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839B1 -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839B1
KR101452839B1 KR1020130065136A KR20130065136A KR101452839B1 KR 101452839 B1 KR101452839 B1 KR 101452839B1 KR 1020130065136 A KR1020130065136 A KR 1020130065136A KR 20130065136 A KR20130065136 A KR 20130065136A KR 101452839 B1 KR101452839 B1 KR 10145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bobbin
trip
circuit breaker
instanta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병하
Original Assignee
(주)금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계전 filed Critical (주)금성계전
Priority to KR102013006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8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54Electromagnetic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83/2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 H01H83/22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with differential trans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blocks the flow of an instantaneous large current by operating an instantaneous trip unit according to a current flowing between an input terminal and a fixed contactor and reduces the size thereof by serially arranging the instantaneous trip unit and an earth leakage trip unit. Also, the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prevents the increase of breaking time and the reduction of breaking performance due to degradation by use by freely moving a connecting rod to a position to receive the lowest power by forming a guide slot on the connecting rod which is a link member of a returning unit.

Description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낙뢰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순시 트립과 누전 등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누전 트립이 모두 가능하면서, 소형이면서 효율적으로 동작가능한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which is capable of both a short trip due to an external factor such as a lightning stroke and a short circuit trip caused by an internal factor such as a short circuit, And a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누전 차단기는 전원측과 부하측의 사이에 마련되어 전기 누전시 자동으로 전원 경로를 차단시켜 전기 누전시에 초래되는 감전이나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누전 차단기는,부하측에서 누전이나 단락 등의 원인에 의해 이상 전류가 발생하거나, 전원측에서 낙뢰나 서지 등과 같은 외부적인 원인에 의해 순간 대전력이 유입되면, 차단기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켜 상기 이상 전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 및 장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다.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and is a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or fire caused by electric leakage in advance by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source path in case of electric leakag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earth leakage breaker, when an abnormal current occurs due to a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on the load side or an instantaneous large power is input due to an external cause such as lightning or surge on the power source sid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equipment damage caused by abnormal currents.

이러한 종래의 누전 차단기는,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스위치 노브가 돌출되어 온(ON) / 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수단, 상기 개폐 수단에 연결되어 전원측과 부하측의 전류 흐름을 통전 및 차단시키는 접점 수단, 상기 접점 수단의 전류 흐름을 강제적으로 차단시키는 트립 수단, 차단 상태후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복귀 수단 및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ncludes a housing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for performing an ON / OFF operation by protruding a switch knob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energize and shut off the current flow on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A tripping means for forcibly interrupting the current flow of the contact means, a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shutoff state, and a control circuit portion.

종래의 누전 차단기의 트립 수단은 누전 트립 수단과 순시 트립 수단을 구비하는데, 누전 트립 수단은 부하측에 발생되는 누전이나 단락 등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이상 전류가 발생되면 접점 수단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되고, 순시 트립 수단은 낙뢰나 서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순간 대전력이 유입되면 접점 수단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된다. The tripping means of the conventional earth leakage breaker includes an earth leakage trip means and an instantaneous trip means. When an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due to an internal factor such as a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generated on the load side, And the momentary trip means blocks the current flow of the contact means if an instantaneous power is input due to an external factor such as a lightning stroke or a surge.

순시 트립 수단이 전원측과 연결된 입력 단자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경우, 순간 대전력이 누전 차단기로 유입되어 순시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해 차단 상태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순간 대전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아크 또는 저항열 등에 의해 장비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순간 대전력이 유입되더라도 누전 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 기능을 발휘하여 부하에 연결된 장비들에 대하여 안정성을 보장하고 오랜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누전 차단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is disposed far from th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instantaneous power to flow into the electric leakage breaker to reach the cutoff state by driving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Or resistance heat may damage the parts of the equip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an earth leakage breaker which can guarantee the stability of the equipment connected to the load and secure a long lifetime 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even when the instantaneous power is inputted.

또한, 순시 트립 수단이 감지할 수 있는 정격 차단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누전 차단기는 누전 차단기의 하우징의 크기를 늘려서 구현하고 있다. 예컨대, 순시 트립 수단을 솔레노이드로 구현하는 경우,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코일의 직경이나 보빈의 직경을 증대시킴에 따라 정격 차단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하지만, 기존 장비와의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종래의 누전 차단기의 하우징과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감지가능한 정격 차단 전류의 용량을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rated breaking current which can be sensed by the instantaneous tripping means,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s realized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For example, when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is implemented by a solenoid, the capacity of the rated breaking current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oil constituting the solenoid or the diameter of the bobbin. However, considering the compatibility with existing equipment, development of a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the capacity of the detectable rated breaking current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as the housing of the conventional earth leakage breaker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4641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64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09779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7796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7366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7366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화로 유지하면서도 정격 차단 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storing type circuit breaker capable of increasing the rated breaking current while keeping the size of the housing sm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간 대전력이 유입되더라도 부품이나 부하측에 연결된 장비의 손상없이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capable of quickly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without damaging components or equipment connected to the load side even if instantaneous power is intro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 복구 후에 자동 복구용 플런저 및 스위치와의 링크 부재들이 원래의 위치로 회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복구 후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이나 이동방향에 따른 공차로 야기되는 연속 충격 등으로 인하여 차단 소요 시간이 지연되거나 차단 성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f-restoring plunger and a link member with a switch that can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an automatic restoration, thereby improving the frictional force that can be generated after the automatic restoration or the continuous shock Which prevents the delay time required for blocking or the blocking performance from being reduced.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원측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고정 접촉자와 부하측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접점 수단, 및 상기 가동 접촉자를 구동시켜 상기 접점 수단의 전기적 접촉을 제어함에 따라 전원측과 부하측을 통전 또는 단전시키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누전 차단기는, 상기 부하측에 이상 전류가 흐르면 상기 개폐 수단을 구동하여 접점 수단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시키는 누전 트립 수단; 상기 입력 단자로 과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 수단을 구동하여 접점 수단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시키는 순시 트립 수단; 상기 부하측에 흐르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이상 전류 감지부; 상기 이상 전류 감지부에 의해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누전 트립 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전 트립 수단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코일; 일부가 상기 제1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플런저; 일단은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의 움직임에 연동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수단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립바;를 구비하고,
상기 순시 트립 수단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2 보빈; 상기 제2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입력 단자 및 고정 접촉자에 연결된 제2 코일; 일부가 상기 제2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런저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와 함께 움직이는 제2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누전 트립 수단과 상기 순시 트립 수단은 직렬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커넥팅 로드에 의해 개폐 수단의 스위치와 연결된 복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귀 수단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3 보빈; 상기 제3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3 코일; 상기 제3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플런저 돌기가 형성된 제3 플런저; 및 제3 플런저의 일단과 제3 보빈의 측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 돌기가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접점 수단을 차단시킨 후 이상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복귀 수단의 제3 코일로 순간 전류를 인가하여 개폐 수단을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팅 로드는 양 단부에 각각 제1 가이드 슬롯과 제2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고, 제1 가이드 슬롯에는 스위치의 표면에 형성된 스위치 돌기가 끼워져 스위치와 연동되고, 제2 가이드 슬롯에는 플런저 돌기가 끼워져 제3 플런저와 연동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보빈과 순시 트립 수단의 제2 보빈은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되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플런저와 순시 트립 수단의 제2 플런저는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1 플런저의 일부가 제2 플런저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위치한 바이메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메탈은 부하측에 흐르는 고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일측으로 휘어져 접점 수단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contact means including a fixed contact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a power supply side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n a load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leakage breaker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onducting or disconnecting a power source side and a load side when a contact is controlled. The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 when an abnormal current flows in the load side, A short circuit trip means; Instantaneous trip means for driving the opening / closing means to interrupt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act means when an overcurrent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An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bnormal current flowing in the load side;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driving the light leakage trip means when an abnormal current is detected by the abnormal current detection unit,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includes: a first bobbin having a hollow inside; A first coi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bbin; A first plunger partly disposed inside the first bobbin; And a trip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plung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plunger,
Wherein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comprises: a second bobbin having a hollow therein; A second coi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bbin and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fixed contact, respectively; And a second plung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bbin, the second plunge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lunger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plung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eature,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further comprises return means connected to the switch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by the connecting rod,
The return means may include: a third bobbin having a hollow inside; A third coi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bbin; A third plunger disposed inside the third bobbin and having a plunger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return spring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plunger and a side of the third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nger proj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The control circuit unit may automatically turn off the switching means by applying an instantaneous current to the third coil of the return means if an abnormal current is not sensed after the contact means is shut off.
The connecting rod includes a first guide slot and a second guide slot at both ends thereof. The switch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wit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slot and interlocked with the switch. The plunger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slot, 3 plung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obbin of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second bobbin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arranged on the same central axis but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second plunger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disposed on the same center axis and are integrally formed or a part of the first plunger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lunger.
The automatic restor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further comprising a bimetal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output terminal, wherein the bimetal is heated by a high current flowing in the load,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순시 트립 수단을 입력 단자와 고정 접촉자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순간 대전력이 입력 단자로 유입됨과 동시에 순시 트립 수단의 코일로 흐르게 되고, 그 결과 순시 트립 수단에 의해 전류 흐름이 신속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The automatic restor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fixed contact so that the instantaneous power flows into the input terminal and simultaneously flows to the coil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The current flow can be quickly block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순시 트립 수단과 누전 트립 수단을 직렬로 배치함에 따라,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순시 트립 수단과 누전 트립 수단을 동일한 중심축상에 직렬로 나란히 배열함과 동시에 순시 트립 수단과 누전 트립 수단의 보빈들을 완전히 분리시킴에 따라 누전 트립 수단의 코일과 관계없이 순시 트립 수단의 코일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순시 트립 수단에 의해 차단시킬 수 있는 정격 차단 전류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nd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re arranged in series, the size of the housing can be reduced. Further,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nd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are arranged in series on the same center axis and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nd the bobbins of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are completely separated, The capacity of the coil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can b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coil.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rated breaking current that can be blocked by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복귀 수단과 스위치를 링크하는 커넥팅 로드에 제1 가이드 슬롯과 제2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고, 복귀 수단의 돌기가 제2 가이드 슬롯내에서 자유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스위치의 돌기가 제1 가이드 슬롯내에서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복귀된 후 스위치의 돌기와 복귀 수단의 플런저의 돌기는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 내에서 자유 이동하여 가장 작은 힘을 받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복귀후 차단 신호에 의한 동작이 실시되더라도, 스위치의 회전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커넥팅 로드와 플런저의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과, 커넥팅 로드의 각 연결 부위의 이동 방향과의 종방향 공차로 야기되는 이동 과정 초기의 연속 충격에 의해 차단 소요 시간이 미세하게 지연되거나 차단 성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automatic restor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 slot and the second guide slot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linking the return means and the switch, and the protrusion of the return means is freely movable in the second guide slot And the protrusion of the switch is freely movable in the first guide slot. Therefore, after returning, the projection of the switch and the projection of the plunger of the returning means are free to move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position receiving the smallest force. As a result, even if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hutoff signal after the return,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ment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plunger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ry motion of the switch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connecting parts of the connecting rod Thereby preventing the delay time required for the interruption due to the continuous shock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ovement process caused by the movement process or reducing the blocking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과 순시 트립 수단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a)는 복귀 수단과 개폐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b)는 커넥팅 노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a)는 복구 동작중의 복귀 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b)는 복구 동작후의 복귀 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 즉 초기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스위치가 온(ON)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한 차단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순시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한 차단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복귀 수단의 구동에 의한 복귀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disassembled.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return means and opening / closing means, and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node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turning means during a restoring operation, FIG. 5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turning means after the restoring operation, Fig.
6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the switch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N state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off state of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riving the electric leakage trip means.
FIG. 9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interruption by driving of instantaneous trip means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urn state by driving of the return means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순시 트립 수단을 입력 단자와 고정 접촉자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동작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순간 대전력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순시 트립 수단과 누전 트립 수단이 직렬 배치되도록 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복귀 수단의 링크 부재인 커넥팅 로드에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여 커넥팅 로드가 가장 적은 힘을 받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으로 인한 열화에 의해 차단 소요 시간이 증대되거나 차단 성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instantaneous tripp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fixed contactor to quickly shut off the instantaneous power flow and the instantaneous tripping means and the short- So that they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 automatic restoring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uide slot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which is a link member of the returning means,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be freely moved to a position receiving the least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time required from being increased or the blocking performance from being reduced.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도면은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하여 주요 부분이 나타나도록 표시하였다. Hereinafter, a structure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in Fig. 1 are shown to show major parts in order to facilitat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1)는 상부 하우징(10),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착되는 하부 하우징(20),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점 수단(30), 개폐 수단(40), 누전 트립 수단(50), 순시 트립 수단(60), 복귀 수단(70), 이상 전류 감지부(80) 및 제어 회로부(9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10, a lower housing 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contact means 30 provided inside the lower housing, An instantaneous tripping means 60, a returning means 70, an abnormal current sensing portion 80 and a control circuit portion 90. Th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상기 상부 하우징(10)에는 개폐 수단의 스위치 레버가 노출되는 스위치 입구(12)가 마련된다. The upper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switch inlet 12 through which the switch lev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exposed.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전원측과 연결시키기 위한 입력 단자(22) 및 부하측과 연결시키기 위한 출력 단자(24)가 각각 마련된다. The lower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22 for connecting to the power source side and an output terminal 24 for connecting to the load side.

접점 수단(30)은 고정 접촉자(32) 및 가동 접촉자(34)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접촉자(32)는 입력 단자(22)와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가동 접촉자(34)는 출력 단자(24)와 전기적 연결된다. 상기 가동 접촉자는 개폐 수단의 크로스바에 결착되어 있으므로 개폐 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에 접속되면 누전 차단기의 회로가 폐로를 형성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이 통전되며,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와 분리되면 누전 차단기의 회로가 개로를 형성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은 서로 차단된다. The contact means 30 has a fixed contact 32 and a movable contact 34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22 and the movable contact 3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24, Respectively. Since the movable contact is connected to the crossbar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i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thereby electrically contacting or separating from the fixed contact. When the movable contactor is connected to the stationary contactor, the circuit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orms a closed path and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are energized. When the movable contactor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or, the circuit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orms an open path.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 수단(40)은 스위치(42),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연결된 링커(45), 링커에 연결되고 일단은 크로스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트립바의 돌기에 걸리도록 구성된 레버(44),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크로스바(46)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크로스바(46)에 결착되어 있으며, 그 결과 가동 접촉자는 크로스바의 동작에 연동된다.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면, 스위치와 연결된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 및 가동 접촉자가 하강되고, 그 결과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와 접촉하게 되어 누전 차단기가 통전 상태가 된다. 1, 6 and 7, the opening / closing means 40 includes a switch 42, a linker 45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witch, a linker 45 connected to the linker, one end fixed to the crossbar, A lever 44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projection, and a crossbar 46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The movable contact is attached to the crossbar 46, so that the movable contact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crossbar.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rossbar and the movable contactor are lower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connected to the switch. As a result, the movable contact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or and the electric leakage breaker is in the energized stat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과 순시 트립 수단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disassembl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누전 트립 수단(50)은 내부가 중공인 제1 보빈(52), 상기 제1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코일(54), 상기 제1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플런저(56) 및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단에 결착된 트립바(58)를 구비한다. 상기 트립바의 일단은 제1 플런저에 결착되고,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트립바의 타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에 개폐수단의 레버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트립바가 회전 이동하는 경우, 트립바의 돌기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레버가 트립바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ic trip trip device 50 includes a first bobbin 52 having an inner hollow, a first coil 54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bbin, A first plunger 56 and a trip bar 58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One end of the trip bar is engaged with the first plunger,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trip bar opposed to the one end. The end of the lever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hooked on the protrusion. When the trip bar rotates and moves, the lever fixed on the projection of the trip bar is released from the trip bar.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1)는 가동 접촉자(34)와 출력 단자(24)의 사이에 바이메탈(6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69)은 정격 전류보다 높은 고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고전류에 의해 가열되면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바이메탈이 휘어짐에 따라 바이메탈의 일측에 세워진 트립바를 일측으로 밀게 되고, 상기 트립바에 고정되었던 레버(44)가 트립바로부터 이탈되고, 레버에 의해 하강되어 있던 크로스바 및 가동 접촉자가 상승함에 따라 누전 차단기는 차단 상태가 된다.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metal 69 between the movable contact 34 and the output terminal 24. [ When the high current flows higher than the rated current, the bimetal 69 is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heated by the high current. As the bimetal is bent, the trip ba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metal is pushed to one side, the lever 44 fixed to the trip bar is released from the trip bar, and the crossbar and the movable contact lowered by the lever are raised, It is in a cut-off state.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코일(54)에 전력이 인가되면 제1 보빈(52)에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제1 플런저(56)가 제1 보빈의 중심축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게 되며, 제1 플런저의 일단에 결착된 트립바(58)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플런저는 트립바의 하단에 결착되므로, 제1 플런저가 이동하면 트립바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트립바의 타단의 돌기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44)가 돌기로부터 이탈되고, 레버(44)에 의해 고정되었던 크로스바(46)는 크로스바의 하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가동 접촉자가 상승 이동하여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a),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54, the first plunger 56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bobbin 52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bobbin 52, And the trip bar 58 attached to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moves together.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plunger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trip bar, when the first plunger moves, the trip bar rotates by a certain angle. Therefore, the lever 44 fixed to the proj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trip bar is disengaged from the projection, and the crossbar 46 fixed by the lever 44 moves upwar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bar As a result, the movable contactor moves up and separates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to be in a cut-off stat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순시 트립 수단(60)은 내부가 중공인 제2 보빈(62), 상기 제2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코일(64) 및 상기 제2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플런저(66)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코일(64)은 상기 제2 보빈(6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2 플런저(66)는 상기 누전 트립 수단(50)의 제1 플런저(56)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플런저와 제1 플런저는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플런저(56)의 일단에는 제2 플런저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트립바가 결착됨에 따라, 제1 플런저 및 제2 플런저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면, 트립바가 회전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60 includes a second bobbin 62 having a hollow interior, a second coil 64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bbin, and a second coil 64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bbin. 2 plunger 66 as shown in Fig. The second coil 64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bbin 62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input terminal to the fixed contact. The second plunger 66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56 of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5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and the first plung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lunger 56,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one of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moves as the second plung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56 and the trip ba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 trip bar rotates and moves The movable contactor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and is brought into the cut-off state.

상기 제2 플런저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는 동일 축상에 직렬로 배치되거나, 제2 플런저가 제1 플런저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plunger,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may be arranged in series on the same axis, or the second plunger may be arranged in a structure to surround a part of the first plunger.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은 서로 분리되어 직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are preferab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series.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순시 트립 수단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낙뢰 또는 서지 등과 같은 외부적인 원인에 의해 과전류가 입력 단자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입력 단자와 고정 접촉자 사이의 상기 제2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어 제2 보빈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제2 플런저가 제2 보빈의 중심 축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플런저에 연결된 제1 플런저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제1 플런저의 단부에 결착된 트립바도 회전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 상태가 된다. 2 and 3 (b), when an overcurrent flows into the input terminal due to an external cause such as a lightning strike or a surge,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il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fixed contact,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plu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bobbin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the first plunger connected to the second plunger also moves together, The trip bar which is fastened to the end portion is also rotationally moved, and as a result, the movable contactor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and is brought into a cut-off state.

상기 이상 전류 감지부(80)는 단락, 합선, 누전 등과 같은 내부적인 원인에의해 부하측에 흐르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 회로부로 제공한다. The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80 senses an abnormal current flowing in the load due to an internal cause such as a short circuit, a short circuit, a short circuit, etc., and provides the detected abnormal current to the control circuit unit.

상기 제어 회로부(90)는 이상 전류 감지부로부터 이상 전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코일로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누전 차단기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 회로부(90)는 누전 차단기가 순시 트립 수단 또는 누전 트립 수단에 의해 차단 상태가 된 후, 이상 전류 감지부에 의해 이상 전류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복귀 수단의 제3 코일로 전원을 인가하여 자동으로 누전 차단기를 복구하여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abnormal current sensing signal is inputted from the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the control circuit unit 90 applies electric power to the first coil of the electric leakage tripping unit so that the electric leakage screening unit is in the cutoff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abnormal current is no longer sensed by the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after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turned off by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or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the control circuit portion 90 supplies power to the third coil of the return means And automatically restores the earth leakage breaker to maintain the energized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a)는 복귀 수단과 개폐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b)는 커넥팅 노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return means and opening / closing means, and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node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복귀 수단(70)은 내부가 중공인 제3 보빈(72), 상기 제3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3 코일(74), 상기 제3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플런저(76),제3 보빈의 측면과 제3 플런저의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귀 스프링(79) 및 상기 제3 플런저와 스위치를 링크시키는 커넥팅 로드(78)를 구비한다. 4 (a), the return means 70 includes a third bobbin 72 having an inner hollow, a third coil 74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bbin, A return spring 79 disposed between the side of the third bobbin and the end of the third plunger, and a connecting rod 78 linking the third plunger and the switch.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로드(78)는 양 측의 돌출부에 각각 제1 가이드 슬롯(780)과 제2 가이드 슬롯(78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 슬롯(780)에는 스위치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 돌기(784)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 가이드 슬롯(782)에는 제3 플런저의 단부에 형성된 플런저 돌기(786)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Referring to FIG. 4B, the connecting rod 78 includes a first guide slot 780 and a second guide slot 782 on protrusions on both sides thereof. A switch protrusion 784 formed on one side of the switch is movably fitted in the first guide slot 780 and a plunger protrusion 786 formed on the end of the third plunger is movably fitted in the second guide slot 782 Loses.

제1 가이드 슬롯(780)의 길이는 제3 플런저의 이동 가능 거리와 같거나 그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돌기(784)는 제1 가이드 슬롯에 끼워지며, 커넥팅 로드(78)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스위치(42)의 온(ON) / 오프(OFF) 상태에 따라 스위치 돌기(784)는 제1 가이드 슬롯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스위치(42)로 개폐를 조작하더라도 커넥팅 로드(78)가 스위치 돌기(784)의 이동 경로에 따라 플런저 돌기(786)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운동을 할 뿐 커넥팅 로드(78)의 제2 가이드 슬롯(782)에 연결된 제3 플런저(76)는 복귀 스프링(79)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롯(782)은 플런저 돌기(786)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제2 가이드 슬롯의 길이는 스위치(42)의 반경과 링커(45) 길이의 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 슬롯(782)은 복귀 수단(70)이 스위치(42) 및 가동 접촉자(34)의 폐로 상태로의 복귀를 수행한 후, 제3 플런저(76) 및 커넥팅 로드(78)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병진·회전 운동 과정을 병진운동에 가깝게 변환하여, 제3 플런저(76) 및 커넥팅 로드(78) 복귀 시 형성되는 모멘트에 의해 다양하게 발생하는 국부 마찰을 최소화하여 유연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커넥팅 로드의 다른 실시 형태는, 제2 가이드 슬롯을 캠 형상이 아닌 핀 홀 형태로 변경하여 플런저 돌기를 고정하고, 제1 가이드 슬롯의 형상 변경만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slot 780 is preferably equal to or longer than the movable distance of the third plunger. The switch protrusion 784 is fitted in the first guide slot and the switch protrusion 784 is moved in the first guide slot 782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42 even if the connecting rod 78 does not move. The connecting rod 78 can move up and down about the plunger protrusion 786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path of the switch projection 784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42 to open and close, The third plunger 76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slot 782 of the return spring 78 can maintain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79. The length of the second guide slot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radius of the switch 42 to the length of the linker 45. In the second guide slot 782, The second guide slot 782 allows the third plunger 76 and the connecting rod 78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after the return means 70 has performed the return of the switch 42 and the movable contact 34 to the closed state, So as to minimize the local friction generated by the moment generated at the return of the third plunger 76 and the connecting rod 78, so that the flexible movement can be performed Help.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uide slot may be changed to a pinhole shape instead of a cam shape to fix the plunger protrusion and to change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slo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a)는 복구 동작중의 복귀 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b)는 복구 동작후의 복귀 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turning means during a restoring operation, FIG. 5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turning means after the restoring operation, Fig.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어 회로부가 차단 상태의 누전 차단기를 자동으로 복구시키기 위하여, 제3 코일(74)에 순간 전력을 인가하면, 제3 보빈(72)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고,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제3 플런저(76)가 제3 보빈의 중심축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제3 플런저에 링크된 커넥팅 로드(78)의 회동에 의해 스위치(42)가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스위치(42)에 연동되는 크로스바(46)가 하강하고, 크로스바에 고정된 가동 접촉자(32)도 하강하여 고정 접촉자에 접속됨에 따라, 통전 상태가 된다. 5 (a), when the instantaneous power is applied to the third coil 74 in order to automatically recover the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 in the cutoff st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third bobbin 72 , The third electromagnet 76 moves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third bobbin b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the switch 4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rod 78 linked to the third plunger As a result, the crossbar 46 interlocked with the switch 42 is lowered, and the movable contactor 32 fixed to the crossbar is also lowered to be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or, thereby becoming the energized state.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복구된 후 제 3 코일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제3 보빈에 유도기전력이 사라지게 되고 제3 플런저의 일측에 장착된 복귀 스프링(79)의 복원력에 의해 제3 플런저(7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제3 플런저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제3 플런저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78)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스위치 돌기(784)는 움직이지 않고 스위치 돌기가 끼워진 커넥팅 로드의 제1 가이드 슬롯(780)이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5 (b), if no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third coil after the recover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isappears in the third bobbin,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79 mounted on one side of the third plunger causes the 3 plunger 76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as the third plunger moves horizontally, the connecting rod 78 connected to the third plunger also moves together, and the switch projection 784 does not move and the first guide slot 780 of the connecting rod, Is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의 각 상태의 구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riving process of each state of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초기 상태 : 스위치 오프(OFF) 상태 > <Initial state: Switch off (OFF)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인 초기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a) 및 단면도(b)이다. 초기 상태는 스위치(42)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여 누전 차단기가 차단 상태임을 의미한다. 6 is a left side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showing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switch is in the OFF state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state means that the switch 42 is kept in the OFF state to indicate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the cut-off state.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42)가 오프 상태가 되면, 링커(45) 및 레버(44)가 스위치와 함께 이동하고, 레버에 연결된 크로스바(46)가 상승하게 되며, 크로스바(46)에 결착되어 있는 가동 접촉자(34)도 상승하게 되어,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 상태가 된다.
6, when the switch 42 is turned off, the linker 45 and the lever 44 are moved together with the switch, the crossbar 46 connected to the lever is raised, and the crossbar 46 is engaged The movable contactor 34 is also raised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 is disconnec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and is in a cut-off state.

< 정상 상태 : 스위치 온(ON) 상태 >&Lt; Normal state: Switching on (ON) state >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스위치가 온(ON)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FIG. 7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N state of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을 참조하면, 스위치(42)가 온(ON) 상태로 고정되면, 스위치에 연동되는 크로스바(46)가 가동 접촉자(34)를 하강시켜 고정 접촉자에 접촉됨에 따라, 누전 차단기는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7, when the switch 42 is fixed in the ON state, the crossbar 46 interlocked with the switch moves down the movable contactor 34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contactor, .

< 누전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한 차단 상태 >&Lt; Blocking state by driving of electric leak trip means >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한 차단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FIG. 8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off state of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riving the electric leakage trip means.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스위치(42)가 ON 되어 있는 정상 상태에서 이상 전류 감지부에서 이상 전류를 감지할 경우, 제어 회로부는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코일(5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보빈(52)의 외부에 권선된 제1 코일(54)이 순간적으로 자화되어 유도 기전력이 발생함에 따라, 제1 보빈의 내부에 위치한 제1 플런저(56)를 끌어당긴다. 제1 플런저의 동력은 트립바(58)의 하단에 전달되어 트립바를 회전 운동시킨다. 트립바의 상단을 발판으로 고정되어 있던 레버(44)는 자유 이동하게 되고, 레버에 연결된 크로스바(46)는 트립바(58)의 회동에 의해 힘의 균형이 깨어져 상승하게 된다. 스위치(42)는 스위치의 하단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가동 접촉자에 의해 압축되었던 스프링이 탄성력을 회복함에 의해 가동 접촉자 및 크로스바가 상승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개로 상태, 즉 차단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senses an abnormal current in the steady state in which the switch 42 of FIG. 7 is on, the control circuit uni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coil 54 of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 The first coil 54 woun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bbin 52 is momentarily magnetized to generate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o that the first plunger 56 located inside the first bobbin is attracted. The power of the first plunger is transm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trip bar 58 to rotate the trip bar. The lever 44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ip bar is freely moved and the crossbar 46 connected to the lever is raised and broken due to the rotation of the trip bar 58. [ The switch 42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spring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witch, and the spring that has been compressed by the movable contactor recovers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crossbar rise and return to the initial state, , That is, the blocking state.

다음, 제어 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제1 코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유도 기전력이 사라지게 되고 제1 플런저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제1 플런저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며, 제1 플런저에 연결된 트립바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OFF 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coil is stoppe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isappears and the first plung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unger, and the first plung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lunger The trip bar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a result,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switch is turned off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 순시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한 차단 상태 >&Lt; Blocking state by driving instantaneous trip means >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순시 트립 수단의 구동에 의한 차단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FIG. 9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interruption by driving of instantaneous trip means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도 7의 스위치가 ON 되어 있는 정상 상태에서 입력 단자로 낙뢰, 서지 등과 같은 순간 대전력이 입력될 경우, 전류는 입력단자와 고정 접촉자를 연결하는 제2 코일(64)을 거치게 된다. 제2 보빈(62)의 외부에 권선된 제2 코일(64)이 전류에 의해 순간적으로 자화되어 유도 기전력이 발생함에 따라, 제2 보빈의 내부에 위치한 제2 플런저(66) 및 제2 플런저에 결속된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플런저(56)를 끌어당긴다. 제2 플런저의 동력은 제1 플런저를 통해 트립바의 하단에 전달되어 트립바를 회전 운동시킨다. 트립바의 상단을 발판으로 고정되어 있던 레버(44)는 자유 이동하게 되고, 레버에 연결된 크로스바(46)는 트립바(58)의 회동에 의해 힘의 균형이 깨어져 상승하게 된다. 스위치(42)는 스위치의 하단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가동 접촉자에 의해 압축되었던 스프링이 탄성력을 회복함에 의해 가동 접촉자 및 크로스바가 상승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개로 상태, 즉 차단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9, when a momentary power such as a lightning strike or a surge is input to an input terminal in a steady state in which the switch of FIG. 7 is on, the current flows through a second coil 64 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and the fixed contact . Since the second coil 64 woun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obbin 62 is instantaneously magnetized by the current an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the second plunger 66 and the second plunger 66 located inside the second bobbin 62 The first plunger 56 of the coupled electric current trip means is pulled. The power of the second plunger is transm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trip bar through the first plunger to rotate the trip bar. The lever 44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ip bar is freely moved and the crossbar 46 connected to the lever is raised and broken due to the rotation of the trip bar 58. [ The switch 42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spring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witch, and the spring that has been compressed by the movable contactor recovers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crossbar rise and return to the initial state, , That is, the blocking state.

다음, 입력 단자로의 대전류 입력이 중단되면, 제2 코일(64)로의 전류 흐름도 중단되어 유도 기전력이 사라지게 되고 제2 플런저(66)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제2 플런저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며, 제2 플런저에 결속된 제1 플런저도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며, 제1 플런저에 연결된 트립바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OFF 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n, when the input of a large current to the input terminal is interrupted, the current flow to the second coil 64 is stopped,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isappears. By the spr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lunger 66, the second plung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plunger tied to the second plunger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trip bar connected to the first plunger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a result,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switch is turned off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 복귀 수단의 구동에 의한 복귀 상태 >&Lt; Recovery state by driving return means >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복귀 수단(70)의 구동에 의한 복귀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10 is a left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urn state by driving of the return means 70 in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를 참조하면, 이상 전류에 의한 차단 상태에서, 이상 전류 감지부에 의해 더 이상 비정상적인 전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 회로부는 복귀 수단(70)의 제3 코일(76)에 순간 전력을 공급한다. 제3 보빈(72)의 외부에 권선된 제3 코일(74)에 순간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제3 보빈의 내부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되고 제3 보빈의 내부에 위치한 제3 플런저(76)를 끌어당긴다. 제3 플런저의 동력은 커넥팅 로드(78)를 매개로 하여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위치시키며 링커(45) 및 링커에 연결된 레버(44)를 이동시킨다. 레버(44)에 의해 크로스바(46)가 하강되며, 크로스바의 양측에 결속된 가동 접촉자(34)가 고정 접촉자(32)의 방향으로 하강하여,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와 접촉됨에 따라 폐로 상태가 되고, 개폐 수단의 각 링크 부품간의 척력으로 모두 그 상태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10, when abnormal current is no longer sensed by the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in the interrupted state by the abnormal current, the control circuit unit supplies instantaneous power to the third coil 76 of the returning unit 70 . Instantaneous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third coil 74 wound on the outside of the third bobbin 72 so that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third bobbin and the third plunger 76 located inside the third bobbin Pull it. The power of the third plunger places the switch in the ON state via the connecting rod 78 and moves the linker 45 and the lever 44 connected to the linker. The crossbar 46 is lowered by the lever 44 and the movable contactor 34 bounded on both sides of the crossbar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contactor 32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contactor, , And all of the link part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fixed in that state by the repulsive forc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귀 상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수단은 통전 상태로 고정되고, 제3 코일(76)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제3 보빈(72)내의 유도 기전력이 사라지게 되고, 그 결과 제3 플런저(76)에 장착된 복귀 스프링(79)에 의해 제3 보빈의 내부에 위치한 제3 플런저 및 이에 결속된 커넥팅 로드(78)는 초기의 위치로 복귀한다.
7,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fixed in the energized state, and when the supply of power to the third coil 76 is stoppe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third bobbin 72 The third plunger located inside the third bobbin and the connecting rod 78 bound to the third bobbin by the return spring 79 mounted on the third plunger 76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가정이나 산업 현장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Th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in a home or an industrial field.

1 :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10 : 상부 하우징
20 : 하부 하우징
30 : 접점 수단
40 : 개폐 수단
50 : 누전 트립 수단
60 : 순시 트립 수단
70 : 복귀 수단
80 : 이상 전류 감지부
90 : 제어 회로부
1: Auto recovery type earth leakage breaker
10: upper housing
20: Lower housing
30: Contact means
40: opening / closing means
50: Leakage tripping means
60: Instant trip means
70: return means
80: abnormal current detection unit
90: control circuit part

Claims (8)

전원측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고정 접촉자와 부하측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접점 수단, 및 상기 가동 접촉자를 구동시켜 상기 접점 수단의 전기적 접촉을 제어함에 따라 전원측과 부하측을 통전 또는 단전시키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에 이상 전류가 흐르면 상기 개폐 수단을 구동하여 접점 수단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시키는 누전 트립 수단;
상기 입력 단자로 과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 수단을 구동하여 접점 수단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시키는 순시 트립 수단;
상기 부하측에 흐르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이상 전류 감지부;
상기 이상 전류 감지부에 의해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누전 트립 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전 트립 수단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코일;
일부가 상기 제1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플런저;
일단은 상기 제1 플런저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의 움직임에 연동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수단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립바;를 구비하고,
상기 순시 트립 수단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2 보빈;
상기 제2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입력 단자 및 고정 접촉자에 연결된 제2 코일;
일부가 상기 제2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런저에 연결되어 제1 플런저와 함께 움직이는 제2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누전 트립 수단과 상기 순시 트립 수단은 직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플런저와 순시 트립 수단의 제2 플런저는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되, 제1 플런저의 일부가 제2 플런저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A contact means comprising a fixed contact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side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load side and a switch means for switching on and off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by controlling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act means by driving the movable contactor An automatic restoring circuit breaker comprising:
An electric current tripping means for driving the opening / closing means to interrupt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act means when an abnormal current flows through the load side;
Instantaneous trip means for driving the opening / closing means to interrupt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act means when an overcurrent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An abnormal curren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bnormal current flowing in the load side;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driving the light leakage trip means when an abnormal current is detected by the abnormal current detection unit,
The short-
A first bobbin having a hollow inside;
A first coi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bbin;
A first plunger partly disposed inside the first bobbin;
And a trip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plung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plunger,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 second bobbin having a hollow inside;
A second coi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bbin and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fixed contact, respectively;
And a second plung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bbin, the second plunge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lunger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plu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arranged in series,
Wherein the first plunger of the earth leakage trip means and the second plunger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disposed on the same center axis and a part of the first plunger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lu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는 커넥팅 로드에 의해 개폐 수단의 스위치와 연결된 복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귀 수단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3 보빈;
상기 제3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3 코일;
상기 제3 보빈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 플런저 돌기가 형성된 제3 플런저; 및
제3 플런저의 일단과 제3 보빈의 측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 돌기가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접점 수단을 차단시킨 후 이상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복귀 수단의 제3 코일로 순간 전류를 인가하여 개폐 수단을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The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turn means connected to a switch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by a connecting rod,
The return means
A third bobbin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 third coi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bbin;
A third plunger disposed inside the third bobbin and having a plunger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nd a return spring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plunger and a side surface of the third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nger proj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Wherein the control circuit part applies an instantaneous current to the third coil of the returning means to automatically return the opening / closing means if an abnormal current is not detected after the contact means is shut of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는 양 단부에 각각 제1 가이드 슬롯과 제2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고,
제1 가이드 슬롯에는 스위치의 표면에 형성된 스위치 돌기가 끼워져 스위치와 연동되고, 제2 가이드 슬롯에는 플런저 돌기가 끼워져 제3 플런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rod has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at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switch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wit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slot and interlocked with the switch, and the plunger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slot to interlock with the third plung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보빈과 순시 트립 수단의 제2 보빈은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되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bobbin of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second bobbin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arranged on the same central axis, but are arranged in a lin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전 트립 수단의 제1 플런저와 순시 트립 수단의 제2 플런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4.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plunger of the electric trip trip means and the second plunger of the instantaneous trip means are integrally formed.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위치한 바이메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메탈은 부하측에 흐르는 고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일측으로 휘어져 접점 수단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The bimet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bimetal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output terminal, wherein the bimetal is heated by a high current flowing in the load, Wherein the circuit breaker is an automatic restoration type circuit break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의 길이는 제3 플런저의 이동 가능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구형 누전 차단기.

4.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3, wherein a length of the first guide slot is equal to a movable distance of the third plunger.

KR1020130065136A 2013-06-07 2013-06-07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1452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136A KR101452839B1 (en) 2013-06-07 2013-06-07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136A KR101452839B1 (en) 2013-06-07 2013-06-07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839B1 true KR101452839B1 (en) 2014-10-22

Family

ID=5199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136A KR101452839B1 (en) 2013-06-07 2013-06-07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8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4872A (en) * 2021-09-29 2022-01-04 中群电气有限公司 Device for detecting current short circuit release
KR20220167507A (en) 2021-06-14 2022-12-21 차기만 Handle driving apparatus for a leakage breaker with automatic recovery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66Y1 (en) 2005-10-27 2006-01-31 주식회사 두원 Home miniature circuit breaker
KR20090011395U (en) * 2009-10-19 2009-11-10 주식회사 삼일전기 A molded case and earth reakage circuit breaker
KR101065850B1 (en) 2011-04-25 2011-09-20 김재현 Earth leakage breaker having automatic return fun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66Y1 (en) 2005-10-27 2006-01-31 주식회사 두원 Home miniature circuit breaker
KR20090011395U (en) * 2009-10-19 2009-11-10 주식회사 삼일전기 A molded case and earth reakage circuit breaker
KR101065850B1 (en) 2011-04-25 2011-09-20 김재현 Earth leakage breaker having automatic return fun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507A (en) 2021-06-14 2022-12-21 차기만 Handle driving apparatus for a leakage breaker with automatic recovery function
KR102539220B1 (en) 2021-06-14 2023-06-01 차기만 Handle driving apparatus for a leakage breaker with automatic recovery function
CN113884872A (en) * 2021-09-29 2022-01-04 中群电气有限公司 Device for detecting current short circuit rel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0409B2 (en) Power switch
KR101620298B1 (en)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with manual reset
KR101500954B1 (en)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CN102714115B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CN111712897B (en) Circuit breaker
MX2014013419A (en) Dropout recloser.
WO2014167603A1 (en) Operation display mechanism, circuit breaker, compound breaker, and display member
US11398363B2 (en) Circuit interrupters with lockout feature and related methods
JP2009531827A (en) Circuit breaker with abnormal current interruption and reset function
AU2004201267B2 (en) Remotely controllable circuit breaker including bypass magnet circuit
KR101452839B1 (en) An automatic recover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MXPA01011432A (en) Circuit breaker latch mechanism with decreased trip time.
KR102521937B1 (en) Trip Unit of Circuit Breaker
CN104040674B (en) Wiring circuit breaker
KR101010133B1 (en) Home Circuit Breaker
RU2535787C2 (en) Control mechanism for automatic tripping device and automatic tripping device comprising this mechanism
US9466451B2 (en) Flux shunt trip actuator interface and breaker reset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101728759B1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over current protection button
ES2566102T3 (en) Insufficient voltage tripping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067391B1 (en) Mold case circuit breaker
US20240128040A1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 remote on/off breaker
KR100874838B1 (en) Apparatus for manually operating a circuit breaker and load switch
DK170387B1 (en) Electromagnetic switch
KR101098227B1 (en) Th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the rapidity repulsive force device
US9892873B2 (en) Multi-purpose mounting for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