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369B1 - 무선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이프라인 슬라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이프라인 슬라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369B1
KR101453369B1 KR1020137010248A KR20137010248A KR101453369B1 KR 101453369 B1 KR101453369 B1 KR 101453369B1 KR 1020137010248 A KR1020137010248 A KR 1020137010248A KR 20137010248 A KR20137010248 A KR 20137010248A KR 101453369 B1 KR101453369 B1 KR 10145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s
slice
mac
data units
instru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280A (ko
Inventor
크리쉬난 라자마니
빈센트 놀즈 4세 존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04L1/000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by supplementing frame payload, e.g. with padding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4Feedback from the receiver or from the transmis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ideo data packet, e.g. a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using parallelised computa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1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using Advanced Video Coding [AV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효율적인 파이프라이닝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슬라이스 크기가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허용할 수 있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효율 및 감소된 레이턴시의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이프라인 슬라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IPELINED SLICING FOR WIRELESS DISPLAY}
본 특허 출원은 "PIPELINED SLICING TECHNIQUES FOR WIRELESS DISPLAY"라는 명칭으로 2010년 9월 23일자 제출된 가출원 제61/385,86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송신을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어떤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은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mirroring)을 제공하여, 물리적 케이블들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들이 캡처되고, (대역폭 제약들로 인해) 압축되어, 싱크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충실도(Wi-Fi: Wireless Fidelity) 접속과 같은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싱크 디바이스는 비디오 프레임들을 디코딩하고 이들을 자신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랜더링한다(render).
이러한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은 양쪽 종단들(예컨대,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모두)에서의 여러 가지 처리 단계들로 인해 점진적 지연들을 초래한다. 처리 단계들은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캡처, 인코딩 및 전송과 싱크 디바이스에서의 디코딩, 디-지터(de-jitter) 및 랜더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 단계들 각각의 평균 스루풋이 압축된 비디오에 대해 요구되는 비트 레이트 및 프레임 레이트에 부합한다면, 점진적 지연은 (국소적으로 케이블이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대해) 대략 5 프레임 듀레이션들과 같을 수 있다. 초당 30 프레임들(fps: frames per second)에서, 지연은 대략 167 밀리초와 같을 수 있다. 게임과 같은 일부 대화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이렇게 큰 지연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를 기초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송신을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를 기초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를 기초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를 기초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상기 열거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앞서 간략히 요약된 설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단지 특정한 전형적인 양상들을 도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본 설명이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파이프라인 처리를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4a는 도 4에 예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소스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6은 파이프라인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을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들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시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패킷들(예컨대,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 시스템에서,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보다는 포괄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맥락상 명확하지 않다면,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문구는 당연히 포괄적 치환들 중 임의의 치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문구는 X가 A를 이용하는 경우; X가 B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X가 A와 B를 모두 이용하는 경우 중 임의의 경우에 의해 충족된다. 또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a" 및 "an") 표현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맥락상 단일 형태로 지시되는 것으로 명확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싱크 디바이스(120)에 디스플레이 데이터(112)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스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112)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싱크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들의 예시들은 스마트폰들, 카메라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집적된 또는 다른 식으로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들의 예시들은 텔레비전들, 모니터들, 스마트폰들, 카메라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200)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송신기 시스템(210) 및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수신기 시스템(250)의 한 양상의 블록도이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212)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14)로 제공된다.
한 양상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기반으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컨대, 2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직각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PSK 또는 M-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각 진폭 변조), 여기서 M은 2의 거듭제곱일 수 있다)을 기반으로 변조(예컨대, 심벌 매핑)되어 변조 심벌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메모리(232)에 연결될 수 있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이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되고, TX MIMO 프로세서(220)는 (예컨대, OFDM을 위해) 변조 심벌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222a-222t)에 제공한다. 특정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 및 안테나에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하는데, 여기서 안테나는 이 심벌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이다.
각각의 송신기(222)는 각각의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다음에, 송신기들(222a-2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224a-224t)로부터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는,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이 NR개의 안테나들(252a-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254a-2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다음에,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NR개의 수신기들(254)로부터 NR개의 수신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그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한 처리는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메모리(272)에 연결될 수 있는) 프로세서(270)는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254a-254r)에 의해 조정되어, 다시 송신기 시스템(210)으로 전송된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는,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2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처리된다. 다음에, 프로세서(230)가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결정한 다음,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효율 및 스루풋을 유지하면서 무선 디스플레이의 종단간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술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로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H.264 또는 AVC(advance video coding: 고급 비디오 코딩) 표준과 같은 비디오 압축 표준들은 비디오 인코딩이 전체 프레임들보다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슬라이스들 각각은 송신을 위해 개별 네트워크 추상 계층 단위(NALU: network abstraction layer unit)로서 캡슐화될 수 있다. 이러한 NALU들은 이들이 처리 파이프라인으로부터 이용 가능하게 되면 전송될 수 있다. 수신기는 이러한 슬라이스들이 수신되면 이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H.264 표준의 슬라이스 기술은 종단간 지연을, 최상의 경우에는 5 슬라이스 듀레이션들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슬라이스가 매크로 블록 폭(예컨대, 최소한의 가능한 폭)만큼 작다면, 점진적 지연은 초당 30 프레임들(fps)에서 720p 해상도(720이라는 수는 디스플레이 해상도의 720개의 수평 주사선들을 나타내고 p는 순차 주사를 나타냄)에 대해 대략 3.7 밀리초(㎳) 또는 30fps에서 1080p 해상도에 대해 대략 2.5㎳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값들은 Wi-Fi(예컨대, 전기 전자 학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와 같은 일부 무선 표준들과 호환 가능한 송신들에 대해서는 현실성이 없을 수도 있다. 일례로, MAC 계층 확인 응답(ACK)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개개의 무선 송신 단위(예컨대, 파이프라인 단위)로서 매우 작은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것은 Wi-Fi MAC 효율을 상당히 저하시키고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시간 사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초당 10 메가비트(Mb/s: mega bits per second) 인코딩 레이트에서, 720p30에서의 최소 슬라이스 폭은 72Mb/s의 물리 계층(PHY) 레이트로 전송하는데 대략 103 마이크로초가 걸릴 수 있는 단지 926 바이트의 인코딩된 페이로드 크기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확장 분산 채널 액세스(EDCA: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채널 액세스 지연, PHY 프리앰블, 프레임 끝의 짧은 프레임 간 간격(SIFS: short inter-frame space), 및 ACK 프레임과 다른 지연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교환 오버헤드는 그 합계가 동일한 크기의 값에 달할 수 있다. 일례로, 효율적인 Wi-Fi 링크 사용률에 대한 타깃은 0.5㎳ 또는 그보다 큰 전송 기회(TXOP: transmit opportunity)일 수 있다(예컨대, 비디오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1㎳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 단위(예컨대, 슬라이스)는 효율적인 Wi-Fi 링크 사용률을 갖도록 상당히 더 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Wi-Fi MAC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종합(aggregation)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전송 기회(TXOP) 크기의 효율을 최대화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ACK들과 함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 MAC service date unit)들을 종합하여 종합된 MSDU(A-MSDU: aggregated MSDU)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 MAC protocol data unit)들을 종합하여 A-MPDU를 형성함으로써, TXOP의 크기가 증가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회적 기술들은 인코더 지연들로 인해 MSDU들이 간격을 두고 떨어진 경우에 항상 원하는 효과를 갖는 것은 아닐 수도 있는데, 이는 Wi-Fi 디스플레이와 같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에서의 슬라이스들에 대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MAC 계층은 인코더 슬라이스의 인식 없이 전송 스케줄링 결정들을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의 경우, 데이터 유닛들(MSDU들 및/또는 MPDU들)은 MAC 효율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야기하는 크기로 인코더 출력으로부터 송신기(TX) MAC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MAC 효율과 레이턴시를 공동으로 최적화함으로써 슬라이스 크기가 계산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도 3에 예시된 소스 디바이스(3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양상들에 따라, 선택된 슬라이스 크기를 기초로 구성 가능한 처리 파이프라인(312)을 가질 수 있다. 인코딩된 데이터는 캡슐화되고, 종합되어, 싱크 디바이스(32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슬라이스들이 수신되면, 이러한 슬라이스들이 디코딩되어 랜더링될 수 있다.
도 4는 예컨대,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400)을 나타낸다. 402에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예컨대,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동작들이 시작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처리 파이프라인은 소스 디바이스 상에서 최적의 치수를 갖는 슬라이스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슬라이스 치수는 이론상 최소 슬라이스 폭의 배수(예컨대, 매크로 블록 폭의 배수)로서 선택될 수 있는데, 배수는 Wi-Fi MAC 효율 목표를 충족시키기에는 충분히 크고, 레이턴시 목표를 충족시기에는 충분히 작다.
406에서, 이전에 전처리된 제 2 슬라이스를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1 스테이지에서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404에서는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를 기초로 처리 파이프라인이 구성된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슬라이스 치수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간의 채널 상태들을 기초로 조정될 수 있다.
다른 파이프라인 스테이지는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에 따라 또한 파이프라이닝될 수 있는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 캡처 및 전처리 단계들(예컨대, YUV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캡처 및 전처리 단계들은 이전 슬라이스의 인코딩과 파이프라이닝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소스 디바이스(500)를 나타낸다. 소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슬라이스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크기 선택 컴포넌트(502), 선택된 슬라이스 크기로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파이프라인 구성 컴포넌트(504), 슬라이스를 전처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캡처 및 전처리 컴포넌트(506), 전처리된 슬라이스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컴포넌트(508) 및 인코딩된 슬라이스를 싱크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컴포넌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파이프라인 소스 디바이스(602) 및 싱크 디바이스(66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프레임(610)을 선택된 크기의 슬라이스들(620)로 분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제 1 스테이지(630)에서 이미 전처리된) 제 2 슬라이스(6202)를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640)에서 인코딩하면서,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1 스테이지(630)에서 제 3 슬라이스(6203)를 전처리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이미 전처리되고 인코딩된) 제 1 슬라이스(6201)를 전송 컴포넌트(650)에 의해 싱크 디바이스(660)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한 인코딩된 출력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MAC 데이터 유닛들(예컨대, MPDU들 또는 MSDU들)로 캡슐화될 수 있다. MAC 데이터 유닛들은 디스플레이 싱크로의 송신 전에 종합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한) 인코딩된 출력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MSDU들로서 캡슐화되어 소스 MAC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전송 계층 헤더들, 및/또는 콘텐츠 보호를 보장하기 위한 암호화 동작들을 수반할 수 있다. 소스 MAC은 블록-ACK와 함께, 이러한 MSDU들을 송신 전에 종합하여 (예컨대, A-MSDU들 및/또는 A-MPDU들을 사용하여) 최적의 링크 사용률을 달성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는 종합된 데이터 유닛들이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들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스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660)에서, MAC 계층은 수신된 MSDU들을, IEEE 802.11과 같은 무선 표준 하에서 동작할 수 있는 디코더와 같은 싱크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싱크 디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가 수신되면 이를 디코딩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싱크 디바이스는 로컬 정책 및 제시 시간 고려사항들을 기초로 랜더링을 시작(예컨대, 자신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래스터 주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싱크 디바이스는 전체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모든 슬라이스들이 디코딩된 후에만 랜더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싱크 디바이스는 또한 다수의 완전한 비디오 프레임들이 디코딩되어 버퍼링된 후에만 랜더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또는, 싱크 디바이스는 다수의 슬라이스들이 디코딩되어 버퍼링된 후 랜더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정책은 원하는 Wi-Fi 디-지터 허용 오차에 좌우될 수 있다. 정책에는 제시 시간 제약들이 추가로 가해질 수도 있다.
싱크 디바이스(66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의 동작들은 소스 디바이스와는 관계없을 수도 있다. 각각의 측은 레이턴시 개선에 독립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절약들은 부가적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또는 싱크 디바이스) 중 단 하나만 자신의 성능을 최적화한다면, 이는 여전히 부분적인 성능 개선을 야기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슬라이스 크기는 전송 기회(TXOP)에 대한 하한, 종단간 레이턴시에 대한 상한, 또는 플랫폼 처리 제약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기초로 공동 최적화의 일부로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TXOP에 대한 하한은 0.5㎳, 1㎳ 등과 같을 수 있다. 이 TXOP 목표는 주어진 페이로드 스루풋에 대한 채널 시간 점유를 줄이도록 "양호한 채널 시민권" 고려사항들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매우 낮은 TXOP 값들은 달성할 수 있는 페이로드 스루풋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원하는 페이로드 스루풋이 또한 TXOP 목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XOP 하한은 공칭 PHY 레이트(예컨대, 72Mb/s, 144Mb/s 등)의 함수로써 (킬로비트들 단위의) 인코더 슬라이스 크기에 대한 하한을 암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PHY 레이트는 결국,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 성능들, 채널 폭(예컨대, 20㎒, 40㎒, 80㎒), 사용되는 MIMO 공간 스트림들의 수(예컨대, 1, 2 또는 4), 및 현재 PHY 채널 상태들에 좌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TXOP 목표는 더 높은 비율의 채널 사용률을 보장하도록 더 높을 필요가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슬라이스 치수는 MAC 효율 목표 및/또는 레이턴시 목표 중 하나에 적어도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MAC 효율 목표는 싱크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양이 반드시 메시징 오버헤드에 비해 충분히 커지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레이턴시 목표는 레이턴시가 허용할 수 있는 양을 반드시 초과하지 않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슬라이스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턴시 목표(또는 스루풋 척도(measure)) 및 적어도 하나의 MAC 효율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슬라이스 크기의 선택시 종단간 레이턴시(예컨대,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모두에서의 처리 단계들의 레이턴시)에 대한 상한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목표는 용법 모델에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대화형 게임들은 종단간 레이턴시에 대해 다른 애플리케이션들보다 더 낮은 값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레이턴시 상한은 슬라이스 듀레이션에 대한 상한을 암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슬라이스 듀레이션은 결국, 인코더의 공칭 비트 레이트(예컨대, 10Mb/s, 20Mb/s)의 함수일 수 있는 (Kbits 단위의) 인코딩된 슬라이스 크기에 대한 상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인코더의 타깃 비트 레이트는 결국, 링크 용량의 타깃 사용 비율 및 원하는 디스플레이 품질에 좌우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슬라이스 크기의 선택시 플랫폼들(예컨대, 소스 또는 싱크 디바이스들)의 처리 제약들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간 통신, 인터럽트들 등과 같은 각각의 트랜잭션에 대해 국소적으로 수반되는 오버헤드로 인해, 더 작은 슬라이스에 대해 처리 요구가 증가할 수 있다. 더 작은 슬라이스 크기는 더 작은 슬라이스 간격을 암시하고, 이는 플랫폼에서의 자원들에 대한 로드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고려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레이턴시 상한을 완화(예컨대, 증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디스플레이 세션(예컨대, Wi-Fi 디스플레이 세션)의 시작시 슬라이스 치수를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링크 상태들을 기초로 슬라이스 치수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현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스 치수들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은 상기의 파라미터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의 임의의 함수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TXOP 목표를 간신히 충족하고 결과적인 레이턴시를 받아들이는 쪽으로 치중된 예시적인 알고리즘이 다음의 단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MSDU 부분에 대해 TXOP 목표(T)가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T = 0.5㎳). TXOP 목표에 적어도 기초하여 Mbits/s 단위의 공칭 PHY 레이트(P)가 추정될 수 있다. 다음에, 원하는 페이로드(예컨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논리적 링크 제어(LLC: logical link control) 등)에 대해 이용 가능한 링크 용량(L)이 추정될 수 있다. 링크 용량(L)의 타깃 사용 비율(U)을 기초로 타깃 인코더 비트 레이트(E)가 선택될 수 있다. fps 단위의 타깃 프레임 레이트(F)가 또한 선택될 수 있다. 공칭 PHY 레이트 및 TXOP 목표를 기초로, 인코딩된 슬라이스(SS)의 타깃 크기가 SS = P×T로서 계산될 수 있다. 인코딩된 타깃 슬라이스 크기(SS)는 타깃 TXOP 듀레이션 동안 (추정된 PHY 레이트로) 전송될 수 있는 양이다. 다음과 같이 완전히 인코딩된 프레임에 대해 프레임 크기(SF)가 추정될 수 있다:
SF = 1000* E/F
다음에, 최적의 슬라이스 치수가 다음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R = SF/SS = (U * L * 1000) / (F * P * T)
W = Res / R
D = 1 / (R*F)
여기서 R은 프레임당 슬라이스들의 비를 나타낼 수 있고, Res는 해상도를 나타낼 수 있고, W는 주사선들에 관하여 슬라이스 폭을 나타낼 수 있고, D는 슬라이스 듀레이션을 밀리초로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T = 0.5㎳, P = 72Mb/s, L = 40Mb/s, U = 40% 그리고 F = 30fps의 경우, 다음의 값들이 계산될 수 있다: R = 14.8 슬라이스들/프레임 그리고 W = 49.7 라인들. W의 값은 16개의 주사선들의 정확한 배수(매크로 블록들의 진정수)로 반올림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W = 48이고 R = 15이다. 이는 각각의 슬라이스의 페이로드 부분에 대해 0.49㎳의 TXOP 듀레이션을 야기한다. 슬라이스 듀레이션(D)은 대략 2.2㎳이며, 이는 대략 11㎳(~2.2×5)의 종단간 지연을 야기한다.
유사한 알고리즘이 레이턴시 한계를 간신히 충족하며 결과적인 TXOP를 받아들이는 슬라이스 치수를 추정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다른 대안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예컨대, 슬라이스 크기에 대한 유한 범위가 TXOP와 레이턴시 한계들 모두를 충족한다면, 레이턴시 대 MAC 효율에 대한 시스템 선호도를 기초로 최적의 값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두 제약들 모두 공동으로 충족될 수 없다면, 소스 디바이스는 시스템 선호도에 따라 덜 중대한 제약(예컨대, 레이턴시)을 완화하거나, 레이턴시와 TXOP 목표들 모두를 적당히 절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도면들에 예시된 수단 및 기능 블록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블록들(402-406)은 도 4a에 예시된 수단 및 기능 블록들(402A-406A)에 대응한다. 더 일반적으로는, 대응하는 상대 수단 및 기능 블록들을 갖는, 도면들에 예시된 방법들이 존재하는 경우, 동작 블록들은 유사한 번호를 가진 수단 및 기능 블록들에 대응한다.
예컨대,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402A)은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 예컨대 크기 선택 컴포넌트(502)를 포함할 수 있고,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404A)은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 예컨대 파이프라인 구성 컴포넌트(504)를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스를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406A)은 슬라이스를 인코딩할 수 있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 예컨대 인코딩 컴포넌트(508)를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기 또는 도 5에 예시된 전송 컴포넌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들의 일부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Figure 112013035145152-pct00001
디스크(Blu-ray
Figure 112013035145152-pct00002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예컨대, 이러한 디바이스는 서버에 연결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연결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얻을 수 있도록, 저장 수단(예컨대, RAM, ROM, 콤팩트 디스크(CD)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서 예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치, 동작 및 세부 사항들에 대해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개조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다른 그리고 추가 양상들이 안출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32)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에 기초하여,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효율 목표와 레이턴시 목표 중 하나에 적어도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턴시 목표 또는 스루풋 척도(measure) 및 적어도 하나의 MAC 효율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 이전에, 인코딩된 출력을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데이터 유닛들로서 캡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aggregate)하는 단계; 및
    종합된 MAC 데이터 유닛을 디스플레이 싱크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는 단계는,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는 단계는,
    비디오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슬라이스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스 치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에 기초하여,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효율 목표와 레이턴시 목표 중 하나에 적어도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턴시 목표 또는 스루풋 척도 및 적어도 하나의 MAC 효율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송신 이전에, 인코딩된 출력을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데이터 유닛들로서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기 위한 수단; 및
    종합된 MAC 데이터 유닛을 디스플레이 싱크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하기 위한 수단은,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하기 위한 수단은,
    비디오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슬라이스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스 치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들은,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에 기초하여,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효율 목표와 레이턴시 목표 중 하나에 적어도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턴시 목표 또는 스루풋 척도 및 적어도 하나의 MAC 효율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송신 이전에, 인코딩된 출력을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데이터 유닛들로서 캡슐화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기 위한 명령들; 및
    종합된 MAC 데이터 유닛을 디스플레이 싱크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기 위한 명령들은,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기 위한 명령들은,
    비디오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슬라이스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4. 제 17 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스 치수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5.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디오 프레임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한 슬라이스 치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슬라이스 치수에 기초하여 처리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이전에 인코딩된 제 2 슬라이스를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의 제 2 스테이지로부터 전송하면서, 상기 처리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제 1 슬라이스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효율 목표와 레이턴시 목표 중 하나에 적어도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턴시 목표 또는 스루풋 척도 및 적어도 하나의 MAC 효율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송신 이전에, 인코딩된 출력을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데이터 유닛들로서 캡슐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기 MAC 데이터 유닛들을 종합하고; 그리고
    종합된 MAC 데이터 유닛을 디스플레이 싱크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디오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슬라이스들에 걸쳐 이어지지 않는 MAC 데이터 유닛들만을 인코딩된 데이터와 종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스 치수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KR1020137010248A 2010-09-23 2011-09-23 무선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이프라인 슬라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53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586010P 2010-09-23 2010-09-23
US61/385,860 2010-09-23
US13/239,823 2011-09-22
US13/239,823 US20120243602A1 (en) 2010-09-23 2011-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lined slicing for wireless display
PCT/US2011/052942 WO2012040565A1 (en) 2010-09-23 2011-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lined slicing for wireless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280A KR20130095280A (ko) 2013-08-27
KR101453369B1 true KR101453369B1 (ko) 2014-10-23

Family

ID=4474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248A KR101453369B1 (ko) 2010-09-23 2011-09-23 무선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이프라인 슬라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43602A1 (ko)
EP (1) EP2619984A1 (ko)
JP (1) JP2013543311A (ko)
KR (1) KR101453369B1 (ko)
CN (1) CN103098470B (ko)
TW (1) TW201220852A (ko)
WO (1) WO2012040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0796B2 (en) 2010-09-22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MAC data service enhancements
CN102684994B (zh) * 2012-03-30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业务调度的方法和系统
JP5942934B2 (ja) * 2013-07-09 2016-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038904B2 (en) * 2013-10-25 2018-07-3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mpressed picture according to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events
US10582259B2 (en) * 2015-06-30 2020-03-03 Gopro, Inc. Pipelined video interface for remote controlled aerial vehicle with camera
US10003811B2 (en) 2015-09-01 2018-06-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llel processing of a video frame
US20170105010A1 (en) * 2015-10-09 2017-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eiver-side modifications for reduced video latency
US10230948B2 (en) * 2016-02-03 2019-03-12 Mediatek Inc. Video transmitting system with on-the-fly encoding and on-the-fly delivering and associated video receiving system
CA2942257C (en) 2016-09-19 2022-09-06 Pleora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balancing compression ratio with processing latency
KR102581438B1 (ko) 2017-01-12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 및 시스템-온-칩
US11076158B2 (en) * 2019-09-09 2021-07-27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WiFi latency using transmit opportunity and duration
CN110602122A (zh) * 2019-09-20 2019-12-20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070829B2 (en) 2019-12-16 2021-07-20 Ati Technologies Ulc Reducing latency in wireles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6661A1 (en) 2004-09-27 2006-04-06 Intel Corporation Low-latency remote display rendering using tile-based rendering systems
KR20070014201A (ko) * 2004-05-13 2007-01-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채널에 정보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6716A (ja) * 1999-03-29 2000-10-13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方法
US8266657B2 (en) * 2001-03-15 2012-09-11 Sling Media Inc.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multi-room television system
EP1323308B1 (en) * 2000-08-15 2014-08-20 Polycom Israel Ltd. Delay reduction for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video data
US20040141522A1 (en) * 2001-07-11 2004-07-22 Yossi Texerman Communications protocol for wireless lan harmonizing the ieee 802.11a and etsi hiperla/2 standards
GB2381401B (en) * 2001-10-23 2005-12-21 Thirdspace Living Ltd Data switch
JP2003209837A (ja) * 2001-11-09 2003-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4253099A (ja) * 2003-02-21 2004-09-09 Toshiba Corp シンクフレーム構造、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US7684568B2 (en) * 2003-11-24 2010-03-23 Intellon Corporation Encrypting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489688B2 (en) * 2003-12-23 2009-02-10 Agere Systems Inc. Frame aggregation
US7633863B2 (en) * 2005-07-19 2009-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02878B2 (en) * 2005-09-29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Video packet shaping for video telephony
US8548048B2 (en) * 2005-10-2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Video source rate control for video telephony
US9544602B2 (en) * 2005-12-30 2017-01-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Wireless video transmission system
US20070153731A1 (en) * 2006-01-05 2007-07-05 Nadav Fine Varying size coefficien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turn channel
US8179871B2 (en) * 2006-03-29 2012-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ccess control for transmission of video information over wireless channels
CN101897190B (zh) * 2007-11-28 2012-06-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编码方法和图像编码装置
US8902996B2 (en) * 2008-02-26 2014-12-02 Richwave Technology Corp. Adaptive wireless video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9369759B2 (en) * 2009-04-15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gressive rate adaptation for uncompressed video communication in wireless systems
KR101678968B1 (ko) * 2009-08-21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 픽처 보간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110317762A1 (en) * 2010-06-29 2011-12-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encoder and packetizer with improved bandwidth utilization
US20120311173A1 (en) * 2011-05-31 2012-12-06 Broadcom Corporation Dynamic Wireless Channel Selection And Protocol Control For Streaming Med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201A (ko) * 2004-05-13 2007-01-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채널에 정보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6036661A1 (en) 2004-09-27 2006-04-06 Intel Corporation Low-latency remote display rendering using tile-based rendering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ERRE P ET AL: " Robust Video Transmission Over Wireless LANs",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IEEE SERVICE CENTER, PISCATAWAY, NJ, US, vol . 57 , no. 4, (2008-07-01), pages 2596-2602 *
JUN YIN ET AL: "Optimal packet size in error-prone channel for IEEE 802.11 distri buted coordination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04. WCNC. 2004 IEEE ATLANTA, GA, 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98470A (zh) 2013-05-08
TW201220852A (en) 2012-05-16
JP2013543311A (ja) 2013-11-28
CN103098470B (zh) 2016-03-30
WO2012040565A1 (en) 2012-03-29
EP2619984A1 (en) 2013-07-31
US20120243602A1 (en) 2012-09-27
KR20130095280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369B1 (ko) 무선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이프라인 슬라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175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udiovisual data having data size adaptation
US8831091B2 (en) Adaptive wireless channel allocation for media distribution in a multi-user environment
US97814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latency multimedia streaming
US80316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cknowledgment (ACK) frames
EP2055025B1 (en)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cknowledgement (ack) frames
CN109937578B (zh) 用于视频流的方法和系统
US8300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using mode changes based on channel feedback (CF)
US20150373075A1 (en) Multiple network transport sessions to provide context adaptive video streaming
US20090103635A1 (en) System and method of unequal error protection with hybrid arq/fec for video streaming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1197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hieving optimal network bitrate
CN103125084B (zh) Mac数据服务增强的数据发送方法及装置
WO2014052856A2 (en) Enhanced user experience for miracast devices
US20070288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a frame format and parsing scheme with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s
CN101174919B (zh) 用于无线通信的设备和方法
CN104604203A (zh) 在场景改变之后的图像中的编码和发射参数的调适
US2023023178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US96148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ncompressed video streams
US11558776B2 (en) Device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pressed bitstream via wireless stream and handling transmission error
Micanti et al. A packetization technique for D-Cinema contents multicasting over metropolita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