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420B1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420B1
KR101459420B1 KR1020080083896A KR20080083896A KR101459420B1 KR 101459420 B1 KR101459420 B1 KR 101459420B1 KR 1020080083896 A KR1020080083896 A KR 1020080083896A KR 20080083896 A KR20080083896 A KR 20080083896A KR 101459420 B1 KR101459420 B1 KR 10145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ensor
automatic transmission
sensor
speed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214A (ko
Inventor
김종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4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0Out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4Gearboxes combined or connected with electric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16H2057/0235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specially adapted to allow easy accessibility and re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장착되는 차량용 속도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의 구성부품이 속도센서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서 자동변속기 정비 시 분해 및 조립의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하는 속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종동축에 대한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동변속기 내부에 장착되는 속도센서에 있어서, 상기 속도센서의 외주면이 슬라이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속도센서의 일단에 형성되는 환턱부와 센서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속도센서가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를 제공한다.
속도센서, 센서하우징, 탄성부재, 스토퍼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LENGTH-ADJUSTABLE SPEED SENSOR ASSEBMLY}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장착되는 차량용 속도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의 구성부품이 속도센서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서 자동변속기 정비 시 분해 및 조립의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변속기의 기어로부터 발생되는 래틀노이즈를 댐핑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는 동력의 단속 시에 필연적으로 마모를 수반하는 마모성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구성부품들을 교환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클러치의 구성부품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변속기를 엔진으로부터 탈거해야만 한다.
특히, 6속 자동변속기의 정비시 주축의 원웨이클러치를 비롯한 캐리어 조립체를 탈거하여야 한다.
하지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속도센서(10)는 차량속도가 고도로 정확하 게 검출될 수 있도록 자동변속기 중앙에 위치한 출력축(미도시) 상에 연동되는 파킹 기어(미도시)의 톱니(미도시)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주축부 후방의 분해 시 원웨이클러치(20)부터 하측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부품들이 속도센서(10)의 분리시에 직선방향으로 간섭되므로 속도센서(10)와 관련되어 구성되어 있는 부품인 밸브바디 덮개(미도시), 조작계 부품(미도시), 밸브바디(미도시), 전장부품(harness assembly ; 미도시) 등을 연속적으로 탈거하여야 트랜스미션 주축부의 후방 분해가 가능해진다.
즉, 클러치의 구성부품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밸브바디 측 관련부품을 전부 탈거하여야만 전장부품(Harness Assy)을 탈거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부품이나 이에 연결된 파킹관련 부품을 불필요하게 분해 조립해야만 하므로 작업성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기의 구성부품을 정비할 때 속도센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속도센서가 각종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분해 시 내부의 부품에 대한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정비성 개선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는 차량의 종동축에 대한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동변속기 내부에 장착되는 속도센서에 있어서, 상기 속도센서의 외주면이 슬라이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속도센서의 일단에 형성되는 환턱부와 센서하우징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속도센서가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대응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에 의하면, 자동변속기의 구성부품을 교환할 때 속도센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속도센서와 간섭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분해 및 조립의 작업 공수를 감소시키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속도센서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출력측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속도센서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속도센서 조립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하우징(110) 및 센서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센서본체(120)가 결합되어 속도센서(100)가 구성된다.
상기 속도센서(100)는 예를 들면 공지의 펄스 제너레이터(pulse generator)일 수 있다.
상기 속도센서(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원둘레를 따라 단턱지도록 환턱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속도센서(100)를 자동변속기에 장착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장착수단인 속도센서(100)를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미도시)이나 위치결정돌기(미도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턱부(130)와 상기 센서하우징(110)의 마주하는 면에 탄성부재(140)가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4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상기 속도센서(100)가 탄성지지됨과 동시에상기 센서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된다.
한편, 상기 센서하우징(110)의 외주면 일측에 원형이나 그 밖에 다양한 형태로 걸림홈(150)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150)에 대응되어 걸림작용될 수 있도록 스토퍼(150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50a)를 이용하면 속도센서(100)를 후퇴시킨 후 일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변속기의 분해 및 조립 시 작업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도센서(100)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변속기케이스(300)를 분해한다.
이후,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도센서(100)를 변속기케이스(300)의 외측으로 가압하면 속도센서(100)가 탄성부재(140)에 의해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압축되므로 하측에 위치하는 원웨이클러치(300)부터 하측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부품들을 속도센서(100)의 간섭 없이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토퍼(150a)를 걸림홈(150)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끼워지도록 누르면 속도센서(100)를 압축시킨 상태로 일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작업환경을 만들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속도센서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출력측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속도센서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속도센서가 적용된 자동변속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분 부호설명 *
100 : 속도센서 110 : 센서하우징
120 : 센서본체 130 : 환턱
140 : 탄성부재 150 : 걸림홈
150a: 스토퍼 200 : 원웨이클러치
300 : 변속기케이스

Claims (3)

  1. 차량의 종동축에 대한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동변속기 내부에 장착되는 속도센서에 있어서,
    상기 속도센서가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센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속도센서의 일단에 형성되는 환턱부와 센서하우징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속도센서가 탄성지지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KR1020080083896A 2008-08-27 2008-08-27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KR10145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96A KR101459420B1 (ko) 2008-08-27 2008-08-27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96A KR101459420B1 (ko) 2008-08-27 2008-08-27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14A KR20100025214A (ko) 2010-03-09
KR101459420B1 true KR101459420B1 (ko) 2014-11-07

Family

ID=4217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96A KR101459420B1 (ko) 2008-08-27 2008-08-27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6040B (zh) * 2017-12-30 2024-01-02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自动变速器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459A (ja) * 2000-03-17 2001-09-26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における回転数センサ用ロ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変速機
US6490939B1 (en) * 1998-08-12 2002-12-10 Applied Composites, Inc. Position sensor and housing therefor
KR20040100457A (ko) * 2003-05-23 2004-12-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0939B1 (en) * 1998-08-12 2002-12-10 Applied Composites, Inc. Position sensor and housing therefor
JP2001263459A (ja) * 2000-03-17 2001-09-26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における回転数センサ用ロ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変速機
KR20040100457A (ko) * 2003-05-23 2004-12-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14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5072B1 (en) Spring assembly for isolator
RU2544971C2 (ru) Уда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JP6192121B2 (ja) 駆動装置
US10890254B2 (en) Shift drum drive unit and straddle type vehicle
US20150345550A1 (en) Bearing assembly
CN103930687A (zh) 液压缸、尤其是用于机动车中的离合器操纵装置的液压缸
KR20140047676A (ko) 자동차 분야의 작동장치
CN108006205B (zh) 具有改善的噪声隔离的齿轮电动机传动装置
US20170362876A1 (en) Actuato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actuator
US9156512B2 (en) Sprocket cover in straddle vehicle
WO2004084379A8 (ja)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585200U (zh) 汽车发动机曲轴轴系装置及汽车发动机
CN107148557A (zh) 编码器、保持部件、编码器的安装方法、驱动装置、机械手装置以及移动台装置
KR10145942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속도센서 조립체
EP2408596B1 (en) Mounting system for a gas gun
JP2018108808A (ja)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モータを生産する方法
KR101849064B1 (ko) 가변 압축비 내연 기관 및 그의 학습 방법
JP2014093787A (ja) モータ装置
US20170057406A1 (en) Brake light sensor module
JP2007147016A (ja) 油圧緩衝器の懸架スプリング調整装置
JP4573589B2 (ja)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20100097704A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드라이브
JP6693339B2 (ja) センサの取付構造
US9611763B2 (en) Control valve for a hydraulic apparatus with locking facility
FR2850136B1 (fr) Procede de montage d'un anneau d'arret sur un arbre de demarreur electrique muni d'un lanceur avec butee sur cannel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