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68B1 -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 Google Patents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68B1
KR101455368B1 KR1020120049295A KR20120049295A KR101455368B1 KR 101455368 B1 KR101455368 B1 KR 101455368B1 KR 1020120049295 A KR1020120049295 A KR 1020120049295A KR 20120049295 A KR20120049295 A KR 20120049295A KR 101455368 B1 KR101455368 B1 KR 10145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chair
pedestal
adhesi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5627A (en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에스앤씨
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에스앤씨, 정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에스앤씨
Priority to KR102012004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68B1/en
Publication of KR2013012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되어 의자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착되는 접착제 도포부를 가진 제 2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결합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접착제 도포부로 분리재를 공급하기 위한 분리재 공급부가 마련된다. The pedestal mounting plate for mounting a gorg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pedestal for attaching a chair by being adhered to a concrete structure, the pedestal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edestal on one side and an adhesive applied to the other side And a separating material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separat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adhesive applying unit for sepa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from the second engaging unit.

Description

관람석 의자용 받침대 부착판{concrete plate for chair rest}A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본 발명은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한 관람석 의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installing a chair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for a chair seat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oncrete wall.

일반적으로 각종 경기장, 영화관 등 다중 이용시설에는 관람을 위한 의자, 즉, 관람석 의자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계단식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사면, 벽체 또는 수평면(바닥면)에 관람석 의자를 설치하게 된다. Generally, a multi-use facility such as a stadium or a movie theater is equipped with a chair for viewing, that is, a chair seat. In installing the stool, a stepped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for efficient use of space, Or on a horizontal plane (floor).

종래의 관람석 의자는 대개 좌석과 의자받침대, 받침대 부착판이 모두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제작된 상태로 운반되어 설치 시에는 미리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한 앵커볼트에 걸고 너트를 체결시켜 고정하게 된다. Conventional grandstand chairs are generally formed as a single unit with a seat, a chair base, and a pedestal attachment plate, and they are transported in a manufactured state. When installed, they are fastened to an anchor bolt installed in a concrete structure and fastened by fastening a nut.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관람석 의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받침대 부착판이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관람석 의자의 파손으로 인한 수리 시 콘크리트의 구조물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분리할 필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chair, the anchor bolt and the nut ar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anchor bolt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concrete when repairing due to breakage of the chair se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structure is damaged.

이러한 콘크리트 벽체의 손상은 후속으로 고정되는 받침대 부착판의 설치를 어렵게 하고, 재시공 시 부착판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게 된다. 또한 받침대 부착판이 제거된 부위에는 앵커가 노출되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으며, 미관상 좋지 않다.Such damage of the concrete wall makes it difficult to install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which is subsequently fixed, and the supporting force of the attaching plate is relatively weakened at the time of re-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safety accident because the anchor is exposed at the part where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is removed, and it is not good for cosmetics.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79138호에는 운동장용 조립식 스텐드의 의자 고정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의자 고정장치는 의자의 배면 양측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하단에 다단식으로 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그 후면에는 받침 고정구 본체를 체결한 다음 스텐드에 부착하여서 된 구성을 가진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79138 shows a chair fixing device for a stand for a playground. The posted chair fix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a lower stage of a support fram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a chair, and a backing fixture main body is fastened to the back of the chair fastening holes and then attached to the stand.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00-0016780호에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의자가 게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377435호에는 야외용 관람석이 게시되어 있으며, 공개 특허 제 2001-0010755호에는 경기장용 회전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야외 관람석과 경기장용 회전의자는 의자를 지지하는 지주체가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정은 앵커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Korean public utility model 2000-0016780 has posted a chair supported by a bracket,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77435 has posted a grandstand seat, and patent publication No. 2001-0010755 published a rotating chair for a stadium have. The outdoor grandstand and the rotating chair for the stadium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supporting the chair is fixed to the floor surface. Such fixing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coupled by an anchor and a bol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인은 받침대 부착판과 관람석 의자 받침대의 결합구조(특허등록 제 1058410호)를 등록 받았고,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특허출원번호 2011-0050812호)을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더욱 연구 개발하여 후속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joining structure (patent registration No. 1058410) of the silver pedestal attachment plate and the chair sea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registered, and the application plate for the pedestal chair installation stand (patent application No. 2011-0050812) And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made for subsequent applica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한 것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의자 설치용 부착판의 접착력을 높이고, 콘트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대해 부착판을 결합하는 접착제를 쉽게 녹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가 용이한 관람석 의자용 받침대 부착판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of a mounting plate for mounting a chair on a concrete wall and to easily dissolve an adhesive bonding the mounting plate to a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a plate for mounting the pedest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된 부착판의 결합 지지력을 높여 의자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용 받침대 부착판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al attachment plate for supporting a chair by firmly supporting an attachment plate attached to a concrete wa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의자용 받침대 부착판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되어 의자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착되는 접착제 도포부를 가진 제 2결합부를 구비하며,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al attachment plate for supporting a chair for attaching a chair by adhering to a concrete structure, the pedestal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pedestal is coupled,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having an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to be adhered to the concrete structure,

상기 제 2결합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접착제 도포부로 분리재를 공급하기 위한 분리재 공급부가 마련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And a separating material supplying unit for supplying the separat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adhesive applying unit for sepa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from the second coupling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부는 제 2결합부의 표면으로부터 인입된 복수개의 인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인입부의 내주면에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재 공급부는 각 인입부 사이에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그루부들이 형성되고, 이 메인 그루브들로부터 각 인입부들로 연결되는 분기 그루브들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apply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let portions drawn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to widen the surface area. In the separator feeder, main grooves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are formed between the inlet portions, and branch groove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s from the main grooves are formed.

그리고 상기 부착판의 하단부측에는 전면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조 지지부를 더 구비한다. The lower end of the attachment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which extends to the front surfac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a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용 받침대 부착판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밀착력을 높여 의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과 부착판을 접합하는 접착제를 부착판의 제 2결합부에 형성된 분리재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분리재를 통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과 부착판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부착판이 제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for a chair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hair by increasing the adhesion force with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adhesive for joining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attachment plate can be attached to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y unit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attachment plate can be easily separated by dissolving them through the supplied separating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crete structure from which the attachment plate is removed.

그리고 부착판의 제 2결합부에 인입부를 형성하고, 이의 내면에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표면적이 넓혀진 상태이므로 접착제에 의한 접합 및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inlet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attachment plate a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the surface area is widened, so that the bonding and supporting force by the adhesiv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판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람석 의자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2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람석의자의 부착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관람석 의자의 부착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관람석 의자 부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에는 관람석 부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관람석 부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분리 유닛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부착판이 초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ir is attached to a concrete structure by an attachm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unting plate of a chair seat is attached to a concrete structur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ttachment plate of a chair seat,
4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ir seat attachment plate,
5 to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leacher attachment plate,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leach attachment plat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ttachment plate is initially separated from a concrete structure by a separation unit.

본 발명은 각종 경기장, 영화관 등 다중 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관람석의자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사면, 벽면 또는 수평면 바닥면에 접착된 부착판을 이용하여 설치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air of a grandstand installed in a multi-use facility such as a stadium or a movie theater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a wall surface or a floor surface of a concrete structure using an attachment plate adhered to the concrete structure. Respectively.

도면을 참조하면, 관람석 의자(10)는 단상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경사면 또는 벽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받침대 부착판(20)과, 상기 받침대 부착판(20)에 설치되는 의자 받침대(30)와, 상기 의자 받침대(3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트부재(41)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 부재(41)에는 등받이(42)가 설치되고, 팔걸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hair seat 10 includes a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adhered to an inclined surface or a wall of a single-phase concrete structure 100 by an adhesive, and a chair support (not shown) provided on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30 and a seat member 41 provided at an end of the chair base 30. The seat member 41 is provided with a backrest 42, and an armrest (not shown) may be installed.

상기 관람석 의자(10)의 받침대 부착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경사면 또는 벽체에 접착제(200)에 의해 접착되는 것으로, 의자받침대(3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21)와, 상기 제 1결합부(21)와 대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경사면 또는 벽체에 접합되는 제 2결합부(22)를 가지는 본체(23)를 구비한다.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of the chair seat 10 is attached to the inclined surface or the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by the adhesive 200 as described above, And a body 23 having a first coupling part 21 and a second coupling part 22 joined to an inclined surface or a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21.

상기 받침대 부착판(20)의 본체(23) 전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부(21)는 의자 받침대(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1a)(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21a)(21b)는 상기 의자받침대(3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재(31)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의자받침대(30)와 받침대 부착판(20)을 결합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3 of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is formed with a pair of guide portions 21a and 21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chair rest 30 can be engaged . The guide portions 21a and 21b are engaged with coupling members 31 formed at the ends of the chair rest 30,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the chair base 30 and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structure can be used so long as they can be mutually coupled.

상기 받침대 부착판(20)의 본체(23)에 형성된 제 2결합부(22)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경사면 또는 벽체(101)에 접착제의 의해 접착되는 것으로, 콘트리트 구조물(10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평활한 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결합부(22)에는 벽체와 접착 시 접착제(200)가 도포되는 복수개의 인입부(51)로 이루어진 접착제 도포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50)를 이루는 인입부(51)의 내주면에는 접착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돌기(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50)는 제 2결합부(22)는 인입부(51)에 한정되지 않고 전영역에 도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후술하는 분리재 공급부와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부(51)의 내측면 본체(23)에는 접착제(200)가 인입부로(5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면적을 넓힐 수 있는 접착제 머금홈(5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금홈(52)는 인입부(51)의 내측면 본체에 형성된 머금홈(52)는 내측면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 formed on the main body 23 of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is adhered to the inclined surface or the wall 101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by an adhesive, Have a smooth surface to be The second joint portion 22 is formed with an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50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let portions 51 to which the adhesive 200 is applied when adhering to the wall.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51 forming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50 to widen the adhesive surface area. Here, the adhesive applying unit 50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engaging part 22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lead-in part 51, and in this case, it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ying part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4, adhesive grooves 52 for preventing the adhesive 200 from separating from the inlet portion 51 and widening the surface area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main body 23 of the inlet portion 51 . The ferrule 52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errule 52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51.

한편, 제 2결합부(22)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재 공급부(60)는 접착제 도포부(50)를 이루는 인입부(51)의 사이에 메인 그루브(61)들이 형성되고, 이 메인 그루브(61)에는 메인 그루브(61)를 통하여 공급되는 분리재가 각각의 접착제 도포부(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메인 그루브(61)와 연결되는 분기 그루브(62)들이 형성된다. 상기 분기 그루브(62)는 분기되어 인입부(51)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 여기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그루브(61)는 상기 본체(23)의 내부에 중공통로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그루브(61)의 입구측은 본체(23)의 상면측에 위치되지 않고, 측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ying unit 60 for sepa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100 from the second engaging part 22 includes main grooves 61 formed between the inserting parts 51 forming the adhesive applying unit 50 The main grooves 61 are formed with branch grooves 62 connected to the main grooves 61 so that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main grooves 61 can be supplied to the respectiv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s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nch groove 62 be branch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lead-in portion 51. Here, as shown in FIG. 6, the main grooves 61 may have hollow passages formed in the main body 23.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rance side of the main groove 61 is no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23 but is located on the side surface so that rainwater does not flow.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3)의 제1결합부(21)에 메인 그루브(61)와 연통되는 주입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도 7참조) For this purpose, an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groove 61 may be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 of the main body 23 (see FIG. 7).

그리고 상기 본체(23)의 상부측의 제 2결합부(2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메인그루브(61)에 분리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리재 저장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분리제 저장부(63)는 메인 그루브(61)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메인 그루브(61)에는 분리재가 급격히 메인 그르부(61)를 통하여 흘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오리피스부 또는 메인 그루브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연리브들을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eparating material storage part 63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separating agent to the main grooves 61 is provided in the second engaging part 22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3 The separator storage portion 63 is connected to the main groove 61. Meanwhile, the main grooves 61 may form delay rib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orifice part or the main groove so that the separating material flows rapidly through the main grit part 61 and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받침대 부착판(20)의 하단부 즉, 본체(23)의 하단부 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벽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면에 접합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지지부(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 지지부(7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체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부(70)의 하면에는 접착제 도포부와 분리재 공급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보조 지지부(7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재 공급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An auxiliary support 7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plate 2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3, for bonding the pedestal 20 to a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a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7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an adhesive applying unit and a separating material supplying unit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ing unit 70. This technical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y unit may be separately formed in the auxiliary support unit 70,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그리고 상기 받침대 부착판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는 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접착 후 충격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으며, 굽힘강도, 경화성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 시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는 에폭시 수지를 주 재질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대 부착판(20)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분리재 공급부에 공급되는 분리재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접착제를 녹이거나 연화시킬 수 있는 신너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adhesive for adhering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can use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adhesives, but it is excellent in adhesion with concrete structures, can withstand impact or vibration after bonding,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bending strength and cur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mainly composed of an epoxy resin which does not generate volatile substances and shrink in volume during curing.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ied to the separating material supply unit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pedestal-mounting plate 20, and a thinner capable of dissolving or softening the adhesive may be us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3)의 상단부 또는 보조 지지부(70)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부착된 본체(23)의 가장자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유닛(8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분리 유닛(80)은 상기 본체의 상단부측 모서리부에 관통홈(8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81)에는 분리부재(82)가 나사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분리부재(8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분리부재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본체(23)의 두께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8, a separating unit 80 for separating the edge of the main body 23 attached to the concrete structure 1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23 or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70. The separating unit 80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81 at an edge portion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parating member 82 is screwed into the through-hole 81. The separating member 82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23 so that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rotated while the end of the separ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parating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for installing a bleache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본 발명에 받침대 부착판(2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람석 의자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접합부위의 이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받침대 부착판(20)을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경사면 또는 벽체에 접착한다. 상기와 같이 접착이 완료되면, 받침대 부착판(20)의 제 1결합부에 의자 받침대(30)를 설치하고, 이의 단부에 시트부재(41)를 설치한다. In order to install a chair seat on a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pedestal 20, the floor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is remov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100 100 to the inclined surface or the wall. When the bond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base 30 is provided 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20, and the sheet member 41 is provided at the end thereof.

그리고 관람석 의자의 파손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받침대 부착판(20)을 콘크리트 구조물(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리제 주입부(60)의 메인 그루부(61)에 분리제(접착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제)를 투입한다. 이와 같이 투입된 용해제는 메인 그루브(61)와 분기 그루브(62)를 통하여 접착제 도포부(50)에 도포된 접착제를 적시게 된다. 특히 상기 제 2결합부에는 분리재 저장부(6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메인 그루브(61)의 입구를 통하여 분리제 저장부(63)에 저장된 분리제는 지속적으로 접합부위에 조사됨으로써 접착제의 용해 또는 연화시키게 되고, 나아가서는 콘크리트 구조물(100)로부터 받침대 부착판(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separate the pedestal plate 20 from the concrete structure 100 due to breakage or damage of the chair seat, a separating agent (a dissolving agent for dissolving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main grooved part 61 of the separator injection part 60 ). The thus introduced dissolving agent is wetted with the adhesive applied to the adhesive applying portion 50 through the main groove 61 and the branch groove 62. Particularly, since the separating agent storage part 63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the separating agent stored in the separating agent storage part 63 through the inlet of the main groove 61 is continuously irradiated onto the bonding part,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detach the pedestal plate 20 from the concrete structure 100. Further,

특히, 본체(23)의 단부에 설치된 분리유닛(80)의 분리부재(82)를 회전시키게 되면 분리부재(82)의 단부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접착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고, 본체(23)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Particularly, when the separating member 82 of the separating unit 80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23 is rotated, the end of the separating member 82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adhered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23)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이와 같이 받침대 부착판의 분리는 종래와 같이 앵커의 제거에 따른 콘트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앵커가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of the pedestal-mounted plate can prevent the concrete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removal of the anchor, and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exposure of the anchor.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은 콘크리트 구조물 뿐만아니라 각종 의자 또는 지지물을 지지하기 하기 위한 각종 고정구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The pedestal attachment plate for installing a bleacher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not only to a concrete structure but also to various fixed structures for supporting various chairs or supports.

10; 관람석의자
20; 받침대 부착판
30;의자 받침대
100;콘크리트 구조물
10; Grandstand chair
20; Pedestal attachment plate
30; chair base
100; concrete structure

Claims (6)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되어 의자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착되는 접착제 도포부를 가진 제 2결합부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결합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접착제 도포부로 분리재를 공급하기 위한 분리재 공급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
A main body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to which the pedestal is couple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having an adhesive applying portion to be adhered to the concrete structure on the other side by supporting the pedestal for attaching the chair by being adhered to the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material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a separation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concrete structure from the concrete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부는 제 2결합부의 표면으로부터 인입된 복수개의 인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인입부의 내주면의 본체에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 widening the surface area are formed on the main body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The apparatus of claim 1, Mounting pl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인입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for preventing the adhesiv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le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재 공급부는 본체의 제 2결합부 표면으로부터 인입된 각 인입부 사이에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그루부들이 형성되고, 이 메인 그루브들로부터 상기 각 인입부들로 연결되는 분기 그루브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material supply unit may include main grooves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between each of the inlet portions drawn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branch groov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inlet portions from the main grooves. A chair mounting bracket for mounting a ch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하단부측에는 전면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조 지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attachment plate to the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a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achment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본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 설치용 받침대 부착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eparating unit for separating a main body attached by an adhesive to a concrete structure.

KR1020120049295A 2012-05-09 2012-05-09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KR101455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95A KR101455368B1 (en) 2012-05-09 2012-05-09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95A KR101455368B1 (en) 2012-05-09 2012-05-09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27A KR20130125627A (en) 2013-11-19
KR101455368B1 true KR101455368B1 (en) 2014-10-27

Family

ID=4985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295A KR101455368B1 (en) 2012-05-09 2012-05-09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7835B (en) * 2020-04-30 2023-03-15 Ds Constructions Ltd Seat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672U (en) * 1999-03-02 2000-10-05 박병희 Device for fixing chairs of knock-down stand for sports ground
EP1415574A1 (en) 2001-07-19 2004-05-06 Euro Seating International, S.A. Method of producing variably-configured frames for cinema seats and/or similar elements and the frame thus obtained
KR101058410B1 (en) 2011-05-30 2011-08-24 정태영 A connecting device for concrete plate and chair re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672U (en) * 1999-03-02 2000-10-05 박병희 Device for fixing chairs of knock-down stand for sports ground
EP1415574A1 (en) 2001-07-19 2004-05-06 Euro Seating International, S.A. Method of producing variably-configured frames for cinema seats and/or similar elements and the frame thus obtained
KR101058410B1 (en) 2011-05-30 2011-08-24 정태영 A connecting device for concrete plate and chair 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27A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823345A (en) Panel installation set and method of installing panel using the same
KR101455368B1 (en) concrete plate for chair rest
KR101296988B1 (en) System to join screen partition frame of desk
CN105133816A (en) Splicing device used for floor tile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1609759B1 (en) Stripping Deck
TW201933757A (en) Cylindrical solar power generator with protection canopy
CN205637468U (en) Novel outdoor floor
KR101530705B1 (en) chair rest assembly
KR101214472B1 (en) Finish anchor for polyurethane promulgation correction of deformities insulation material construction
CN215829916U (en) Ground veneer splicing structure
JP2010022436A (en) Aseismic support and method for mounting
CN105526232A (en) Supporting beam of display device, supporting piece and display device
CN102677790A (en) Sound absorption unit capable of being installed quickly
KR101058410B1 (en) A connecting device for concrete plate and chair rest
CN207177177U (en) Wood veneer cladding system
CN105897128A (en) Mounting suspension piece, fixing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for double-glass photovoltaic module
CN215127807U (en) Novel shower room chassis structure
KR102200054B1 (en) Complex furniture for tent and lamp structure
TW2005295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electronic components
TWI669900B (en) Generator system and solar power generator module and installation base thereof with pliant solar panel
JPWO2013157381A1 (en) SOLAR CELL MODULE,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SOLAR CELL MODULE SUPPORT STRUCTUR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N219365008U (en) Sound insulation building board convenient to equipment
CN217335807U (en) Speaker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CN211622353U (en) Unit type glass railing
KR101328632B1 (en) fixing device of advertisement sign board assembly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