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35B1 -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35B1
KR101455335B1 KR1020130032272A KR20130032272A KR101455335B1 KR 101455335 B1 KR101455335 B1 KR 101455335B1 KR 1020130032272 A KR1020130032272 A KR 1020130032272A KR 20130032272 A KR20130032272 A KR 20130032272A KR 101455335 B1 KR101455335 B1 KR 10145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sulator housing
flat cable
connecto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7171A (en
Inventor
박현주
최경해
김동희
박동진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35B1/en
Publication of KR2014011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가 상기 시그널층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양측에 샤프트가 구비된 지지부를 구비한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샤프트가 끼워지는 베어링 홈이 구비된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에 상기 베어링부를 체결하여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of a flat cabl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cts making contact with a signal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An insulato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pitch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ayer and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forwar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lurality of contacts and having a shaft on both sides; And a bear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for receiv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and having a bearing groove into which the shaft of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and an open position for inserting the flat cable and a flat portion for inserting the flat cable by fastening the bearing portion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And an actuator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open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fixing the cable.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을 가압 및 고정하는 액추에이터와 그 지지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 type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uator for pressing and fixing a flat cable and a connector for a flat cable connection improved in its supporting structure.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A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 type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at cable) such as an FPC (Flexible Printed Cable) or an FFC (Flexible Flat Cable) is disclose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11259, 2006-31019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86600,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79176, and the lik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액추에이터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actuator in an open state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10)과, 절연체 하우징(1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11)와, 수용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1)에 대하여 가압 및 고정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에 결합된 액추에이터(Actuator)(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flat cable connecting connector includes an insulator housing 10 for accommodating the flat cable 1, a plurality of conductive contacts (not shown) fixedly inserted into the insulator housing 10 at regular intervals, And an actuator 12 coupl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 so as to press and fix the received flat cable 1 against the contact 11.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2)는 컨택트(11)의 일부에 형성된 피벗부(Pivot portion)(11b)에 구속된 채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절연체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2)가 클로즈 상태로 되면, 플랫 케이블(1)을 가압하여 컨택트의 접촉부(11a)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컨택트(11) 상에 플랫 케이블(1)을 고정하도록 한다.In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the actuator 12 is hing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 so as to be rotatably openable and closable while restrained by a pivot portion 11b formed in a part of the contact 11. When the actuator 12 is brought into the closed state, the flat cable 1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portion 11a of the contact so that the flat cable 1 is fixed on the contact 11.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 접촉부(11a)와 액추에이터(12)를 지지하는 피벗부(11b)가 컨택트(1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너무 크고, 이로 인해 임피던스(Impedance)가 저하되어 고속전송능력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contact portion 11a, which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cable 1, and the pivot portion 11b, which supports the actuator 12, There is a weak point that the capacitance value is too large, which causes the impedance to drop and the high-speed transmission capability to deteriorate.

비록,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에서는 임피던스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컨택트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조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커패시턴스 값의 저하 정도가 미미하여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lthough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186600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tact to prevent a decrease in impedance, in this case also,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capacitance value is insignificant, A new approach i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액추에이터를 절연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flat cable connector, which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ich can improve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by supporting the actuator by the insulator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랫 케이블 또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호환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ompatibility with a flat cable or a plug connecto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가 상기 시그널층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양측에 샤프트가 구비된 지지부를 구비한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샤프트가 끼워지는 베어링 홈이 구비된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에 상기 베어링부를 체결하여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 cabl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cts making contact with a signal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An insulato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pitch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ayer and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forwar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lurality of contacts and having a shaft on both sides; And a bear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for receiv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and having a bearing groove into which the shaft of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and an open position for inserting the flat cable and a flat portion for inserting the flat cable by fastening the bearing portion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And an actuator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open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fixing the cable.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으로 이루어진다.Advantageously, said plurality of contacts comprises a single strand of conductive pins.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태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protruding forward of the insulator housing.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선단부에 라운드 형태를 가진 라운드부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having a round shape at the tip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단 사이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dispos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다.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insulator housing.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열된다.Preferably, the bearing portions of the actuators are provided at least at one or more intervals,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s of the insulator hou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s.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양단 사이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dispos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다.Preferably,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integrally with the actuator.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상기 베어링 홈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의 샤프트가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개방된 홈 구조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formed with a groove structure in which the bearing groove is opened so that the shaft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slidably fitted.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 홈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홈이 개방된다.Preferably, the bearing groove is opened in a direction to fasten the actuator to the insulator housing.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는 길이방향의 양단에 보조 샤프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샤프트가 끼워지는 보조 샤프트 수용홈이 더 형성된다.Preferably, the actuator further includes auxiliary shaft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sulator housing further includes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shafts in which the auxiliary shafts are fitted.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의 보조 샤프트는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진다.Preferably, the auxiliary shaft of the actuator is slidably fitted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진 보조 샤프트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지지핀이 더 구비된다.Preferably, the insulator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in which is fastened to cover and support an auxiliary shaft fitted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핀은 홀드다운이다.Preferably, the support pin is hold down.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된다.Preferably, the insulator housing further includes guide protrusions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flat cable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락킹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에는 상기 락킹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락킹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락킹홈이 더 형성된다.Preferably, the actuator further includes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a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at cable to be pressed, and the flat cable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art to fit the locking part .

본 발명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를 절연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부분이 컨택트와 기구적, 전기적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일체형 컨택트에 비해 커넥터의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되므로 고속전송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 하우징의 구성만으로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 또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호환 적용이 가능하여 커넥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ctuator is structured to be supported by the insulator housing and the portion for supporting the actuator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tact,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of the connector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tegrated conta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ctuator can be supported only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of par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compatibility with the flat cable or the plug connector is possible, which improves the usability of the connec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액추에이터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절연체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가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절연체 하우징에 액추에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절연체 하우징에 액추에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ctuator with the actuator opened in Fig.
Figs.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sulator housing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4A.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ctuator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A.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tuator is opened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is closed in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assembling an actuator to an insulator housing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assembling an actuator to an insulator housing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t cable is fastened to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 cable is fastened to the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of FIG. 8A;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plug connector is fastened to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flat cable connecting connector of Fig. 9A.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절연체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3a 내지 도 3c에서 도 3a는 전방 측을, 도 3b는 후방 측을, 도 3c는 액추에이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insulation housing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a partially enlarged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ctuator of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show the front side, FIG. 3B shows the rear side, and FIG. 3C shows the actuator opened state.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절연체 하우징(100), 액추에이터(200) 및 복수개의 컨택트(300)를 포함한다.3A to 3C,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or housing 100, an actuator 200, and a plurality of contacts 300.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대응 커넥터 즉,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케이블(도 8a의 1참조) 또는 플러그 커넥터(도 9a의 2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은 실질적으로 플랫 케이블(1)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액추에이터(20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The insulator housing 100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connector inserted in front of the connector, that is, a flat cable (see 1 in FIG. 8A) or a plug connector (see 2 in FIG. 9A) such as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The shape of the housing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The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rresponding connector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lat cable 1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actuator 200 can be fastened .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30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컨택트(300)의 설치 간격은 대응 커넥터인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시그널층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을 갖는다.In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plurality of contacts 30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300 has a pitch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ayer so as to make contact with the signal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1 as the corresponding connector.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은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300)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200)가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10)를 포함한다.The insulator housing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ulator housing 100 protrudes forward at a position facing the plurality of contacts 300 and supports the actuator 200 so that the actuator 200 can be fastened and supported.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절연체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태로 그 양측에 샤프트(111)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라운드 형태를 가진 라운드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상기 액추에이터(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 사이 즉, 상기 컨택트(300)가 배열되는 부분에 한정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액추에이터(200)가 클로즈 위치에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300) 상에 균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가 해당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절연체 하우징(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공간부를 가질 수 있게 되어 플랫 케이블(1)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2)와의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4A and 4B, the supporting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is formed as a cantilever protruding forward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a round portion 112 having a round shape is formed at the tip portion. The support portions 110 are provided at least at one or more than one to support the actuator 200 stably,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110 is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that is, a portion where the contacts 300 are arranged. Is capable of pressing the flat cable 1 onto the contact 300 with a uniform force in the closed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110 i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pace portion at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so that it can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plug connector 2 as well as the flat cable 1. [ do.

한편,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상기 액추에이터(20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상기 지지부(110)에 추가하여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200)에도 길이방향의 양단에 보조 샤프트(도 5의 220참조)가 더 형성되게 되며, 상기 보조 샤프트(220)가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에 끼워진 보조 샤프트(220)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지지핀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sulator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in addition to the supporting portion 110 to support the actuator 200. In this case, an auxiliary shaft (see 220 in FIG. 5) is further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00, and the auxiliary shaft 220 is slidably fitted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do. The insulator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in which is coupled to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so as to cover and support the auxiliary shaft 220.

또한,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0)는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1)의 직접 체결 또는 플러그 커넥터(2)를 통한 체결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ulator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rotrusion 130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flat cable 1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protrusion 130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both the direct connection of the flat cable 1 to the connector or the fastening through the plug connector 2.

또한,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하여 커넥터의 실장이 가능하도록 양단 부근에 금속편 형태의 홀드다운(14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홀드다운(140)은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에서 상기 보조 샤프트(220)를 덮어서 지지하는 지지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or housing 100 may be equipped with a hold-down 140 in the form of a metal piece near both ends so that a connector can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hold down 140 may serve as a support pin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auxiliary shaft 220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상기 액추에이터(200)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1)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actuator 200 is installed in the insulator housing 10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insertion of the flat cable 1 and a closed position for fixing the flat cable 1.

상기 액추에이터(200)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에 체결되어 회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부(210)를 포함한다.The actuator 200 includes a bearing part 210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to enable rotation and opening.

상기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2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10)의 샤프트(111)가 끼워지는 베어링 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홈(211)은 상기 지지부(110)의 샤프트(111)가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개방된 홈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부(210)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액추에이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210)는 상기 액추에이터(20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 사이 즉,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 설치된 컨택트(300)가 배열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정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액추에이터(200)가 클로즈 위치에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300) 상에 균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210)가 해당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절연체 하우징(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공간부를 가질 수 있게 되어 플랫 케이블(1)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2)와의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5A and 5B, the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actuator 200 to receive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a bearing groove 211 into which the shaft 111 of the support portion 110 is fitted. The bearing groove 211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that is opened to slidably fit the shaft 111 of the support portion 110. These bearing portions 210 are provided at least at one or more than one to be stably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00. That is, they are arrang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s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bearing part 2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both ends of the bearing part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00, that is, the part where the contacts 300 provided in the insulator housing 100 are arranged, This is so that the actuator 200 can press the flat cable 1 on the contact 300 with a uniform force in the closed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bearing portion 210 i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pace portion at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fastening with the plug connector 2 as well as the flat cable 1. [ Let's do it.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200)에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구조물로 상기 베어링부(210)에 추가하여 보조 샤프트(2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샤프트(220)는 액추에이터(20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의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상기 보조 샤프트(220)가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핀이 체결될 수 있으며, 이 지지핀은 홀드다운(140)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actuator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haft 220 in addition to the bearing portion 210, which is a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auxiliary shaft 220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200 and is slidably fitted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t this time, a support pin for preventing the auxiliary shaft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may be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200)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1)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락킹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 또는 플러그 커넥터(2)에도 상기 락킹부(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락킹부(23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락킹홈(1a, 1b)이 더 형성되게 된다.The actuator 20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23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a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at cable 1 and is pressed. In this case, the flat cable 1 or the plug connector 2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s further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1a and 1b formed to fit the locking portion 2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230 do.

상기 컨택트(300)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 형태로 이루어진다. 컨택트(300)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절연체 하우징(100)의 후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슬롯(Slot)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컨택트(300)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이때, 복수개의 컨택트(300)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시그널층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설치되게 된다.The contact 300 is in the form of a single-stranded conductor pin. The contact 300 is in contact with a signal la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at cable 1 and is fitted and fixed in a slot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to the inner space.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tacts 30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tacts 300 are installed at a pitch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ayer so as to make contact with the signal la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at cable 1. [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가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tuator is opened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tuator is closed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 구비된 지지부(110)의 샤프트(111)에 상기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에 형성된 베어링 홈(211)이 끼워져서 체결된 것으로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와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가 서로 체결되게 된다.6A and 6B,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on a shaft 111 of a support portion 110 provided in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the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도 6a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액추에이터(200)가 오픈된 상태로 액추에이터(200)의 핸들 부분이 절연체 하우징(100)의 바깥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젖혀짐으로써 오픈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200)가 오픈되면, 액추에이터(200)의 가압면이 컨택트(300)와 멀어지게 되고 플랫 케이블(1)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0)를 절연체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 클로즈 위치로 변환하면, 액추에이터(200)가 클로즈된 상태로 액추에이터(200)의 가압면이 컨택트(300)와 인접하게 되고 이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1)을 가압하여 컨택트(300) 상에 플랫 케이블(1)을 가압 및 고정하게 된다.6A is opened when the handle portion of the actuator 200 is bent outwardly, that is, upwardly,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n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200 is opened in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Thus, when the actuator 200 is opened, the pressing surface of the actuator 200 is away from the contact 300, and a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flat cable 1 can be inserted. When the flat cable 1 is inserted into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the actuator 20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by rotating the actuator 200 forward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s shown in FIG. 6B, the actuator 200 The pressing surface of the actuator 200 is brought close to the contact 300 and the flat cable 1 inserted in the space is pressed to press and push the flat cable 1 on the contact 300, Respectively.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조립 방식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the flat cable connecting connec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절연체 하우징에 액추에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 절연체 하우징에 액추에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assembling an actuator to an insulator housing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ssembling an actuator to an insulator housing in a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일 예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0)를 세워진 상태로 절연체 하우징(100)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에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에 형성된 베어링 홈(211)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에 상기 액추에이터(200)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액추에이터(200)가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면,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의 샤프트(111)에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의 베어링 홈(211)이 끼워지게 되고, 이 지지부(110)의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액추에이터(200)가 오픈과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7A, the actuator 200 is horizontally moved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n a standing stat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s supported by the bearing 200 of the actuator 200, (210) is inserted and fastened. At this time, the bearing groove 211 formed in the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is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ctuator 200 is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When the actuator 200 is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bearing groove 211 of the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is inserted into the shaft 111 of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the actuator 200 can be opened and closed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about the shaft 111 of the support portion 110. [

한편,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과 상기 액추에이터(200)의 상호 체결 구조가 지지부(110)와 베어링부(210)에 추가하여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과 보조 샤프트(220)가 채용된 경우, 상기 일 예의 방식으로는 절연체 하우징(100)에 액추에이터(200)가 체결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다른 예로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0)를 기울어진 상태로 절연체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에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를 삽입하여 체결함과 동시에, 절연체 하우징(100)의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에 액추에이터(200)의 보조 샤프트(22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에 형성된 베어링 홈(211')은 체결을 위한 자세에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100)으로 체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액추에이터(200)가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면,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의 샤프트(111)에 액추에이터(200)의 베어링부(210)의 베어링 홈(211')이 끼워짐과 함께 절연체 하우징(100)의 보조 샤프트 수용홈(120)에도 액추에이터(200)의 보조 샤프트(220)가 끼워지게 되고, 절연체 하우징(100)의 지지부(110)의 샤프트(111)와 액추에이터(200)의 보조 샤프트(220)를 중심으로 액추에이터(200)가 오픈과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and the auxiliary shaft 220 are employed in addition to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bearing portion 210 in the mutual coupling structure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the actuator 200, The actuator 200 may be difficult to be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7B, the actuator 200 is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in a tilted state so that an actuato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supporter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the auxiliary shaft 220 of the actuator 20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is then fastened. At this time, the bearing groove 211 'formed in the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to be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in a posture for fastening. When the actuator 200 is fastened to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bearing groove 211 'of the bearing portion 210 of the actuator 200 is inserted into the shaft 111 of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auxiliary shaft 220 of the actuator 200 is fitted to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2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together with the load so that the shaft 111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of the insulator housing 100 and the actuator The actuator 200 can be rotated and opened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about the auxiliary shaft 220 of the main body 200.

이하,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적용 형태를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lication form of the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9B.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t cable is fastened to a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t cable is fastened to the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in FIG. 8A,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flat cable connection connector in FIG.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가 적용되는 일 예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케이블(1)이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200)의 가압면에는 락킹부(230)가 형성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플랫 케이블(1)에도 락킹홈(1a, 1b)이 형성되어,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을 액추에이터(200)가 클로즈 위치에서 플랫 케이블(1)의 락킹홈(1a, 1b)에 상기 락킹부(230)가 끼워지게 되어 플랫 케이블(1)을 고정하게 된다.8A and 8B, a flat cable 1 such as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or an FFC (Flexible Flat Cable) is directly fastened to the flat c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230 is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actuator 200. Locking grooves 1a and 1b are also formed in the flat cable 1, The locking part 230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1a or 1b of the flat cable 1 at the closed position of the actuator 200 so that the flat cable 1 is fixed.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가 적용되는 다른 예에서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가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절연체 하우징(100)이 가장자리 부분에 공간부가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슬립의 플랫 케이블(1)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한 체결도 가능한 것이다. 이때, 액추에이터(200)의 가압면에는 락킹부(230)가 형성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플러그 커넥터(2)에도 락킹홈(2a, 2b)이 형성되어,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를 액추에이터(200)가 클로즈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락킹홈(2a, 2b)에 상기 락킹부(230)가 끼워지게 되어 플러그 커넥터(2)를 고정하게 된다.In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lug connector 2 can be fastened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is is because the insulator housing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 portion is provided at the edge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plug connector 2 as well as the slip flat cable 1. [ At this time, locking portions 230 are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actuator 200, and corresponding locking grooves 2a and 2b are also formed in the plug connector 2 so that the plug connector 2 inserted into the insulator housing 100, The locking portion 230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2a or 2b of the plug connector 2 at the closed position of the actuator 200 so that the plug connector 2 is fix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절연체 하우징 110 : 지지부
111 : 샤프트 112 : 라운드부
120 : 보조 샤프트 수용홈 130 : 가이드 돌기
140 : 홀드다운
200 : 액추에이터 210 : 베어링부
211 : 베어링 홈 220 : 보조 샤프트
230 : 락킹부
300 : 컨택트
100: insulator housing 110: support
111: shaft 112: round portion
120: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130: guide projection
140: Holddown
200: actuator 210: bearing part
211: bearing groove 220: auxiliary shaft
230:
300: Contact

Claims (18)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가 상기 시그널층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양측에 샤프트가 구비된 지지부를 구비한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샤프트가 끼워지는 베어링 홈이 구비된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에 상기 베어링부를 체결하여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길이방향의 양단에 보조 샤프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샤프트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샤프트가 끼워지는 보조 샤프트 수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 c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of a flat cable,
A plurality of contacts in contact with a signal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lat cable;
An insulato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provided at pitch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ayer and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forwar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lurality of contacts and having a shaft on both sides; And
And a bearing portion having a bearing groove through which the shaft of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The bear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so that an open position for inserting the flat cable and a flat cable And an actuator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open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fixing of the actuator,
The actuator further includes auxiliary shaft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insulator housing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auxiliary shaft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컨택트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s comprise a single-stranded conductor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protruding forward of the insulato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선단부에 라운드 형태를 가진 라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having a round shape at a tip end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dispos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insulato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dispose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dispos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integrally with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는 상기 베어링 홈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의 샤프트가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개방된 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in which the bearing groove is opened so that the shaft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slidably fit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홈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홈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earing groove is opened in a direction of fastening the actuator to the insulator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보조 샤프트는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지지부의 샤프트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어링부의 베어링 홈에 끼워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shaft of the actuator is slidably fitted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at the same time that the shaft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is fitted into the bearing groove of the bearing portion of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진 보조 샤프트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지지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or housing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in which is fastened to support and support an auxiliary shaft inserted in the auxiliary shaft receiving groov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홀드다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upport pin is hel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or housing is further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flat cable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락킹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에는 상기 락킹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락킹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락킹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tuator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 edges of a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at cable and is pressed,
Wherein the flat cable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to receive the locking portion.
KR1020130032272A 2013-03-26 2013-03-26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KR101455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72A KR101455335B1 (en) 2013-03-26 2013-03-26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72A KR101455335B1 (en) 2013-03-26 2013-03-26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71A KR20140117171A (en) 2014-10-07
KR101455335B1 true KR101455335B1 (en) 2014-10-27

Family

ID=5199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272A KR101455335B1 (en) 2013-03-26 2013-03-26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973B1 (en) * 2022-10-26 2023-12-22 이기석 connector having the hood structure for attaching and separating by the lever operation
KR102600647B1 (en) * 2022-10-26 2023-11-09 이기석 connector in which the lock separation of the connector hood facilita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170A (en)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lexible cable connector
JP2010272227A (en) 2009-05-19 2010-12-02 Molex Inc Connector
JP2012226947A (en) 2011-04-19 2012-11-15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170A (en)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lexible cable connector
JP2010272227A (en) 2009-05-19 2010-12-02 Molex Inc Connector
JP2012226947A (en) 2011-04-19 2012-11-15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71A (en)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218B2 (en) connector
US706355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US8241057B2 (en) FPC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FPC to PCB and FPC-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989362B2 (en) connector
KR101455335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JP4713604B2 (en) Flexible cable connector
KR101216025B1 (en) Flat cable connector
KR101457065B1 (e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1292278B1 (en) Flat cable connector improved in locking structure
KR101455336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KR101216024B1 (en) Flat cable connector having locking member
KR10057288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70428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KR101525169B1 (en) Improved connector assembly for pcb mount structure and flat cable connector for the same
KR10115039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US9281593B2 (en) Connector which is reduced in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warping of a connection object without decreasing the insertability of the connection object
KR101512113B1 (en) Improved flat cable connector for locking member
KR101570714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1124804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JP2016136462A (en) Electric connector
KR101544906B1 (en) Improved connector assembly for pcb mount structure and flat cable connector for the same
KR101151846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CN215266817U (en) Flexible circuit board electric connector
KR101133628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KR10105869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