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051B1 - 명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명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051B1
KR101455051B1 KR1020130051309A KR20130051309A KR101455051B1 KR 101455051 B1 KR101455051 B1 KR 101455051B1 KR 1020130051309 A KR1020130051309 A KR 1020130051309A KR 20130051309 A KR20130051309 A KR 20130051309A KR 101455051 B1 KR101455051 B1 KR 10145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user terminal
camera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13005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얼굴인식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은, 피사체의 얼굴 및 상기 피사체의 명함을 촬영하고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여 알람을 울리기 위한 알림 스피커;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알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관련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명함 폼에 저장하여 명함을 관리하기 위한 명함 관리부; 및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명함 관리 시스템{System for business card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명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명함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다시 만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명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미나, 포럼, 기업교류회 등 다양한 만남속에서 우리는 다양한 사람을 만나게 되고 종래에 만났던 사람들을 다시 만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우리는 다른 장소에서 만났던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만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해 난감한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세미나, 비즈니스 등으로 만났던 분을 다시 만났을 때 어디서 어떤 계기로 만났는지 미리 확인하고 얼굴까지 확인이 되어 알아본다면 사업상으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비즈니스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으나 사람의 기억력은 한계가 있고 비즈니스를 통하여 만나는 분도 많은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만나게 되면 기억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명함을 촬영하고 사람의 얼굴을 촬영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하여 명함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였으나, 사람을 다시 만났을 때 다시 만난사람을 인식하여 다시 만난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휴대폰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인식을 하고 전자명함을 검색하여 다시 만난 사람의 정보를 검색하는 휴대폰단말기가 존재하나, 이는 실시간으로 청각을 통하여 다시 만난 사람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고, 다시 만난사람이 접근해왔을 때 휴대폰을 검색하여 정보를 사용자가 알아내야 했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렸고 즉각적으로 다시 만난 사람을 반갑게 호칭을 부르며 인사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즈니스 때문에 다시 만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얼굴인식 이어폰을 포함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시 만난 사람에 대한 성함을 마이크를 통해서 휴대단말기에 전달하거나 이어폰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성함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얼굴인식 이어폰을 포함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얼굴인식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은, 피사체의 얼굴 및 상기 피사체의 명함을 촬영하고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여 알람을 울리기 위한 알림 스피커;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알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관련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명함 폼에 저장하여 명함을 관리하기 위한 명함 관리부; 및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명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상기 이미지 인식부 또는 상기 음성 인식부의 판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명함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 또는 명함을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제시용 안경; 및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의 렌즈 상에 포인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포인터를 조작하여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명함을 선택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조작 단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여 파사체에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의 거리 측정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촬영을 위한 줌 세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카메라의 시야를 상하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줌 세팅을 수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명함 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그룹 분류하여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 상기 그룹 관리부의 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스케쥴러의 특정 일자에 일괄적으로 자동 저장하여 관리하는 스케쥴러 연결부; 및 상기 특정 일자가 도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알림 스피커에서 알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쥴러 연결부는, 상기 그룹 관리부의 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게 상기 특정 일자에 수행되는 미팅 정보 및 참석 여부에 관한 질문을 상기 명함 정보에 기초하여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지하고, 상기 대상자들로부터 참석여부에 대한 응답이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면 이를 상기 스케쥴러에 자동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명함 관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이 복수 개인 경우에 복수 개의 얼굴을 개인별로 분류 및 커팅하여 상기 명함 폼에 저장한다.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 렌즈가 상기 이어폰 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 상기 이어폰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 속에 삽입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상기 스피커; 상기 이어폰 본체의 상방에 연결되어 상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어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본체 고정부; 및 상기 이어폰 본체의 하방에서 연장되는 상기 마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는 볼(ball)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이어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정 단말의 제어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시야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즈니스 때문에 다시 만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얼굴인식 이어폰을 포함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시 만난 사람에 대한 성함을 마이크를 통해서 휴대단말기에 전달하여 성함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얼굴인식 이어폰을 포함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명함 관리부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이 복수 개인 경우에 명함 관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명함 폼의 일 예에 해당한다.
도 7은 정보제시용 안경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그룹 관리부 및 스케쥴러 연결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특정 그룹 대상자들로부터 수신된 미팅 참석 여부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명함 관리 시스템(1)은 얼굴인식 이어폰(10), 사용자 단말(20), 정보제시용 안경(30) 및 조작 단말(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 사용자 단말(20), 정보제시용 안경(30) 및 조작 단말(40)은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통신' 및 '통신망'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은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울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a는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은 이어폰 본체(13), 카메라(12), 알림 스피커(14), 본체 고정부(15) 및 마이크(16)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2)는 렌즈가 상기 이어폰 본체(13)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이어폰 본체(13)에 구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12)는 상기 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는 볼(ball)(1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볼(121)은 상기 이어폰 본체(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 단말(40)의 제어에 따라 돌면서 움직여 상기 카메라(12)의 촬영 시야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여 파사체에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의 거리 측정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촬영을 위한 줌 세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카메라의 시야를 상하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스피커(14)는 상기 이어폰 본체(13)의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용자의 귀 속에 삽입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가진다.
상기 본체 고정부(15)는 상기 이어폰 본체(13)의 상방에 연결되어 상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어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을 고정시킨다.
상기 마이크(16)는 상기 이어폰 본체(13)의 하방에서 연장되며,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으며 이를 데이터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b는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은 카메라(12), 알림 스피커(14), 마이크(16) 및 통신부(18)를 포함한다.
도 2b는 도 2a와 비교하여, 통신부(18)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부(18)는 사용자 단말(20) 및 조작 단말(40)과의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18)는 상기 카메라(12)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16)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송신하고 상기 알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카메라(12)는 피사체의 얼굴 및 상기 피사체의 명함을 촬영할 수 있고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마이크(16)는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다.
상기 알림 스피커(14)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여 알람을 울린다. 알림 스피커(14)는 알람을 울린 후 사용자에게 피사체의 얼굴의 신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컨셉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상기 이미지 인식부(24) 또는 상기 음성 인식부(28)의 판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명함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 또는 명함을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작 단말(40)은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의 렌즈 상에 포인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포인터를 조작하여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명함을 선택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 및 조작 단말(4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을 참고하면, 도 7은 정보제시용 안경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피사체의 이미지 또는 특정 명함(600)을 렌스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단말(40)은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의 렌즈 상에 포인터(33)를 출력하도록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을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33)를 조작하여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3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명함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명함 관리부(22), 이미지 인식부(24), 디스플레이부(26) 및 음성 인식부(28)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24)는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28)는 상기 마이크(1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관련한,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명함 관리부(22)는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1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명함 폼에 저장하여 명함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명함 폼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6은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명함 폼의 일 예에 해당한다.
상기 명함 폼(600)은 피사체의 얼굴 이미지(610), 성명(620), 연락처(630), 회사(640), 만남회수, 만남일시, 만남내용, 만남장소 등을 포함하는 기타 정보(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남회수, 만남일시, 만남내용, 만남장소 등을 포함하는 기타 정보(650)를 통해 상기 카메라(12)가 다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 이전에 만났던 상기 기타 정보(650)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피사체가 기억이 나지 않더라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2)가 피사체의 얼굴 및 상기 피사체의 명함을 촬영하는 경우, 해당 정보(예컨대, 얼굴 이미지, 명함 내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20)의 데이터 베이스의 미리 설정된 명함 폼(600)의 해당 정보 부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10)의 사용자의 음성(예컨대, 피사체의 성명에 대한 음성, 피사체의 회사에 대한 음성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미리 설정된 명함 폼(600)의 해당 정보 부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함 관리부(22)는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카메라(12)가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이 복수 개인 경우에 복수 개의 얼굴을 개인별로 분류 및 커팅하여 상기 명함 폼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고하면, 도 5는 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이 복수 개인 경우에 명함 관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명함 관리부(22)는 촬영한 화면(500)에서 피사체의 얼굴이 복수 개인 경우에 각 피사체의 얼굴을 개인별로 분류 및 커팅하고, 분류 및 커팅된 각 피사체의 얼굴(510, 520 및 530)을 명함폼에 각각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는 상기 이미지 인식부(24)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28)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6)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명함을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명함 관리부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명함 관리부(22)는 그룹 관리부(221), 스케쥴러 연결부(223) 및 알람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 관리부(221)는 상기 카메라(12)가 촬영한 장소 및 시간에 따라 명함들을 자동적으로 그룹 분류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케쥴러 연결부(223)는 상기 그룹 관리부(221)의 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스케쥴러의 특정 일자에 일괄적으로 자동 저장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쥴러 연결부(223)는 상기 그룹 관리부(221)의 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게 상기 특정 일자에 수행되는 미팅 정보 및 참석 여부에 관한 질문을 상기 명함 정보에 기초하여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지하고, 상기 대상자들로부터 참석여부에 대한 응답이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면 이를 상기 스케쥴러에 자동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 도 8은 도 4의 그룹 관리부 및 스케쥴러 연결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그룹 관리부(221)는 사용자 단말(20)의 데이터 베이스의 테이블(800)에 명함들을 촬영한 장소 및 시간에 따라 그룹 분류(예컨대, A그룹, B그룹,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러 연결부(223)는 상기 그룹 관리부(221)의 그룹(예컨대, A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스케쥴러(810)의 특정 일자(예컨대, 22일)에 일괄적으로 자동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쥴러 연결부(223)는 상기 A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게 상기 22일에 수행되는 미팅 정보 및 참석 여부에 관한 질문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은 SMS 또는 MMS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서만 이루어진다.
상기 대상자들(예컨대, 강XX, 정XX, 이XX, 김XX, 소XX, …)로부터 참석여부에 대한 응답(예컨대, 참석 또는 불참)이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면 도 9와 같이, 상기 스케쥴러 연결부(223)는 이를 상기 스케쥴러의 특정일자 22일(820)에 자동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석여부에 대한 응답이 도착하지 않은 대상자(예컨대, 정XX, 김XX)의 경우에는 미수신으로 표시되어 스케쥴러의 특정일자 22일(820)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명함 관리 시스템 10: 얼굴인식 이어폰
20: 사용자 단말 22: 명함 관리부
24: 이미지 인식부 26: 디스플레이부
28: 음성 인식부 30: 정보제시용 안경
40: 조작 단말 221: 그룹 관리부
223: 스케쥴러 연결부 225: 알람부

Claims (7)

  1. 명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얼굴인식 이어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이미지 인식부 또는 음성 인식부의 판단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명함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 또는 명함을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제시용 안경; 및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의 렌즈 상에 포인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포인터를 조작하여 상기 정보제시용 안경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명함을 선택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조작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은,
    피사체의 얼굴 및 상기 피사체의 명함을 촬영하고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여 알람을 울리기 위한 알림 스피커;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알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관련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명함 폼에 저장하여 명함을 관리하기 위한 명함 관리부; 및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명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여 파사체에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의 거리 측정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촬영을 위한 줌 세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카메라의 시야를 상하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줌 세팅을 수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장소 및 시간에 따라 명함들을 자동적으로 그룹 분류하여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
    상기 그룹 관리부의 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스케쥴러의 특정 일자에 일괄적으로 자동 저장하여 관리하는 스케쥴러 연결부; 및
    상기 특정 일자가 도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알림 스피커에서 알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 연결부는,
    상기 그룹 관리부의 그룹에 속한 명함들의 대상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게 상기 특정 일자에 수행되는 미팅 정보 및 참석 여부에 관한 질문을 상기 명함 정보에 기초하여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지하고,
    상기 대상자들로부터 참석여부에 대한 응답이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면 이를 상기 스케쥴러에 자동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관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이 복수 개인 경우에 복수 개의 얼굴을 개인별로 분류 및 커팅하여 상기 명함 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
    렌즈가 상기 이어폰 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
    상기 이어폰 본체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 속에 삽입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상기 알림 스피커;
    상기 이어폰 본체의 상방에 연결되어 상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어 상기 얼굴인식 이어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본체 고정부; 및
    상기 이어폰 본체의 하방에서 연장되는 상기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는 볼(ball)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이어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 단말의 제어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시야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관리 시스템.
KR1020130051309A 2013-05-07 2013-05-07 명함 관리 시스템 KR10145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09A KR101455051B1 (ko) 2013-05-07 2013-05-07 명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09A KR101455051B1 (ko) 2013-05-07 2013-05-07 명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051B1 true KR101455051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309A KR101455051B1 (ko) 2013-05-07 2013-05-07 명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551A (ko) * 2005-03-04 2005-05-24 김상국 일상과 레저를 위한 다기능 안경
KR20050077682A (ko) * 2004-01-30 2005-08-03 정의장 명함 관리장치
KR100675102B1 (ko) * 2004-11-12 2007-01-29 인크루트 주식회사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682A (ko) * 2004-01-30 2005-08-03 정의장 명함 관리장치
KR100675102B1 (ko) * 2004-11-12 2007-01-29 인크루트 주식회사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8551A (ko) * 2005-03-04 2005-05-24 김상국 일상과 레저를 위한 다기능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486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physical distance
JP7377845B2 (ja) 行動喚起プログラム
RU26378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фотографиями
US10284820B2 (en) Covert monitoring and recording of audio and video in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ies
US20220159117A1 (en) Server, client terminal,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60026870A1 (en) Wear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cessing image data
CN10700562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6373156A (zh) 通过图像确定空间参数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17154136A1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処理方法
CN111126697A (zh) 人员情况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5126451A (ja) 画像の記録方法、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10287004A1 (en) Pushing images to a wearable apparatus
CN105095213B (zh) 信息关联方法及装置
US8913142B2 (en) Context aware input system for focus control
CN107896277B (zh) 设定闹钟提醒方式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55051B1 (ko) 명함 관리 시스템
CN101389997A (zh) 具有普适计算的放大现实可视化系统
JP2009111571A (ja) 撮像装置、画像インデックス付与方法、画像インデックス付与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TWI705419B (zh) 智慧型辦公室差勤去向告示系統
KR101594429B1 (ko) 긴급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JP7093396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自動応答方法
KR101102323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인연 검색 서비스 방법
CN106778500A (zh) 一种获取人物面相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30386104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13070439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