을 수납하는 다수개의 우산캡슐과;A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and disposed circumferentially with a predetermined radius to accommodate an umbrella;

상기 우산캡슐의 하부에 연결되어 우산 투입 시 우산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우산스톱퍼;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우산 보관 함체의 정면부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휠은 회전축과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갖는 보스부와, 보스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아암과, 아암의 말단을 연결하는 원형링과, 이웃한 아암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판상의 캡슐 스톱퍼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캡슐은 고정 휠에 연결되기 위해 배면에 연결용 후크가 형성되고, 후크에는 고정 휠의 원형링에 끼워지는 걸침홈, 아암과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 캡슐 스톱퍼의 캡슐 스톱퍼 구멍의 밑면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umbrella stopp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mbrella capsule and serving to support an umbrella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And
And a controll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mbrella storage enclosure to control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The fixed wheel includes a boss portion having an engaging hole to be engaged with a rotation shaft, a plurality of arms arranged radially in the boss portion, a circular ring connecting the ends of the arm, Of a capsule stopper;
The umbrella capsul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hook on its back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The hook has an engagement groove which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ring of the fixed wheel, a coupling groove which is inserted and coupled with the arm, And a stopping jaw is formed.

또한, 상기 우산캡슐은 입구부가 우산을 밀어넣기에 용이하도록 빗각 형태를 갖고, 입구측에서 하단까지 점차로 좁아지는 우산수납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mbrella capsule has an umbrella shape for facilitating pushing in an umbrella, and has an umbrella accommodating chamber which is gradually narrowed from an inlet side to a lower side.

또한, 상기 우산캡슐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암수 결합에 의해 다수개가 원형 띠 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mbrella capsu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umbrella capsules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ring-shaped band by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engaging grooves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우산 보관 함체의 정면부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러가 더 포함되고,Further, a controll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is further included,

상기 컨트롤러에는 우산의 수납과 반출 명령을 지시할 수 있는 수납 버튼 및 반출 버튼과, 지정된 우산캡슐에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번호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keypad including a storage button and an unload button for instructing storage and removal of the umbrella and a number input button for accessing the designated umbrella capsule.

본 발명의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에 따르면, 우산의 보관 및 반출을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번호키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가 없다. 또한 다수개의 우산캡슐이 원형 띠 형태로 연결되어져 회전구동되는 턴테이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urntable-type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fear of loss because the user can use the number key only for the user to store and carry out the umbrella. In addition, a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circular band, and are rotatably driven,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compact.

또한, 우산캡슐의 입구는 빗각형태로 설계되어져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로 우산을 밀어 넣기에 용이하고, 우산캡슐 입구에서 하단까지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서 길이가 다양한 우산을 수용할 수 있고, 우산 스톱퍼는 회전 진동을 외부로 보내 장치내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본 장치의 정숙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trance of the umbrella capsule is designed in a beveled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umbrella in a standing state, the umbrella capsu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form of a tapered shape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entrance to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outside to minimize the vibration in the device and perform the quiet operation of the devic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 휠, 우산캡슐, 우산스톱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에 적용되는 우산 보관 함체의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front view of a turntable type umbrella automatic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wheel, an umbrella capsule, and an umbrell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storage enclosure applied to an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turntabl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정면부에 우산 투입겸용 반출구(122)를 갖는 우산 보관 함체(12)가 구비된다. 우산 보관 함체(12)는 도 3 및 도 8과 같이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사각 원통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우산 보관 함체(12)는 바닥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개의 회전바퀴(129)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an umbrella storage housing 12 having an umbrella inlet / outlet port 122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3 and 8,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having rounded corners.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wheels 129 for facilitating movement to the floor.

우산 보관 함체(12)의 내부 하측에는 구동모터(1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4)측에는 도시안된 엔코더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14)는 구동모터(14)의 회전을 검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A drive motor (14) is provided inside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An encod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drive motor 14 side. The encoder 14 is used to detect and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4. [

구동모터(14)의 회전축(15)에는 고정 휠(16)이 직결되어 있다. 회전축(15)과 고정 휠(16)은 키 결합 또는 다각 단면으로 끼움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4)의 회전시 고정 휠(16)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A fixed wheel 16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5 of the drive motor 14. [ The rotary shaft 15 and the fixed wheel 1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key engagement or a polygonal cross-section. Therefore, when the drive motor 14 rotates, the fixed wheels 16 rotate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고정 휠(16)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축(15)과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멍(161a)을 갖는 보스부(161)와, 보스부(161)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아암(162)과, 아암(162)의 말단을 연결하는 원형링(163)과, 이웃한 아암(162)(16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판상의 캡슐 스톱퍼(16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캡슐 스톱퍼(164)에는 우산 캡슐(18)과의 연결을 위해 캡슐 스톱퍼 구멍(164a)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162)과 원형링(163)은 사각 단면을 가진다.4 and 5, the fixed wheel 16 includes a boss portion 161 having an engaging hole 161a to be engaged with the rotary shaft 15, and a plurality of arms 16 arranged radially in the boss portion 161. [ A circular ring 163 for connecting the distal end of the arm 162 and a plate-shaped capsule stopper 164 provided between the arms 162 and 162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a capsule stopper hole 164a is formed in the capsule stopper 164 for connection with the umbrella capsule 18. The arm 162 and the circular ring 163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고정 휠(16)에는 각기 우산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우산캡슐(18)이 연결되어 있다.A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18 for storing umbrellas are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16, respectively.

우산캡슐(18)은 고정 휠(16)과 연결되어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원주상에 배치된다. 우산캡슐(18)은 상부에 입구부(181)가 형성되어 있는 우산수납실(182)을 갖는다. 이때 입구부(181)는 우산을 밀어넣기에 용이하도록 빗각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구부(181)는 바깥측으로 길게 열려져 있는 구조를 갖게 되어 위에서 아래로 즉 수직으로 꽂는 불편함이 사라진다. 즉, 도 7과 같이 우산을 앞으로 입구부(181)측에 도달시킨 후 하방으로 내려 꽂는 것으로 우산캡슐(18)에 수납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우산수납실(182)은 입구부(181)측에서 하단까지 점차로 좁아지는 단면 구조를 갖고 있고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우산수납실(182)은 접은 우산이든 긴 우산이든지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하다.The umbrella capsule 18 is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16 and disposed circumferentially with a constant radius. The umbrella capsule 18 has an umbrella accommodating chamber 182 formed with an inlet portion 18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portion 181 has a beveled shape to facilitate the pushing of the umbrella. Accordingly, the inlet portion 181 has a structure that is opened to the outside to a long length, and the inconvenience of being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top downward disappears.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umbrella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umbrella capsule 18 by reaching the entrance 181 side and then downward. The umbrella accommodating chamber 182 has a sectional structur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inlet 181 side to a lower end and has a structure opened downward. Therefore, the umbrella storage chamber 182 can be stor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folded umbrella or a long umbrella.

우산캡슐(18)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83)과 결합돌기(184)의 암수 결합에 의해 다수개가 원형 띠 형태로 상호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우산캡슐(18)은 고정 휠(16)에 연결되기 위해 배면에 연결용 후크(185)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185)에는 고정 휠(16)의 원형링(163)에 끼워지는 걸침홈(185a), 아암(162)과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85b), 캡슐 스톱퍼(164)의 캡슐 스톱퍼 구멍(164a)의 밑면에 걸림되는 걸림턱(185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걸침홈(185a)과 결합홈(185b)은 우산캡슐(18)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umbrella capsule 18 is closely connected to the umbrella capsule 18 in the form of a ring-shaped band by mutually engaging the engaging groove 183 and the engaging projection 184 formed on both sides. Further, the umbrella capsule 18 is formed with a connecting hook 185 on the back surface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16. The hook 185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groove 185b which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63 of the fixed wheel 16 and which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arm 162 and a capsule stopper hole 164a of the capsule stopper 164 And a hooking protrusion 185c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85c. Although the hooking groove 185a and the engaging groove 185b a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mbrella capsule 1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따라서 다수개의 우산캡슐(18)은 각기 결합홈(183)과 결합돌기(184)의 암수 결합을 통해 원형 띠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후크(185)가 고정 휠(16)에 결합됨으로써 우산캡슐(18)과 고정휠(16)은 상호 연결되어 고정휠(16)의 회전시 우산캡슐(18)이 따라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18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ring-shaped band through the male and female engagements of the engaging grooves 183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184, respectively. The umbrella capsule 18 and the fixed wheel 16 are interconnected so that the umbrella capsule 18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fixed wheel 16 rotates .

우산캡슐(18)의 하부에 우산스톱퍼(20)가 연결되어 있다. 우산스톱퍼(20)는 우산캡슐(18)에 투입된 우산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우산스톱퍼(20)는 원형띠를 이루는 다수개의 우산캡슐(18)의 내면에 삽입되는 원통부(201), 원통부(201)의 외측에 형성된 우산받침부(202), 원통부(201)의 외주면과 우산받침부(202)의 사이에 형성된 캡슐 결합홈(2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산받침부(202)는 원형 삿갓 형태로서 바같측으로 기울기를 가져 빗물이 측방으로 흘러내림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An umbrella stopper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mbrella capsule (18). The umbrella stopper 20 serves to support the umbrella put in the umbrella capsule 18. The umbrella stopper 2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201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a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18 constituting a ring-shaped band, an umbrella receiving portion 20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1, And a capsule engaging groove 203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mbrella receiving portion 202. The umbrella receiving portion 202 has a circular shape and has a slope toward the side,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easily sideways.

우산스톱퍼(20)는 저면이 우산 보관 함체(12)의 하부측에 설치된 지지볼(24)에 접촉되어 지지되어 있다. 지지볼(24)은 구형으로 우산스톱퍼(20)의 저면에 구름접촉하여 우산 캡슐(18)의 회전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볼(24)은 볼 하우징(25)을 통해 우산 보관 함체(12)에 설치된다.The umbrella stopper 20 has its bottom surface hel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ll 24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The support ball 24 is in spherical shape and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mbrella stopper 20 to transmit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umbrella capsule 18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support ball 24 is installed in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through the ball housing 25.

우산 보관 함체(12)의 정면부 일측에 구동모터(14)를 포함한 제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A controller 2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ncluding the drive motor 14. [

컨트롤러(22)에는 우산의 수납과 반출 명령을 지시할 수 있는 수납 버튼(221) 및 반출 버튼(222)과, 특정 우산캡슐에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번호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223)가 설치되어 있다.The controller 22 is provided with a keypad 223 including a storing button 221 and an unloading button 222 for instructing the storage and removal of the umbrella and a number input button for accessing the specific umbrella capsule have.

미설명 도면부호 '23'은 '모니터'이고, '30'은 우산에서 흘러나온 빗물을 저장해두는 '빗물저장통'이다.
The reference numeral '23' is 'monitor' and the reference numeral '30' is a 'rainwater reservoir' which stores rainwater flowing from an umbrell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us configured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우산보관함체(12)에 접근하여 우산투입겸용 반출구(122)를 통해 우산캡슐(18)에 우산을 투입하여 놓고, 키패드(223)의 번호 입력 버튼과 수납버튼(221)을 순차적으로 눌러 우산의 보관을 지시한다. 이때 우산스토퍼(20)는 우산수납실(182)에서 우산의 하강을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킨다.The user approaches the umbrella housing body 12 and puts an umbrella into the umbrella capsule 18 through the umbrella insertion and dispensing opening 122 and places the number input button and the storage button 221 of the keypad 223 Press sequentially to instruct the storage of the umbrella. At this time, the umbrella stopper 20 stops the descent of the umbrella from the umbrella storage room 18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컨트롤러(22)는 보관 명령을 받게 되면 구동모터(14)를 회전시켜 우산캡슐(18)을 회전 이동시킨다. 구동모터(14)의 회전시 고정휠(16)을 매개로 우산캡슐(18)이 회전된다. 이때 비어있는 우산캡슐(18)은 우산투입겸용 반출구(122)로 위치되어 다음 동작의 명령이 있을 때 까지 대기한다. 이때 컨트롤러(22)는 해당 우산의 보관을 입력받은 번호를 기억하여 두게 된다. The controller 22 rotates the driving motor 14 and rotates the umbrella capsule 18 when receiving a storage command. The umbrella capsule 18 is rotated via the fixed wheel 16 when the drive motor 14 is rotated. At this time, the empty umbrella capsule 18 is positioned at the umbrella throw-in exit port 122 and waits until there is a command for the next oper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 stores the number of the input of the umbrella stored therein.

우산캡슐(18)에 투입된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은 우산스토퍼(20)의 우산받침부(202) 표면에 떨어져 빗물저장통(222)에 저장되거나 배수관로를 통해 배출된다.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umbrella put in the umbrella capsule 18 falls on the surface of the umbrella receiving portion 202 of the umbrella stopper 20 and is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container 222 o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pipe.

우산 반출 시, 사용자는 자신의 우산이 보관되어 있는 우산캡슐 번호를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다. 입력 후 반출버튼을 누르면 컨트롤러(22)에서 반출 명령을 내리게 된다.When the umbrella is removed, the user inputs the umbrella capsule number in which the user's umbrella is stored through the keypad. When the user presses the export button after inputting, the controller 22 issues an export instruction.

반출명령에 의해 구동모터(14)가 회전되어 입력 받은 번호의 우산캡슐(18)을 우산투입겸용 반출구(122)로 위치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산투입겸용 반출구(122)에 위치한 우산캡슐(18) 안의 우산을 꺼내면 된다. 이때 컨트롤러(22)에 연결된 모니터(23)에는 캡슐번호, 보관상황, 장치상태 등이 확인된다.The drive motor 14 is rotated by the carry-out command, and the umbrella capsule 18 of the inputted number is positioned at the umbrella throw-in exit port 122. Therefore, the user can take out the umbrella in the umbrella capsule 18 located in the umbrella insertion / dispensing port 122. At this time, the capsule number, storage status, device status, and the like are confirmed on the monitor 23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는, 우산의 보관 및 반출을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번호키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가 없다. 또한 다수개의 우산캡슐(18)이 원형 띠 형태로 연결되어져 회전구동되는 턴테이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rntable-type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loss of the umbrella since the user uses the number key that can be stored only by the user. In addition, the umbrella capsules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ring-shaped band, and are rotatably driven,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ompact.

또한, 우산캡슐(18)의 입구는 빗각형태로 설계되어져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로 우산을 밀어 넣기에 용이하고, 우산캡슐(18) 입구에서 하단까지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길이가 다양한 우산을 수용할 수 있고, 우산 스톱퍼(20)는 회전 진동을 외부로 보내 장치내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본 장치의 정숙한 동작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trance of the umbrella capsule 18 is designed in a beveled shape so that it is easy to push the umbrella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tanding, and the umbrella capsule 18 can accommodate various lengths of umbrella And the umbrella stopper 20 can transmit the rotational vibration to the outside to minimize the vibration in the device, and can perform the quiet operation of the devic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2: 우산 보관 함체
14: 구동모터
16: 고정 휠
18: 우산캡슐
20: 우산스톱퍼
22: 콘트롤러
12: Umbrella storage enclosure
14: Driving motor
16: Fixed wheel
18: umbrella capsule
20: umbrella stopper
22: Controller

Claims (4)

정면부에 우산 투입겸용 반출구(122)를 갖는 우산 보관 함체(12)와;
상기 우산 보관 함체(1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축(15)과 직결되게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 휠(16)과;
상기 고정 휠(16)과 연결되어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원주상에 배치되어 우산을 수납하는 다수개의 우산캡슐(18)과;
상기 우산캡슐(18)의 하부에 연결되어 우산 투입 시 우산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우산스톱퍼(20); 및
상기 구동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우산 보관 함체(12)의 정면부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러(2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휠(16)은 회전축(15)과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멍(161a)을 갖는 보스부(161)와, 보스부(161)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아암(162)과, 아암(162)의 말단을 연결하는 원형링(163)과, 이웃한 아암(162)(16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판상의 캡슐 스톱퍼(164)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캡슐(18)은 고정 휠(16)에 연결되기 위해 배면에 연결용 후크(185)가 형성되고, 후크(185)에는 고정 휠(16)의 원형링(163)에 끼워지는 걸침홈(185a), 아암(162)과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85b), 캡슐 스톱퍼(164)의 캡슐 스톱퍼 구멍(164a)의 밑면에 걸림되는 걸림턱(185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An umbrella storage enclosure 12 having an umbrella insertion / dispensing opening 122 at a front portion thereof;
A driving motor (14) provided inside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A fixed wheel 16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5 of the driving motor 14 so as to be rotatable;
A plurality of umbrella capsules 18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16 and disposed circumferentially with a predetermined radius to accommodate umbrellas;
An umbrella stopper 2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mbrella capsule 18 and serving to support an umbrella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And
And a controller (2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mbrella storage housing (12)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4);
The fixed wheel 16 includes a boss portion 161 having an engaging hole 161a to be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15, a plurality of arms 162 arranged radially in the boss portion 161, And a plate-shaped capsule stopper 164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arms 162 and 162;
The umbrella capsule 18 is formed with a connecting hook 185 on its rear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fixed wheel 16 and the hook 185 is fitted with a circular arc ring 163 of the fixed wheel 16 An engaging groove 185b which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arm 162 and an engaging shoulder 185c which engages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capsule stopper hole 164a of the capsule stopper 164, Automatic storag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캡슐(18)은 입구부(181)가 우산을 밀어넣기에 용이하도록 빗각 형태를 갖고, 입구측에서 하단까지 점차로 좁아지는 우산수납실(18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mbrella capsule (18) has an umbrella shape for facilitating pushing in the umbrella, and has an umbrella accommodating chamber (182) gradually narrowed from the inlet side to the lower end. The turntable type umbrella automatically store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캡슐(18)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83)과 결합돌기(184)의 암수 결합에 의해 다수개가 원형 띠 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umbrella capsules (18)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ring-shaped band by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engaging recesses (183)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184)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2)에는 우산의 수납과 반출 명령을 지시할 수 있는 수납 버튼(221) 및 반출 버튼(222)과, 지정된 우산캡슐(18)에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번호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2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22 is provided with a storing button 221 and an unloading button 222 for instructing the storing and unloading of the umbrella and a keypad 223 including a number input button for accessing the designated umbrella capsule 18 Wherein the umbrella-shaped umbrella-type automatic umbrella-type storage device comprises:
KR1020130055592A 2013-05-16 2013-05-16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KR101460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592A KR101460247B1 (en) 2013-05-16 2013-05-16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592A KR101460247B1 (en) 2013-05-16 2013-05-16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247B1 true KR101460247B1 (en) 2014-11-10

Family

ID=5228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592A KR101460247B1 (en) 2013-05-16 2013-05-16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24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8600A (en) * 2016-11-16 2018-05-25 浙江群实王网络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used rain-proof puts umbrella system
CN108926215A (en) * 2018-08-09 2018-12-04 李嘉程 Umbrella rack and application method
KR102233706B1 (en) 2019-09-25 2021-03-30 형제레이저(주)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umbrella rack cartridge considering the upper height
KR20210137599A (en) 2020-05-11 2021-11-18 제이케이공업(주) Umbrella storage device with double elastic spring structure with adjustable thickness
KR102439448B1 (en) * 2021-12-02 2022-09-02 손희윤 Umbrella sta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73U (en) * 1986-07-29 1988-02-13
JPH0668574U (en) * 1993-03-11 1994-09-27 有限会社吉田事務所 Umbrella stand and lock for umbrella stand
KR200181232Y1 (en) * 1999-11-05 2000-05-15 이종수 An arrangement type umbrella stand
KR20000052250A (en) * 1999-01-28 2000-08-16 김명원 Rotary type of an plenty umbrella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73U (en) * 1986-07-29 1988-02-13
JPH0668574U (en) * 1993-03-11 1994-09-27 有限会社吉田事務所 Umbrella stand and lock for umbrella stand
KR20000052250A (en) * 1999-01-28 2000-08-16 김명원 Rotary type of an plenty umbrella box
KR200181232Y1 (en) * 1999-11-05 2000-05-15 이종수 An arrangement type umbrella stan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8600A (en) * 2016-11-16 2018-05-25 浙江群实王网络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used rain-proof puts umbrella system
CN108068600B (en) * 2016-11-16 2023-12-19 浙江群实王网络科技有限公司 Rainproof umbrella placing system for vehicle
CN108926215A (en) * 2018-08-09 2018-12-04 李嘉程 Umbrella rack and application method
CN108926215B (en) * 2018-08-09 2020-04-24 李嘉程 Umbrella frame and using method
KR102233706B1 (en) 2019-09-25 2021-03-30 형제레이저(주)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umbrella rack cartridge considering the upper height
KR20210137599A (en) 2020-05-11 2021-11-18 제이케이공업(주) Umbrella storage device with double elastic spring structure with adjustable thickness
KR102439448B1 (en) * 2021-12-02 2022-09-02 손희윤 Umbrella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247B1 (en) Umbrella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urn table type
US11337573B2 (en) Cleaning apparatus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9192270B2 (en) Drain system and method for vacuum cleaner
KR200400078Y1 (en) Powder container for make up
KR101329663B1 (en) Rotate pressing out type cosmetic container
US9102427B2 (en) Multi-position hinge
EP4349163A1 (en) Automatic cat excrement removing device
US7185759B2 (en) Rotating toilet tool holder
US20130105488A1 (en) Step garbage can with damper
KR20130050530A (en) Umbrella storage and carrying out device with rainwater dehydration
US20220105009A1 (en) Automated medicine sorting and medicine dispensing system
CN105996373A (en) Intelligent containing box of remote controller
KR200475168Y1 (en) Capsule for umbrella automatic storage
KR200475169Y1 (en) Turn table for umbrella automatic storage
JP2020006137A (en) Cosmetic container
CN107198339B (en) Lipstick container
CN209814865U (en) Automatic compression garbage can
CN211632508U (en) Foldable accompanying bed with sliding door
JP2008206723A (en) Container including lifting mechanism of inner tray
CN106456374B (en) Earplug dispenser with fixed funnel separator
CN209406598U (en) Hand-powered centrifuge
JP2019535290A (en) Automatic snack dispenser
KR20190023018A (en) Umbrella keeping device
KR101801602B1 (en) Contents take device, storage cap and container apparatus having the contents take device and storage cap
CN107745896A (en) A kind of dust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