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459B1 -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459B1
KR101458459B1 KR20130056250A KR20130056250A KR101458459B1 KR 101458459 B1 KR101458459 B1 KR 101458459B1 KR 20130056250 A KR20130056250 A KR 20130056250A KR 20130056250 A KR20130056250 A KR 20130056250A KR 101458459 B1 KR101458459 B1 KR 10145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acter
sound source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호성
이건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에듀
Priority to KR2013005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4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ystem for outputting a sound and an image using a character. The system for outputting the sound and the image using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character and a body which stores the sound or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nd outputs the sound or the image if the character is recognized.

Description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릭터를 이용하여 음원 및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and a video outpu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capable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and an image using a character.

최근의 음악을 듣는 형태를 살펴보면 과거에 디스크나 테입을 구매하여 듣는 형태에서 CD 플레이어를 통해 청취하는 형태를 거쳐 점차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MP3 등을 통하여 듣는 형태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는 인터넷과 무선 통신에 익숙한 세대들은 이제 더 이상 오프라인 형태의 음반 즉 테입, LP 또는 CD등의 크고 거추장스러운 형태의 음반을 소지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반증한다.If you look at the recent types of listening to music, in the past, you bought a disk or tape and listened to it through a CD player, gradually downloading the file from the Internet and listening to it through MP3. This disproves the fact that generations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s no longer wish to carry large, cumbersome forms of music, such as offline music, tapes, LPs, or CDs.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우리나라 음반 시장은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고, 또한, 인터넷과 모바일 통신의 발달로 인해 서버를 통한 파일의 전송이 용이해지면서 가수들이 발표하는 신곡 음반에 대한 무분별한 전송과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음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래 음악을 감상하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즉 평면적이면서 단조로운 테이프(Tape), CD, MP3 등을 대체하는 음반으로서의 음악을 감상하느 장치 또는 방법의 개발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Due to these changes, the Korean music market is suffering from a severe recession,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it becomes easy to transfer files through the server, so that indiscreet transfer and dissemination of new recordings The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device or a method for listening to music as a record which is a completely different method from the method of listening to music in the past, namely, a flat, monotone tape, CD, .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청각 또는 시각을 통하여 CD 등에 저장된 음악 또는 영상을 감상만 할 수 있었뿐이므로, 사용자는 일방적(One-way)인 방식으로만 감상할 수 밖에 없어, 사용자의 감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llows only the user to listen to the music or video stored on a CD or the like through auditory or visual sense, the user can only listen to the music in a one-way manner,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따라서, 본 발명자는 촉각 및 정서적 교감을 통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좀 더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문화를 융합함으로써, 하이컨셉, 하이터치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캐릭터를 적용한 음원 또는 영상 출력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명세서를 통하여 청구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sound source or image output system to which a character is applied so as to lead a high concept and a high touch age by not only satisfying a user's emotions more satisfactorily through tactile and emotional sympathy, but also fusing an art culture 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a system having such a fun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캐릭터를 이용하고,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and a video output system capable of using a character and outputting a sound source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은 3차원 형상의 캐릭터; 및 상기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source and a video output system using a character, the system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And a main body storing the sound source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본체는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캐릭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 상기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력 방식에 따라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comprises: a storage unit storing the sound source or image; A recognition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character;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output method of the sound source or image by a u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method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or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o be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게하고,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지않게 차단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may be configured to allow power to be supplied to the main body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and to prevent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main body when the character is not recognized Management; A communication unit for allow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o be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And a spee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ommunication speed of the communication unit.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설정부를 통하여 기준 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속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 방식은, 상기 음원만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하는 제1방식; 상기 음원과 영상이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모두 출력되도록하는 제2방식; 상기 속도 측정부가 상기 통신부의 통신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도록하고, 상기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외부기기에서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3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can set the reference speed through the setting unit, the reference spee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output method of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set by the setting unit is the sound source Only through the output unit; A second method for causing the sound source and the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Wherein the speed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or image at the output unit when the speed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speed, A third way of doing so.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캐릭터는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가 상기 캐릭터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캐릭터가 상기 터치부를 통하여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고 있는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을 중지되고, 상기 캐릭터가 상기 터치부를 통하여 다시 터치되는 경우, 중지된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includes a touchable portion that can be touched by a user, and when the character is touched through the touch portion while the recognition portion recognizes the character, the control portion outputs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or image is stopped and when the character is touched again through the touch unit, the stopped sound source or image can be output agai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만질수 있는 캐릭터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촉각, 시각 및 청각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음원 또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침체된 오프라인(Off-Line) 음반산업발전과 한류문화발전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listening to a sound source or an image while satisfying both the tactile sense, the visual sense and the auditory sense of the user by using the character that can be touched, It is effective to develop Korean culture.

캐릭터에 맞는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음원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캐릭터의 포즈 또는 캐릭터의 의상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can be output, so that the pose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or the costume of the character can be appreciated.

또한, 종래의 디스크, CD 등과 같은 단순한 형태를 탈피하고, 캐릭터를 이용하여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한의 만족감을 제공하고 음원 또는 영상 제작자에게는 새로운 수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simple form such as a conventional disc, a CD, or the like can be omitted and a sound source or an image can be output using a character, a user can provide a maximum satisfaction and a new profit structure is provided to a sound source or a video producer,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형상의 캐릭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캐릭터가 인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source and a video output system us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gniz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형상의 캐릭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캐릭터가 인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and a video output system us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100)은 캐릭터(10) 및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a sound source and image output system 100 us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acter 10 and a main body 20. [

캐릭터(10)는 복수일 수 있고,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릭터(10)는 특정 가수를 표현할 수 있는 캐릭터 인형일 수 있다. 또한, 캐릭터(10)의 3차원 형상은 특정 가수의 다양한 자세가 표현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고, 특정 가수가 다양한 의상을 입은 상태로 표현될 수 있다. The character 10 may be plural, and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For example, the character 10 may be a character doll capable of expressing a specific mantissa.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character 10 may be a shape in which various postures of a specific mantle can be expressed, and a specific mantle may be expressed in a state of wearing various garments.

본체(20)는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캐릭터(10)를 인식할 수 있고, 캐릭터(20)가 인식되는 경우, 저장된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0 may store a sound source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10. The main body 20 can recognize the character 10 and can output the stored sound source or image when the character 20 is recognized.

본체(20)는 인식부(21), 저장부(22), 설정부(23), 제어부(24), 출력부(25), 연결부(26), 전원 관리부(27), 통신부(28) 및 속도 측정부(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2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21, a storage unit 22, a setting unit 23, a control unit 24, an output unit 25, a connection unit 26, a power management unit 27, a communication unit 28, And a speed measuring unit 29. [

인식부(21)는 캐릭터(10)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캐릭터(10)의 일 단에 캐릭터(10)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12)가 서로 결합되어 있고, 받침부(12)의 하단에는 본체(20)의 인식부(2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12)에는 캐릭터(10)가 인식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표식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고유의 식별표식으로는 바코드(Barcode), QR코드(Quick Response Code), OID코드(Object IDent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21 can recognize the character 10. [ 5, a support portion 12 capable of supporting the character 1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haracter 10, an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 A protrusio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section 21 is formed. Further, the receiving portion 12 may have a unique identification mark on which the character 10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a barcode,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an OID code (Object IDentifi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unique identification mark.

따라서, 받침부(12)의 돌기가 인식부(21)에 삽입되는 경우, 인식부(21)는 고유의 식별표식을 읽어들임으로써, 캐릭터(10)를 인식할 수 있고, 캐릭터(10)가 복수인 경우, 인식부(21)가 고유의 식별표식을 인식함으로써, 삽입된 캐릭터(10)를 다른 캐릭터(10)들과 구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recognizing portion 21, the recognizing portion 21 can recognize the character 10 by reading the unique identifying mark, and the character 10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10, the recognizing unit 21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mark so that the inserted character 10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characters 10.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은 저장부(2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원은 특정 가수의 노래일 수 있고, 영상은 특정 가수의 뮤직 비디오일 수 있다. 또한, 캐릭터(10)의 자세 또는 의상에 맞게, 이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이 저장부(22)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캐릭터(10)가 가수 싸이(PSY)인 경우, 싸이 형상의 캐릭터(10)는 말춤을 추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의 캐릭터(10)는 말춤을 안무로 한 노래 '강남스타일'의 음원 또는 영상이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캐릭터(10)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캐릭터(10)마다 대응되는 고유의 음원 또는 영상이 저장부(22)에 저장될 수 있어, 각각의 음원 또는 영상은 해당 캐릭터(10)와 일대일 방식으로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ound source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1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 For example, the sound source may be a song of a particular singer, and the image may be a music video of a particular singer.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r the garment of the character 1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10 is a singer PSY, the cy-shaped character 10 may have a speech-like shape, and the character 10 of such a shape may be a song, 'May be stored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or image. That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haracters 10, a unique sound source or image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10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nd each sound source or image can be stored one- Lt; / RTI >

캐릭터(10)가 인식부(21)를 통하여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24)는 설정부(23)를 통하여 설정된 출력 방식에 따라,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부(25)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부(23) 및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character 10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4 can control the output unit 25 to output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according to the output method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23 . Setting of the setting unit 23 and the output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전원 관리부(27)는 인식부(21)를 통하여 캐릭터(10)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본체(20)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캐릭터(1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20)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인식부(21)가 캐릭터(10)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 관리부(27)가 차단하지 않아 전원이 공급되게 할 수 있으며, 인식부(21)가 캐릭터(10)를 인식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 관리부(27)가 차단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릭터(1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20)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되어, 본체(20)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 전력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ower management unit 27 supplies power to the main body 20 when the character 10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21. When the character 10 is not recognized, May not be supplied. That is, when the recognition unit 21 recognizes the character 10,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body is not blocked by the power management unit 27, The power management unit 27 block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power supply from being supplied. Accordingly, when the character 10 is not recognized,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ain body 20, thereby preventing the power from being wasted while the main body 20 is not operating.

사용자는 설정부(23)를 통하여,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고, 기준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속도는 통신부(28)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속도일 수 있다. 설정된 기준 속도는 저장부(22)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부(23)는 버튼,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t the manner of outputt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hrough the setting unit 23, and set the reference speed. For example, the reference speed may be a communication speed at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28 can transmit data. The set reference spee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For example, the setting unit 23 may include a button, a touch screen, and the like. The user can set a method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or an image by pressing a button or touching the touch screen.

통신부(28)는 음원 또는 영상이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28)는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무선통신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RF(Radio Frequency)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라면, 상기 무선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통신부(28)를 통하여,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외부기기로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어, 본체(20)만이 아닌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8 can output a sound source or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28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ay be a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Bluetooth, Wi-fi,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FC) can be use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can be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speaker and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8 so that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can be output through various paths other than the main body 20. [

속도 측정부(29)는 통신부(28)가 음원 또는 영상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통신부의 통신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속도 측정부(29)를 통하여 측정된 통신속도는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방식에 사용될 수 있고,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peed measuring unit 29 can measure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8 transmits a sound source or an image to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speed measured through the speed measuring unit 29 can be used for a method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or an imag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 방식은, 제1방식, 제2방식 및 제3방식일 수 있다. 제1방식은 출력부(25)를 통하여, 저장부(22)에 저장된 음원만 출력되는 방식이고, 제2방식은 출력부(25)를 통하여, 저장부(22)에 저장된 음원과 영상이 모두 출력되는 방식이며, 제3방식은 속도 측정부(29)가 통신부(28)의 통신속도를 측정하여, 통신속도가 설정된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출력부(25)에서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도록하고, 통신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통신부(28)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출력부(25) 또는 외부기기는 음원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및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PDP, LED 또는 OLED 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method of the sound source or image set by the user may be the first method, the second method, and the third method.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only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r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5 and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sound sources and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re both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5. [ In the third method, the speed measuring unit 29 measures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communication unit 28, and when the communication speed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speed, the output unit 25 outputs a sound source or an image , And when the communication spe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a sound source or an image is output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8. [ The output unit 25 or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LCD, a PDP, an LED or an OLED .

즉, 사용자에 의하여 제1방식, 제2방식 또는 제3방식이 설정되면, 제어부(24)는 설정된 방식에 따라 출력부(25) 또는 외부기기에서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방식 및 제2방식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본체(20)의 출력부(25)를 통하여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고, 제3방식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통신환경에 따라, 음원 또는 영상이 본체(20) 또는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mode, the second mode or the third mode is se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4 can control the output unit 25 or the external device to output a sound source or an image according to the set mode. Wh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re set, a sound source or an imag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5 of the main body 20, and when the third mode is set, a sound source or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main body 20) or an external device.

일반적으로, 영상은 음원보다 많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영상의 데이터 용량이 클 수 있다. 또한, 고음질의 노래를 감상하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음원의 데이터 용량도 클 수 있다. 이 경우, 음원 또는 영상을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의 용량이 커서 통신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3방식으로 설정하여, 통신부(28)의 통신환경이 음원 또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외부기기로 에서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기기의 출력이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원 또는 영상을 외부기기를 통하여 원할하게 감상할 수 있다. Generally, an image contains more data than a sound source, and the data capacity of the image may be large. In addition, the data capacity of a sound source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a demand of a user who wants to enjoy a high-quality song. In this case, when a sound source or an image is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mmunication speed is slowed due to a large capac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Therefore, by setting the third mode, a sound source or an image is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onl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communication unit 28 can transmit a sound source or an image, so that the output of the external device can be smoothly performed . Accordingly, the user can smoothly listen to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음원 또는 영상은 연결부(26)를 통하여서도,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26)는 USB 포트, 시리얼 포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가 연결부(26)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저장부(22)에 저장되는 음원 또는 영상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의 일 예로서, PC가 연결부(26)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PC로부터 새로운 음원 또는 영상이 전송되어, 저장부(22)에 저장되는 음원 또는 영상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or image may b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6 as well.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26 may be a USB port, a serial port, or the like. Also,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6, the sound source or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may be updated. For example, as an example of an external device, when a PC is connected via the connection unit 26, a new sound source or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PC, and the sound source or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may be updated .

하나의 일실시예로, 캐릭터(10)는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부를 통하여 캐릭터(10)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식부(21)를 통하여 캐릭터(10)가 인식되는 경우, 출력부(25)를 통하여, 해당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캐릭터(10)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24)는 출력되고 있는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10 may include a touch portion (not shown) that the user can touch. As an example, the touch portion may include a button or a touch screen. When the user touches the character 10 through the touch part,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10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21, a sound source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10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5. [ In this case, when the user touches the character 10, the control unit 24 can stop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or image being output.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이 중지된 후, 중지된 음원 또는 영상을 다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터치부를 통하여 캐릭터(10)를 다시 터치하면, 중지된 음원 또는 영상이 다시 출력될 수 있다. 다시 출력되는 방식은 중지된 상태부터 계속하여 재생되는 방식과, 처음부터 음원 또는 영상이 다시 재생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If the stopped sound source or image is to be output again after the sound source or the output of the image is stopped, the stopped sound source or image may be output again when the user touches the character 10 again through the touch unit.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music is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stopped state and a method in which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is reproduced from the beginnin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
10: 캐릭터 12: 받침부
20: 본체 21: 인식부
22: 저장부 23: 설정부
24: 제어부 25: 출력부
26: 연결부 27: 전원 관리부
28: 통신부 29: 속도 측정부
100: Sound source and video output system using character
10: Character 12:
20: main body 21:
22: storage unit 23: setting unit
24: control unit 25: output unit
26: connection part 27: power management part
28: communication unit 29: speed measuring unit

Claims (5)

3차원 형상의 캐릭터; 및
상기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원 또는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캐릭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
상기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출력 방식에 따라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외부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
상기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게하고,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지않게 차단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캐릭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
A character of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nd a main body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e main body includes:
A storage unit storing the sound source or image;
A recognition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character;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output method of the sound source or image by a u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method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or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o be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A power managemen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and for blocking power supply to the main body when the character is not recognized;
A communication unit for allowing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to be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when the character is recognized; And
And a spee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ommunication speed of the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설정부를 통하여 기준 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속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 방식은,
상기 음원만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하는 제1방식;
상기 음원과 영상이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모두 출력되도록하는 제2방식;
상기 속도 측정부가 상기 통신부의 통신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도록하고, 상기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외부기기에서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3방식;을 포함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can set the reference speed through the setting unit, the reference spee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output method of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which is set by the setting unit,
A first mode in which only the sound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 second method for causing the sound source and the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Wherein the speed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or image at the output unit when the speed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a second system for outputting the soun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가 상기 캐릭터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캐릭터가 상기 터치부를 통하여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고 있는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의 출력을 중지시키고, 상기 캐릭터가 상기 터치부를 통하여 다시 터치되는 경우, 중지된 상기 음원 또는 영상을 다시 출력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cludes a touch portion that can be touched by a user,
When the character is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in a state where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character, the control unit stops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or the image being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nd the character A sound source and a video output system using a character to output the stopped sound source or video again when the touch is touched.
KR20130056250A 2013-05-20 2013-05-20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KR101458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250A KR101458459B1 (en) 2013-05-20 2013-05-20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250A KR101458459B1 (en) 2013-05-20 2013-05-20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459B1 true KR101458459B1 (en) 2014-11-07

Family

ID=5228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250A KR101458459B1 (en) 2013-05-20 2013-05-20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4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388A (en) * 2002-05-21 2003-11-25 Institute Of Network Technology Inc Voice-generating toy and method for play using the same
KR100745647B1 (en) * 2006-04-03 2007-08-03 주식회사 지팡이 Object-recognition toy using rfid tag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KR20100005757A (en) * 2008-07-08 2010-01-18 김성우 A character doll with a digital sound source and a player
KR20120107292A (en) * 2011-03-21 2012-10-02 주식회사 휴먼리그 Block type musical to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388A (en) * 2002-05-21 2003-11-25 Institute Of Network Technology Inc Voice-generating toy and method for play using the same
KR100745647B1 (en) * 2006-04-03 2007-08-03 주식회사 지팡이 Object-recognition toy using rfid tag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KR20100005757A (en) * 2008-07-08 2010-01-18 김성우 A character doll with a digital sound source and a player
KR20120107292A (en) * 2011-03-21 2012-10-02 주식회사 휴먼리그 Block type musical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6264B (en) Dynamic interpretation of user inpu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902241B1 (en) Audio and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3267437B1 (en) Interactive peripheral device for television karaoke.
US20120079377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placing an asset on a three-dimensional model
KR102270633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device
CN104934048A (en) Sound effect regulation method and device
KR201700192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3988193A (en) Managing playback of synchronized content
JP2009536489A (e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application data from first device to second device
US11233895B2 (en) Automatic wallpaper set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717940B2 (en) Audio file rerecord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7844920B2 (en) Modular entertainment system with movable components
TW20160106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dio interface for a tablet computer
TW201308093A (en) Method and system of integrating tablet personal computers to play audio/video files
KR1020523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CN104020924A (en) Label establish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CN109634499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659725B (en) A kind of audio-frequency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6034277B2 (en) Content creation method, content creation device, and content creation program
KR101458459B1 (en)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nd image using character
KR10211350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the electronic apparatus
CN103945305B (en) The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of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CN108717849A (en) The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of splicing multimedia data
ITUD20130139A1 (en) APPLICATION FOR A PROCESSOR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1458460B1 (en) 3-dimentional character and album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