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193B1 -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193B1
KR101459193B1 KR1020120136765A KR20120136765A KR101459193B1 KR 101459193 B1 KR101459193 B1 KR 101459193B1 KR 1020120136765 A KR1020120136765 A KR 1020120136765A KR 20120136765 A KR20120136765 A KR 20120136765A KR 101459193 B1 KR101459193 B1 KR 10145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axial cable
radiation
pedest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478A (ko
Inventor
훙-쉬엔 치우
첸-충 랴오
Original Assignee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2013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1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전자장치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케이스 내측의 유전 특성을 구비하는 케이스 부재 또는 별도의 유전체 베이스 바디일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 가능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고, 공진 어셈블리는 단극, 홈구멍 타입의 형태 등 기타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아니하고 절연외피 아래의 편직 메쉬를 메쉬 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후, 절연외피와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전자장치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에 있어서, 대부분의 안테나 재료들은 예컨대 경성 인쇄 회로 기판(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금속 박판 등을 선택하여 미리 소정의 사이즈로 제조 형성한 후, 소정의 사이즈로 탈피된 동축 케이블과 용접 또는 리베팅하여 조립한다. 동축 케이블의 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순차적으로 포지티브 컨덕터(심선(1)이라고도 함), 절연체(2), 그라운드 컨덕터(편직 메쉬(3)라고도 함), 절연외피(4)로 구성된다.
하지만 안테나에 대한 사전 제조 성형이 시간과 원가를 증가할뿐더러, 소정의 사이즈로 탈피된 동축 케이블에 대한 커팅 시간과 원가를 보다 소요하며, 또한 작은 공간에서 안테나 용접기술을 실시하기에 장애가 상대적으로 크고, 동축 케이블과 조립시에도 불량률이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용접방식을 사용하여 조립하려면 공기 필터링 장치를 더 추가 구매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선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개량식 안테나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핸드헬드 타입의 전자장치 및 무선신호를 구비하는 장치 등 일수 있는 바, 예컨대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전화, 텔레비전 또는 무선 공유기 등 일수 있으며,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당해 케이스 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케이스 내측의 유전 특성을 구비하는 케이스 부재(예컨대 전자장치 케이스 내측의 리브, 걸림 후크 등)이거나, 또는 케이스에서 직접 성형되어 연장된 별도의 유전체 재료 베이스 바디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된다(베이스 면의 형상은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을 구비하는 형상으로서 전자장치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베이스 면의 형상은 오직 평면으로서 접착제를 통해 전자장치 내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의 위치 형상에 접착되어 결합된다).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복수개의 관심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2.4GHz 및 5GHz에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으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예컨대 단극, 홈 구멍 타입의 형태 등 기타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아니하고 절연외피 아래의 편직 메쉬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절연외피와 무선 통신장치의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오직 전기 전도 어셈블리만 가리키거나, 또는 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재료일 수 있다)가 직접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특정 사이즈로 탈피하기 위한 커팅 및 웨팅에 소모되는 시간, 원가 및 포인트 용접 기술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고 수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 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안테나 동축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 그라운드 영역의 전환점으로부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말단까지 연장되어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응하게 일부 절연외피 부분의 편직 메쉬를 제거하여 절연체와 심선을 남김으로써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을 형성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부분 내측의 편직 메쉬는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유전체로 구성되며, 케이스 내의 전기전도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을 구비하여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이 다른 불필요한 전기 전도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호 효과가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내측 부재에 의해 직접 형성되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별도의 유전체 재질의 베이스 바디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에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이 구비되어 복사 공진 영역에 대한 고정과 안테나 특성에 대한 조절이 간편하도록 하며,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홈 사이즈는 복사 공진 영역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않고 직접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와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전도체는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포함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 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대응하는 부착 위치의 편직 메쉬 외층의 적어도 일부분 절연외피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의 엔드포인트에 위치하는 심선 및 편직 메쉬는 전기전도체의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콘덴서 효과와 균등한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한 구간의 절연외피를 탈피하여 편직 메쉬를 노출하여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한 후, 절연재료를 피복하여 그 기구 강도를 제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재료 배튼을 함께 성형하거나 또는 분리 성형하여 안테나 페데스탈에 부착함으로써 안테나의 다른 안테나에 대한 격리도를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복수개의 관심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형태 구성을 통하여 2.4GHz 및 5GHz에 있는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으며, 당해 복사 공진 영역은 예컨대 단극, 홈 구멍 타입의 형태 등 기타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아니하고 절연외피 아래의 편직 메쉬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절연외피와 무선 통신장치의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오직 전기 전도 어셈블리만 가리키거나, 또는 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재료일 수 있다)가 직접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특정 사이즈로 탈피하기 위한 커팅 및 웨팅에 소모되는 시간, 원가 및 포인트 용접 기술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고 수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여러가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다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하는 또 다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유형의 전자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2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3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의 제4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의 제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의 제2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는 다른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의 제3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사 공진 영역의 정극 엔드 포인트의 심선이 커팅된 편직 메쉬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에 대해 절연외피를 제거하지 않고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하여 연장한 공진 전기전도 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페데스탈의 제1 입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페데스탈의 제2 입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환경과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의 형태 및 안테나 페데스탈의 형상을 조절하는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있어서 동축케이블의 편직 메쉬의 특정된 위치에 소정의 절연외피를 탈피하여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를 장착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있어서 동축케이블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동축케이블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동축케이블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의 수요에 따라, 전기전도재료 배튼(batten)을 증가하고, 안테나의 전류를 변화하여 안테나 격리도를 증가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의 수요에 따라 전기전도재료 배튼을 증가한 다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일반 단일 주파수 PIFA 안테나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단일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반 이중 주파수 PIFA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이중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00)는 케이스(110)에 의해 적어도 한개 그룹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할 수 있으며(도면에는 두 개 그룹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도시 함), 상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복사 공진 영역(550) 및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케이스(110) 내측의 유전특성을 구비하는 케이스부재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전체 베이스 바디이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적어도 한쪽 베이스 면이 상기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에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대응하게 장착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 면의 형상은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음),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의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도면에 도시된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또는 후술하는 전기전도체로서 예컨대 전기 전도 재료(350)를 가리킴)의 형상과 맞물려 결합하며, 또는 베이스 면의 형상은 단지 평면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자장치(100)내의 대응하는 전기전도체의 위치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일단은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장착되는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하고, 이 복사 공진 영역(55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 그라운드 영역의 전환점(전기전도체는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또는 후술하는 전기전도체로서 예컨대 전기 전도 재료(350)를 가리킴)으로부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말단까지 연장되며, 예컨대 단극, 홈구멍 타입의 형태 등 다른 안테나 형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사 공진 영역(550)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은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4)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응하게 일부 절연외피(4) 부분의 편직 메쉬(3)를 제거하여 절연체(2)와 심선(1)을 남김으로써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을 형성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4)를 제거하지 않은 부분 내측의 편직 메쉬(3)는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절연외피(4), 편직 메쉬(3), 절연체(2) 및 심선(1)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는 바, 도1을 참조하기 바람)을 형성하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 안테나 신호를 전송 및 접수하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심선(1)이고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이며, 만약 특정 신호의 수요에 의한다면 상기 복사 공진 영역(550)내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안테나 말단 부위에 일정 구간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절연외피(4) 및 편직 메쉬(3)를 보존하여 복사 엔드 포인트의 심선(1,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과 상기 보존한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를 전기 전도되게 연결함으로써 콘덴서 효과와 균등한 장치를 형성하여 안테나의 주파수 및 대역폭을 최적화 한다.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절연외피(4)를 탈피하지 아니하여 절연외피(4) 아래의 편직 메쉬(3)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절연외피(4)와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를 긴밀히 결합(절연외피(4) 및 편직 메쉬(3)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는 바 도1을 참조하기 바라며, 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또는 후에 도시하는 전기 전도 재료(350)일 수 있음)하여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발생하며, 이하에서는 전자장치(100) 및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각 부재에 대해 각각 더 설명하고자 한다.
전자장치(100)는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반드시 안테나에 의거하여 수신 또는 발신한다. 예컨대, 안테나는 컴퓨터, 휴대타입의 컴퓨터(예를 들면 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타입의 전자장치(예를 들면 이동전화) 및 무선신호장치(예를 들면 무선 공유기, 데이터 영상 저장), 텔레비전 등 전자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적절한 형태의 상황에 따르면, 안테나는 반드시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콤팩트한 전자장치에 수납되어야 한다(전자장치는 소형이면서 간편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장치의 내부 공간을 축소하면 할수록 제품의 가치를 창조할 수 있음). 이러한 콤팩트형 장치는 휴대 타입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즉 안테나를 구비 가능한 휴대 타입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손목시계 등 기타 몸에 지닐 수 있는 소형 장치 등 보다 작은 휴대 타입의 전자장치일지라도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또한 이동전화, 핸드헬드 타입의 컴퓨터, 리모컨, 라우터, 사진 스캔 비디오 무선 공유기, 게임기,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장치, 무선신호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케이스(110, 또는 외각이라 함)가 설치되며,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또는 기타 적절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케이스(110)의 일부분은 유전체 또는 기타 낮은 전기 전도율의 재료로 형성되어 안테나의 조작에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안테나가 장착 가능한 전자장치(예를 들면 휴대 타입의 컴퓨터)의 실시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하는 휴대 타입의 컴퓨터일 수 있다. 케이스(110)는 단일한 플레이트 바디일 수 있고, 상부 케이스(110A, 커버 또는 뚜껑이라고도 칭함)와 하부 케이스(110B, 케이스 저부 또는 메인 유닛이라고도 칭함)를 핀조인트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힌지(140)의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케이스 부분(110A 및 110B)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120)의 스크린은 상부 케이스(110A)의 표면에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130) 및 터치판(150)등 기타 어셈블리들은 하부 케이스(110B)에 장착할 수 있다. 키보드(130) 및 터치판(150)등의 기능은 터치형의 스크린으로 대체하여 케이스(110) 전체를 단일한 플레이트 바디로 구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 중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장착하는 구역에 있어서, 노트북을 예로 들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는 구역(200), 구역(210) 및 구역(220)이다. 구역(200)은 하부 케이스(110B)의 왼쪽 앞측에 위치한다. 구역(210)은 하부 케이스(110B)의 오른쪽 후측에 위치한다. 구역(220)은 상부 케이스(110A)의 모니터(12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는 구역(230), 구역(240) 및 구역(250)에 위치할 수도 있다. 구역(230)은 전자장치(100)의 상부 케이스(110A)의 측변에 위치한다. 구역(240)은 상부 케이스(110A)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구역(250)은 상부 케이스(110A)의 하부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다른 적절한 안테나 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상기 전자장치(100)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전자장치의 실시예와 같으며, 도면에 도시한 전자장치(100)는 핸드헬드 타입의 전자장치로서, 예컨대 모바일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헬드 타입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장치(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또는 기타 적절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120)의 스크린은 전자장치(100)의 전방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6의 모니터(120)는 터치 스크린 모니터(일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장치(100)는 스피커 포트(170) 및 기타 입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160)의 한개 또는 복수개의 버튼은 유저로 하여금 사용자의 입력을 수집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110)에 의하여 전술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할 수 있으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상기 케이스(110)내의 구역(260)에 장착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위치는 도7의 구역(270)과 구역(28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역들은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일반적으로 전술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전자장치(100)내의 임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장치(100)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한 후, 도2 및 도3을 다시 설명한다면, 전자장치(100)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 접수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의 설계에 따라 특정된 필요한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하는 싱글 밴드(single band) 또는 멀티 밴드(multi band) 안테나(즉 적어도 싱글 밴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멀티 밴드 안테나는 복수개의 모바일 전화의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Wi-Fi 통신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상이한 복사 공진 영역(550) 형태의 안테나는 상이한 주파수대 또는 주파수대의 조합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면, 영역 무선 네트워크 안테나에 사용되는 싱글 밴드 안테나 또는 멀티 밴드 안테나, 모바일 전화 통신 주파수대에 사용되는 멀티 밴드 안테나 및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 안테나에 사용되는 싱글 밴드 안테나를 형성하여야 하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는 임의 적절한 장착 구조에 장착될 수 있다. 배치가 적합한 상황에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300)은 본문에서 설명하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로 간주할 수 있음),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 구조에서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하는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 위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 및 기타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 접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복사 공진 영역(5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사 공진 영역(550)은 단극 타입 설계, 홈구멍 형태 또는 기타 복사 공진 영역(550)을 기반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은 형태 성형을 통하여 복사 공진 영역(550)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구조에 포함되며, 복사 공진 영역(550) 내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케이블 말단 중 편직 메쉬(3)를 제거한 후의 절연체(2, 심선(1)을 내포) 부분은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을 형성하고,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은 절연외피(4)를 제거하지 않고 절연외피(4) 아래의 편직 메쉬(3)를 메쉬 면(편직 메쉬(3)는 절연외피(4)내에 위치, 미도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전자장치(100)의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는 바, 도2를 참조)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복사를 발생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주파수 요구에 도달하도록 하고 그 특성을 최적화 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에서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하는 타단은 탈피를 통해 무선 주파수 소스(330)를 형성하며, 무선 주파수 소스(330)의 포지티브 컨덕터 및 무선 주파수 소스(330)의 그라운드 컨덕터는 용접, 접촉압착 또는 단자 클램핑 등 방식(즉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소스(330)를 도2에 도시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의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에 연결하며, 무선 주파수 소스(330)를 통해 전술된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전기를 제공한다. 조작되는 과정에,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이러한 복사 공진 영역(550)을 이용하여 복사를 발생하며, 도9 내지 도11은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구조를 도시하였고,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사용되는 복사 공진 영역(550)의 다른 가능한 형태는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의 엔드포인트의 심선(1)과 편직 메쉬(3)를 연결하여 콘덴서 로딩(410)을 형성하며, 연결방법은 리베팅, 용접, 전기 전도 재료 포인트 사출 등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최적화 한다. 또한 콘덴서 로딩(410)은 복사 공진 정극 영역(560) 엔드포인트의 심선(1)을 리베팅, 용접, 전기 전도 재료 포인트 사출 등 방식을 통해 금속편 바디, 금속튜브 바디 또는 코팅전기 전도 재료에 연결할 수 있으며, 만약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가 전기 전도 어셈블리와 결합할 수 없거나 또는 공진 전기전도 면적이 충분하지 아니하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외피(4)에 전기 전도 재료(350)를 더 부착하여 공진 전기전도 면적을 증가할 수 있으며, 전기 전도 재료(350)에 대한 부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대응하는 부착위치의 편직 메쉬(3) 외측의 절연외피(4)를 일부분 또는 전부를 제거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17 및 도18에 대해 설명할 것이며, 동시에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별도의 유전체 재질의 베이스 바디이거나, 또는 케이스(110)의 내측 부재(후술할 것임)가 연장되어 직접 형성할 수 있으며,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적절한 위치(표면 또는 내부)에는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540)을 구비하여 복사 공진 영역(550)을 간편하게 고정 가능하고 안테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540)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홈 크기는 복사 공진 영역(550)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긴밀한 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위치는 전자장치(100)의 공간, 전기전도체(전기전도체는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만 가리키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전기 전도 재료(350)를 가리킴)의 위치와 크기 및 수신 특성과 배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와 긴밀히 결합된다. 따라서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대한 배치는 일반적으로 직립형 배치와 눕힘형 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직립형 배치를 취하였고, 우측의 안테나 페데스탈(510)은 눕힘형 배치를 취하였다. 또한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상기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배치하도록 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하며, 예컨대 상기 베이스 면의 형상은 한개 이상의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형상을 구비하며,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내의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맞물려 결합되거나, 또는 베이스 면의 형상이 안테나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요철 형상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오직 평면으로서 접착제를 통해 전자장치(100)내의 대응하는 전기전도체의 위치 형상과 접착되어 결합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을 주파수 형태 요구에 따라 전술된 복사 공진 영역(550)으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매칭되는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장착하며, 이로하여 전자장치(100)에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조립하는 편리성을 증가한다. 도면은 베이스 면에 안테나 고정 기둥(520)을 설치한 요철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과 인쇄회로기판(300)이 쉽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그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을 통해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에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인쇄회로기판(300)위의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은 용접, 압착 또는 클램핑 등 방식(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을 이용하여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신호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340) 및 인쇄회로기판(300) 중의 도선(trace)을 통하여 안테나 동축케이블(530)과 신호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은 포지티브 컨덕터(심선이라고도 함) 및 그라운드 컨덕터(편직 메쉬라고도 함)를 구비하며(포지티브 컨덕터와 그라운드 컨덕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는 바, 도1을 참조 바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그라운드 컨덕터의 특정된 위치에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는 전기전도체로서, 예컨대 금속 스프링 편 링, 전기전도 테이프, 전기전도 금속 박편, 전기전도 금속 와이어 또는 철분말코어 등 전기전도체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의 내부는 경우에 따라 유전체 또는 전기전도체로 구성되는데,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구조설계가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도록 하여, 전체적 설계의 수요에 따라 전자장치(100)의 케이스(110)를 대응하게 연장하여 유전체 및 전기전도체의 케이스(110)의 부분을 형성하여 안테나 페데스탈(510)로 사용하며,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110)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 형상과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베이스 면의 형상은 한개 이상의 고정 기둥, 리브, 홈, 홀 등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하여 상기와 같은 형태들을 구비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을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의해 전자장치(100)의 임의 적절한 부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안테나의 주파수 특성을 신속히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전술된 여러 전자장치(100)의 안테나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570)으로 하여금 안테나 페데스탈(510)을 이용하여 절연외피(4)를 탈피하지 아니하여 절연외피(4) 아래의 편직 메쉬(3)가 메쉬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절연외피(4)와 전자장치(100)의 전기전도체가 긴밀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절연외피(4)와 편직 메쉬(3)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은 바, 도1을 참조하기 바람) 전류의 불연속을 이용하여 통신 복사파를 형성한다.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다른 가능한 형태는 도19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도면들에 의하면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전술한 전자장치(100)의 환경과 특성의 요구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550)의 형태와 안테나 페데스탈(510)의 형상을 조절하고, 전기 전도 재료(350)를 부착하여 공진 전기전도 면적을 증가할지 여부에 따라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설계와 사용 상의 영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25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0)내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 또는 기타 어셈블리에 노이즈 간섭이 발생할 경우(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320)는 전술한 도2 및 도3을 참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소정 구간의 절연외피(4)를 탈피하여 편직 메쉬(420)를 노출함으로써 노이즈를 유도하고,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노이즈 억제 어셈블리(400)는 전술한 도2 및 도3을 참조) 예컨대 금속 스프링 편 링, 전기전도 테이프, 전기전도 금속 박편, 전기전도 금속 와이어 등 전기전도체를 결합한 다음,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가 전기전도 되게 함으로써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도26의 실시예에서,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에 대하여 임피던스 특성을 조절해야 할 경우, 복사 공진 영역(550)을 조절하는 이외에,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적절한 위치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설치하여 안테나의 대역폭 및 특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는 예컨대 경성 인쇄회로기판(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금속 박판 등 금속을 구비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대역폭 및 특성의 수요에 따라 상이한 양식 및 크기의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의 장착 시 리베팅, 용접, 전기 전도 재료 포인트 사출 또는 이러한 방식(즉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장착 완성 후, 절연재료 예컨대 열수축 부쉬, 플라스틱 스티커 또는 플라스틱 성형 등을 피복하는 방식으로 그 기구적 강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와 도2 및 도3의 전기 전도 어셈블리(310)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여도 노이즈 억제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에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조립한 여러가지 형태는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을 두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필요한 크기에 따라 탈피한 후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장착한다. 두개 구간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편직 메쉬(3)와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의 금속재료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고 두개 구간의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심선(1)이 전기전도 되도록 하며, 그중 전기전도 방식은 리베팅, 용접, 전기전도 페이스트 포인트 사출 등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을 이용한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의 특정된 위치에 필요한 크기에 따라 편직 메쉬(3)를 제거하되 양측의 편직 메쉬(3)는 보존하여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를 장착하며, 그중 절연체(2)는 커팅하지 않을 수 있다. 양측에 보존된 편직 메쉬(3)와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430)의 금속재료가 전기전도 되도록 하며, 그중 전기전도 방식은 리베팅, 용접, 전기전도 페이스트 포인트 사출 등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안테나 사이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29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530)에 복사 공진 영역(55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기 전도 재료(350)를 부착하는 방식은 특성의 수요에 따라 복사 공진 영역(550)의 어느 한측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사이즈의 전기전도재료 배튼(360)을 이용하여 공진 전기 전도 재료(350)를 겹이음 할 수 있거나, 또는 공진 전기 전도 재료(350)와 전기전도재료 배튼(360)을 함께 성형하여 안테나 페데스탈(510)에 부착함으로써,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변화할 수 있으며, 안테나가 다른 안테나에 대한 격리도를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전체적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의 특성은 도31에 도시한 일반 단일 주파수 PIFA 안테나 측정의 효율 및 VSWR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2는 단일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냈다. 도 33은 일반 이중 주파수 PIFA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냈다. 도 34는 이중 주파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측정의 효율 및 VSWR표를 나타냈다. 이러한 표에 나타낸 측정 데이터들로부터, 전술된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500)은 생산이 빠르고 장착이 빠르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외에도, 최적한 안테나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공개 사용된 기록이 없기 때문에 특허법의 규정에 부합되어 특허권을 수여할 것을 간절히 부탁한다.
100: 전자장치 560: 복사 공진 정극 영역
110: 케이스 570: 복사 공진 부극 영역
110A: 상부 케이스 110B: 하부 케이스
120: 모니터 130: 키보드
140: 힌지 150: 터치판
160: 버튼 170: 스피커 포트
200: 구역 210: 구역
220: 구역 230: 구역
240: 구역 250: 구역
260: 구역 270: 구역
280: 구역 300: 인쇄회로기판
310: 전기 전도 어셈블리 320: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
330: 무선 주파수 소스 340: 무선 주파수 연결 영역
350: 전기 전도 재료 360: 전기전도재료 배튼
400: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 410: 콘덴서 로딩
420: 편직 메쉬 430: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
500: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 510: 안테나 페데스탈
520: 안테나 고정 기둥 530: 안테나 동축케이블
540: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 550: 복사 공진 영역

Claims (10)

  1. 전자장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동축케이블과 복사 공진 영역 및 안테나 페데스탈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은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안테나 동축 케이블과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 그라운드 영역의 전환점으로부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말단까지 연장되어 복사 공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응하게 일부 절연외피 부분의 편직 메쉬를 제거하여 절연체와 심선을 남김으로써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을 형성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케이블 바디에서 일부 절연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부분 내측의 편직 메쉬는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유전체로 구성되며, 케이스 내의 전기전도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을 구비하여 복사 공진 영역의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복사 공진 정극 영역 및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이 다른 불필요한 전기 전도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호 효과가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내측 부재에 의해 직접 형성되며, 안테나 페데스탈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은 별도의 유전체 재질의 베이스 바디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면은 케이스 내에 대응하게 안테나 페데스탈을 배치하는 전기전도체의 형상과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페데스탈에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이 구비되어 복사 공진 영역에 대한 고정과 안테나 특성에 대한 조절이 간편하도록 하며, 동축케이블 와이어 정리홈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홈 사이즈는 복사 공진 영역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복사 공진 부극 영역은 절연외피를 탈피하지 않고 직접 전자장치의 전기전도체와 긴밀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체는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포함하고,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하며, 안테나 동축케이블에 전기 전도 재료를 부착 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대응하는 부착 위치의 편직 메쉬 외층의 적어도 일부분 절연외피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 중 복사 공진 정극 영역의 엔드포인트에 위치하는 심선 및 편직 메쉬는 전기전도체의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콘덴서 효과와 균등한 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한 구간의 절연외피를 탈피하여 편직 메쉬를 노출하여 노이즈 억제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동축케이블의 특정된 위치에 전기전도 겹이음 방법으로 임피던스 조절 어셈블리를 장착한 후, 절연재료를 피복하여 그 기구 강도를 제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을 연장하는 전기 전도 재료와 전기전도재료 배튼을 함께 성형하거나 또는 분리 성형하여 안테나 페데스탈에 부착함으로써 안테나의 다른 안테나에 대한 격리도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KR1020120136765A 2012-11-29 2012-11-29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KR10145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65A KR101459193B1 (ko) 2012-11-29 2012-11-29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65A KR101459193B1 (ko) 2012-11-29 2012-11-29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478A KR20140069478A (ko) 2014-06-10
KR101459193B1 true KR101459193B1 (ko) 2014-11-07

Family

ID=5112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765A KR101459193B1 (ko) 2012-11-29 2012-11-29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1032B (zh) * 2021-02-03 2023-11-28 深圳航天东方红卫星有限公司 一种星载可折展八木天线振子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468A (ko) * 2001-02-05 2002-11-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저자세 소형 안테나 및 동 구성 방법
JP2003224412A (ja) * 2002-01-30 2003-08-08 Nissei Electric Co Ltd 情報端末機器内蔵用アンテナ
JP2011019280A (ja) * 2010-09-15 2011-01-27 Toshiba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468A (ko) * 2001-02-05 2002-11-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저자세 소형 안테나 및 동 구성 방법
JP2003224412A (ja) * 2002-01-30 2003-08-08 Nissei Electric Co Ltd 情報端末機器内蔵用アンテナ
JP2011019280A (ja) * 2010-09-15 2011-01-27 Toshiba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478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8984B (zh) 用於電子裝置之同軸纜線天線模組
JP5651154B2 (ja) 導電ベゼルを備えた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アンテナ
US7688267B2 (en) Broadband antenna with coupled fee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1401852B1 (ko) 근거리장 결합된 기생 슬롯을 갖는 후면-캐비티형 슬롯 안테나
JP5642835B2 (ja) ベゼルギャップアンテナ
US7864123B2 (en) Hybrid slot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208142339U (zh) 电子装置、可移除的壳体和可移除的电子设备壳体
US2008031611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cable grounding
US986591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iverse antenna array having soldered connections
CN101154761A (zh) 用于便携终端的内建天线
JP4109300B2 (ja) 3次元アンテナ構造
KR101459193B1 (ko) 전자장치의 동축 케이블 안테나 모듈
KR101520223B1 (ko) 전송선 로드 안테나 모듈
TWI532255B (zh) Transmission line load antenna module
JP4670687B2 (ja) 無線通信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3808934B2 (ja) 二段式アンテナ
JP5115587B2 (ja) 携帯無線端末
TWI328310B (en) Internal antenna for mobile device
JP2012175349A (ja) スパイラルア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51061A5 (ko)
JP2000165122A (ja) 無線通信装置のアンテ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