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693B1 -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693B1
KR101455693B1 KR1020120134596A KR20120134596A KR101455693B1 KR 101455693 B1 KR101455693 B1 KR 101455693B1 KR 1020120134596 A KR1020120134596 A KR 1020120134596A KR 20120134596 A KR20120134596 A KR 20120134596A KR 101455693 B1 KR101455693 B1 KR 10145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wireless
receiv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409A (ko
Inventor
강지명
박영진
강문경
김진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6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전송 전력량을 실시간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전송 전력량을 조절함을 통해 전력을 효율적,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that support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전송 전력량을 실시간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무선전력송신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무선전력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휴대전화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기기의 유선전력공급에서 오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전력송신기와 무선전력수신기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효율이 감소되어, 특정한 거리 이상으로 송수신기간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전력 송수신 및 데이터 통신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하나의 무선전력송신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무선전력수신기로 전력 전송이 이루어 지는 경우,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실시간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 변화에 따라 무선전력송신기에서 전송하는 전력량을 실시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전송 전력량 조절이 실시간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에 전력을 부족하게 공급하거나 혹은 과다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과다하게 공급한 경우 전력 수신기가 적절히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발열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로 전력을 효과적,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전송 전력량을 실시간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에 따라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송 전력량 대비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하며, 전송 전력량 대비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미달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을 정상전송하기 위해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일정량의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 단말은, 무선 전력 송신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부 및 상기 단말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무선통신부는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수신을 완료하여 더 이상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경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실시간 파악하여 전송 전력량을 조절함을 통해 전력을 효율적,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데이터통신가능영역과 전력전송가능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시험전력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무선전력수신기로의 전력 전송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전송 전력량을 실시간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는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일 예로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용 게임기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14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10),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부(120) 및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에 따라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은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140)와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무선전력전송부(120)를 통해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140)에 동시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가능영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과 무선전력수신기(140)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이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은 상기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140)로부터 전력전송요청 정보 또는 전력수신완료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부터의 현재 수신전력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는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에서 상기 무선전력시스템(100)으로 전송됨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시스템(100)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전송가능영역은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전력 수신 효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을 이르며, 상기 전력 수신 효율은 전송 전력량 대비 수신 전력량의 비율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전송 전력량 대비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수신 전력량 비율과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전송 전력량 대비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수신 전력량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30)는 전송 전력량 대비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수신 전력량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요구 전력량을 정상전송하기 위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시험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지속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데이터통신가능영역을 이탈하여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수신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일정량의 시험전력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시스템(100)의 구체적 동작 과정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데이터통신가능영역과 전력전송가능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데이터통신가능영역은 전력전송가능영역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영역일 수 있으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로 동시에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도 1의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과 도면부호는 상이하나 동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 A 및 무선전력수신기 B의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각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각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지속 확인하며, 상기 확인결과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A 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B 의 요구 전력량을 정상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확인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인결과 무선전력수신기의 전력전송가능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탈한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A가 전력전송가능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A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 전송을 완료하여 더 이상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A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A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나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 C의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시험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지속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 확인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나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 전송을 완료하여 더 이상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의 진입 여부 확인을 위한 시험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C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 C의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의 진입 여부 확인을 위한 시험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험전력 전송을 통한 무선전력수신기의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하여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시험전력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전송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시험전력 전송을 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력을 나타낸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전송 전력이 있는 상태에서의 시험전력 전송을 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력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이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 상태에서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 전송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 T1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전력 P1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확인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정상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이 전력을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 전송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 T2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전력 P2을 기 전송 전력량에 추가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확인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기 전송 전력량에 추가하여 정상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통신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 D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과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곳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200)으로 전력전송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로의 무선 전력 전송 과정의 일 예로 다음 단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무선전력수신기로의 전력 전송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기(140)로부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의 전력 전송 요청이 있으면(S401),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3)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상기 전력 전송 요청은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부터의 수신 전력량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 전력량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확인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의 최초 전력 전송 요청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전술한 단계(S403)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의 무선전력전송부(120)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을 정상전송하도록 제어한다.(S405)
상기 정상전송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 받은 수신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 전력량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전력전송가능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탈한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 전송을 완료하여 더 이상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은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술한 단계(S403)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전력전송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시험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7)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 받은 수신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전력전송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409)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 전력량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가 전력전송가능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며(S411), 이후 전술한 S405 단계 내지 S411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험전력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 무선전력수신기(140)의 일 예로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500)은 무선 전력 송신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부(510),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부(520) 및 상기 단말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5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생성부(530)는 전력전송요청 정보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무선통신부(510)는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단말(500)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수신을 완료하여 더 이상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경우, 상기 데이터 생성부(530)는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에 따라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데이터통신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 전력량 대비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하며,
    전송 전력량 대비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미달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을 정상전송하기 위해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요구 전력량을 제외하여 전체 전송 전력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전송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시험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가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시험전력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기의 전력전송가능영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시험전력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9. 무선 전력 송신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부; 및
    상기 단말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의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무선통신부는,
    상기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수신을 완료하여 더 이상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경우, 전력수신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전송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이동 단말.
KR1020120134596A 2012-11-26 2012-11-26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KR10145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96A KR101455693B1 (ko) 2012-11-26 2012-11-26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96A KR101455693B1 (ko) 2012-11-26 2012-11-26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09A KR20140067409A (ko) 2014-06-05
KR101455693B1 true KR101455693B1 (ko) 2014-11-03

Family

ID=5112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596A KR101455693B1 (ko) 2012-11-26 2012-11-26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157A (ja) * 2008-04-17 2009-11-05 Sony Corp 無線通信装置、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10074020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05484A (ko) * 2009-04-07 2012-01-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송신 스케줄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157A (ja) * 2008-04-17 2009-11-05 Sony Corp 無線通信装置、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005484A (ko) * 2009-04-07 2012-01-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송신 스케줄링
KR20110074020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09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460B2 (en) Power transmitting method and power transmitter for communication with power receiver
US11670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80205257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vehicle control unit connected thereto
US9991753B2 (en) Variable wireless transfer
KR101968554B1 (ko) 전력 수신기의 전압 초과를 고려한 전력 송신기에서의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KR20160025314A (ko) 충전 방식 가변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A2836391C (en) Power transmitting method and power transmitter for communication with power receiver
CN108767954B (zh) 智能家居的远程无线充电系统、控制系统及方法
US11411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5633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47610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스마트 폰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US114378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15008608A (ja) 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CN103928725B (zh) 一种移动终端及其充电方法和装置
US20220158504A1 (e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out-b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charging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150076518A (ko) 전자장치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방법
US11829747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rmware
CN104917227A (zh) 一种控制充电的方法、充电设备及终端设备
KR101455693B1 (ko) 다중 무선전력수신기를 지원하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
KR101335797B1 (ko)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CN106410992B (zh) 无线充电设备及方法
CN105990886A (zh) 非接触式电力发送设备、电力接收设备和电力收发系统
JP2016039735A (ja) 充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25015A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40002491A (ko)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는 d2d 기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