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48B1 -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 Google Patents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348B1
KR101452348B1 KR1020120056468A KR20120056468A KR101452348B1 KR 101452348 B1 KR101452348 B1 KR 101452348B1 KR 1020120056468 A KR1020120056468 A KR 1020120056468A KR 20120056468 A KR20120056468 A KR 20120056468A KR 101452348 B1 KR101452348 B1 KR 10145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od member
scale
cam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3331A (en
Inventor
이후근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후산 filed Critical (주)후산
Priority to KR102012005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348B1/en
Publication of KR2013013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챙(111)을 구비하는 모자(110)와, 상기 챙(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늠수단(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늠수단(12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일측은 모자(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으로 가늠자(127)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수단(121)과, 상기 연결수단(127)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가늠자(127)로 이루어지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는 가늠자(127)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모자(110)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가늠수단(120)을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늠자(127)의 착탈이 가능하여 가늠자(127)만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가늠자(127)를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p 110 having a tongue 111 and a tongue 120 detachably mounted on the tongue 111; A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12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110 and to which the scale 12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The golf ca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the scale 127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cap 127 can be move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scale unit 127 firmly and easily to attach and detach the scale unit 127 so that only the scale unit 127 can be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moved.

Description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ap having a golf club,

본 발명은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선 혼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자에 견고하게 착탈이 가능하며, 분리 보관이 용이한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ap having a golf club head, .

골프는 사업상, 취미 생활 또는 운동 목적으로 각 분야, 각 계층의 사람들이 널리 애용할 정도로 발전하여 왔으며, 일반인의 골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골프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관심도가 증대되면서 최근에는 야외 골프 연습장, 스윙 연습장 및 실내 퍼팅 연습장 등 다양한 연습장들이 개장되고 있는 동시에 골프 연습 장치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Golf has been developed so that people in each level and people in the world are widely used for business, hobby or exercise, and the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is increasing. As a result, various practice fields such as an outdoor golf driving range, a swing driving range and an indoor putting practice range are being opened and a golf practice device is being developed variously.

골프의 경우에는 스윙 및 퍼팅의 자세가 중요하며, 바르지 못한 자세나 버릇을 가지게 되는 경우 그 잘못된 자세나 버릇을 교정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올바른 기본 자세가 확립되어야만 실전에서 좋은 성적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골프를 처음 배울 때, 올바른 스윙 및 퍼팅 자세를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In the case of golf, the swing and putting posture is important, and it is very difficult to correct the erroneous posture or habit when it has a wrong posture or habit. And, when you first learn golf, you have to have the correct swing and putting posture because you can get good grades in practice if the correct basic posture is established.

예를 들면, 스윙 및 퍼팅 시 드라이버, 아이언 또는 퍼터 등으로 볼을 타격하는 순간까지 볼에 시선을 고정하며, 볼을 타격하기 전에 볼의 운동 방향으로 시선을 옮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퍼팅 시 미리 볼에 표시된 마크를 볼의 이동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퍼팅을 하는데 있어서 퍼터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을 기준으로 퍼터의 스윙 궤적이 볼에 표시된 마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드라이버나 우드 또는 아이언 스윙 시에 셋업 자세에서 볼의 위치, 백 스윙시에서의 볼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For example, when swinging and putting, it is important to fix the line of sight to the ball until the ball hits the ball with a driver, an iron, or a putter, and do not move the line of sight toward the ball before hitting the ball.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mark on the ball is direct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ll when putting, and that the swing trajectory of the putter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mark on the ball with respect to the guide line indicated in the putter in putting. It is important to keep the position of the ball in the set-up posture and the position of the ball in the back swing constant in a woody or iron sw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세를 몸에 익숙하게 하여 올바른 골프 자세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실제로 자세가 잘못되었는지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잘못된 경우 숙련된 자의 지도를 받아야 하나 매번 연습 때마다 지도받는 것이 불가능하며, 퍼팅에서 퍼터의 스윙 방향이 볼에 표시된 마크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드라이버나 아이언 샷 때 볼의 타격 방향이 홀 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각도를 가지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acquire the correct golf posture by getting familiar with the above-mentioned posture, and it is not easy to judge whether the posture is wrong. If it is wrong, it should be instructed by a skilled person, It can not be confirmed whether the swing direction of the putter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mark displayed on the ball in the putting and it can not be confirmed whether the ball striking direction has a certain angle from the hole direction in the driver or the iron sho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such problem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의 차양(2)에 가늠자(10)가 구비된 모자(1)가 개발되었다. 상기 가늠자(10)는 모자(1)의 차양(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클립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클립부(11)의 하부에 가늠자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늠자 고정부(12)에 텔레스코픽 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진 가늠자 로드(1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있고, 이 가늠자 로드(13)의 타단에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가늠자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a hat 1 having a scale 10 on an awning 2 of a cap 1 has been developed. The scale 10 is formed with a clip portion 11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oulder 2 of the cap 1. A scale fixing portion 12 is formed below the clip portion 11, One end of a scale rod 13 made of a telescopic antenna type is rotatably inserted and fixed to the scale fixing portion 12 and a scale hole 14 formed in a ring shap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cale rod 13 .

상기 가늠자 로드(13)는 평상시에는 짧게 접어 차양(2)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퍼팅라인을 가늠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늠자 로드(13)를 손으로 잡아 차양(2)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 눈의 위치에 맞는 길이로 인출하여 가늠자 로드(13) 하단의 가늠자 구멍(14)을 눈높이에 맞도록 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볼(b)의 후방에 낮은 자세로 앉아 좌우로 이동하면서 홀컵(c)에 대하여 골프볼(b)과 자신이 눈(e)과 가늠자 구멍(14)이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위치를 이동하여 퍼팅라인을 예상하여 골프볼(b)의 후방에 표시를 한 후 정확한 퍼팅자세를 취하여 퍼팅을 하면 된다.The scale rod 13 can be stored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print 2 in the normal state. When the scale rod 13 is to be measured, the scale rod 13 is held by hand, The golf ball b is pulled down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ye so that the scale hole 14 at the lower end of the scale rod 13 is aligned with the eye level. The golf ball b and the golfer b ar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eye e and the scale hole 14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hole c so that the putting line is predicted and displayed on the rear side of the golf ball b And putting it in the correct putting pos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가늠자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지 않아 가늠자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자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며, 클립부(11)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클립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 견고하게 모자에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가늠자가 별도로 분리되지 않아 별도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the scale can not be moved left and right. In or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scale, the cap must be separated from the cap. If the size of the clip portion 11 is increased or the clip force is not increased, And the scales are not separately separ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them separately.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5663호 등록실용신안공보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5663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늠자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모자에 견고하고 고정되는 반면 분리가 용이하며, 가늠자만을 분리할 수 있는 가늠수단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cap having a scale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on a scale, being firmly fixed to a cap while being easy to separat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챙을 구비하는 모자와, 상기 챙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늠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늠수단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일측은 모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으로 가늠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가늠자로 이루어지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 comprising: a cap having a cowl; and a cutter detachably mounted on the cowl; A golf cap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which are spaced from each other, one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and whose scal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a measuring means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ans, to provide.

상기에서, 연결수단은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와, 상기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first rod member, a second rod member, and a rotation connecting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rod member and the second rod member.

상기에서, 모자의 챙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삽입부가 구비되며; 제1 봉부재는 삽입부에 삽입되어 모자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봉부재의 단부에는 가늠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ap has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The first ba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cap, and a scal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bar member.

상기에서, 회전연결수단은 제1 봉부재나 제2 봉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며 오목홈이 형성된 돌기부와, 다른 단부에 구비되어 돌기부와 접촉하는 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는 캠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projection provided on one end of the first rod member or the second rod member and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therein, and a cam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and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The first rod member and the second rod member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m portion.

상기에서, 회전연결수단은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며 오목홈이 형성된 돌기부와, 양측으로 돌기부와 접촉하는 캠부를 가지는 캠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부재는 양측 캠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양측으로 제1 봉부재와 제2 봉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is composed of a cam member provided on the end of the first rod member and the second rod member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and a cam portion contacting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n both sides; The cam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d member and the second rod member on both sides by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h side cam portions.

상기에서, 가늠자는 판상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scale is formed of a plate-shaped transparent body.

상기에서, 가늠자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2 봉부재의 단부에 결합나사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cale is formed with a slo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screw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bar member through a slot by a coupling screw.

상기에서, 제2 봉부재의 단부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늠자는 양측에서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end of the second bar member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and the scale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groove at both sides.

본 발명에 따르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는 가늠자(127)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모자(110)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가늠수단(120)을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늠자(127)의 착탈이 가능하여 가늠자(127)만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가늠자(127)를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golf hats 100 provided with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moving the scale 127 to the left and right and ar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utting means 120 firmly and easily to the cap 110, 127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only the scale 127 can be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and the scale 127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자의 저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늠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모자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늠수단을 구비한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가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9와도 10은 도 8의 변형 예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다른 착탈 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9 및 도 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hat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4 is a state of use of the c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 with a weigh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t shown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ting means shown in Fig. 5,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7,
FIGS. 9 and 10 are shown to explain the modification and operation of FIG. 8,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5,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etaching means.
Figs. 13 and 1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s. 9 and 10. Fi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자의 저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늠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모자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늠수단을 구비한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가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9와도 10은 도 8의 변형 예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다른 착탈 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9 및 도 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hat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 with a weigh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t shown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ting means shown i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7, Figs. 9 and 10 are shown for explaining the modification and operation of Fig. 8,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Figs. 13 and 1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s. 9 and 10. Fig.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가늠수단을 구비한 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ap having a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는 챙(111)을 구비하는 모자(110)와, 상기 챙(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늠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5 to 11, the golf hats 100 provided with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ap 110 having a tongue 111, (120).

상기 가늠수단(12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가늠자(127)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수단(121)과, 상기 연결수단(127)에 결합 구비되는 가늠자(127)로 이루어진다. The weighing mea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121 to which the scale 127 is coupled and a scale 127 coupled to the connecting means 127.

상기 가늠자(127)는 투명 아크릴과 같은 판상 투명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늠자(127)가 판상 투명체로 이루어지므로, 가늠자를 통하여 골프공에 표시된 선, 퍼트에 표시된 선의 정렬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나 아이언 타격시에도 가늠자를 통하여 골프공을 확인하고 방향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cale 127 is made of a plate-like transparent body such as transparent acrylic. Since the scale 127 is made of a plate-shaped transparent body, the alignment of the lines displayed on the golf ball and the put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scale. Also, when the driver or the iron is hit, the golfer can check the golf ball through the scale, It is possible to do.

상기 연결수단(121)은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와,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수단(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중공의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며,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121 includes a first rod member 122, a second rod member 125 and a second rod member 125 provided between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a rotation connecting means 123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to each other.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re made of a hollow pipe material and can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수단(123)은 제1 봉부재(122)나 제2 봉부재(12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며 오목홈(1231a)이 형성된 돌기부(1231)와, 다른 단부에 구비되어 돌기부(1231)와 접촉하는 캠부(12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캠부(12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233)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7 and 8,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2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rod member 122 or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1231a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1231a, And a cam portion 1235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contacts the protruding portion 1231.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axis 1233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m portion 1235.

상기 캠부(1235)는 제1 봉부재(122)나 제2 봉부재(12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구비되며, 3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3방향은 돌출된 방향 및 돌출된 방향에서 좌우로 90°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캠부(1235)의 돌출된 부분이 돌기부(1231)의 오목홈(1231a)에 위치하면서 지지되어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서로에 대하여 90°씩 회전시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cam portion 1235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rod member 122 or the second rod member 125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in three directions. The three directions may be 90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cam portion 1235 is supported by the concave groove 1231a of the protrusion 1231 so that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rotate by 90 degrees relative to each other, .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수단(123)은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구비되며 오목홈(1231a)이 형성된 돌기부(1231)와, 양측으로 돌기부(1231)와 접촉하는 캠부(1235)를 가지는 캠부재(12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캠부재(1236)는 양측 캠부(12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233)에 의하여 양측으로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7 and 9,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23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1231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having a concave groove 1231a, And a cam member 1236 having cam portions 1235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s 1231 on both sides. The cam member 123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on both sides by a rotation shaft 1233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h side cam portions 1235.

상기 캠부재(1236)의 캠부(1235)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구비되며, 3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3방향은 돌출된 방향 및 돌출된 방향에서 좌우로 90°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캠부(1235)의 돌출된 부분이 돌기부(1231)의 오목홈(1231a)에 위치하면서 지지되어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캠부재(1236)에 대하여 90° 간격으로 회전시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캠부재(1236)에 대하여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캠부재(12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233)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서로 접촉하면서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The cam portion 1235 of the cam member 1236 is provided to extend in both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in three directions. The three directions may be 90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am portion 1235 is supported and held in the concave groove 1231a of the protrusion 1231 so that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re rotated 90 ° with respect to the cam member 1236 It is possible to rotate and stop at intervals. Accordingly,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cam member 1236 and aligned in parallel as shown in Fig.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can be alig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shafts 1233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m member 1236. [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재(1236)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캠부재(1236)가 또 하나의 봉부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모자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서 모자의 챙(111)은 제2 봉부재(125)의 하부로 위치한다. 그리고 도 13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캠부재(1236)에 대하여 제2 봉부재(125)를 90°회전시키고, 화살표 B 방향으로 제1 봉부재(122)에 대하여 캠부재(1236)를 180°회전시킴으로써, 제1 봉부재(122)와 캠부재(1236)의 사이각이 90°가 되고, 캠부재(1236)와 제2 봉부재(125)를 일자가 되도록 펼쳤을 때, 길이를 가지는 캠부재(1236)에 의하여 사용자 눈으로부터 가늠자(127)가 멀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므로, 한쪽 눈을 감지 않고도 가늠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 봉부재(122)와 캠부재(1236)의 사이각은 9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s. 13 and 14, by forming the cam member 1236 to have a long length, the cam member 1236 may act as another rod member. 13 and 14, the cap is omitted, and in the state shown in FIG. 13, the cap 111 is located below the second rod member 125. The second rod member 125 is rotat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am member 1236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3 and the cam member 1236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rod member 122 in the direction of arrow B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cam member 1236 is 90 degrees and the cam member 1236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re spread out in a straight line, 1236, the scale 127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user's eyes,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djustment without detecting one ey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cam member 1236 is not limited to 90 degrees.

상기 회전연결수단(123)이 제2 봉부재(125)의 양측으로 구비되고, 제2 봉부재(125)의 양측으로 제1 봉부재(122)와 제3 봉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제2 봉부재(12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2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third rod member (not show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wo rod members (125).

상기 제1 봉부재(122)는 모자(110)의 챙(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봉부재(122)의 단부에 탄성부재(1261)를 구비한 클립부재(126)가 결합되어, 클립부재(126)의 탄성부재(1261)로 챙(111)이 삽입되면서 모자(1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ar member 12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ulder 111 of the cap 110. A clip member 126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261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first rod member 122 so that the elastic member 1261 of the clip member 126 is engaged with the shoulder 111, Can be inserted into the cap 110 while being inserted.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자(110)의 챙(111)에는 양측에 전후 방으로 연장된 삽입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113)는 제1 봉부재(122)가 미끄럼 삽입되는 통공으로써, 후방 단부가 막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3)는 챙(111)의 저면에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면에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양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113)는 섬유를 챙(111)에 부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파이프부재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삽입부(113)를 이루는 탄력이 있는 섬유를 선택하고, 삽입부(113)로 제1 봉부재(122)가 삽입될 때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삽입부(113)로 삽입된 제1 봉부재(122)가 탄력 지지되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3)로 제1 봉부재(122)를 삽입시켜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한 한편, 견고하게 가늠수단(120)을 모자(11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houlder 111 of the cap 110 is provided with insertion portions 113 extending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n both sides thereof. The insertion portion 113 may be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od member 122 slides, and the rear end may be clogged. The inserting portions 113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ngue 1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insertion portion 113 may be formed by attaching fibers to the visor 111, or by attaching a pipe member. The first rod member 12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caused to be inflated when the first rod member 1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3 by selecting the elastic fiber constituting the insertion portion 113, So that it can be firmly held. The first rod member 122 can b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3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it is possible to firmly connect the knife 120 to the cap 110. [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의 가늠자(127)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7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수나사를 구비한 결합나사(129)를 장공(1271)을 관통시켜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나사 체결하여 가늠자(127)를 제2 봉부재(125)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5 and 7, the plate-like scale 127 is formed with a long hole 127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crew thread 129 having a male screw is screwed into the end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through the long hole 1271 and the scale 127 is screwed into the end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first rod member 125 to the second rod member 125.

한편,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를 장공(1271)에 관통시킨 후 노출된 수나사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나사(129)를 체결하여 가늠자(127)를 제2 봉부재(125)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 male thread is formed on an end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an end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is passed through a long hole 1271. A coupling screw 129 having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exposed male screw.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scale 127 to the second rod member 125. As shown in Fig.

도 7에서 도면부호 1237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눈금을 도시한 것이다.
In FIG. 7, reference numeral 1237 denotes a scal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결합부(128)를 구비하여 가늠자(127)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128)에는 오목하게 결합홈(128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81)의 형성 방향은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가 일자로 펼쳐 졌을 때 상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1,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ngaging portion 128 at the end of the second bar member 125 to engage the scale 127. The engaging portion 128 is formed with a concave engaging groove 1281.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groove 1281 is formed to face upward when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re unfolded in a straight line.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늠자(127)에도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복수의 결합요홈(12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요홈(1275)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제2 봉부재(125) 사이의 간격으로 한다.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1275 may be formed on the scale 127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sp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ing grooves 1275 is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d members 125.

상기 가늠자(127)를 결합홈(1281)에 삽입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늠자(127)에 결합요홈(1275)이 형성된 경우, 결합부(128)도 결합요홈(1275)에 삽입되면서, 가늠자(127)가 결합부에 결합되어 더욱더 안정되게 결합된다.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cale 127 into the engaging groove 1281 and engage it. When the engaging groove 1275 is formed on the scale 127, the engaging portion 128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275, so that the scale 127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is more stably engaged.

상기 결합홈(1281)이나 결합요홈(1275)은 '∪'자형 또는 바닥면이 수평인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groove 1281 and the engaging groove 1275 may be formed in a U-shape or a U-shap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horizontal.

상기 제2 봉부재(125)에는 제2 봉부재(125)에 삽입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되는 텔리스코픽부재(125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시 텔리스코픽부재(1251)를 제2 봉부재(125)로부터 인출하여 가늠자(127)와 눈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함으로써 어느 한쪽 눈을 감지 않고 정렬을 확인하는데 불편이 감소될 수 있다.The second rod member 125 may be provided with a telescopic member 1251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is telescopic. The telescopic member 1251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bar member 12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cale 127 and the eye is distanced so that inconvenience in confirming alignment without detecting one eye can be reduced.

상기 제2 봉부재(125)에 텔리스코픽부재(1251)가 구비되는 경우, 가늠자(127)는 텔리스코픽부재(125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When the telescopic member 1251 is provided on the second rod member 125, the scale 127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telescopic member 1251.

사용자는 모자(110)에 가늠수단(120)을 부착시키고 경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할 때마다 가늠수단(120)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user can attach the weighing means 120 to the cap 110 and play the game.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weighing means 120 whenever necessary.

도 11에서와 같이 가늠자(127)를 삽입하여 간단하게 착탈 가능하므로, 가늠수단(120) 중 연결수단(121)만을 모자(110)에 결합시키고, 필요할 때마다 가늠자(127)를 연결수단(121)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늠자(127)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수단(121)을 모자(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를 접음으로써 연결수단(121)에 의하여 경기에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봉부재(122)는 모자(110)에 결합된 상태로, 제2 봉부재(125)는 제1 봉부재(122)와 나란하게 접힌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모두 챙(111)의 하부로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봉부재(122)는 챙(111)의 하부에 제2 봉부재(125)는 챙(111)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Only the connecting means 121 of the measuring means 120 is coupled to the cap 110 and the scale 127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121 It is possible to use them in combination. The first bar member 122 and the second bar member 125 are folded as shown in FIG. 10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means 121 is coupled to the cap 110 when the scale 127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 to the game by the game machine 121. At this time, the first rod member 122 is coupled to the cap 110,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fol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od member 122.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may both be positioned below the visor 111 and the first rod member 122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isor 111, 125 may be located on the top of the visor 111.

그리고 이때 제1 봉부재(122)가 모자(110)에 구비된 삽입부(113)에 삽입되어 구비되므로 경기 중이라도 연결수단(121)의 이탈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rod member 1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3 provided in the cap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means 121 from being separated or shaken even during the competition.

100: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
110: 모자 120: 가늠수단
100: golf cap with measuring means
110: Hat 120: Measuring means

Claims (8)

챙(111)을 구비하는 모자(110)와; 서로 이격되고 일측은 모자(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으로 판상 투명체로 형성된 가늠자(127)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수단(121)과, 상기 연결수단(121)의 타측으로 결합된 가늠자로 이루어져, 상기 챙(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늠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A cap (110) having a tongue (111); A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121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ne sid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1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scale 127 formed of a plate-like transparent body, The golf cap (10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cap (1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oulder (111). 챙(111)을 구비하는 모자(110)와: 서로 이격되고 일측은 모자(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으로 가늠자(127)가 결합되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와, 상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수단(121)과; 상기 연결수단(121)의 타측으로 결합된 가늠자(127);로 이루어져 상기 챙(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늠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And a cap (110) having a tongue (111): a cap (11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p (110), a scale (127) coupled to the other end, a first rod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121 comprising a member 125 and rotation connecting means 123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od members 122 and 125; And a scale 127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ans 121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houlder 111. The golf club according to claim 1, Cap (10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110)의 챙(111)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삽입부(113)가 구비되며; 제1 봉부재(112)는 삽입부(113)에 삽입되어 모자(11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는 가늠자(1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 3. The hang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houlder (111) of the cap (1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13)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The first bar member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3 and is coupled to the cap 110 and a scale 127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bar member 125. [ (10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수단(123)은 제1 봉부재(122)나 제2 봉부재(12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며 오목홈(1231a)이 형성된 돌기부(1231)와, 다른 단부에 구비되어 돌기부(1231)와 접촉하는 캠부(12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는 캠부(12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233)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4. The rotar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includes a protrusion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od member or the second rod member and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therein, And a cam portion (1235)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31);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shaft 1233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m portion 1235. [ (10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수단(123)은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구비되며 오목홈(1231a)이 형성된 돌기부(1231)와, 양측으로 돌기부(1231)와 접촉하는 캠부(1235)를 가지는 캠부재(12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부재(1236)는 양측 캠부(12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233)에 의하여 양측으로 제1 봉부재(122)와 제2 봉부재(1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4. The rotar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rod member and the second rod member and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therein, And a cam member (1236) having a cam portion (1235)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1231); The cam member 123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d member 122 and the second rod member 125 on both sides by a rotation axis 1233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h side cam portions 1235 (10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127)는 판상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The golf cap (100)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cale (127) is formed of a plate-shaped transparent bod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127)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71)이 형성되며, 장공(1271)을 통하여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 결합나사(129)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cale (127) is formed with a long hole (127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30) is screwed and coupled by a screw (12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봉부재(125)의 단부에는 오목한 홈(1281)이 형성되어, 상기 가늠자(127)는 양측에서 홈(128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늠수단이 구비된 골프용 모자(100).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concave groove (1281)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rod member (125), and the scale (127)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81) (100).
KR1020120056468A 2012-05-29 2012-05-29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KR101452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68A KR101452348B1 (en) 2012-05-29 2012-05-29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68A KR101452348B1 (en) 2012-05-29 2012-05-29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1A KR20130133331A (en) 2013-12-09
KR101452348B1 true KR101452348B1 (en) 2014-10-22

Family

ID=4998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68A KR101452348B1 (en) 2012-05-29 2012-05-29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34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63Y1 (en) 2003-09-03 2003-12-11 유광선 A Sport Cap with Backsight
KR200389980Y1 (en) 2005-04-07 2005-07-14 장종현 golf cap having recognition appratus for putting line
KR100707311B1 (en) * 2005-10-11 2007-04-12 이후근 Adjusting device for golf and cap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 for golf
KR101086727B1 (en) 2008-11-12 2011-11-25 송건호 Focus cap for gol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63Y1 (en) 2003-09-03 2003-12-11 유광선 A Sport Cap with Backsight
KR200389980Y1 (en) 2005-04-07 2005-07-14 장종현 golf cap having recognition appratus for putting line
KR100707311B1 (en) * 2005-10-11 2007-04-12 이후근 Adjusting device for golf and cap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 for golf
KR101086727B1 (en) 2008-11-12 2011-11-25 송건호 Focus cap for go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1A (en)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62853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6027625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JP6445697B2 (en) Golf putt correction device
US8894503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20140091244A (en) Ball marker for golf
US7824275B2 (en) Golfing aid
US9238166B1 (en) Putter with alignment device
KR101452348B1 (en) A Cap For Golf Having Adjusting Device
JP4028519B2 (en) Golf putter
KR101828468B1 (en) Golfball markers with a clip
KR200424604Y1 (en) mat for putting exercise
US8690699B1 (en) Visual aid for golfing
KR102040822B1 (en) Golf putter
CN213527392U (en) Rod cutting exerciser
KR100912423B1 (en) Putter
KR200427067Y1 (en) A Golf Tee of Direction
KR20160016370A (en) A Portable Device for Putting Practice
KR200442667Y1 (en) Putting practice auxiliary equipment
KR200467311Y1 (en) An assistant device of rotation movement for golf training
KR101188126B1 (en) Golf putting trainning apparatus
KR102120980B1 (en) Directional pointing device for putter
KR20110045301A (en) Putter
KR20080082842A (en) The putter having a lens
KR200443304Y1 (en) Clinometer for green in golf course
JP3096058U (en) Golf p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