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26B1 -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326B1
KR101452326B1 KR1020130062259A KR20130062259A KR101452326B1 KR 101452326 B1 KR101452326 B1 KR 101452326B1 KR 1020130062259 A KR1020130062259 A KR 1020130062259A KR 20130062259 A KR20130062259 A KR 20130062259A KR 101452326 B1 KR101452326 B1 KR 10145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inga
extract
zinc oxide
antimicrobial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하
권순상
공혜진
박청
황재성
신동하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13006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326B1/ko
Priority to PCT/KR2013/006695 priority patent/WO20141930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4Amoebic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물질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물질인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포집하여 제조한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물질과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인체에 무해한 항균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물질인 산화아연(ZnO)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Antimicrobiol Agent Including Moringa oleifera Extracts within Mesoporous ZnO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물질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물질인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포집하여 제조한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반복적인 손과의 접촉으로 인해 다양한 병원균에 오염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품에 강력한 항균물질을 첨가시키게 된다.
항균제는 크게 유기계 항균제와 무기계 항균제로 대별되며, 유기계 항균제로는 계면활성제 계, 비구아니드 계, 알코올 계 등이 있고, 무기계 항균제로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유리, 인산칼슘, 인산 지르코늄, 규산 칼슘, 산화티탄,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등의 무기질 분말에 은(Ag), 구리(Cu), 아연(Zn)등의 항균성 금속을 담지시킨 항균제가 알려져 있다.
무기계 항균제는, 유기계 항균제와 비교하면 휘발이나 분해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항균성이 지속 되며, 내열성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항균성분으로 주로 구리, 아연 등의 금속 또는 파라벤 등과 같은 화학물질이 이용된다. 구리 또는 아연과 같은 항균금속의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어, 특히 무기 아연의 경우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6799호는 은을 이용하여 살균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계 항균제는, 유기계 항균제에 비해 항균성이 효과적으로 발현하기 어렵고, 기대하는 항균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량 사용이 필요하며, 유기계 항균제와 비교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천연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1735호에 시지기움 아로마티쿰(Syzygium aromaticum; 정향)의 항균효과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시나모뮴 자포니쿰 시엡(Cinnamomum japonicum sieb; 생달나무)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대해 알려져 있으나, 천연식물 추출물만으로는 대장균 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한정훈, 전북대학교 임산공학 학위논문(석사), 주요 난대수종 천연 추출물의 항균·항충효과, 2011).
한편, 일본 공개특허 제 2000-229804호에서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된 다공성물질을 항균제로 이용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다공성 물질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가 유기-무기 합성물로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뛰어난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물질과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인체에 무해한 항균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물질인 산화아연(ZnO)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는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등 미생물에 대해 뛰어난 항균효과를 가지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화장품 분야 등에 유용하다.
도 1은 졸-겔법에 의한 다공성 산화아연입자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다공성 산화아연입자의 S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다공성 산화아연입자의 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Niazimicin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4-(α-L-rhamnopyranosyloxyl)-benzyl isothiocyanate(RBI)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원형여과지방법에 의한 항균 효과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Niazimicin의 실험결과이고, B는 4-(α-L-rhamnopyranosyloxyl)-benzyl isothiocyanate(RBI)의 실험결과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물질인 산화아연(ZnO)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포집시킨 항균제를 제조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등의 미생물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발명에서 "항균제"라는 용어는 미생물이나 세균의 생성 및 활동을 억제하거나 미생물 및 세균을 사멸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열추출법, 환류추출법 또는 온침추출법 등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는데, 유기용매로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프로판올, 탄소수 1 내지 4인 저가 알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다공성 물질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있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산화아연(ZnO)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은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탄올 추출물 또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다공성 물질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을 포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다공성 물질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을 포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초기 습식 방법(Incipient wetness method)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항균제의 제조
1-1: 다공성 산화아연( ZnO ) 입자의 제조
폴리올 용매에서 침전방법을 사용하여 다공성 산화아연을 합성하였다. 입자 크기를 쉽게 조절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사용된 산화아연의 전구체인 아세트산아연이수화물(Zn(CH3COO)2H2O, Mw=219.5, SAMJUN, 한국)과 수산화나트륨의 몰비율은 1:1이었다. 디에틸렌 글리콜(C2H10O3, Mw=106.12, SAMJUN, 한국)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반응혼합물을 443 K의 환류 조건 하에서 혼합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침전물을 에탄올로 헹구어내고 10,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다공성 ZnO 입자를 회수하였다.
상기 1-1에서 제조된 산화아연입자의 XRD 패턴을 분말회절표준위원회(Joint Committe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 JCPDS, 36-1451, a=3.429 Å, c=5.206Å, λ=Cu 1.54Å)의 표준테이터와 비교 해석하였다. 10개의 산화아연 입자의 특징적 피크가 나타났는데, 이는 산화아연의 (100), (002), (101), (102), (110), (103), (200), (112), (201), (004) 및 (202)의 결정 양상과 일치한다(도 1)
BET (Brunaure-Emmett-Teller) 기구(Tristar, Micrometrics, 미국) 및 BJH (Barrett-Joyner-Halenda) 방법에 의해 상기 1-1에서 제조된 산화아연입자의 표면 적과 공극 크기를 측정하였다.
산화아연 입자의 BET의 특정 표면 면적, 공극 부피, 공극 크기 분포 및 평균 공극 직경을 포함하는 공극 특성을 N2 흡수/분리 등온선으로 나타내었다. 준비된 산화아연 입자의 구조는 H4형 이력 곡선의 타입 Ⅳ 커브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력 현상과 일치하는 P/P0의 범위는 0.4-0.7 및 0.9 이상이었다. 이는 초기 입자는 중간 범위의 공극 크기를 가지고 입자들이 응집된 두 번째 입자들은 초기 입자들이 응집됨에 따라 생긴 입자 사이 공극 공간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공성 산화아연 입자의 BET 표면 면적은 55 m2/g이었다. 그리고 N2 흡수/분리 등온선 분석에서, 공극 크기는 3nm 및 15-30nm였고 공극부피는 0.169 cc/g이었다.
산화아연입자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SM-7401F, JEOL, 일본) 및 방출현미경(trans emission microscope; TEM, 300Kv, JEM2100F, JEOL, 일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산화아연 입자의 SEM 이미지를 보았을 때, 합성된 입자의 모양이 구 형태이고 입자 크기가 균일하게 약 100nm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 또한, TEM 이미지를 보았을 때, 구형의 산화아연 입자는 10nm크기의 매우 작은 나노 입자로 구성된 응집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SEM이미지에서 입증되었듯이, 입자 크기가 100nm임을 TEM 이미지에서 재확인할 수 있었다(도 3).
1-2: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100g을 분쇄한 후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3일간 교반 추출하고 1.2um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8.3g 의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얻었다.
한편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이용한 모링가 올레이페라시드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유기유매(헥산)을 이용하여 , 오일상의 선택적인 분리 방법인 극성/비극성 분획법을 이용하여 감압된 농축 파우더로부터 오일성분을 제거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출물 파우더에서 10배의 증류수를 분산하고, 동량의 헥산을 첨가하여 수차례 혼합하고 비극성과 극성의 두 상이 서로 분리될 때 까지 정치하여 헥산층(비극성)을 물층(극성)으로부터 분리하여 버렸다.
오일성분이 제거된 물층(극성)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수차례 혼합하고 두 상이 서로 분리될 때 까지 정치하여 에틸하세테이트 층을 얻었다. 이렇게 수득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4.5g의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얻은 모링가 올레이페리시드 추출물을 prep HPLC 혹은 MPLC를 이용하여 C18 역상 컬럼에서 물:아세토나이트릴(92:8 ~ 8:92, Gradient)을 이동상으로 하여 UV파장 256nm에서 Niazimicin(도 4)과 4-(α-L-rhamnopyranosyloxyl)-benzyl isothiocyanate(RBI)(도5) 두 가지 생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1-3: 다공성 산화아연( ZnO )입자에 유기물질의 포집
다공성 산화아연입자 내 게스트(guest)물질을 포집하기 위하여, 50%(w/v)농도의 유기물질과 혼합하였고 다공성 산화아연입자의 공극으로 용액이 침투되도록 문질렀다. 특히, 무기산화아연과 유기물질 사이의 상승적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로부터 추출물을 다공성 산화아연 내 게스트물질로 선택하였고, 다공성 산화아연 내 포집효율은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에 대해 10% (w/w)였다. 다공성 산화아연 채널에 상기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을 포집하기 위해, 상기 과정을 3번 반복하였다.
실시예 2: 제조된 항균제의 특성 평가
모든 실험을 삼중으로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 표준편차(SD)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평균은 Student의 다중범위 t-테스트를 통해 평가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차(significant difference)는 p < 0.05 일 때이다.
항균제의 특성 평가는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과 최소발육저지농도(MIC: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ethod)의 측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에 의한 항균제의 특성평가는 원형여과지를 피검액 1 내지 10mg/disc 실험 샘플에 침전시킨 후 배양 배지 중앙에 두고, 인큐베이터 안에서 박테리아(bacteria)의 경우 12시간, 곰팡이(mold)의 경우 48시간 배양시켜 측정하였다.
최소발육저지농도(MIC: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ethod)는 미생물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피검액의 최소 농도로 정의된다. 영양배지 내 여러 농도로 피검액을 첨가해 회분 배양 시켜 MIC를 측정하였다. 시험샘플을 영양배지에 첨가하고, 영양배지 혼합물을 입자 응집을 막기 위하여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 후 각각의 혼합물을 초기 박테리아 농도를 106 - 107 CFUml-1로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 준비된 1ml의 박테리아 영양배지에 첨가하였고, 그런 다음 박테리아의 경우 2일 동안 35℃에서, 균류의 경우 5일 동안 25℃에서 셰이커 안에 배양하였다. 화장품 항균효과의 연구를 위해 일반적인 효모로써 그람양성 황색포도상구균(ATCC 6538P), 그람음성 대장균(ATCC 8739), 녹농균(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ATCC 10231) 및 사상균으로써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ATCC 22343)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들의 미생물 성장을 48시간 동안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에 의해 650nm에서 관찰하여 조사하였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ATCC 6538P), 그람음성 대장균(ATCC 8739), 녹농균(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ATCC 10231) 및 사상균으로써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ATCC 22343)에 대해 상당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상기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Niazimicin(도 4)과 4-(α-L-rhamnopyranosyloxyl)-benzyl isothiocyanate(RBI)(도5)인 두 가지 생활성 물질을 검출할 수 있었다. 상기 화합물의 구조는 mass spectrophotometer, Infra red, 1D and 2D NMR에 의한 분광 분석(spectroscopic analysis)을 통해 측정되었다.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에탄올( EtOH )을 이용한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대장균 + + + - -
녹농균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를 이용한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대장균 + + + - -
녹농균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상기 두 화합물은 5가지 미생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특히 RBI는 황색포도상구균(0.005%, w/v), 대장균(0.1%, w/v), 녹농균(0.5%, w/v), 칸디다 알비칸스(0.5%, w/v),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0.5%, w/v)에 대해 강력한 항균 활성을 가진것으로 나타났다(표 4). 그러나 Niazimicin의 경우는 황색포도상구균(0.1%, w/v)을 제외하고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언급한 원형여과지법에 의해 RBI와 Niazimicin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RBI와 Niazimicin 모두 피검액 농도 5mg/disc일 때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나, Niazimicin에 비해 RBI의 생육저해영역이(각각 23mm와 28mm의 직경을 나타냄) 더욱 넓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상기 두 화합물의 항균 효과는 분자구조 에틸기(ethyl group)에 기인하는 분자구조 특성 인것으로 추측된다. 즉 Niazimicin의 구조에는 글리코사이드 외에 한 개의 에틸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생물 세포막으로 침투가 용이하지 않은 반면, RBI의 구조에는 에틸기가 존재하지 않아 미생물 세포막으로 침투가 용이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분자구조 특성은 미생물 생장저해 메커니즘에 의해 세포막의 기능을 감소시키면서, 미생물 세포막 표면에서 좀 더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Niazimicin 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대장균 + + + + +
녹농균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4-(α-L- rhamnopyranosyloxyl )-benzyl isothiocyanate ( RBI )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대장균 + + + - -
녹농균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다공성 물질의 특성과 항균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다공성 산화아연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표 5). 그 결과 다공성 산화아연의 항균 효과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을 제외하고 항균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다공성 산화아연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4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대장균 + + - - -
녹농균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무기계 항균제인 다공성 산화아연을 지지체로 이용하고 에탄올(표 6)과 에틸아세테이트(표 7)를 이용한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 및 RBI(표 8)를 상기 지지체에 포집하여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균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 및 RBI를 다공성 산화아연 지지체 없이 항균효과를 평가했을 때 대비 항균 효과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아연에 각 천연물질이 10%담지되었으므로 담지하기 전에 비하여 미생물 종류에 따라 약 10 ~ 50배이상 항균효과가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산화아연과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 사이에 상승적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앞서 언급했듯이 분자 구조적으로 에틸기가 없는 RBI가 산화아연을 미생물 세포막에 좀 더 용이하게 밀착시킴으로써, Zn+가 -SH 그룹과 반응하여 효소를 비활성화시키는 메커니즘에 의해 미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의 에탄올( EtOH ) 추출물을 포집한 산화아연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1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
대장균 + + + - - -
녹농균 +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 추출물을 포집한 산화아연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1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
대장균 + + - - - -
녹농균 +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여러 샘플 농도에 따른 4-(α-L- rhamnopyranosyloxyl )-benzyl isothiocyanate ( RBI )를 포집한 산화아연의 항균효과

미생물
샘플 농도 % (w/v)
0.001 0.005 0.01 0.05 0.1 0.5
황색포도상구균 - - - - - -
대장균 + + - - - -
녹농균 + + + + + -
칸디다 알비칸스 + + + + - -
아스페루질루스
니게르
+ + + + - -
(+: 성장; △: 대조군에 비해 억제된 성장; -: 억제)

Claims (10)

  1. 다공성 산화아연(ZnO)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 4-(α-L(pyranosyloxyl)-benzyl isothiocyanate(RBI) 또는 Niazimicin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은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탄올 추출물 또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5. 삭제
  6. 다공성 산화아연(ZnO)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 4-(α-L-rhamnopyranosyloxyl)-benzyl isothiocyanate(RBI) 또는 Niazimicin을 포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은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탄올 추출물 또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30062259A 2013-05-31 2013-05-31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259A KR101452326B1 (ko) 2013-05-31 2013-05-31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3/006695 WO2014193031A1 (ko) 2013-05-31 2013-07-26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259A KR101452326B1 (ko) 2013-05-31 2013-05-31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326B1 true KR101452326B1 (ko) 2014-10-22

Family

ID=5198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259A KR101452326B1 (ko) 2013-05-31 2013-05-31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2326B1 (ko)
WO (1) WO20141930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92B1 (ko) 2017-05-26 2018-11-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링가 초임계 유체 추출물 및 이의 불포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00078847A (ko) 2018-12-24 2020-07-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3554A (zh) * 2015-05-28 2015-09-02 郑艳华 辣木籽及其提取物在作为促进学习记忆的药物、保健食品
EP3341034A4 (en) * 2015-08-28 2019-05-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TIMICROBIAL AND ENZYME-INHIBITING ZINC OXIDE NANOPARTICLES
CN114532332B (zh) * 2022-01-26 2023-03-2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利用银杏叶提取物构筑氧化锌/凹凸棒石纳米复合抗菌材料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518A (ko) * 2009-03-11 2010-09-24 이태용 응집 및 항균용 유무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8441A2 (en) * 2001-07-19 2003-01-30 Optima Environnement S.A. Moringa seed proteins
US7404975B2 (en) * 2006-05-10 2008-07-29 Academia Sinica Moringa crude extracts and their derived fractions with antifungal activi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518A (ko) * 2009-03-11 2010-09-24 이태용 응집 및 항균용 유무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92B1 (ko) 2017-05-26 2018-11-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링가 초임계 유체 추출물 및 이의 불포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00078847A (ko) 2018-12-24 2020-07-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87391B1 (ko) 2018-12-24 2021-08-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3031A1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diyan et al. Facile biological synthetic strategy to morphologically aligned CeO2/ZrO2 core nanoparticles using Justicia adhatoda extract and ionic liquid: Enhancement of its bio-medical properties
Hashem et al. Biomedical applications of mycosynthesized selenium nanoparticles using Penicillium expansum ATTC 36200
Thangamani et al.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using Simarouba glauca leaf extract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of micro-organism
Prakash et al. Green synthesis of copper oxide nanoparticles and its effective applications in Biginelli reaction, BTB photodegrad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Soomro et al. Natural drug physcion encapsulated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and their application as antimicrobial agent
Rahman et al. Zinc oxide and zinc oxide-based nanostructures: biogenic and phytogenic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Prashanth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nd cytotoxicity studies of ZnO nanopowders prepared by combustion assisted facile green synthesis
KR101452326B1 (ko) 다공성 산화아연에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는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Mariselvam et al.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from the extract of the inflorescence of Cocos nucifera (Family: Arecaceae) for enhanced antibacterial activity
Varaprasad et al. Antibiotic copper oxide-curcumin nanomaterials for antibacterial applications
Govindasamy et 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binary ZnO–CuO nanocomposites encapsulated calcium and carbon from Calotropis gigantea targeted for skin pathogens
Yallappa et al.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Acacia farnesiana (Sweet Acacia) seed extract under microwave irradiation and their biological assessment
Mohamed et al. Phytosynthesis of BiVO 4 nanorods using Hyphaene thebaica for diverse biomedical applications
Krishnan et al. A facile green approach of cone-like ZnO NSs synthesized via jatropha gossypifolia leaves extract for photocatalytic and biological activity
Luo et al. Bio-conditioning poly-dihydromyricetin zinc nanoparticles synthesis for advanced catalytic degradation and microbial inhibition
Belaiche et al. Gree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ver/silver oxide nanoparticles using aqueous leaves extract of Artemisia herba-alba as reducing and capping agents
Dhatwalia et al. R ubus ellipticus fruits extract-mediated cuprous oxide nanoparticles: in vitro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toxicity study
El-Sheekh et al. Bio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synergistic effect of phytogenic gold nanoparticles by marine picoeukaryote Picochlorum sp. in combination with antimicrobials
Govindasamy et al.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green synthesised ZnO/C/Ca nanocomposites using Calotropis gigantea leaves
KR101518970B1 (ko) 다공성 물질 내 금속구리 또는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Jabeen Facile green synthesis of silver doped ZnO nanoparticles using Tridax Procumbens leaf extract and their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Dhanalekshm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g@ TiO2 core-shell nanoparticles and study of its antibacterial activity
Długosz et al. Cu2O nanoparticles deposited on Y2O3 and CuO: synthesis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Xiao et al. Construction of hollow proanthocyanidin cages as a novel delivery system using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8 sacrificial templates
Alarfaj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iphonia/cerium oxide/nickel oxide nanocomposites for the removal of toxins from contaminated water and antibacterial potent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