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169B1 -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169B1
KR101460169B1 KR1020130104795A KR20130104795A KR101460169B1 KR 101460169 B1 KR101460169 B1 KR 101460169B1 KR 1020130104795 A KR1020130104795 A KR 1020130104795A KR 20130104795 A KR20130104795 A KR 20130104795A KR 101460169 B1 KR101460169 B1 KR 10146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terminal
solenoid valve
micro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주)포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트텍 filed Critical (주)포트텍
Priority to KR102013010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1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6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thermally-expansible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An electric detector of a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compressed air to a fir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chamber by switching and opening a solenoid valve (640) of the compressed air chamber and to inject a fire extinguishing ag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with compressed air through a nozzle which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system when the electric detec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system for detecting a fi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par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art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and a fire sensing switching part to connect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art and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art when a fire is detected.

Description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소화설비 감지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sensing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part of a kitchen system.

최근에 학교 단체 급식의 활성화, 기숙사, 대형 레스토랑 등의 보급 등으로 인하여 여러 명의 요리사가 함께 일하는 대형 주방용 주방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large kitchen kitchen facilities, in which several chefs work together, is increasing due to the activation of school group meals, the supply of dormitories and large restaurants.

상기와 같은 대형 주방용 주방설비가 설치된 주방은 많은 인원이 수시로 이용함은 물론, 여러 식사주문에 따라 다수의 주방인원과 조리대를 포함한 기타 음식과 관련한 장비들이 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The kitchen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large-sized kitchen equipment is operat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a large number of kitchen personnel and other food-related equipment including countertop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various meal orders.

상기 조리대의 경우 대부분 엘피지(LPG) 혹은 도시가스(LNG)외에 전기를 이용한 에너지로서 조리대 화구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대부분 화재에 대한 기초교육을 인수받은 자들이 주방에 근무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above countertop, in addition to LPG or LNG, it is necessary to use a countertop as energy for electricity, and most of the people who have taken basic education for fire work in the kitchen.

음식을 조리함에 있어, 식용유(대두유), 알콜성을 가진 증류수 등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조리대 화구에서 실수로 인한 화재발생, 조리대 화구의 밸브 잠금이 완전하지 아니하여 가스누출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 및 기타 전기의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등 일반장소에 비해 신경을 쓰지 않으면 화재가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된다. In cooking food, substances such as edible oil (soybean oil) and distilled water with alcohol may be used. In case of fire caused by mistake in cooking counter, and fire caused by gas leakage because valve lock of cooking counter is not complete, And other electric leakage or fire caused by a short circuit.

이 때문에 주방에는 누설된 가스탐지 경보기, 연기탐지기 및 이들에 의해 가스밸브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장치 및 스프링쿨러 등과 같은 각종 안전장비가 소방법에 관리 의거하여 필히 설치되어 화재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refore, various safety equipments such as a gas detection alarm, a smoke detector, a shutoff device that can shut off a gas valve by them, and a sprinkler are leaked to the kitchen and are installed under the Fire Service Act so as to be prepared for fire.

주방에서는 그만큼 화재의 발생에 대한 주의가 각별한 곳이지만 특히 조리대 화구 또는 화구에 얹혀진 조리용기 혹은 화구측 가스누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주방의 적정장소에는 소화약제가 저장된 소화기가 비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e kitchen, attention is paid to the occurrence of fires as much as that, but in particular, fires are often caused by the leakage of gas from a cooking vessel or a cooking vessel placed on a countertop or a crater. Accordingly, a fire extinguisher hav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is provided in a suitable place of the kitchen so that it can be used.

통상적으로 화재의 진압은 주방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주방화재의 특성 상 부주의로 인해 방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때 자동화재소화설비가 없으면 화재가 순식간에 크게 번져 손을 쓸 수 없게 되어 예상하지 못한 대형 화재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려 할 경우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Generally, fire suppression can be suppressed by using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in the kitchen. However, in case of fire due to carelessness due to carelessness of the kitchen fire, the fire often occurs frequently. In this case, Failure to do so could cause the fire to spread quickly and cause you to lose your hands, leading to unexpected large fires. In addition, when a fire is extinguished by using a fire extinguisher in a place where a fire occurs, there is a problem of burning.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계식 또는 전자식 감지부를 적용한 소화설비를 주방시스템에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도 1 은 기계식 감지부가 적용된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방시스템은 주방용조리기구 예컨데 가스렌지 등이 위치하는 하부주방시스템(100)과 하부주방시스템(100) 운영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환기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렌지후드 등을 포함하는 상부주방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소화설비는 상부주방시스템(200)에 위치하며, 소화설비감지부(300)에서 화재 등을 감지하면, 연결파이프(500)를 따라 설치된 와이어를 통하여 제어장치(600)로 화재가 감지되었음이 전달되고, 제어장치(600)에서는 분사파이프(450)를 따라 소화액을 이동시켜 곳곳에 위치한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시키게 된다. To overcome this problem, a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a mechanical or electronic sensing unit is installed in a kitchen system. 1 show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kitchen system to which a mechanical sensing part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a kitchen system includes a lower cooking system 100 and a lower kitchen system 100 in which a kitchen cooking utensil such as a gas stove is located, and a flue gas, food odor, water vapor, And a top hood system 200 including a stove hood and the like used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through a ventilator to prevent air pollution in the kitchen.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located in the upper kitchen system 200. When a fire or the like is sensed by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sensing unit 300,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wires installed along the connection pipe 500 The control device 600 moves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alo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450 and injects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400 located at various locations to suppress the fire.

도 2는 제어장치(6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장치(600)는 내부에 압축공기실(610)과 소화약제실(620)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공기실(610)은 연결파이프(500)와 연결되어있는데, 연결파이프(500)를 따라 설치된 와이어의 끝단에 탄성부(612)와 탄성부(612) 아래에 끝이 뾰족한 바늘과 같은 첨부(613)가 위치하고 있으며, 탄성부(612)와 첨부(613)사이에는 압축판(614)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 전에는 와이어가 당겨져 탄성부(612)가 압축판(614)에 의하여 압축되어 첨부(613)가 압축공기실(610)의 공기막(611)과 직접 닿지 않으나, 화재가 감지되어 와이어가 이완되면 압축된 탄성부(612) 역시 이완되며 첨부(613)가 공기막(611)을 뚫게 되어 압축공기가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뚫어진 공기막(611)을 통하여 방출되는 압축공기는 가스파이프(630)을 따라 소화약제실(620)로 공급된다. 소화약제실(620)에서 압축공기는 소화약제와 혼합되고, 분사파이프(450)를 따라 이동되어 분사노즐(400)에서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2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600.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600 includes a compressed air chamber 610 and an extinguishing agent chamber 620 therein. The compressed air chamber 6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00. The compressed air chamber 610 is attached to the end of a wire installed along the connection pipe 500 with an elastic portion 612 and an attachment such as a pointed needle under the elastic portion 612 And a compression plate 614 is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portion 612 and the attachment 613. The compression plate 614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portion 612 and the attachment 613. [ Therefore, before the fire is detected, the wire is pulled so that the elastic portion 612 is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plate 614 so that the attachment 613 does not directly touch the air film 611 of the compressed air chamber 610, The compressed elastic portion 612 also relaxes and the attachment 613 pierces the air membrane 611 to release the compressed air.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pened air membrane 611 is supplied to th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620 along the gas pipe 630. In th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620, the compressed air is mixed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moved along the injection pipe 450, and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400.

도 3은 종래의 소화설비 기계식 감지부(300)를 구체적으로 도시화한 것이고, 도 4는 종래의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기계식 감지부(300)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분리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화설비 기계식 감지부(300)는 상부베이스(310) 양측에 연결부를 가진 돌출부(311)를 포함하고, 상부베이스(310) 하면에 힌지결합한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를 포함하며, 제1힌지바(312), 제2힌지바(313) 및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의 결합부에는 와이어(314)가 걸쳐져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314)는 연결파이프(500)를 통하여 제어장치(6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은 와이어(314)를 내측방향으로 서로 당기는 형태로 위치하고 이를 퓨저블링크(fusible link, 320)가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의 돌기(315)에 걸려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를 고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2)에 걸쳐 연결된 와이어 역시 제어장치(600) 내에 위치하는 탄성부(612)을 당겨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FIG. 3 is a detailed view of a conventional fire extinguishing system mechanical sensing unit 300, and FIG. 4 shows a separated form when a fire extinguishing system mechanical sensing unit 300 of a conventional kitchen system senses a fire. 3 and 4, a conventional fire extinguishing system mechanical sensing part 300 includes a protrusion 311 having a connection part on both sides of an upper base 310, and a first hinge part 310 hing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310,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nd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nd the wire 3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6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500. The wire 3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500. [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re positio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ires 314 are pulled inward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a fusible link 3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re fixed to the protrusion 315 of the bar 313. Accordingly, the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2 also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by pulling the elastic part 612 located in the control device 600.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에 따른 주변온도상승에 따라 퓨저블링크(320)가 녹게 된다. 즉,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를 고정하고 있던 퓨저블링크(320)가 녹아, 더 이상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를 고정시킬 수 없게 된다. 퓨저블링크(320)가 녹게 되면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는 더 이상 내측방향으로 와이어(314)를 당겨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는 서로 벌어지며, 와이어(314) 역시 이완된다. 도 4에서 퓨저블링크(320)이 녹아 끊어진 상태에서 와이어(314)가 이완됨을 확인할 수 있다. 팽팽하게 당겨진 와이어(314)의 끝에는 탄성부(612)와 첨부(613)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와이어(314)가 이완됨에 따라 압축판(614)이 더 이상 탄성부(612)을 압축할 수 없어 탄성부(612) 역시 이완되고 압축된 탄성부(6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첨부(613)는 압축공기실(610) 내부의 공기막(611)과 충돌하여 공기막(611)을 뚫게 되는 것이다. 공기막(611)이 뚫리면 압축공기가 방출되고 이후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However, when a fire occurs, the fuse blink 320 melts as the ambient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fire.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fuse blink 320 is melted to fix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I will not.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can no longer be pulled inward to fix the wire 314 so that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can not be fixed. Bar 313 flared together, and wire 314 also relaxed. In FIG.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re 314 is relaxed in a state where the fuse blink 320 melts and is broken. Since the elastic portion 612 and the attachment 613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wire 314 which is pulled tightly, the compression plate 614 can no longer compress the elastic portion 612 as the wire 314 is relaxed, The attachment 613 also collides with the air film 611 inside the compressed air chamber 61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612 which is relaxed and compressed so that the air film 611 is pierced. When the air membrane 611 is pierced, compressed air is released, and the subsequent process is as described above.

퓨저블링크(320)은 감열체 중 이융성 금속으로 융착되거나 이융성 물질에 의하여 조립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으로부터 퓨저블링크(320)로 열이 전달되어 퓨저블링크(320)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이융성 물질이 녹기 시작하며, 표면온도가 선택된 이융성물질에 의하여 결정되는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이융성 물질이 녹아서 이탈하고 장치가 열리면서 내측으로 당기는 형태의 와이어가 외측으로 밀게되므로 압축공기실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a fire occurs,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flame to the fuser blink 3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fuser blink 320 rises. As a result, the fuser blink 320 is heated As the molten material begins to melt and the surface temperature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selected fusible material, the molten material melts away and the device is opened and the wire pulling inward is pushed outward, And the like.

그러나, 퓨저블링크(320)를 제1힌지바(312)와 제2힌지바(313)에 걸어 이용하는 기계식 감지부는 감지부가 위치하여야 할 곳에 모두 제1힌지바(312), 제2힌지바(313)를 설치하고 이를 퓨저블링크(320)로 고정하여야 하며, 주방 곳곳에 감지부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설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시간 역시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echanical sensing unit using the fuser blink 320 on the first hinge bar 312 and the second hinge bar 313 is provided with a first hinge bar 312, a second hinge bar 313 And it is necessary to fix it with the fuser blink 320. If the sensing part is installed in the kitchen,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also long.

도 5는 전자식 감지부가 적용된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kitchen system to which an electronic sensing unit is applied.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식 감지부가 적용된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는 전자식 감지부에서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을 감지하면, 이를 수신기(730)에서 수신하여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작동시켜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작동방식은 기계식과 유사하며, 단지 감지수단으로서 온도센서(740) 등의 전자식 감지부를 이용하는 점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이용한다는 점, 온도센서(7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기(73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기계식과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전자식 감지부의 경우, 온도센서(740)를 별도의 수신기(73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수신기(730) 설치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고온 다습한 주방환경의 특성 상 수신기(730)가 빈번하게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또한 발생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he kitchen system to which the electronic sensing unit is applied senses a temperature rise due to fire occurrence in the electronic sensing unit, receives the sensed temperature rise at the receiver 730, operates the solenoid valve 640, . The operation method is similar to that of the mechanical type, except that an electronic sensing part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740 is used as a sensing means and a solenoid valve 640 is used to supply compressed ai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temperature sensor 740 And a receiver 730 for processing the signals.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sensing unit, since the temperature sensor 740 is connected to a separate receiver 730,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eceiver 730 is additionally incurred,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t and humid kitchen environment, Frequent malfunctions also occur.

따라서, 기계식 감지부와 전자식 감지부의 모두 설치곤란의 문제점 또는 기기오작동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곤란한 면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안전성이 높은 감지수단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difficulty in installing both the mechanical sensing unit and the electronic sensing unit, or a malfunction of the devic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ositively utilize it.

한국 공개 특허 2006-0064211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6-00642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식 감지부와 기계식 감지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에 전기식 감지부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use an electric sensing unit in a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kitchen system to solve problems of an electronic sensing unit and a mechanical sensing unit.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주방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감지 시, 스위칭되어 압축공기실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실과 연결된 소화약제실에 공급되고 상기 소화약제실의 소화약제가 압축공기와 함께 주방시스템 상부에 설치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로서, 마이크로스위치부 또는 바이메탈스위치부를 이용하고, 스위치의 양단자를 각각 전원부와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하여 설치를 간단히 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n upper part of a kitchen system to switch a solenoid valve of a compressed air chamber when a fire is detected to supply compressed air to an extinguishing agent chamber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chamber, A micro switch unit or a bimetal switch unit is used a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for spraying through a nozzl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system and both ends of the swit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ower unit and a solenoid valve.

또한, 마이크로스위치부의 작동부는 화재감지부와 연결되어 화재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시 화재감지부가 변형되어 마이크로스위치가 스위칭되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of the micro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e sensing part,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fire, the fire sensing part is deformed to switch the microswitch and open the solenoid valve to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또한, 바이메탈스위치부는 화재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시 스위칭되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고자 한다.
Also, the bimetal switch unit is switch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fire, and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to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는 주방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감지 시, 스위칭되어 압축공기실의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열어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실(610)과 연결된 소화약제실(620)에 공급되고 상기 소화약제실(620)의 소화약제가 압축공기와 함께 주방시스템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로서,The fire detection system of the kitche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system and is switched when a fire is detected to open the solenoid valve 640 of the compressed air chambe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which is supplied to a connected fire extinguishing agent room 620 and which extinguishe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room 620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through an injection nozzle 400 installed on a kitchen system,

상기 전기식 감지부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부(810); 솔레노이드밸브(640)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 및 화재감지 시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를 연결하는 화재감지스위칭부를 포함한다.The electric sensing unit include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unit 810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20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640; And a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unit 810 and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unit 820 when a fire is detected.

또한, 상기 화재감지스위칭부는 마이크로스위치부(840),누름부(850), 탄성부(860) 및 화재감지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부(830)가 상기 누름부(850)를 누르면서, 상기 누름부(850)가 상기 탄성부(860)를 압축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부(840)의 작동부(846)를 누르게 되며, 상기 화재감지부(830)가 화재감지시, 상기 화재감지부(830)가 변형되어 상기 누름부(850)가 하강하여,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작동부(846)를 작동시켜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가 스위칭된다.The fire sensing switch unit includes a micro switch unit 840, a pressing unit 850, a resilient unit 860 and a fire sensing unit 830. The fire sensing unit 830 is connected to the pushing unit 850, The pressing portion 850 compresses the elastic portion 860 and presses the operating portion 846 of the micro switch portion 840. When the fire sensing portion 830 detects a fire, The sensing portion 830 is deformed and the push portion 850 is lowered to operate the operation portion 846 of the micro switch to switch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10 and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20.

또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부(840)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와 연결되는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연결되는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를 연결하는 레버(845);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845)는 상기 작동부(846)에 의하여 변형된 탄성부재(844)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846)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844)가 복원될 때,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를 연결한다.The micro switch unit 840 includes a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unit 820; A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unit 810; And a lever 845 connecting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The lever 845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844 deformed by the operation portion 846 And connects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when the elastic member 844 is restor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846. [

또한, 상기 화재감지부(830) 하단에서 상기 화재감지부(830)을 고정하는 고정부(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unit 83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870 for fixing the fire detection unit 830 at the lower end of the fire detection unit 830.

또한, 상기 화재감지스위칭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와 연결되는 제1단자(940);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연결되는 제2단자(950); 상기 화재발생에 따른 온도상승 시 상기 제1단자(940)와 제2단자(950)를 연결하는 바이메탈스위치부(9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includes a first terminal 940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unit 820; A second terminal 95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10; And a bimetal switch unit 910 for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940 and the second terminal 950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fire.

또한, 상기 제1단자(940)와 상기 제2단자(950)는 화재감지스위칭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하단의 공간부(920)에 상기 바이메탈스위치부(9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940 and the second terminal 950 ar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and the bimetal switch unit 910 is disposed in the lower space 920 .

또한, 상기 공간부(920)의 외측에는 흡열판(93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a heat absorbing plate 9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pace portion 9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에 전기식 감지부를 이용하여 전자식 감지부와 기계식 감지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electronic sensing unit and the mechanical sensing unit by using the electric sensing unit in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he kitchen system.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주방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감지 시, 스위칭되어 압축공기실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실과 연결된 소화약제실에 공급되고 상기 소화약약제실의 소화약제가 압축공기와 함께 주방시스템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로서, 마이크로스위치부 또는 바이메탈스위치부를 이용하며, 스위치의 양단자를 각각 전원부와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하여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n upper part of a kitchen system to switch a solenoid valve of a compressed air chamber when a fire is detected to supply compressed air to a fir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chamber, A micro-switch unit or a bimetal switch unit is used as a fire-extinguishing system electrical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tha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and a solenoid valve so as to simplify installation .

또한, 마이크로스위치부의 작동부는 화재감지부와 연결되어 화재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 시 화재감지부가 변형되어 마이크로스위치가 스위칭되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of the micro switch part is connected to the fire sensing part,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fire occurrence, the fire sensing part is deformed so that the micro switch is switched and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또한, 바이메탈스위치부는 화재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시 스위칭되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metal switch unit is switch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the solenoid valve can be opened to fire the extinguishing agent.

도 1 은 기계식 감지부가 적용된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기계식 감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기계식 감지부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분리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전자식 감지부가 적용된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가 적용될 수 있는 주방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마이크로스위치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바이메탈스위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kitchen system to which a mechanical sensing part is applied.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3 show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mechanical sensing unit of a conventional kitchen system.
FIG. 4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form when a mechanical detection unit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conventional kitchen system senses a fire.
5 show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kitchen system to which an electronic sensing unit is applied.
FIG. 6 illustrates a kitchen system to which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par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llustrat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icroswitch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the kitche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al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par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al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8 and 19 illustrate a bimetal switch unit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가 적용될 수 있는 주방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는 종래와 달리 전기식이므로 종래의 기계식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계식 소화설비감지부(300)와 와이어로 연결된 탄성부(612) 및 첨부(613)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식이므로 기계식 장치에서 요구된 와이어와 기계식 충격을 가하여 압축공기실(610)의 공기막(611)을 뚫는 첨부(613)와 탄성부(612)와 같은 구성자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기계식 설비에서 첨부, 탄성부(612)와 같이 압축공기실(610)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이용한다.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스위칭되어 전류가 흐르면 작동하여 개방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스위칭이 되지 않으면 솔레노이드밸브(640)는 닫혀 있게 되어 압축공기가 소화약제실로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발생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고 스위칭되면, 솔레노이드밸브(640)에 전류가 흘러 밸브가 개방되고 개방된 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소화약제실로 공급되어 소화약제가 압축공기와 함께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FIG. 6 illustrates a kitchen system to which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he kitche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system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the mechanical extinguishing system sensing unit 300 as shown in FIG. 2 of the related art, the elastic unit 612 connected with the wire, 613).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f the electric typ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ructure itself such as the attachment part 613 and the elastic part 612 for piercing the air film 611 of the compressed air chamber 610 by applying the wire and the mechanical impact required in the mechanical device And therefore the configuration is si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 a solenoid valve 640 as a device for opening a compressed air chamber 610, such as the resilient portion 612, in a conventional mechanical facility. The solenoid valve 640 is switched and opened when the current flows, and is closed when the current does not flow. Therefore, if no fire occurs, the solenoid valve 640 is closed and no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room.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the sensing unit senses and switches,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olenoid valve 640 to open the valve and supply the compressed air to th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through the opened valve, And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400.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기식 감지부의 한 단자는 전원과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솔레노이드밸브(64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칭되지 않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솔레노이드밸브(640)가 닫힌 상태가 되고, 스위칭되면 전류가 흘러 솔레노이드밸브(640)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6, since one terminal of the electric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640, current does not flow unless the solenoid valve 640 is closed, so that the solenoid valve 640 is closed. The solenoid valve 640 is opened.

또한 전기식 감지부는 전원과 솔레노이드밸브(640) 사이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므로, 복수 개의 전기식 감지부를 곳곳에 설치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sensing unit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solenoid valve 640, a plurality of electric sensing units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to detect a fir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화재감지부(830)가 화재를 감지하기 전의 상태이며, 도 9는 화재감지부(830)가 화재를 감지하여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9는 모두 마이크로스위치부(840) 및 화재감지부(830)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스위칭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부(840)와 화재감지부(830)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스위칭부는 화재감지부(830)가 화재감지 시, 변형되어 마이크로스위치부(840)의 작동부(846)를 작동시켜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가 스위칭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par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state before the fire detection unit 830 detects a fire, FIG. 9 shows a state where the fire detection unit 830 detects a fire, and FIGS. 7 to 9 show the microswitch unit 840, and a fire detection unit 830. As shown in FIG. 7 to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including a micro switch unit 840 and a fire detection unit 830 detects a fire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830 detects a fi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10 and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20 are switched by actuating the operation portion 846 of the switch portion 840.

도 10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마이크로스위치부(840)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인데, 도 10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화재감지부(830)가 상단의 작동부(846)를 누르고 있어, 작동부(846)는 레버(845)를 눌러 탄성부재(844)가 압축된 상태가 되며, 레버(845)가 작동부(846)에 눌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가 레버(845)에 의하여 연결되지 못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0 and 11 illustrat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icro switch unit 840 of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al sensing unit of the kitche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0 and 11, 830 press the upper operating portion 846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846 pushes the lever 845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844 and the lever 845 is pressed against the operating portion 846,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can not be connected by the lever 845 and no current flows.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화재감지부(830)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작동부(846)가 더 이상 레버(845)를 누르지 못하게 됨에 따라 압축된 탄성부재(844)가 복원되면서, 레버(845)가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를 연결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결과, 솔레노이드밸브(640)가 열려 최종적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이다. However, when a fire occurs and the temperature rises, deformation occurs in the fire sensing portion 830, and as the operation portion 846 can no longer press the lever 845,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844 is restored The lever 845 connects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to flow current so that the solenoid valve 640 is opened and the extinguishing agent finally flows into the injection nozzle 400 ).

이때, 화재감지부(830)로 이용되는 것은 유리벌브나 퓨즈 등 온도에 의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는 장치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유리벌브의 경우 온도상승에 따라 유리벌브가 깨지므로, 더 이상 작동부(846)를 누를 수 없게 되고, 퓨즈의 경우 온도상승에 따라 녹아 더 이상 작동부(846)를 누를 수 없게 되므로, 탄성부재(844)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레버(845)가 하강하여 제1 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가 연결되고,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fire detector 830 may be a device or a material that is deformed in shape by a temperature such as a glass bulb or a fuse. In the case of a glass bulb, the glass bulb breaks due to temperature rise. The elastic member 84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ever 845 is lowered as the fuse is melted due to a rise in temperature and can no longer press the operating portion 846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urrent flows.

즉,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동안에는 누름부(850)가 화재감지부(830)에 의하여 눌러져, 탄성부(860)를 압축하며 작동부(846)을 누르고 있어 마이크로스위치부에서 스위칭이 되지않으나, 화재발생에 따라 화재감지부(830)이 변형되어 더 이상 누름부(850)을 누르지 못하게 되고, 압축된 탄성부(860)는 복원되어 누름부(850)를 아래로 밀게되므로 작동부(846)가 레버(845)를 더 이상 역시 계속 누를 수 없게 되어 스위칭이 되는 것이다. That is, while the fire is not generated, the pushing part 850 is pressed by the fire sensing part 830 to compress the elastic part 860 and press the operating part 846, The fire sensing portion 830 is deformed and no longer can press the pressing portion 850. The compressed elastic portion 860 is restored and pushes the pressing portion 850 downwardly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846 Lever 845 can no longer be depressed any further and is thus switched.

도 7 내지 도 11은 최초에 작동부(846)를 화재감지부(830)가 누름부(850)를 눌러 작동부(846)를 누른 상태에서 설치되고, 화재감지부(830)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작동부(846)의 눌림이 해제되어 스위칭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으로서 화재감지부(830)의 변형에 의하여 작동부(846)가 동작하는 다양한 마이크로 스위치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화재감지부(830)가 탄성을 가진 퓨즈여서, 화재감지부(830)가 누름부(85)를 당겨 작동부(846) 역시 당겨진 상태로 레버(845)가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감지에 따라 퓨즈가 녹아 작동부(846)를 더 이상 당기지 못할 때 레버(845)가 원래 위치로 돌아와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를 연결할 수 도 있다. 7 to 11 illustrate that the operation portion 846 is initially installed while the operation portion 846 is pressed by the fire sensing portion 830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850 and the fire sensing portion 830 detects the fir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846 is released and switched.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various micro-switches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846 is opera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ire sensing portion 830, Can be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fire sensing part 830 is a resilient fuse, the fire sensing part 830 pulls the pressing part 85 so that the lever 845 is pulled by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When the fuse melts and the operating portion 846 can no longer be pulled due to fire detection, the lever 84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may be connected.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6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and 1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 to 17 are perspective views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흡열판(930)을 포함하지 않으나,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는 흡열판(930)을 포함하여 양자는 구분된다. 그러나, 흡열판(930)은 열을 더 잘 흡수하여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구성일 뿐, 흡열판(930)의 존부 이외의 구성은 양자가 동일하여 화재감지에 의한 스위칭 동작 원리 역시 동일하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2 to 14 does not include the endothermic plate 930, but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5 to 17 includes the endothermic plate 930, and both are distinguished. However, the endothermic plate 930 is a structure for absorbing heat to promote the reaction more easily, and the constitution other than the endothermic plate 930 is the same, and the principle of switching operation by the fire detection is also the same.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의 바이메탈스위치부(910)를 도시한 것이다. 바이메탈은 열팽창계수가 매우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 장으로 만든 막대 형태의 부품으로, 열을 가했을 때 휘는 성질을 이용해 기기를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FIGS. 18 and 19 show a bimetal switch unit 910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electric sensing unit of a kitche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metal is a rod-shaped part that is made up of two sheets of thin metal plates with very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nd is made up of a single sheet. The bimetal can be u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pparatus by using the bending property when heat is applied.

즉, 평소에는 스위칭이 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따라 제1단자(940)에 설치된 바이메탈스위치부(910)가 제2단자(950)로 휘어져서 스위칭이 되게 하거나 그 반대로 제2단자(950)에 설치된 바이메탈스위치부(910)가 제1단자(940)로 휘어져 스위칭 되게 함으로써, 전류를 흐르게 하고,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열어 최종적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is raised due to a fire, the bimetallic switch unit 910 provided on the first terminal 940 is moved to the second terminal 950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e bimetal switch portion 910 provided on the second terminal 950 is bent to be switched to the first terminal 940 so that current flows and the solenoid valve 640 is opened to finally extinguish So that the medicine is sprayed.

또한, 전기식 감지부의 상단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sensing part,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100 : 하부주방시스템 200 : 상부주방시스템
300 : 소화설비감지부
310 : 상부베이스 311 : 돌출부
312 : 제1힌지바 313 : 제2힌지바
314 : 와이어 315 : 돌기
320 : 퓨저블링크
400 : 분사노즐 450 : 분사파이프
500 : 연결파이프 600 : 제어장치
610 : 압축공기실 611 : 공기막
612 : 탄성부 613 : 첨부
614 : 압축판
620 : 소화약제실 630 : 가스파이프
640 : 솔레노이드밸브
700 : 전원부 710 : 전원연결선
720 : 솔레노이드밸브연결선 730 : 수신기
740 : 온도센서
800 : 마이크로스위치 방식 전기식감지부
810 : 전원연결단자부 820 :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
830 : 화재감지부 840 : 마이크로스위치부
841 :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 842 :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
843 : 중립단자 844 : 탄성부재
845 : 레버 846 : 작동부
850 : 누름부 860 : 탄성부
870 : 고정부
900 : 바이메탈스위치 방식 전기식감지부
910 : 바이메탈스위치부 920 : 공간부
930 : 흡열판 940 : 제1단자
950 : 제2단자
100: Lower Kitchen System 200: Upper Kitchen System
300: Fire extinguishing facility sensing unit
310: upper base 311:
312: first hinge bar 313: second hinge bar
314: wire 315: projection
320: Fuser blink
400: injection nozzle 450: injection pipe
500: connection pipe 600: control device
610: Compressed air chamber 611: Air film
612: elastic part 613: attached
614: Compression plate
620: Extinguishing agent room 630: Gas pipe
640: Solenoid valve
700: Power supply unit 710: Power supply line
720: Solenoid valve connection line 730: Receiver
740: Temperature sensor
800: micro-switch type electrophoresis
810: Power connection terminal part 820: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art
830: Fire detection unit 840: Microswitch unit
841: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2: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3: Neutral terminal 844: Elastic member
845: lever 846:
850: pressing portion 860: elastic portion
870:
900: Bimetal switch type electric touch screen
910: Bimetal switch part 920: Space part
930: endothermic plate 940: first terminal
950: second terminal

Claims (7)

주방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감지 시, 스위칭되어 압축공기실의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열어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실(610)과 연결된 소화약제실(620)에 공급되고 상기 소화약제실(620)의 소화약제가 압축공기와 함께 주방시스템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로서,
상기 전기식 감지부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부(810);
솔레노이드밸브(640)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 및
화재감지 시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를 연결하는 화재감지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And is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kitchen system and is switched when a fire is detected to open a solenoid valve 640 of the compressed air chamber so that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extinguishing agent chamber 620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chamber 610,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4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kitchen system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The electric sensing unit
A pow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10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20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640; And
And a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unit 810 and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unit 820 when a fire is det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스위칭부는
마이크로스위치부(840),누름부(850), 탄성부(860) 및 화재감지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부(830)가 상기 누름부(850)를 누르면서, 상기 누름부(850)가 상기 탄성부(860)를 압축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부(840)의 작동부(846)를 누르게 되며,
상기 화재감지부(830)가 화재감지시, 상기 화재감지부(830)가 변형되어 상기 누름부(850)가 하강하여,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작동부(846)를 작동시켜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가 스위칭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A micro switch portion 840, a pressing portion 850, an elastic portion 860, and a fire sensing portion 830,
The pressing part 850 compresses the elastic part 860 and presses the operating part 846 of the micro switch part 840 while the fire sensing part 830 presses the pressing part 850,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830 detects a fire, the fire detection unit 830 is deformed and the pushing unit 850 is lowered to operate the operation unit 846 of the microswitch, And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unit 820 are switch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부(840)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와 연결되는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연결되는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를 연결하는 레버(845);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845)는 상기 작동부(846)에 의하여 변형된 탄성부재(844)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846)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844)가 복원될 때,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단자(841)와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단자(842)를 연결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cro switch unit 840
A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20;
A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unit 810;
And a lever 845 connecting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and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The lever 845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844 deformed by the operation portion 846 The first micro switch terminal 8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 switch terminal 842 when the elastic member 844 is restor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846, Of electrical fire detection equip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830) 하단에서 고정하는 고정부(870)를 더 포함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감지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xing unit (870) for fixing the fire detection unit (830) at a lower end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스위칭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연결단자부(820)와 연결되는 제1단자(940);
상기 전원연결단자부(810)와 연결되는 제2단자(950);
상기 화재발생에 따른 온도상승 시 상기 제1단자(940)와 제2단자(950)를 연결하는 바이메탈스위치부(910)를 포함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A first terminal 940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20;
A second terminal 95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810;
And a bimetal switch unit (910) for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940) and the second terminal (950)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fi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940)와 상기 제2단자(950)는 화재감지스위칭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하단의 공간부(920)에 상기 바이메탈스위치부(9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erminal 940 and the second terminal 950 are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e detection switching unit,
And the bimetal switch unit (910) is disposed in the lower space (9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920)의 외측에는 흡열판(93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endothermic plate (930) is disposed outside the space (920).
KR1020130104795A 2013-09-02 2013-09-02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KR101460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95A KR101460169B1 (en) 2013-09-02 2013-09-02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95A KR101460169B1 (en) 2013-09-02 2013-09-02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169B1 true KR101460169B1 (en) 2014-11-10

Family

ID=5228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95A KR101460169B1 (en) 2013-09-02 2013-09-02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16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077A (en) * 2015-04-01 2016-10-11 김종원 Mechanical fire extinguish equipment
KR101872727B1 (en) * 2016-12-30 2018-06-29 김종원 Automatic diffusion fire extinguisher
KR20190010320A (en) * 2017-07-21 2019-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ystems for detecting cryogenic fluid spill
KR20190137236A (en) * 2018-06-01 2019-12-11 양도형 Self-extinguishing device with no electricity
CN113424287A (en) * 2018-12-17 2021-09-21 泰科消防产品有限合伙公司 Fire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with high temperature connector
KR102349374B1 (en)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Automatic operating device of extinguisher on fi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37A (en) * 1998-02-09 1999-09-06 이기원 Automatic fire extinguisher using temperature fuse
JP3353213B2 (en) * 1993-12-22 2002-12-03 能美防災株式会社 Container fire extinguisher
KR20060025778A (en) * 2004-09-17 2006-03-22 김인식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JP2011050581A (en) * 2009-09-02 2011-03-17 Bridgestone Corp Simple automatic fire-extinguish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213B2 (en) * 1993-12-22 2002-12-03 能美防災株式会社 Container fire extinguisher
KR19990069437A (en) * 1998-02-09 1999-09-06 이기원 Automatic fire extinguisher using temperature fuse
KR20060025778A (en) * 2004-09-17 2006-03-22 김인식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JP2011050581A (en) * 2009-09-02 2011-03-17 Bridgestone Corp Simple automatic fire-extinguishing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077A (en) * 2015-04-01 2016-10-11 김종원 Mechanical fire extinguish equipment
KR101707631B1 (en) * 2015-04-01 2017-02-16 김종원 Mechanical fire extinguish equipment
KR101872727B1 (en) * 2016-12-30 2018-06-29 김종원 Automatic diffusion fire extinguisher
KR20190010320A (en) * 2017-07-21 2019-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ystems for detecting cryogenic fluid spill
KR102027491B1 (en) * 2017-07-21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ystems for detecting cryogenic fluid spill
KR20190137236A (en) * 2018-06-01 2019-12-11 양도형 Self-extinguishing device with no electricity
KR102099078B1 (en) * 2018-06-01 2020-04-09 양도형 Self-extinguishing device with no electricity
CN113424287A (en) * 2018-12-17 2021-09-21 泰科消防产品有限合伙公司 Fire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with high temperature connector
KR102349374B1 (en)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Automatic operating device of extinguisher on f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169B1 (en) Electric detector of fire suppression device for kitchen system
US4830116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US3653443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cook stoves and ranges
US6029751A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8230939B1 (en) Cookstove fire extinguishing system
US8899342B2 (en) Safety apparatus
US20050229918A1 (en) Grill safety systems and methods
US20120048577A1 (en) Fire suppression device
US20090321093A1 (en) Home kitchen fire suppression system
US9243806B2 (en) Gas-fired kitchen appliance
JPH026541B2 (en)
JP5622932B2 (en) Gas safety device
WO2016024267A9 (en) Fire suppression device
KR101713232B1 (en) Commerci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ratus
KR200482272Y1 (en) electricity leakage breaker of automatic fire-extinguisher
US20070240887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US20200306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oling agent to a gas-fueled cooking appliance to aid in fire suppression
US114913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ire suppression agent to an obstructed gas appliance
KR20000008863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gas oven
CN208907642U (en) Air door is tempered detection device and gas-cooker
CN205402812U (en) Kitchen fire protection system
WO2007051240A1 (en) Automated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658077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kitchen fire suppression
EP2531774A2 (en) Timer of a household gas burner
KR19990069437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using temperature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