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32B1 -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632B1
KR101456632B1 KR1020120119241A KR20120119241A KR101456632B1 KR 101456632 B1 KR101456632 B1 KR 101456632B1 KR 1020120119241 A KR1020120119241 A KR 1020120119241A KR 20120119241 A KR20120119241 A KR 20120119241A KR 101456632 B1 KR101456632 B1 KR 10145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s
medical image
image
decoder un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741A (ko
Inventor
윤은준
유기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67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combined with processing of the image
    • H04N1/32272Encryption or ciph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는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호화한 원 의료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 디코더부, 및 상기 원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상기 암호화 의료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벡터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에 대하여 역-교배 연산하고, 상기 역-교배 연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한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dical image decryption apparatus, medical image decryption method and computer read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reof}
본 발명은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의료영상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등과 같이 의료기관 내부에 위치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환자의 의료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전송, 관리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교배 연산과 돌연 변이 연산을 이용한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교배 연산과 돌연 변이 연산을 이용한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교배 연산과 돌연 변이 연산을 이용한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의 일 태양은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호화한 원 의료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 디코더부, 및 상기 원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상기 암호화 의료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벡터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에 대하여 역-교배 연산하고, 상기 역-교배 연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의 일 태양은 암호화 의료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벡터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에 대하여 역-교배 연산하고, 상기 역-교배 연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일 태양은 상기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호화 디코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복호화 디코더부의 동작을 중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의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호화 디코더부(decryption decoder; 110), 영상 획득부(image obtainer; 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료 영상 전송 시스템에서 의료 영상 수신 장치(receiver)로 포함될 수 있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암호화 영상(encrypted image)를 제공받는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제공된 암호화 영상을 복호화하여, 원 영상(original image)를 생성한다.
영상 획득부(120)는 원 영상을 복호화 디코더부(110)로부터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20)는 예를 들어, 원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databas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서, 원 영상과 암호화 영상은 예를 들어, 엑스레이(X-ray),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의료 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전송 시스템은 의료 영상 전송 장치(transmitter; 200), 의료 영상 수신 장치(receiver; 100)을 포함한다.
의료 영상 전송 장치(200)는 원 영상을 암호화 영상으로 암호화하고, 공개된 채널(channel)을 통해 암호화 영상을 전송한다. 의료 영상 수신 장치(100)는 공개된 채널을 통해 암호화 영상을 수신하고, 암호화 영상을 원 영상으로 복호화한다.
의료 영상 전송 장치(200)와 의료 영상 수신 장치(100)는 후술하는 키 값을 사전에 공유할 수 있다. 또는 의료 영상 수신 장치(100)는 암호화 영상과 함께 키 값을 의료 영상 전송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복호화 디코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암호화 영상(encrypted image)을 제공받고, 원 영상(original image)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영상 분할, 역-돌연변이(reverse-mutation) 연산, 역-교배(reverse-crossover) 연산, 영상 조합 등의 동작을 처리한다. 여기서, 역-돌연변이 연산, 역-교배 연산은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에서 정의하는 연산을 나타낸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역-돌연변이 연산, 역-교배 연산의 동작을 처리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key) 값을 이용한다. 키 값은 예를 들어, x, y, z의 세 개의 위치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역-돌연변이 연산의 동작을 처리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워터마킹 영상(watermarking image)을 이용한다. 워터마킹 영상은 예를 들어, 그레이(gray) 기반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복호화 디코더부의 동작을 중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영상 분할 동작에서, 암호화 영상(encrypted image)을 적어도 하나의 벡터로 분할한다.
암호화 영상은 예를 들어, W*N 크기일 수 있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W*N 크기의 암호화 영상을 미리 정해진 L 크기의 벡터의 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암호화 영상이 N개의 벡터(V1``~VN``)로 분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서 L은 예를 들어, 8 바이트(by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벡터(V1``~VN``)의 각 바이트 데이터는 위치(배치 순서)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벡터(V1``~VN``)는 [b1, b7, b3, b4, b5
Figure 112012087316754-pat00001
wi, b6, b2, b8]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각 벡터(V1``~VN``)는 교배 연산과 돌연변이 연산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역-돌연변이 연산 동작에서, 각 벡터(V1``~VN``)와 워터마킹 영상을 역-돌연변이 연산한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키(key) 값에 따라 각 벡터(V1`~VN`)의 제3 위치의 데이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XOR(Exclusive OR) 연산하여 역-돌연변이 연산한다. 키 값은 제3 위치 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서, 제3 위치 값은 예를 들어, 1 내지 8 사이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서 Vi``는 역-돌연변이 연산 전 각 벡터(V1``~VN``)를 나타내고, Vi`는 역-돌연변이 연산 후 각 벡터(V1`~VN`)를 나타낸다.
키(key) 값의 제3 위치 값은 예를 들어, 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각 벡터(Vi``)의 5 번째에 배치된 바이트 데이터(b5 wi)와 워터마킹 영상(바이트 데이터 wi)를 비트(bit) 단위로 XOR 연산한다. 돌연변이 연산 결과, 워터마킹 영상(wi)이 추출되고, 각 벡터(V1`~VN`)는 [b1, b7, b3, b4, b5, b6, b2, b8]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각 벡터(V1``~VN``)는 5 번째에 배치된 원(original) 바이트 데이터(b5)와 워터마킹 영상(wi)이 비트 단위로 XOR 연산되어 암호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암호화된 각 벡터(V1``~VN``)의 5 번째에 배치된 바이트 데이터(b5 wi)와 워터마킹 영상(wi)를 재차 비트 단위로 XOR 연산하는 경우, 암호화 전으로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역-돌연변이 연산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V1``~VN``)에 대하여 N회 반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역-교배 연산 동작에서, 각 벡터(V1`~VN`)에 대하여 역-교배 연산한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키(key) 값에 따라 역-돌연변이 연산된 각 벡터(V1`~VN`)의 제1 위치의 데이터와,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의 데이터를 스와핑(swapping)하여 역-교배 연산한다. 키 값은 제1 위치 값과 제2 위치 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서, 제1 위치 값과 제2 위치 값은 예를 들어, 1 내지 8 사이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서 Vi`는 역-교배 연산 전 각 벡터(V1`~VN`)을 나타내고, Vi는 역-교배 연산 후 각 벡터(V1~VN)을 나타낸다.
키(key) 값의 제1 위치 값(x)은 예를 들어, 2일 수 있고, 제2 위치 값(y)는 예를 들어, 7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각 벡터(Vi`)의 2 번째에 배치된 바이트 데이터(b7)와 7 번째에 배치된 바이트 데이터(b2)를 스와핑한다. 역-교배 연산 결과, 각 벡터(V1~VN)는 [b1, b2, b3, b4, b5, b6, b7, b8]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각 벡터(V1`~VN`)는 2 번째에 배치된 원(original) 바이트 데이터(b2)와 7 번째에 배치된 원(original) 바이트 데이터(b7)가 스와핑되어 암호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암호화된 각 벡터(V1`~VN`)의 2 번째에 배치된 바이트 데이터(b7)와 7 번째에 배치된 바이트 데이터(b2)를 재차 스와핑하는 경우, 암호화 전으로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역-교배 연산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각 벡터(V1`~VN`)에 대하여 N회 반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영상 조합 동작에서, 역-교배 연산된 각 벡터(V1~VN)를 원 영상(original image)으로 조합한다.
원 영상은 예를 들어, W*N 크기일 수 있다.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미리 정해진 L 크기로 분할된 벡터의 집합을 W*N 크기의 원 영상으로 조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의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복호화 디코더부(110)가, 암호화 영상을 워터마킹 영상과 키 값(2, 7, 5)을 이용하여, 역-돌연변이 연산 동작과 역-교배 연산 동작 등으로 구성된 복호화를 수행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 의하면, 유전자 알고리즘의 교배 연산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에 대한 혼돈 보안성을 제공하고, 돌연변이 연산을 이용하여 그레이 기반 워터마킹 영상을 은닉함으로써 확산 및 영상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 의하면, 워터마킹 영상(wi)을 이용하여 복원된 원 영상(original image)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복호화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공개된 채널을 통해 암호화 영상을 의료 영상 암호화 장치(200)로부터 전송받는다(S310).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암호화 영상(encrypted image)를 다수 개의 벡터로 분할한다(S320).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호화 영상을 N 개의 벡터의 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어서,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N 개의 각 벡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역-돌연변이 연산한다(S330). 이 때,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N 개의 각 벡터의 제3 위치의 데이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XOR 연산하여 역-돌연변이 연산한다.
이어서,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역-돌연변이 연산된 N 개의 각 벡터에 대하여 역-교배 연산한다(S340). 이 때,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역-돌연변이 연산된 N 개의 각 벡터의 제1 위치의 데이터와 제2 위치의 데이터를 스와핑(swapping)하여 역-교배 연산한다.
이어서,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다수 개의 벡터를 원 영상(original image)으로 조합한다(S350). 복호화 디코더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N 개의 벡터의 집합을 원 영상으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110: 복호화 디코더부
120: 영상 획득부 200: 의료 영상 암호화 장치

Claims (13)

  1.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호화한 원 의료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 디코더부; 및
    상기 원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상기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수의 벡터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각 벡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제 3 위치 값을 이용하여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된 상기 복수의 각 벡터에 대하여 제 1 위치 값 및 상기 제 1 위치 값과는 다른 제 2 위치 값을 이용하여 역-교배 연산하고, 상기 역-교배 연산된 상기 복수의 벡터를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상기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의 벡터의 집합으로 분할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상기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로 분할된 벡터의 집합을 상기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키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각 벡터의 제3 위치의 데이터와 상기 워터마킹 영상을 XOR 연산하여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키 값은 상기 제3 위치 값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상기 복수의 각 벡터의 제3 위치의 데이터와 상기 워터마킹 영상을 비트 단위로 XOR 연산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디코더부는 키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각 벡터의 제1 위치의 데이터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의 데이터를 스와핑(swapping)하여 역-교배 연산하고,
    상기 키 값은 상기 제1 위치 값과 상기 제2 위치 값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7.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수의 벡터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각 벡터와 워터마킹 영상을 제 3 위치 값을 이용하여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된 상기 복수의 각 벡터에 대하여 제 1 위치 값 및 상기 제 1 위치 값과는 다른 제 2 위치 값을 이용하여 역-교배 연산하고,
    상기 역-교배 연산된 상기 복수의 벡터를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벡터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암호화 의료 영상을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의 벡터의 집합으로 분할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로 분할된 벡터의 집합을 상기 원 의료 영상으로 조합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하는 것은 키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각 벡터의 제3 위치의 데이터와 상기 워터마킹 영상을 XOR 연산하여 역-돌연변이 연산하고,
    상기 키 값은 상기 제3 위치 값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돌연변이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각 벡터의 제3 위치의 데이터와 상기 워터마킹 영상을 비트 단위로 XOR 연산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교배 연산하는 것은 키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각 벡터의 제1 위치의 데이터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의 데이터를 스와핑(swapping)하여 교배 연산하고,
    상기 키 값은 상기 제1 위치 값과 상기 제2 위치 값을 포함하는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119241A 2012-10-25 2012-10-25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45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41A KR101456632B1 (ko) 2012-10-25 2012-10-25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41A KR101456632B1 (ko) 2012-10-25 2012-10-25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41A KR20140052741A (ko) 2014-05-07
KR101456632B1 true KR101456632B1 (ko) 2014-11-03

Family

ID=5088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41A KR101456632B1 (ko) 2012-10-25 2012-10-25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334B1 (ko) * 2018-12-28 2021-01-06 이명신 의료영상의 분할저장 및 제공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413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프랙틀 영상 압축 방법
KR20060058606A (ko) * 2004-11-25 2006-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워터마킹과 선택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코딩 장치 및 워터마킹과 선택 해독 방식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코딩 장치
KR20100087816A (ko) * 2009-01-29 2010-08-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 영상에 적용하는 실시간 디지털 워터마킹과 영상 압축기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413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프랙틀 영상 압축 방법
KR20060058606A (ko) * 2004-11-25 2006-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워터마킹과 선택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코딩 장치 및 워터마킹과 선택 해독 방식을 이용한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코딩 장치
KR20100087816A (ko) * 2009-01-29 2010-08-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 영상에 적용하는 실시간 디지털 워터마킹과 영상 압축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41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Reversibility improved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Al‐Haj et al. Crypto‐based algorithms for secured medical image transmission
Qian et al. Improved joint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Al-Haj Providing integrity, authenticity, and confidentiality for header and pixel data of DICOM images
CN107809644B (zh) 一种双重加密的加密域图像可逆数据隐藏方法
CN104349135B (zh) 监控服务器、监控服务器的处理数据的方法以及监控系统
JPH10164549A (ja) 認証情報を画像に隠し込むシステム及び画像認証システム
CN109348230B (zh) 一种密文域高容量图像可逆数据隐藏方法
US20130148842A1 (en) Digital-watermark embedding device, digital-watermark embedding method, and digital-watermark detecting device
Abdel-Nabi et al. Efficient joint encryption and data hiding algorithm for medical images security
JP2007206762A (ja) 二次元コードを用いた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AthishMon et al. Combined cryptography and digital watermarking for secure transmission of medical images in EHR systems
Yi et al. An improved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JP2004208088A (ja) デバイス鍵復号化装置、デバイス鍵暗号化装置、デバイス鍵暗号復号化装置、デバイス鍵復号化方法、デバイス鍵暗号化方法、デバイス鍵暗号復号化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Manikandan et al. A novel entropy-based reversible data hiding during encryption
KR101456632B1 (ko) 의료 영상 복호화 장치, 의료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8090685A1 (zh) 图像数据加密方法及装置、网络摄像机
JP4989293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Prabhu et al. Secured image transmission in medical imaging applications—a survey
Dhall et al. Multilayered highly secure authentic watermarking mechanism for medical applications
Verma et al. Enhancing the Security of Medical Images in Telemedicine Using Region-based Crypto-Watermarking Approach
KR101401562B1 (ko) 의료 영상 암호화 장치, 의료 영상 암호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alaivani et al. Survey on multimedia data security
CN104702814A (zh) 基于三重备份的(k,n)有意义图像分存及恢复方法
CN109756459B (zh) 数据处理、数据识别方法、设备、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