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452B1 - 체결형 의자 - Google Patents

체결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452B1
KR101454452B1 KR1020130013368A KR20130013368A KR101454452B1 KR 101454452 B1 KR101454452 B1 KR 101454452B1 KR 1020130013368 A KR1020130013368 A KR 1020130013368A KR 20130013368 A KR20130013368 A KR 20130013368A KR 101454452 B1 KR101454452 B1 KR 10145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hair
type chair
fastening member
se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259A (ko
Inventor
이령선
Original Assignee
이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령선 filed Critical 이령선
Priority to KR102013001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45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3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provided with a back-rest moving with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체결형 의자가 개시된다. 좌석부 및 상기 좌석부와 연결되고, 측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등받이부를 구비한 의자와 상기 체결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의자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물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체결형 의자는 미사용시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좌석면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형 의자 아래 공간의 청결관리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형 의자{JOINING TYPE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과 같은 고정 물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체결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거리에 공중이 여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야외용 의자 또는 벤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야외용 의자나 벤치들은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 상 날씨의 영향을 받아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의자나 벤치들이 젖게 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야기한다.
또한 공원이나 거리와 같은 공중이 이용하는 야외의 고정된 의자나 벤치는 관리의 어려움이 있어 의자나 벤치의 아래 부분에 쓰레기 또는 잡초들이 무성하기도 하고, 햇볕이 차단되어 눈 또는 비가 온 후에 쉽게 마르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고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움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야외의 의자나 벤치는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과 같은 고정 물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에 고정 물체를 설치 또는 이미 설치된 고정 물체에 의자를 체결하고, 체결된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의자가 회전하여 사람이 앉는 좌석부의 노출을 줄여서 좌석부 및 의자 아래 공간의 청결 관리가 쉬운 체결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체결형 의자에 따르면, 좌석부(24) 및 상기 좌석부(24)와 연결되고, 측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등받이부(25)를 구비한 의자와 상기 체결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의자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물체(1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2) 및 상기 등받이부(25)의 상부에 부착되는 무게추(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등받이부(25)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는 상기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재(22)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22)의 타측은 상기 의자가 상기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 가능도록 상기 고정 물체(1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등받이부(25)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는 상기 체결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고정 물체(10)의 체결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마개(23)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22)는 상기 체결부재(22)의 외주연의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22)의 타측이 상기 고정마개(23)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물체(10)에는 고정쇠(11)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형 의자(20)는 상기 좌석부(2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게추(21)의 하중으로 상기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다가 상기 고정쇠(11)에 걸려 정지하도록 상기 고정 물체(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물체(10)에는 지지대(12)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형 의자(20)는 상기 좌석부(24)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다가 상기 지지대(12)에 걸려 정지하도록 상기 고정 물체(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형 의자는 사람이 앉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용도의 사용을 막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의자가 ??혀지는 구조로 인하여 의자의 앉는 부분 및 의자 밑의 청결관리가 쉬우며, 좁은 공간에서도 의자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체결형 의자가 설치된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체결형 의자가 설치된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체결형 의자가 설치된 예시의 부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형 의자의 분리형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부착된 체결형 의자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체결형 의자가 설치된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물체(10)에 고정쇠(11)와 지지대(12)가 부착되어있고, 고정 물체(10)에 힌지(13)를 부착하고, 힌지(13)에 체결형 의자(20)가 체결부재(22)를 통하여 결합된 구성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물체(10)는 예를 들어 전신주와 같은 것으로 체결형 의자(20)가 고정 물체(1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해도 지탱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체결형 의자(20)는 좌석부(24)와 연결된 등받이부(25), 등받이부(25)의 좌측면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체결부와 고정 결합되어 돌출된 체결부재(22), 그리고 등받이부(25)의 상부에 부착된 무게추(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체결형 의자(20)의 좌측면으로 돌출된 체결부재(22)를 통하여 고정 물체(10)에 부착된 힌지(13)와 체결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체결형 의자(20)의 우측면으로 체결부재(22)를 구성하여 고정 물체(10)에 부착된 힌지(13)와 체결된 구성도 가능하다.
미도시된 사용자의 착석으로 체결형 의자(20)의 좌석부(24)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체결형 의자(20)는 고정 결합된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힌지(13)에 의해 회전하며, 고정 물체(10)에 설치된 지지대(12)에 등받이부(25)가 걸려서 체결형 의자(20)의 회전이 정지되며, 좌석부(24)의 밑면이 지면을 향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착석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체결형 의자(20)의 무게추(21)에 의하여 체결형 의자(20)는 고정 결합된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힌지(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미사용시의 체결형 의자(20)의 회전은 고정 물체(10)에 설치된 고정쇠(11)에 의하여 정지될 수 있으며, 체결형 의자(20)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좌석부(24)의 밑면이 공중을 향하고, 좌석부(24)의 사용자 착석면은 지면 방향으로 놓이게 되어 비 또는 눈에 대한 오염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쇠(11) 또는 지지대(12)가 고정 물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 방법은 예를 들어, 고정쇠(11) 또는 지지대(12)가 고정 물체(10) 속으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돌출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체결형 의자가 설치된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물체(10)에 고정쇠(11)와 지지대(12)가 부착되어있고, 고정 물체(10)의 체결홈에 체결형 의자(20)가 체결부재(22)를 통하여 체결된 구성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물체(10)는 예를 들어 전신주와 같은 것으로 체결형 의자(20)가 고정 물체(10)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해도 지탱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형 의자(20)는 좌석부(24)와 연결된 등받이부(25)의 일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는 등받이부(25), 체결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가져서 체결부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구비한 체결부재(22)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22)는 체결형 의자(20)가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체결부재(22)의 일측이 고정 물체(10)의 체결홈에 결합되고, 체결부재(22)의 타측은 고정마개(23)로 결합되어 체결형 의자(20)와 체결부재(22)의 분리를 막는다.
도 2에서는 체결형 의자(20)의 좌측면으로 돌출된 체결부재(22)를 통하여 고정 물체(10)과 결합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체결형 의자(20)의 우측면으로 돌출된 체결부재(22)를 구성하여 고정 물체(10)와 결합된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마개(23)는 고정 물체(10)와 체결부재(22)의 분리를 막을 수 있다.
미도시된 사용자의 착석으로 체결형 의자(20)의 좌석부(24)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체결형 의자(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하며, 고정 물체(10)에 설치된 지지대(12)에 체결형 의자(20)의 등받이부(25)가 걸려서 체결형 의자(20)를 정지시켜서 좌석부(24)의 밑면이 지면을 향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착석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체결형 의자(20)의 무게추(21)의 하중에의해 체결형 의자(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미사용시의 체결형 의자(20)의 회전은 고정 물체(10)에 부착된 고정쇠(11)에 걸려서 정지될 수 있으며, 체결형 의자(20)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좌석부(24)의 밑면이 공중을 향하고, 좌석부(24)의 사용자 착석면은 지면 방향으로 놓이게 되어 비 또는 눈에 대한 오염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쇠(11) 또는 지지대(12)가 고정 물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 방법은 예를 들어, 고정쇠(11) 또는 지지대(12)가 고정 물체(10) 속으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돌출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체결형 의자가 설치된 예시의 부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형 의자(20)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아 무게추(21)에 의하여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하여 고정쇠(11)에 의하여 멈춰있는 상태로 체결형 의자(20)의 좌석부(24)의 사용자 착석면이 지면을 향한 상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쇠(11)와 지지대(12)는 고정 물체(10) 속으로 삽입이 가능하여 고정 물체(10)로부터 돌출 되는 길이가 조절 가능함을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형 의자의 분리형 사시도이다.
도 4는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형 의자(20)와 체결부재(22)를 구체화한 사시도이다.
체결형 의자(20)는 무게추(21), 체결부재(22), 고정마개(23), 좌석부(24), 등받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21)는 체결형 의자(20)의 등받이부(25)의 상부에 부착되어, 체결형 의자(20)가 체결부재(22)를 이용하여 고정 물체(10)에 체결되었을 때, 무게추(21)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하여 좌석부(24)가 공중을 향할 수 있는 무게로 구성한다.
등받이부(25)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며, 체결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가져서 체결부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재(22)는 체결부를 관통하여 미도시된 고정 물체의 체결홈에 결합되고, 체결형 의자(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체결형 의자(20)의 체결부재(22)의 일측은 체결형 의자(2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돌출되어 고정 물체(10)의 체결홈과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형 의자(20)에서 고정 물체(10)와 체결되지 않은 타측은 고정마개(23)로 체결부재(22)와 결합하여 체결형 의자(20)와 체결부재(2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재(22)의 외주연의 양측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고정 물체(10)와 결합되지 않은 체결부재(22)의 일측면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마개(23)로 고정하여 체결부재(22)와 체결형 의자(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물체에 부착된 체결형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형 의자(20)에 사용자가 착석시에는 외력에 의하여 체결부재(22)를 축으로 체결형 의자(20)가 회전운동을 하다가 등받이부(25)가 지지대(12)에 걸려서 좌석부(24)가 지면과 평행인 상태로 정지된다.
사용자가 미착석시에는 무게추(21)의 하중에 의하여 무게추(21)가 있는 체결형 의자(20)의 상부가 지면을 향하고 좌석부(24)의 밑면은 공중을 향하도록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체결형 의자(20)는 고정 물체(10)에 부착된 고정쇠(11)에 의하여 좌석부(24)의 착석면이 지면을 향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2)의 위치는 사용자의 미착석시에 체결형 의자(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곳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착석시에 체결형 의자(20)의 좌석부(24)의 사용자 접촉면은 지면을 향하게 되어 눈 또는 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형 의자(20)의 아래 공간은 좌석부(24)에 의해서 차폐되지 않아 태양광에 의한 소독 및 청소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고정 물체 11 : 고정쇠
12 : 지지대 13 : 힌지
20 : 체결형 의자 21 : 무게추
22 : 체결부재 23 : 고정마개
24 : 좌석부 25 : 등받이부

Claims (6)

  1. 좌석부(24) 및 상기 좌석부(24)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양 측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등받이부(25)를 구비한 의자;
    상기 체결부의 양 측면 중 일측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의자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물체(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2); 및
    상기 좌석부(24)와 연결된 상기 등받이부(25)의 일단에 부착되는 무게추(21)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물체(10)에는 고정쇠(11)가 설치되고, 상기 의자는 상기 좌석부(2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무게추(21)의 하중으로 상기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다가 상기 고정쇠(11)에 걸려 정지하도록 상기 고정 물체(1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물체(10)에는 지지대(12)가 설치되고, 상기 의자는 상기 좌석부(24)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다가 상기 지지대(12)에 걸려 정지하도록 상기 고정 물체(10)에 설치되는 체결형 의자.
  2. 청구항 1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등받이부(25)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는 상기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재(22)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22)의 타측은 상기 의자가 상기 체결부재(22)를 축으로 회전 가능토록 상기 고정 물체(1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의자.
  3. 청구항 1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등받이부(25)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는 상기 체결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고정 물체(10)의 체결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마개(23)와 체결되는 체결형 의자.
  4. 청구항 3에서,
    상기 체결부재(22)는 상기 체결부재(22)의 외주연의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22)의 타측이 상기 고정마개(23)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의자.
  5. 삭제
  6. 삭제
KR1020130013368A 2013-02-06 2013-02-06 체결형 의자 KR10145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68A KR101454452B1 (ko) 2013-02-06 2013-02-06 체결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68A KR101454452B1 (ko) 2013-02-06 2013-02-06 체결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59A KR20140100259A (ko) 2014-08-14
KR101454452B1 true KR101454452B1 (ko) 2014-11-04

Family

ID=5174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368A KR101454452B1 (ko) 2013-02-06 2013-02-06 체결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4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394Y1 (ko) * 2006-08-31 2006-12-01 김표현 절첩식 예배용 장의자
KR200450414Y1 (ko) * 2009-11-05 2010-10-01 정진시그널(주) 접철식 의자
KR101058378B1 (ko) * 2009-04-30 2011-08-22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야외 설치용 의자
KR20120040828A (ko) * 2010-10-20 2012-04-30 윤성균 접철식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394Y1 (ko) * 2006-08-31 2006-12-01 김표현 절첩식 예배용 장의자
KR101058378B1 (ko) * 2009-04-30 2011-08-22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야외 설치용 의자
KR200450414Y1 (ko) * 2009-11-05 2010-10-01 정진시그널(주) 접철식 의자
KR20120040828A (ko) * 2010-10-20 2012-04-30 윤성균 접철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59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1069A1 (en) A swivel and reclining chair
US6173462B1 (en) Care pad structure of a surrounding baby cot
KR101007957B1 (ko) 낚시용 다기능 좌대기구
KR101562288B1 (ko)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KR101586479B1 (ko) 벤치의 등받이 겸 덮개 설치구조
US20070079435A1 (en) Portable bathtub barrier
KR101454452B1 (ko) 체결형 의자
KR10103816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NO20033053L (no) Anordning for hoyderegulering av et barnesete samt fotstotte som kan forskyves teleskopisk i forhold til setet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557992B1 (ko) 직선주행이 개선된 가구용 캐스터
JP3208374U (ja) 背もたれをテーブルに転換可能なベンチ
KR102007233B1 (ko) 절첩식 의자 구조
US9103106B1 (en) U-shaped closet flange
KR200462860Y1 (ko) 의자 겸용 지팡이
KR20150022115A (ko) 우산이 구비된 시각장애인 전용 벤치의자
KR200243585Y1 (ko) 장애인용 휠체어를 넣고 뺄 수 있도록 한 운동 경기장용관람석 의자의 회전장치
CN219331082U (zh) 一种应用于桌子的可拆卸、可转动收纳的板凳组件
CN210300283U (zh) 一种多功能椅子
KR101113502B1 (ko) 의자용 겨드랑이받침장치
US20140125094A1 (en) Multiple chair canopy
JP2004313661A (ja) 簡易便器
FR3067235B1 (fr) Accessoire pour chaise
KR20130067876A (ko) 좌판의 양면이 사용가능한 회전의자
FR2563099A1 (fr) Siege exhausteur de w.-c. pour handica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