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494B1 -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494B1
KR101452494B1 KR1020080040844A KR20080040844A KR101452494B1 KR 101452494 B1 KR101452494 B1 KR 101452494B1 KR 1020080040844 A KR1020080040844 A KR 1020080040844A KR 20080040844 A KR20080040844 A KR 20080040844A KR 101452494 B1 KR101452494 B1 KR 10145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rotocol
sensors
sensor
senso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154A (ko
Inventor
로날드 제이. 웨브
아누라드하 카드바 아파지
조셉 알. 클리브랜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니버셜 브라우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의해 서비스를 위한 리퀘스트를 서비스 포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포털에 의해 상기 리퀘스트를 충족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을 결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한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 단말에 존재하면, 상기 리퀘스트를 충족할 수 있는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포털에 의해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센서 간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워크, 센서, 노드

Description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UNIVERSAL BROWSING SYSTEM}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유니버셜 브라우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웨어의 소형화와 기술 통합의 발달은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센서를 갖춘 장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클래스의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시스템들은 고도로 분산화되지만, 다양한 통신 링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 USN)를 나타내며, 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는 유, 무선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한 서로 다른 센서 장치와 작동 장치에 기초한 인프라를 갖는 지능적인 환경을 포함한다. 주변의 지능적인 환경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주변에 있는 컴퓨터 및 네트워크에 의해 둘러싸인 환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변의 지능(ambient intelligence)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우리 주변의 일부분인 하드웨어, 끊김 없는 통신 환경, 분배형 네트워크 및 사용자의 배경 지식을 가정한다.
USN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나 다른 전기적 데이터 통신 메커니즘들을 통하여 통신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전기 변환기에 의해 얻어진 실시간 정보를 다루는 센서 노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의 일 예로는 IEEE-488.2, Fieldbus standard2, IEEE 1451,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와 지그비(Zigbee)와 같은 표준들이 있다.
통상적인 USN에서, 센서 노드에 의해 수집되고 저장되는 데이터는 때때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센서 노드에 의해 싱크(Sink)라고 불리우는 정적인 컨트롤 센터를 향해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과 연관된 중요한 문제는 에너지 사용이다. 싱크로부터 가장 가까운 노드들은 자신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다른 센서 노드의 데이터도 싱크로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이동단말은 하나의 USN 안에 센서 노드에 접속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과 같은 것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특정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갖는 미리 프로그램되고, 임베디드된 인터페이스 표준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양한 이동단말은 위피(Wireless Fidelity : WiFi)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표준들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에 접속한다. 이 표준들은 다른 장치들에 접속하는 데에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은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센서 노드와 접속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통신이 이루어지는, 또는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터널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은 전반적인 네트 워크의 복합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막대한 비용이 들고 센서 노드에 대한 에너지를 소비시킨다.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 단일 객체 액세스 프로토콜(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SOAP), 객체 변환(Object Exchange : OBEX),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IPv6)을 이용하여, 이동단말은 사용자에게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검색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센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센서 노드로부터 데이터에 접속하기 위한 현재의 구조들은 서버에 대한의 사용자 접속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방식은 서버에 연결된 장치들과 통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장치가 연결된 것에 따라, 서버는 센서 데이터, 구성 데이터, 알람과 같은 것들을 수신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서버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용화된 접속 인프라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비용이 많이 들며, 어려운 작업이다.
웹 서비스는 SOAP, XML, OBEX, HTTP를 포함하는 산업-표준 프로토콜에 의해 이동단말 프로토콜 스택에서 호출된다.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Dynamic-Link Library : DLL)는 하나의 운영 체제 안의 공유 라이브러리의 구현이다. DLL은 모듈(modularity)과 같은 공유 라이브러리의 표준 혜택을 제공한다.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어떠한 변화 없이 몇몇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공유된 단일 DLL에서 코드와 데이터에 대한 변화를 허용한다. 이러한 모듈의 기본적인 형태는 비교적 작은 패치들을 허용한다. 모듈의 다른 이점은 플러그 인을 위한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들의 사용이다.
센서 노드들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기반이고,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 저장, 전송을 위한 전력을 제한받는다. 데이터로의 접근은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전력적으로 비효율적이며, 또는 센서 노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싱크하는 이동 단말에 관련한 에너지 소비적인 전송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통상적인 USN에서는, 센서 노드에 의해 수집되어진 데이터는 다른 센서 노드나 네트워크 노드들을 통해서 고정된 컨트롤 센터(싱크)로 전송되어 진다. 싱크에 가장 가까운 노드들은 그들 자신의 데이터 뿐 아니라 싱크로부터 굉장히 먼 거리에 위치된 센서 노드로부터의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데이터 이동 프로세스를 위한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센서 노드로부터 센서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는 컨트롤 센터에서 먼 위치의 센서 노드로부터 컨트롤 센터로 데이터를 왕복시켜야 한다는 점이며, 이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러한 더 가까운 센서 노드들이 전력을 다 소모해 버리면, 전체 네트워크는 근본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설명된 한계와 복잡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컴퓨터를 읽을 수 있는 매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동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유니버셜 브라우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의해 서비스를 위한 리퀘스트를 서비스 포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포털에 의해 상기 리퀘스트를 충족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을 결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한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 단말에 존재하면, 상기 리퀘스트를 충족할 수 있는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포털에 의해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센서 간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유니버셜 브라우징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센서 네트워크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 네트워크와 관련된 프로토콜 스택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포트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프로토콜 스택과 상기 포트를 사용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토콜 스택 상의 임의의 프로토콜과 호환 가능한 패킷을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및 다양한 패킷을 이용하여 데이터 이동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의 기존의 프로토콜 스택(100)이 도시되어 있다. 프로토콜 스택(100)은 셀룰러(Cellular, 106), 위피(WIFI, 108)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110) 어플리케이션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104)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 드라이버(102)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은 리얼 타임 전송 프로토콜(Real Time Transfer Protocol : RTP, 112)/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 UDP, 112),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fer Text Transfer Protocol : HTTP, 114)/무선 전송 제어 프로토콜(Wireless Transfer Control Protocol : W-TIP, 114), 단일 객체 엑세스 프로토콜(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SOAP, 116), 객체 변환(Object Exchange : OBEX, 118) 그리고 Ipv6(Mobile IP, 120)이 있다. 상기 프로토콜 상의 스택은 인터페이스 모니터링(122)과 라우팅(124)을 위해 사용되어 지고, 세션 매니지먼트(126)와 통신한다. 세션 매니지먼트(126) 상위에, 핸드오프 컨트롤(128), 및 형식 컨트롤(Modality Control, 130) 기능이 위치될 수 있다. 제어 계층과 상호 작용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 프로필(134)과 인터페이스하는 소켓 라이브러리(132)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 USN, 200)로부터 이동단말(202)이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많은 블록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동단말(202)은 모바일 수집기가 전체 센서 네트워크에 걸친 데이터를 송신해야 하는 대신,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픽업(Pick-up) 또는 엑세스(Access)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과적인 에너지 데이터 수집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싱크와 함께 데이터 수집은 응급상황/보안 모니터링(204), 매체/도로 교통 모니터링 (206), 의학/건강 모니터링(208) 및 홈 전자 모니터링(210)과 같은 다양한 USN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더 실용적이다. USN들은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센서노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 노드의 전력 소모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로 충전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이다.
전송 데이터를 위한 더 효율적인 방법은 센서 노드를 통해 간간히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수집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모바일 수집기는 데이터 싱크로서 동작하는 컨트롤 센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수집기가 데이터 싱크로서 동작 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 센서노드가 모바일 수집기에게 간간히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센서 노드의 데이터 전송 전력비용은 감소된다. 이 서비스들은 인식에 따른 정보, 콘텍스트(Context) 추출, 개인적인 활동, 사용자 지원, 그리고 비슷한 것들을 사용자의 이동단말(202)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USN(200)은 분산된 바디 센서 네트워크(212), 공공 환경과 건강 모니터링 센서 네트워크(214), 홈 센서 네트워크(216), 생태 센서 네트워크(218) 그리고 오피스 센서 네트워크(220)와 같은 넓은 범위의 센서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동단말(202)과 USN(200)에 의해 인식되어 질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222)은 WiFi, Zigbee, Bluetooth, Embernet, UWB 그리고 USN 와 같은 것들이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과 상관없이 사용되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니버셜 브라우징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3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많은 블록 또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스택의 가장 아래에 있는 계층들은 운영 체제(304)를 통하여 물리적 계층의 셀룰러(306), WiFi (308), Bluetooth (310), Fieldnet (312) 그리고 Zigbee (314)와 통신하는 장치 드라이버(302)이다. 사용되어지는 프로토콜들은 Ipv6(324), RTP/UDP(316), TTP/W-TCP(318), SOAP(320), OBEX(322)이고, 그 레벨은 스택(300)과의 안전한 정보 전송을 보장하는 보안 계층(326)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스택(300)과 함께 사용되어 질 수 있고, 다이나믹하게 로드(Load)되고 실행(Run)된다
전송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계층(328)과 라우팅 계층(330)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계층(328)과 라우팅 계층(330)은 위치된 또는 선택된 인터페이스 기반이며 세션 매니지먼트 계층(332)과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334)과 통신하며 상기 세션 매니지먼트 계층(332)과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334)에 연속하여 모든 형태의 핸드-오프를 제공하는 핸드-오프 제어 계층(336) 및 도 2의 이동 단말(202)의 사용자가 USN(200)의 다른 구성요소, 예컨대 센서 또는 장치로부터 시각적 출력, 청각적 출력 또는 다른 형태의 출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거나 USN(200)의 구성요소가 사용자 및/또는 이동 단말(202)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제어 계층(338)이 위치된다.
제어 계층과 상호 작용하는 것은 응용/프로필 계층(342)과 인터페이스하는 소켓 라이브러리(340)이다. 소켓 라이브러리(340)는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객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그램은 소켓을 오프닝(Opening)하고, 소켓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소켓에 쓰는 것에 의해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응용/프로필 계층(342)은 다양한 다이나믹 링크 라이브러리(Dynamic Link Libraries : DLLs)로 연결하는 .NET 프레임워크(344)와 같은 프레임워크와 인터페이스하고, DLLs는 운영 체제 안의 공유된 라이브러리의 실행이다. 공유된 라이브러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어떠한 변화 없이 몇몇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공유된 단일 DLL 안에서 코드와 데이터에 위한 변화를 허락한다. DLLs은 USN안에 센서와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Zigbee DLL(346), Bluetooth DLL(348), WiFi DLL(350), RFID DLL(352) 그리고 Fieldnet DLL(354)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DLL이 스텍(300)에 의해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이러한 스택(300)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소프트웨어 안에 바람직하게 나타나지만, 펌웨어나 하드웨어에도 나타난다. 스택과 USN 사이의 정보의 전송은 유선 프로토콜, 무선 프로트콜 그리고 유무선 프로토콜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발생한다.
도 3의 프로토콜 스택(300) 또는 프레임워크는 쉽게 다운로드 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XML 웹 서비스 플랫폼(.NET) 기술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을 이용하여, 정보, 사람, 시스템, 그리고 장치들을 연결한다. 다른 플랫폼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과 상관없이 사용되어 진다. .NET는 빠르게 형성하고, 배치하고, 관리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제공하고, 웹 서비스의 보안강화 해결책을 연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보다 상에서 장치 간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보다 상의 인터넷에 액세스 될 수 있고, 요청된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이동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간단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해결책과 연결된 .NET은 더 민첩한 방법 안의 웹 서비스 사용자에게 익숙한 형태로 이동단말 구성들의 더 급격한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 워크(300)는 다른 것들에 의해 생성된 웹 서비스들의 활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부분의 생성과 사용을 허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 완벽한 해결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의 모든 부분을 지원하거나 생성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런타임(Run-time) 시 균일하게 통합되기 위한 기존의 모듈뿐만 아니라 새로운 모듈을 허용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획득 가능하고 USN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사용이 가능한 프레임워크(300)를 설명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사용자가 그들이 원하는 서비스(유비쿼터스 환경 내의 어디서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대한 서비스를 이용)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콘텍스트를 확인하는데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사용자의 콘텍스트는 센서 노드와 관련된 사용자의 상황적 상태이다. 정해진 다른 방안으로, 그 콘텍스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사용자에게 중요한 데이터) 수신 환경의 설정이다.
첫 번째 예로 콘텍스트는 화재가 난 건물 위치를 알기 위한 소방관을 위해 건물 온도와 관련된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일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콘텍스트는 환자가 그들의 식이요법을 잘 수행하는지 모니터하는 주치의를 위한 체내 혈당 센서일 수 있다. 세 번째 예로 콘텍스트는 교통 체증을 피하기 위한 교통 밀집과 관련되는 정보를 위한 운전자 집적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 일 수 있다. 콘텍스트는 서비스를 액세스하는 사용자(일 예로 센서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사용자)를 허용하고,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서비스를 허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3G 이동단말과 같은, 프로토콜 스택(300)을 사용하는 유니버셜 브라우징을 위한 다음 세대의 이동단말(4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많은 블록 또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이동단말(400)은 GSM, WCDMA, 3G 1 X, 1XEV-DO, HSDPA, WiMAx 등과 같은 셀룰러 서비스와 블루투스, 지그비, 위피와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 엑세스하여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 서(402) 안에 위치한 호스트 cpu를 포함한다.
호스트 cpu는 셀룰러 서비스와 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청자 ID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터리 관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한 프로토콜들의 상위 계층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이 수행하는 동안 무선 하드웨어를 관리한다.
상기 설명된 .net와 .dll 프레임워크는 호스트 cpu에 존재한다. 추가적인 프로세싱 리소스는 셀룰러 베이스밴드 ASIC와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지원하는 DSP에 추가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는 램과 플래쉬와 같은 그들 자신의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블루투스나 WLAN 연결과 같은 추가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지원은 추가적인 기능(무선 송수신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램, 플래쉬 메모리)을 제공함으로 이뤄질 수 있다.
RAM 이나 ROM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는 블루투스(404), WLAN(406)과 지그비(408)와 같은 많은 수의 프로토콜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램과 롬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게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IEEE802.15에 의해 수행된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할 수도 있다. 무선랜(WLAN) 프로토콜은 램과 롬 메모리를 포함하는 WLAN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게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WLAN에 의해 수행된다. WLAN 프로토콜은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할 수도 있다. 지그비 프로토콜은 램과 롬 메모리를 포함하는 잘되는 IEEE802베 이스밴드 프로세서에게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IEEE802.14에 의해 수행된다. 지그비 프로토콜은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할 수도 있다.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10)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하는 셀룰러 모듈(412)을 이용한다.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10)는 다양한 메모리들로 결합된 DSP와 ASIC 를 포함한다. 셀룰러 모듈(412)은 듀플렉서(Duplexe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필터들(Filters), 그리고 멀티밴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10)는 연장된 메모리들로 결합된 램(428)과 플래쉬(430)메모리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심(sim)카드(432)로 결합되어 있다. 심카드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를 위해 발신자를 확인하는 회로 보드에 출력되어진다. 심카드는 가입자의 상세 보안 정보와, 데이터 합계와 저장 데이터의 개인적인 디렉터리를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는 부가적인 메모리(414)에 엑세스하고,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10)와 함께 전원 관리 기능(416)을 공유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418), 스피커(420), 마이크(422), 카메라(424), 그리고 센서(426)와 같은 것들과 연결된다. 이동단말(400)의 수많은 모듈 사이의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의 전송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그리고 우뮤선 프로토콜의 조합을 통하여 발생한다. 이 상황 안에 형성된 스텝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또는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된다.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10)는 셀룰러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셀룰러 송수신기의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조정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는 셀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410)에게 전달되어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카메라, 센서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지그비와 같은 통신 장치들과 연결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장치 또는 셀룰러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이어서 저장되고 다운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USN과 함께 통신이 가능하다.
다음 세대 이동단말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GSM),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3세대 무선 포맷(3rd Generation Wireless Format : 3G), 1X Evolution-Data Only(1XEV-DO),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그리고 블루투스, 지그비, 위피와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글로벌 시스템과 같은 셀룰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안에 위치한 호스트 CPU를 포함한다.
호스트 cpu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들을 수행하는 동안, 셀룰서 서비스와 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입자 ID 관리, 배터리 관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하여 무선 하드웨어를 관리한다.
상기에 설명된 .NET 과 .DLL프레임워크는 이러한 호스트 CPU를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인 프로세싱 리소스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제공하기 위하여 셀 룰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 더해질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는 램 또는 플래쉬와 같은 그들 자체의 메모리 시스템 구성을 포함한다. 블루투스와 WLAN 연결 접속성과 같은 부가적인 무선 네트워킹의 제공은 무선 송수신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램과 플래쉬 구성요소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에 의해서 완성되어 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방법(500)을 도시하고 있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502단계에서 서비스 포탈로 이동단말에 의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504단계에서 서비스 포탈에 의한 요청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만약 필요한 프로토콜이 이동단말에 포함되면, 506단계에서 요청을 실행 할 수 있는 센서를 결정하고, 508단계에서 센서에게 서비스 포탈에 의한 요청을 전송하고, 510단계에서 이동단말과 센서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고, 512단계에서 연결을 통하여 이동단말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도 5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선 프로토콜의 조합 그리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의 조합을 통해 일어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방법(600)을 도시하고 있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602단계에서 서비스 포탈로 이동단말에 의한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604단계에서 서비스 포탈에 의해 요청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만약 그 필요한 프로토콜이 이동단말에 포함되면, 606단계에서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센서를 결정하고, 608단계에서 센서로 그 서비스 포탈에 의한 요청을 전송하고, 610단계에서 이동단말과 센서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고, 612단계 에서 연결을 통한 이동 통신에게 응답을 전송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필요한 프로토콜이 이동단말에 내제하지 않는다면, 614단계에서 서비스 포탈로부터 이동단말로 새로운 프로토콜의 다운로딩을 수행하고, 616단계에서 다운로딩된 이동단말의 새로운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618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과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스택의 새로운 프로토콜를 저장한다. 요청의 실행을 위한 프로토콜의 결정은 요청의 실행을 할 수 있는 센서의 프로토콜에 기초한다. 센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일부이고 그 요청을 실행 할 수 있는 센서의 결정은 적어도 센서와 이동단말 중 하나의 거리, 센서와 이동단말의 신호 강도, 센서에 의한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정보는 그 응답에 연관되어 있다. 만약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이 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면, 그 요청을 실행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프로토콜 서비스 포탈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가장 효과적인 프로토콜의 결정은 그 요청을 실행 하는 필요한 에너지 이용에 기초하며, 그 요청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의 결정은 그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센서의 프로토콜에 기초한다. 에너지 이용의 결정은 센서와 이동단말 사이 홉(Hop)의 수와, 홉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한다. 가장 효과적인 프로토콜 결정은 그 요청을 실행하는 시간 지연에 기초 한다. 도 6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 선 프로토콜의 조합 그리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서 발생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방법(700)을 도시하고 있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702단계에서 이동단말에 의한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704단계에서 요청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706단계에서 실행 가능한 센서에게 요청을 송신하고, 708단계에서 이동 단말에 의한 요청에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도 7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선 프로토콜의 조합, 그리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방법(800)을 도시하고 있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802단계에서 이동단말에 의한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송신하고, 804단계에서 요청의 실행이 필요한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806단계에서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센서에게 요청을 송신하고, 808단계에서 이동단말에 의한 요청을 위한 응답을 수신한다. 프로토콜의 수신은 이동단말에 내제된 프로토콜을 위한 폴링(Polling)에 의해 형성되고, 응답의 수신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콘텍스트에 선택적으로 기초하고, 사용자는 이동단말을 이용한다. 상기 방법은 이동단말 안에 응답을 저장하는 810단계와 센서 안에 응답을 저장하는 812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일부이고, 센서 네트워크는 최소한 고정된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 그리고 고정된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 중에 하나이다. 도 8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선 프로토콜의 조합, 그리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제1 소프트웨어 흐름도(900)를 도시하고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기의 각 단계를 포함한 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902단계에서 프로토콜 스택에 의한 센서로부터의 패킷을 요청하고, 만약 패킷이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다면, 904단계에서 프로토콜 스택으로 프로토콜을 다운로딩하고, 906단계에서 프로토콜 스택과 센서를 연결하고, 908단계에서 연결을 통하여 패킷을 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패킷의 요청은 모듈에 의하여 수신된다. 모듈은 최소한, 서비스 포탈, 센서, 그리고 다른 이동단말 중 하나가 된다. 프로토콜은 적어도 WiFi, WiMax, Zigbee, Bluetooth, Fieldnet, RFID중 하나일 수 있다. 패킷의 수신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콘텍스트에 선택적으로 기초한다. 상기 연결은 실시간이나 실시간에 근접하여 발생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단말 간 패킷의 전송을 허용한다. 패킷은 적어도 고정 데이터, 다이나믹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이미지, 보이스 데이터, 비디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도 9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유선 프로토콜, 무선 프로토콜 그리고 유무선 프로토콜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발생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제2 소프트웨어 흐름도(1000)를 도시하고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기의 각 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1002단계에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스택에 의한 센서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1004단계에서 센서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포트를 결정하여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단말 사이에서 가상 데이터 연결을 정의하고, 1006단계에서 포트를 통하여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단말을 연결하고, 1008단계에서 패킷의 전송 비율을 활용하여 연결된 포트를 수정하고, 1010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콘텍스트에 기초한 변경된 포트를 통한 프로토콜 스택을 통하여 패킷을 수신한다. USN연결을 위한 이동단말은 하나의 포트로 간주된다. 상기 포트는 아마도 가상 주소, 또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단말 사이에 데이터의 특정 위치를 전송하는 물리적 주소가 될 수 도 있다. 링크된 포트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객체 변경은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강도를 최대로 하여 수행된다. 도 10안에 형성된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프로토콜, 그리고 조합된 유`무선 프로토콜 중 하나를 통하여 발생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시스템(1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성도를 살펴보면, 메모리(1102)와,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1106)되는 프로세서(1104)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단말에 의해 센서 네트워크를 검출(1108)하고, 센서 네트워크와 연관된 프로토콜 스택을 다운로드(1110)하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포트를 다운로드(1112)하고, 프로토콜 스택과 포트를 사용하는 센서 네트워크로 접속(1114)하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토콜 스택 상의 임의의 프로토콜과 호환 가능한 패킷을 수신(1116)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에 정보의 전달은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프로토콜 그리고 조합된 유`무선 프로토콜을 통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특징 안에 형성된 단계는 소트프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트프웨어의 조합, 하드웨어의 조합,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시스템(12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성도를 살펴보면, 메모리(1202)와, 메모리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 되는 프로세서(1204)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단말에 의해 센서 네트워크를 검출(1208)하고, 센서 네트워크와 연관된 프로토콜 스택을 다운로드(1210)하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포트를 다운로드(1212)하고, 프로토콜 스택과 포트를 사용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1214)하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토콜 스택 상의 임의의 프로토콜과 호환 가능한 패킷을 수신(1216)한다. 상기 시스템은 송수신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1224) 모바일 수집기(1222)와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1220) 송수신기(1218)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은 모바일 수집기로부터의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기반한 모바일 수집기에게 패킷을 전송하고, 모바일 수집기는 패킷을 저장한다. 시스템은 모바일 수집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모바일 수집기로부터 패킷을 업로드(1228)하는 이동 싱크(Mobile Sink, 1226)를 포함한다. 모바일 수집기는 이동 싱크에게 패킷을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의 정보의 전송은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선 프로토콜의 조합 중 하나를 통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특징 안에서 형성 된 단계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혹은 조합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에 의해 형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유니버셜 브라우징(1300)을 위한 이벤트와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많은 블록 또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지점의 교통 상황을 액세스하기를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는 교통 정체 보고서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로 액세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포털을 이용한다. 도 13에서 사용자(1302)는 센서 네트워크(1306)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서 비스 포털(1304)과 상호작용 한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1308 단계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의 상황에 대한 요청이 전송되고, 1310 단계에서 서비스 포털(1304)은 요청의 콘텍스트를 작동시키고, 1312 단계에서 그 지점의 센서 네트워크(1306)로 연결되기 위한 DLL을 다운로드한다. 1314 단계에서 DLL은 무선 로직(Logic)을 활성화하고, 1316 단계에서 센서 네트워크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초기화한다. 1318 단계에서 서비스를 위한 요청은 가장 가까운 센서로 전송되고, 1320 단계에서 가장 가까운 센서와 연결을 확립한다. 이에 따른 교통 혼잡 보고서가 추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5 유니버셜 브라우징(1400)의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1402단계에서 서비스를 요청하고, 1404단계에서 요청에 응답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서비스 개시를 초기화하고, 1406 단계에서 요청의 사용자에 의해 규정된 콘텍스트를 결정하고, 1408 단계에서 요청 및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포트를 다운로드하고, 1410 단계에서 포트를 통하여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4 안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적어도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선 프로토콜의 결합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 하드웨어의 결합, 펌웨어의 결합 중 하나로 발생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6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각 단계를 살펴보면, 1502 단계에서 서비스를 요청하고, 1504 단계에서 요청에 응답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서비스 개시를 초기화하고, 1506 단계에서 요청의 사용자에 의해 규정된 콘텍스트를 결정하고, 1508 단계에서 요청 및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포트를 다운로드하고, 1510 단계에서 포트를 통하여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텍스트는 사용자 선택의 셋(Set)을 포함한다. 상기 제6 실시 예는 요청을 이행하는 가장 가까운 센서를 결정하는 1512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포트는 센서 네트워크로 가상 데이터 연결을 지정한다. 도 15안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적어도 무선 프로토콜, 유선 프로토콜, 유,무선 프로토콜의 결합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 하드웨어의 결합, 펌웨어의 결합 중 하나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의 기존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부터 취득한 이동단말 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버셜 브라우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니버셜 브라우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유니버셜 브라우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4 유니버셜 브라우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제1 판독 가능한 컴퓨터 미디어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제2 판독 가능한 컴퓨터 미디어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을 나타 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셜 브라우징의 이벤트와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5 유니버셜 브라우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6 유니버셜 브라우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6)

  1. 이동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포털의 데이터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특정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하여 지원되는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하여 지원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결정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특정 서비스 요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하여 지원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과 상기 이동 단말 간의 거리,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과 상기 이동 단말 간의 신호 세기,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저장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저장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정보 각각은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하여 지원되는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사용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데 필요한 상기 에너지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홉의 개수 및 상기 홉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게 상기 특정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되고,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고정 센서 네트워크, 이동 센서 네트워크, 그리고 고정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 센서 네트워크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WiFi, WiMax, 지그비, 블루투스, Fieldnet 및 RFID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40844A 2007-04-30 2008-04-30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 KR101452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96,914 US8761747B2 (en) 2007-04-30 2007-04-30 Universal browser
US11/796,914 200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154A KR20080097154A (ko) 2008-11-04
KR101452494B1 true KR101452494B1 (ko) 2014-10-21

Family

ID=3976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844A KR101452494B1 (ko) 2007-04-30 2008-04-30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61747B2 (ko)
EP (1) EP1988688A3 (ko)
KR (1) KR101452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57B1 (ko) * 2006-09-01 2008-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 서비스 생성을 위한usn 미들웨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
US7849224B2 (en) * 2007-09-17 2010-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obile server
US7822828B2 (en) * 2007-09-17 2010-10-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ystem for using non-standard transfer protocol from software received at in-vehicle communications gateway for exchanging data with client device
US7818403B2 (en) * 2007-09-17 2010-10-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ystem for using non-standard transfer protocol from software received at client device for exchanging data with in-vehicle communications gateway
KR100975884B1 (ko) * 2007-12-18 2010-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n 프로토콜 분석 장치
US8335853B2 (en) * 2009-12-17 2012-12-18 Sonus Networks, Inc. Transparent recovery of transport connections using packet translation techniques
US8565109B1 (en) 2010-01-29 2013-10-22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Of Commercialization Optimization of polling protocols in sensor networks
US8769072B2 (en) 2011-05-31 2014-07-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oundation fieldbus linking devices
US8762528B2 (en) 2011-05-31 2014-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write protecting foundation fieldbus linking devices
US9130853B2 (en) 2011-05-31 2015-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oundation fieldbus linking devices
US8868732B2 (en) * 2011-05-31 2014-10-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foundation fieldbus linking devices
US8713166B2 (en) 2011-05-31 2014-04-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foundation fieldbus linking devices
FI20116301A (fi) 2011-12-21 2013-06-22 Sensinode Oy Menetelmä, laite ja järjestelmä resurssien osoittamiseksi
US11869022B2 (en) 2012-11-09 2024-01-09 Whitewater West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guests or collecting feedback for an entertainment attraction
CA2902474A1 (en) * 2013-03-15 2014-09-18 Vivint, Inc. Using a control panel as a wireless access point
CN103944982A (zh) * 2014-04-15 2014-07-23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异构传感网络的数据采集控制装置及方法
US10425414B1 (en) * 2015-08-31 2019-09-2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ecurity platform
US11481509B1 (en) 2018-07-10 2022-10-2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Device management and security through a distributed ledge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9860A1 (en) 2000-10-16 2002-04-24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User context information database for plurality of network services
US20060181414A1 (en) * 2003-10-24 2006-08-17 Symbol Technologies,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sensor networks
US20060186973A1 (en) * 2005-01-05 2006-08-2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having a physical layer portion integrated therein
KR20070016507A (ko) * 2005-08-04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사용하는 센서네트워크 장치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9288B2 (ja) * 1997-09-22 2007-07-25 株式会社東芝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US6996630B1 (en) * 1999-06-18 2006-0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ntegrated network system
US6690292B1 (en) * 2000-06-06 2004-02-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vehicular traffic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DE10255474A1 (de) * 2002-11-28 2004-06-0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ufbau eines mobilen Endgeräts für unterschiedliche Kommunikationssysteme
KR100594993B1 (ko) * 2004-11-17 2006-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에서 탐색 응답 패킷 전송 방법
KR100682995B1 (ko) * 2004-12-16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기반의 상황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US7599324B2 (en) * 2005-03-02 2009-10-06 Eaton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wireless node determining if in range or out of rang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EP1869924B3 (en) * 2005-04-15 2019-02-27 STD IP Holdings, Inc.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83679B1 (ko) * 2006-05-11 2007-12-07 한국과학기술원 데이터 스트림에 기반하는 서비스의 개발, 배치, 제공을용이하게 하는 미들웨어 시스템
US8180856B2 (en) * 2006-09-14 2012-05-15 Ixia Testing a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9860A1 (en) 2000-10-16 2002-04-24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User context information database for plurality of network services
US20060181414A1 (en) * 2003-10-24 2006-08-17 Symbol Technologies,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sensor networks
US20060186973A1 (en) * 2005-01-05 2006-08-2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having a physical layer portion integrated therein
KR20070016507A (ko) * 2005-08-04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사용하는 센서네트워크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8688A2 (en) 2008-11-05
KR20080097154A (ko) 2008-11-04
EP1988688A3 (en) 2012-08-08
US8761747B2 (en) 2014-06-24
US20080267101A1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494B1 (ko) 유니버셜 브라우징 시스템
US10637747B2 (en) Network node availability prediction based on past history data
EP3117586B1 (en) Cross-layer context management
CN110121902B (zh) 一种通信建立的方法及终端
Negash et al. LISA: Lightweight internet of things service bus architecture
RU2751076C1 (ru) Способ диспетчеризации данных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05814915B (zh) 在连接建立之后切换至通告定位符
US11277486B2 (en) Access to data source via proxy
CN104737592A (zh) 用于设备对设备发现的系统信息
US20180310241A1 (en) Providing service
Alam Middleware implementation in MANET of Android Devices
KR102025631B1 (ko) Non-TCP/IP 기반의 네트워크상의 IoT 기기와 oneM2M 표준 기반의 IoT 서버 상호간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Moons et al. Efficient vertical handover in heterogeneous low-power wide-area networks
US202204177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sor data type identification in a nb-iot network
Bellavista et al. Integrated support for handoff management and context awareness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Vahidnia et al. Cellular Internet of Things for practitioners
KR20140110172A (ko) M2m 비표준 디바이스와의 연동 방법 및 장치
WO2023116560A1 (zh) 通信的方法与装置
WO2024000166A1 (zh) 感知数据提供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Elias et al. IPv4/IPv6 transition mechanisms for ubiquitous wireless sensor networks monitoring
Chen et al. Over-the-Air Provisioning for IoT Wearable Devices via BLE and oneM2M
Pawar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nomadic mobile services on multi-homed handheld devices
Umamaheswari Communication Protocols for the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