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113B1 - A bidet - Google Patents

A bid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113B1
KR101456113B1 KR1020130031570A KR20130031570A KR101456113B1 KR 101456113 B1 KR101456113 B1 KR 101456113B1 KR 1020130031570 A KR1020130031570 A KR 1020130031570A KR 20130031570 A KR20130031570 A KR 20130031570A KR 101456113 B1 KR101456113 B1 KR 10145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toilet
locking member
fixing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6684A (en
Inventor
이종원
박종훈
권준경
남윤덕
서범석
길현하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113B1/en
Publication of KR2014011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 본체를 변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변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갖는 록킹부재와; 걸림턱 및 개구홈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홈은 상기 본체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변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홈이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한 후 슬라이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본체가 상기 변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포함하여, 비데 본체에 형성된 개구홈을 통해서 록킹부재의 위치를 식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비데 설치가 매우 용이해지고, 슬라이딩 가능한 록킹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비데를 변기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et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det bod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toilet bowl. The bidet unit includes a fixing unit fixed to a toilet, a locking member having a slide unit slidably engaged with the toilet unit, ; Wherein the opening groove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 groove receives the lock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toilet, And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toilet by being caught by the latching jaw. Sinc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opening groove formed in the bidet body, the bidet can be easily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idet can be fixed or separated to the toilet by a very simple operation.

Description

비데{A bidet}Bidet {A bide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 본체를 변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easily installing a bidet body on a toilet.

비데란 화장실 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대변 후에 물로 밑을 닦아 주는 기구를 가리킨다.A bidet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on a toilet bowl and wipes the bottom with water after a bowel movement.

비데는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에 별도로 조립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Most of the bidets ar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toilet installed in the toilet.

종래의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20554호는 고정구멍간의 넓이 조절 기능과 분사구의 위생기능을 갖춘 비데를 개시한다.Korean Utility Model No. 0220554, which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discloses a bidet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rea between the fixing holes and sanitary function of the nozzle.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20554호는 변기에 결합되는 고정부에서 고정구가 결합되고 고정구는 다시 변기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20554, which is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xture is coupled to a fixed portion coupled to a toilet and a fixture is fixed to a toilet.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20554호의 비데는 수리나 교체시에 고정구를 변기로부터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으며, 비데 설치시에도 비데를 먼저 변기에 올린 후 고정구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데를 설치함에 있어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However, the bidet of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20554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the fixture from the toilet when repairing or replacing it, and since the bidet must be installed on the toilet before the bidet is installed, Inconvenience is caused in installing the bidet.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3806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6650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68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35796호 등이 출현하였다.Korean Patent No. 1038062,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66506,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688,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5796 have appeared a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38062호는 고정부를 변기에 설치하고 난 뒤 착탈부를 갖는 비데를 고정부에 체결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3806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bidet having a detachable portion is fastened to a fixing portion after a fixing por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38062호의 경우 변기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구멍을 이용하지 않고 고정부를 변기에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멍을 내야하는 문제가 있으며, 고정부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고정부의 위치와 비데의 결합부위를 육안으로 보면서 맞추기에는 무리가 있었다.However, in Korean Patent No. 1038062, there is a problem that a hole must be separately made in order to install the fixing portion on the toilet without using the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toilet, and even if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There was a difficulty in matching the joint by looking at the naked ey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35796호는 변기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설치구멍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고정판에 비데를 끼우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5796, in which a fixing plate is installed in a mounting hole already formed in a toilet, and a bidet is inserted in a fixing plate.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35796호 역시 고정판을 변기에 설치하는 구성이 번잡할 뿐더러 고정판에 형성되어 있는 걸쇠 부분에 비데의 후크편을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변기 물탱크쪽에 시선을 두고 비데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5796 is also troublesome in that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toilet, and in order to insert the hook piece of the bidet into the latch portion formed on the fixing plate, the user must move the bidet with his /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nstallation is very difficult.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20554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35796호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66506호는 변기에 안내부재를 설치한 다음 안내부에 형성된 안내부가 비데에 형성된 수용홈을 끼워 맞춰 비데를 설치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20554 and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5796,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66506 has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toilet and a guide member formed on the guide unit, So as to fit the bidet.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66506호 역시 사용자가 비데를 조립시 매우 좁은 수용홈과 안내부를 일치시키기가 매우 곤란하며,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시 앉고 일어서고 할 때 비데가 안내부재 형성된 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움직일 수 있어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66506 also makes it very difficult for the user to fit the narrow receiving groove and the guide portion when the bidet is assembled. When the user sits and stands up when using the bidet, the bidet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surely fixed because it can slide while moving.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이한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688호는 변기에다 후크 모양의 고리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미리 설치하고 비데를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넣는 기술을 보여준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is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463688 which shows a technique of installing a fixing member in which a hook-shaped ring is formed on a toilet, and fitting the bidet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688호 역시 고정부재의 위치와 비데의 결합공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비데의 하면을 바라보고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 밖에 없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며, 특히 비데를 변기에서 분리하기 위한 착탈부재가 비데의 후방부 중앙 근처에 설치됨으로써 비데가 설치된 경우 물탱크가 있는 변기에는 적용시 착탈부재 조작이 거의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688 also poses a problem in the prior art that the user must follow the inconvenience of facing the bottom of the bidet in orde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with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of the bidet Particularly, when a bidet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detachable member for separating the bidet from the toilet,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member becomes almost impossible when applied to the toilet having the water tank.

또한,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3806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6650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68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35796호는 비대를 변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부재로서 스프링을 구비하는데, 이는 사용에 따른 탄성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으며 결국 비대가 변기에 설치되는 고정 역할이 상실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38062,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66506,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688,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5796, which ar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are members for separating the diaper from the toilet, Which can lead to a reduction in the elasticity depending on the use, and consequently, a fatal defect in which the hypertrophy is lost in the fixed role of being installed in the toilet.

한국등록특허 제103806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6650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68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3579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20554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38062,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66506,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688,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5796,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20554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데와 록킹부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설치위치를 파악하여 손쉬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비데를 변기에 고정시 간단한 조작으로도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 시간이 오래되더라도 비데 고정이 확실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det and a locking member so that a user can easily grasp an installation position with the naked eye to facilitate easy installation and separation, and can fix the bidet with a simple operation when the bidet is fixed to the toile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rely fix the bidet even if the use time is long.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갖는 록킹부재와; 걸림턱 및 개구홈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홈은 상기 본체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변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홈이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한 후 슬라이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본체가 상기 변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seat comprising: a locking member having a fixing portion fixed to a toilet and a slide portion slidably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opening groove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 groove receives the lock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toilet, And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toilet by being caught by the latching jaw.

또한,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서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공에는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기 고정부를 변기에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장공의 단폭보다 직경이 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더 이상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A fixing part formed with a long hole; And a slide par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long hol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fitted in the long hole to fix the fixing part to the toilet, and the slide par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hort- And the locking part is engaged with a protrusion formed in the hole so that the locking part does not slide on the fixing part any longer.

또한, 상기 홀의 중심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타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Further, the center of the hole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slide part, and a locking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e part.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장공의 외주면 상단을 따라 상기 장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날개에 결합하는 슬라이딩암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변기의 상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van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lot along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ot, wherein the sli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liding arm engaging with the guide vane, And the locking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과 상기 슬라이드부의 외주면은 위에서 보았을 때 서로 포개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slide portion is slid on the fixing por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can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비데 본체에 형성된 개구홈을 통해서 록킹부재의 위치를 식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비데 설치가 매우 용이해진다.First, sinc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opening groove formed in the bidet body, it is very easy to install the bidet.

둘째, 슬라이딩 가능한 록킹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비데를 변기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by providing a slidable lock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idet can be fixed or separated to the toilet by a very simple operation.

셋째, 록킹부재의 고정부에 장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변기의 사이즈에 구애 받지 않고 록킹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ird, since the long hole is formed in the fixed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the locking member can be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ize of the toilet.

넷째, 록킹부재의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홀에 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가 체결부재에 걸리므로 더 이상 슬라이딩 하지 않게 되어 슬라이드부가 고정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Fourth,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ole formed in the slide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the projecting portion is caught by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it is no longer slid, and the slide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xing portion.

다섯째, 홀의 직경이 장공의 단폭 및 체결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에 슬라이드부를 끼운 상태에서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록킹부재를 변기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Fifth, since the diameter of the hol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ng hole and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fix the locking member to the toilet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even with the sliding portion sandwiched therebetween.

여섯째, 록킹부재를 이루는 고정부와 슬라이드부가 위에서 볼 때 포개어질 수 있기 때문에 록킹부재가 먼저 변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비데 본체를 록킹부재에 끼우거나, 또는 비데 본체를 먼저 변기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개구홈을 통해 록킹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의 용이성이 극대화된다.Sixth, since the fixing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constituting the locking member can be superimposed when seen from above, the locking member is fitted to the locking member in the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first, or, in the state where the bidet body is placed on the toilet, So that the ease of installation is maximized.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 하부조립체가 설치된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 하부조립체가 설치된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의 전체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록킹부재의 결합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립체에 록킹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립체에 록킹부재가 결합된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립체에 록킹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의 걸림부가 걸림턱에 걸린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가 하부조립체에 걸린 정면도이다.
도11은 도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와 고정부가 포개어져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B-B단면도이다.
도12는 도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와 고정부가 포개어져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A-A단면도이다.
도13는 도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와 고정부가 포개어져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A-A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ower assembly is installe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ssembled front view of a preferred lock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assembly coupled to a lowe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assembly coupled to a lowe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tching part of the slide part in a state where a locking member is engaged with a lowe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of a slid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gaged in a lower assembly;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superimposed and the locking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n a state where the slide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stacked and unlock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the slide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superimposed and the locking is relea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Figure 14 is a top view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300)에 하부조립체(120)가 설치된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300)에 하부조립체(120)가 설치된 정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assembly 120 installed in a toilet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toil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lower assembly 120 is installed.

도1과 같이 비데를 이루는 본체(100)는 상부조립체(110)와 하부조립체(120)로 대분된다.As shown in FIG. 1, a main body 100 constituting a bidet is divided into an upper assembly 110 and a lower assembly 120.

상부조립체(110)는 하부조립에에 복수개를 이루면서 형성된 조립부(140)에 대응하도록 끼워져 하부조립체(120)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assembly 110 is adapted to engage with the lower assembly 120 to correspond to the assembly 140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상부조립체(110)의 양단에는 상부개구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조립체(120)에는 상부개구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부개구홈(121)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opening groove 11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ssembly 110 and a lower open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ing groove 111.

변기(300)에는 록킹부재(200)가 변기(30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toilet 3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20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300.

록킹부재(200)의 설치위치는 변기(300) 마다 상이할 수 있으나, 록킹부재(200)는 하부조립체(120)에 형성된 하부개구홈(121)과 상부조립체(110)에 형성된 상부개구홈(1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member 2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opening groove 121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120 and the upper opening groove 121 formed in the upper assembly 110 1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도2와 같이 하부조립체(120)는 변기(300)에 설치된 록킹부재(200)에 끼워져 변기(300)에 안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lower assembly 120 is fitted to the toilet bowl 300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member 200 installed in the toilet bowl 30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과 같이 변기(300) 상단에 록킹부재(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개구홈(121)을 록킹부재(200)에 삽입함으로써 하부조립체(120)를 변기(300)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1, when the lower assembly 120 is inserted into the toilet 300 by inserting the lower opening groove 121 into the locking member 200 with the locking member 20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300, As shown in FIG.

다시 말해서 록킹부재(200)가 변기(30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조립체(120)를 변기(300)위로 들어올려 변기(30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ower assembly 120 may be lifted above the toilet bowl 300 and separated from the toilet bowl 300 while the locking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toilet bowl 300.

사용자는 도3처럼 하부개구홈(121)을 통해 비데에 설치된 록킹부재(200)를 내려다 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r can see the locking member 200 installed on the bidet through the lower opening groove 121 as shown in FIG.

상부조립체(110)는 하부조립체(120)가 변기(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조립체(12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부조립체(110)와 하부조립체(120)를 조립부(140)를 이용하여 먼저 결합시킨 뒤에 변기(300)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upper assembly 11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assembly 120 while the lower assembly 120 is installed in the toilet 300.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120 may be assembled using the assembly unit 14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toilet bowl 300 after being joined first.

왜냐하면, 상부조립체(110)에 형성된 상부개구홈(111)은 하부조립체(120)에 형성된 하부개구홈(121)과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조립체(110)와 하부조립체(120)가 서로 조립부(1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서로 연통된 상부개구홈(111)과 하부개구홈(121)으로 이루어진 개구홈(130)을 통하여 변기(300)에 설치된 록킹부재(200)를 볼 수가 있게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upper opening groove 111 formed in the upper assembly 110 is formed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opening groove 121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120 so that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120 The user is able to move the locking member 200 provided in the toilet bowl 300 through the opening groove 130 including the upper opening groove 111 and the lower opening groove 121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ssembly portion 140. [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변기(300)에 미리 설치해 둔 록킹부재(200)의 위치를 비데 본체(100)에 형성된 개구홈(130)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끼워 맞출 수가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비데 본체(100)를 변기(300)에 설치할 수 가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insert the locking member 200 previously installed in the toilet bowl 300 while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200 through the opening groove 130 formed in the bidet body 100, 100 can be installed in the toilet 300.

도3에서 록킹부재(200)는 하부조립체(12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50)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며, 걸림턱(150)은 이하에서 설명될 록킹부재(200)에 슬라이드 동작에서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3, the locking member 2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locking protrusion 150 protruded upward from the lower assembly 1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50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200 .

이하에서는 록킹부재(2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Hereinafter, the locking memb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200)의 전체 분리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200)의 결합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록킹부재(200)의 결합 정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 member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member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elevation of the locking member (200).

록킹부재(200)는 변기(300)의 상면에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210)와, 고정부(210)에 올려져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부(250)로 대분된다.The locking member 200 is divided into a fixed portion 21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300 and a slide portion 250 slidably mounted on the fixed portion 210.

고정부(210)는 도4처럼 중앙에서 좌우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된 장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공(2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고정부(210)를 변기(300)에 고정할 체결부재(400)가 결합되는 체결부(213)가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part 210 has a long hole 211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4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for fastening the fixing part 210 to the toilet 300 along the edge of the long hole 211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부지지면(219)은 체결부(213)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고정부(210)의 최상면을 이루고, 상부지지면(219)의 둘레를 따라서 가이드날개(2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support surface 219 extend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to form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10 and a guide blade 215 protrud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pport surface 219.

하부지지면(217)은 고정부(210)의 가이드날개(215)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surface 217 of the lower surface 217 is spaced downwardly from the guide wing 215 of the fixing portion 210 and is formed flat.

슬라이드부(250)는 일측에 치우쳐 형성된 원형의 홀(251)이 슬라이드부(250)의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홀(251)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서 홀(251)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7)를 갖는다.The slide part 250 is formed so that a circular hole 251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e part 250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lide part 250. The slide part 250 has a protrusion (257).

홀(251)의 직경은 장공(211)의 단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체결부재(400)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된다.The diameter of the hole 25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211 a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mber 400.

도4처럼 슬라이드부(250)는 하단에 슬라이딩암(25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lide unit 250 has a sliding arm 255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슬라이딩암(255)은 고정부(210)에 형성된 가이드날개(215)를 파지하여 슬라이드부(250)가 고정부(210)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The sliding arm 255 grasps the guide vane 215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210 so that the sliding portion 250 can slide left and right at the fixing portion 210.

걸림부(253)는 도4와 같이 슬라이딩암(255)의 우측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다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슬라이드부(250)의 홀(251)의 우측에 길고 편평하게 연장된다.4, the latching part 253 extends vertically at the right end of the sliding arm 255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xtend to the right side of the hole 251 of the slide part 250 in a long and flat manner.

슬라이드부(250)에서 걸림부(253)의 상단에는 화살표가 홀(251) 방향으로 가리키도록 형성되어 있다.An arro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atching part 253 in the slide part 250 so as to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25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드부(250)는 도5처럼 고정부(210)의 상부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lide unit 250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unit 210 as shown in FIG.

슬라이딩암(255)은 고정부(210)의 하부지지면(217)과 상부지지면(219)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날개(215)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된다.The sliding arm 255 can be slid to the left and right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wing 215 formed between the lower support surface 217 of the fixing portion 210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219.

도6과 같이 슬라이드부(250)는 고정부(210)에서 슬라이딩 되어 위에서 보았을 때 고정부(210)와 완전하게 포개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lide part 250 slides at the fixing part 210 and can be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fixing part 210 when viewed from above.

도6에는 고정부(210)에 형성된 장공(211)에 체결부재(400)가 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6, the fasten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long hole 211 formed in the fixing part 210. [

체결부재(400)는 일반적으로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210)에는 장공(2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기(30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체결구멍의 폭에 따라서 체결부재(400)의 위치조절이 가능해진다.Since the fastening member 400 is generally formed with a bolt and the long hole 211 is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210, the fastening member 400 Can be adjusted.

체결부재(400)는 일측이 장공(2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체결부(213)에 밀착되고 타측이 변기(300)에 고정됨으로 고정부(210)가 변기(3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fastening portion 213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lot 211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toilet 300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2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toilet 300 will be.

이때, 슬라이드부(250)에 형성된 돌출부(257)가 체결부재(400)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250)는 더 이상 고정부(210)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257 formed on the slide portion 250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400, the slide portion 250 is no longer slid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210.

따라서, 슬라이드부(250)가 고정부(21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lide part 250 is prevented from sliding away from the fixed part 210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e part 250. [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립체(120)에 록킹부재(200)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립체(120)에 록킹부재(200)가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립체(120)에 록킹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250)의 걸림부(253)가 걸림턱(150)에 걸린 사시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250)가 하부조립체(120)에 걸린 정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200 coupled to a lower assembly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ing member 200 in a lower assembly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lock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king unit 20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unit 200. In this state,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slide assembly 25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assembly 120. FIG.

도7처럼, 록킹부재(200)는 하부조립체(120)에 결합되고, 하부조립체(120)에는 슬라이드부(250)에 형성된 걸림부(253)의 우측에 걸림턱(150)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채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locking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lower assembly 120, and the latch 150 protrudes upwardly from the lower assembly 120 on the right side of the latch 253 formed on the slide 250 Respectively.

도8과 같이 슬라이드부(250)는 고정부(210)와 정확히 포개어져 있는 상태이며, 이 때 하부조립체(120)는 변기(300)로부터 자유롭게 상부로 들려질 수 가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8, the slide part 250 is correctly overlapped with the fixing part 210, and the lower assembly 120 can be lifted up freely from the toilet 300 at this time.

그러나, 도9 및 도10처럼 슬라이드부(250)가 고정부(210)에 대하여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걸림부(253)가 하부조립체(120)에 형성된 걸림턱(150)에 걸릴 때에는 하부조립체(120)는 더 이상 변기(300)에 대하여 상부로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9 and 10, when the slide part 250 slid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210 and the latching part 253 is caught by the latching protrusion 150 formed on the lower assembly 120, the lower assembly 120 Will no longer be lifted upward relative to the toilet bowl 300.

이때, 슬라이드부(250)에 형성된 돌출부(257)가 체결부재(400)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250)는 더 이상 고정부(210)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257 formed on the slide portion 250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400, the slide portion 250 is no longer slid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210.

따라서, 슬라이드부(250)가 고정부(21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lide part 250 is prevented from sliding away from the fixed part 210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e part 250. [

다시 말해서 슬라이드부(250)가 고정부(210)에 형성된 가이드날개(215)의 안내를 받으면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결국 걸림부(253)가 하부조립체(120)의 걸림턱(150)에 걸린 상태는 하부조립체(120)를 변기(300)에 고정한 상태로서 록킹이 된 상태이다.The sliding portion 250 is slid to the right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wing 215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210 so that the locking portion 253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50 of the lower assembly 120 The lower assembly 120 is locked to the toilet bowl 300 and is locked.

반대로 사용자가 하부조립체(120)를 록킹부재(200)로부터 자유롭게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드부(250) 상단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부(250)를 슬라이드 시켜서 도7 및 도8과 같이 결국 슬라이드부(250)와 고정부(210)가 완전하게 포개진 상태를 만들게 되면 하부조립체(120)는 더 이상 변기(300)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고 분리될 수 가 있는 것이다.In order to freely release the lower assembly 120 from the locking member 200, the user slides the slide unit 25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e unit 250, The lower assembly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300 without being restra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xing part 210 and the fixing part 210 are completely enclosed.

록킹부재(200)의 고정부(210)는 하부조립체(120)의 내벽(22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ocking portion 210 of the locking memb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220 of the lower assembly 120.

도11은 도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250)와 고정부(210)가 포개어져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B-B단면도이며, 도12는 도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250)와 고정부(210)가 포개어져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A-A단면도이며, 도13는 도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250)와 고정부(210)가 포개어져 록킹이 해제된 상태의 A-A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art 250 and the fixing part 210 are stacked and unlock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slide unit 250 and the fixing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slide unit 250 and the fixing unit 210 ) Are stacked to release the locking.

도11에서 체결부재(400)는 장공(211)에 끼워져 변기(300)에 너트 등으로 조여져 고정부(210)를 변기(300)에 고정하고 있고, 하부조립체(120)는 고정부(210) 및 슬라이드부(250)를 수용한 채로 변기(300)위에 설치되어 있다.11, the fasten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211 and is fastened to the toilet 300 by a nut or the like to fix the fastening portion 210 to the toilet 300. The lower assembly 1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210, And the slide unit 250, as shown in FIG.

슬라이딩암(255)은 가이드날개(215)를 감싸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슬라이드부(250)가 가이드날개(215)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보여준다.The sliding arm 255 is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wing 215. The sliding member 255 is slid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wing 215. [

도12에서 체결부재(400)는 장공(211)에 끼워져 변기(300)에 너트 등으로 조여져 고정부(210)를 변기(300)에 고정하고 있고, 하부조립체(120)는 고정부(210) 및 슬라이드부(250)를 수용한 채로 변기(300)위에 설치되어 있다.The fasten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slot 211 and fastened to the toilet 300 by a nut or the like to fix the fixing part 210 to the toilet 300. The lower assembly 12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210, And the slide unit 250, as shown in FIG.

슬라이드부(250)는 고정부(210)와 상하로 포개어져 있으며, 슬라이드부(250)의 우측으로는 걸림부(253)가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부(253)의 하면은 우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걸림턱(150)에 자연스럽게 진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lide part 250 is vertically stacked with the fixing part 210 and the latch part 253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lide part 250.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 part 253 is inclined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naturally enter the latching jaw 150.

도13에서 슬라이드부(250)는 고정부(210)에 대하여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로서 걸림부(253)가 걸림턱(150)에 올려져서 결국 하부조립체(120)가 변기(30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못하는 록킹상태를 이루고 있다.The slide part 250 is sli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210 so that the locking part 253 is raised on the locking step 150 so that the lower assembly 120 is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toilet 300, So that it can not be l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이 때, 슬라이드부(250)에 형성된 돌출부(257)가 체결부재(400)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250)는 더 이상 고정부(210)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The protrusion 257 formed on the slide part 250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400 so that the slide part 250 is no longer slid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210. [

따라서, 슬라이드부(250)가 고정부(21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slide part 250 is prevented from sliding away from the fixed part 210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e part 25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치예를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install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변기(300)에 형성된 설치구멍(미도시)에 록킹부재(200)를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The user fixes the locking member 200 to the attachment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toilet bowl 300 using the fastening member 400. [

록킹부재(200)의 고정부(210)와 슬라이드부(250)를 포개진 상태로 한 다음 하부조립체(120)에 형성된 하부 개구홈(130)을 록킹부재(200)에 끼운다.The lower opening groove 130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1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member 200 after the fixed portion 210 and the slide portion 250 of the locking member 200 are folded.

록킹부재(200)의 고정부(210)는 하부개구홈(121)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ortion 210 of the locking memb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pening groove 121.

도1에서처럼 한 쌍의 록킹부재(200)의 고정부(210)가 한 쌍의 하부개구홈(121)에 밀착되면 하부조립체(120)는 변기(3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금지된다.1, when the fixed portion 210 of the pair of locking members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lower opening grooves 121, the lower assembly 120 is prohibited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ilet bowl 300 .

사용자는 상부조립체(110)를 상부개구홈(111)을 통해 육안으로 록킹부재(200) 위치를 인지하면서 하부조립체(120)에 끼워서 설치함으로써 변기(300)에 대하여 상부조립체(110) 역시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금지된다.The user can insert the upper assembly 110 into the lower assembly 120 while visual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200 through the upper opening groove 111 so that the upper assembly 110 is also horizontally Is prohibited.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9 및 도10과 같이 개구홈(130)을 통해서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부(250)를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걸림부(253)가 하부조립체(120)의 걸림턱(15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비데 본체(100)를 변기(300)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user slides the slide unit 25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by using a finger or the like through the opening groove 130 so that the latching unit 253 can move in the direction 150 so that the bidet body 1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vertically in the toilet bowl 300.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비데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나 수리를 필요로 할 때 도14와 같이 간단하게 개구홈(130)을 육안으로 손쉽게 들여다 보고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도7 및 도8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부(250)를 슬라이딩 시켜서 걸림부(253)가 걸림턱(150)으로부터 이탈시켜서 비데 본체(100)를 변기(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bidet or needs repair, the user easily peers the opening groove 130 with the naked eye as shown in FIG. 14 and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bidet body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toilet bowl 300 by sliding the door 250 so that the latching portion 253 is separated from the latching jaw 150.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설치예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부조립체(110)와 하부조립체(120)로 대분되는 비데 본체(100)를 조립부(140)를 사용하여 먼저 조립한 뒤에 비데 본체(100)에 형성되는 개구홈(130)을 육안으로 들여다 보면서 변기(300)에 형성된 설치구멍(미도시) 위치에 개구홈(130)이 놓이도록 비데 본체(100)를 올려 놓는다.The user may first assemble the bidet body 100 divided into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120 using the assembly unit 140 and then attach the bidet body 100 The bidet body 100 is placed so that the opening groove 130 is placed at a position of a mount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toilet bowl 300 while visually observing the opening groove 130 formed in the toilet bowl 300.

다음에 록킹부재(200)를 개구홈(130)으로 넣고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록킹부재(200)의 고정부(210)를 변기(300)에 고정한 뒤에 앞서 언급한 방법대로 슬라이드부(250)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간단하게 밀게 되면 비데 본체(100)가 변기(300)에 매우 간단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Next, after the lock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130 and the fixing portion 210 of the locking member 200 is fixed to the toilet 300 using the locking member 400, 250 is simply push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the bidet body 100 is fixed to the toilet bowl 300 very easily.

사용자는 상부개구홈(111)을 통해 이물질 등이 들어갈 것을 대비하여 비데 본체(100)를 변기(300)에 고정한 후 쉽게 분리 가능한 캡(미도시)을 상부개구홈(111)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It is also preferable for the user to install a cap (not shown) in the upper opening groove 111 so that the bidet body 100 can be easily separated after fixing the bidet body 100 to the toilet bowl 300 in preparation for entering foreign matter through the upper opening groove 111 I will do it.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비데 본체 110 : 상부조립체
111 : 상부개구홈 120 : 하부조립체
121 : 하부개구홈 130 : 개구홈
140 : 조립부 150 : 걸림턱
200 : 록킹부재 210 : 고정부
211 : 장공 213 : 체결부
215 : 가이드날개 217 : 하부지지면
219 : 상부지지면 220 : 내벽
250 : 슬라이드부 251 : 홀
253 : 걸림부 255 : 슬라이딩암
257 : 돌출부 300 : 변기
400 : 체결부재
100: bidet body 110: upper assembly
111: upper opening groove 120: lower assembly
121: lower opening groove 130: opening groove
140: Assembly part 150:
200: locking member 210:
211: elongated hole 213: fastening portion
215: guide wing 217:
219: upper support surface 220: inner wall
250: slide part 251: hole
253: Retaining part 255: Sliding arm
257: protrusion 300: toilet seat
400: fastening member

Claims (5)

변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갖는 록킹부재와; 걸림턱 및 개구홈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홈은 상기 본체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변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홈이 상기 록킹부재를 수용한 후 슬라이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본체가 상기 변기에 고정되되,
상기 록킹부재는 장공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서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공에는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기 고정부를 상기 변기에 고정시키며,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장공의 단폭보다 직경이 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더 이상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A fixing part fixed to the toilet,
A locking member having a slide portion slidably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And a main body having an engaging jaw and an opening groove,
Wherein the opening groove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slide groove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after the opening groove receives the lock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toilet,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having a long hole;
And a slid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hole,
A hole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a width of the long hole is formed in the slide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is caught by a protrusion formed in the hole, And the sliding portion does not slide on the fixing portion.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서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공에는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기 고정부를 변기에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장공의 단폭보다 직경이 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더 이상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
A fixing part formed with a long hole;
And a slide par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slid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 fastening member is fitted in the long hole to fix the fastening portion to the toilet,
A hol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a width of the long hole is formed in the slide portion,
Wherein the slide portion is engaged with a protrusion formed in the hole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does not slide on the fastening portion any lo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중심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타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enter of the hole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slide part, and a latching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e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장공의 외주면 상단을 따라 상기 장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날개에 결합하는 슬라이딩암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변기의 상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ixing portion,
A guide vane protruding outside the slot is formed along an upp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Wherein the sli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liding arm that engages with the guide vane,
Wherein the slide portion is prevented from separating upward from the toilet bow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과 상기 슬라이드부의 외주면은 위에서 보았을 때 서로 포개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lide portion slides on the fix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can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KR1020130031570A 2013-03-25 2013-03-25 A bidet KR101456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70A KR101456113B1 (en) 2013-03-25 2013-03-25 A bi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70A KR101456113B1 (en) 2013-03-25 2013-03-25 A bid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84A KR20140116684A (en) 2014-10-06
KR101456113B1 true KR101456113B1 (en) 2014-11-03

Family

ID=5199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570A KR101456113B1 (en) 2013-03-25 2013-03-25 A bid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1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65A (en) * 1998-07-17 2000-02-02 Hitachi Chem Co Ltd Human body private part washer
JP2003275140A (en) * 2002-03-25 2003-09-30 Toto Ltd Toilet seat with bidet
JP2004137878A (en) * 2002-09-27 2004-05-13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KR100550599B1 (en) * 2003-07-24 2006-02-10 주식회사 승광 Mounting means of bidet for sanitary wa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65A (en) * 1998-07-17 2000-02-02 Hitachi Chem Co Ltd Human body private part washer
JP2003275140A (en) * 2002-03-25 2003-09-30 Toto Ltd Toilet seat with bidet
JP2004137878A (en) * 2002-09-27 2004-05-13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KR100550599B1 (en) * 2003-07-24 2006-02-10 주식회사 승광 Mounting means of bidet for sanitary 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84A (en)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068B2 (en) Toilet seat and hinge
ATE556627T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TTACHING A DOORMAT TO A CARPET
KR101686577B1 (en) Valve room installed a manhole with a hinge-type cover
US20140000959A1 (en) Lift and pivot grommet
US20150015002A1 (en) Safety, self-latching, magnetic gate latch device
KR20080004989U (en) The fixation frame for a riser pipe fixation
KR101456113B1 (en) A bidet
AU2013206766B2 (en) Improved safety, self-latching, magnetic gate latch device
US20080163412A1 (en) Coupling Member for Toilet Seat Device With Warm-Water Sprays
JP5904462B2 (en) Pushbutton guide member having a metal plate flange member for a remotely operated drain plug device
JP5704956B2 (en) Pressure relief lid for drain line
US20140053326A1 (en)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toilets
KR200461750Y1 (en) Leg for furniture
WO2011112183A1 (en) Spring latch and method for attaching a seat cushion to a seat frame
KR200457715Y1 (en) Lighting fixtures installation structure
CN205206535U (en) Bolt part of cabinet door
US20110157902A1 (en) Cover
KR101713125B1 (en) A washbowl for pop-up device
JP2013253423A (en) Operation device
CN220571943U (en) Quick-heating water cup
JP2014009504A (en) Drain plug device
JP6788246B2 (en) Operating device
CN213018056U (en) Pull tap hose separation piece and separation structure
JP5272816B2 (en) Western style toilet floor fixing structure
WO2015192736A1 (en) A toilet convenient to assemble and disassem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