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862B1 - Connecting means for duct - Google Patents

Connecting means for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862B1
KR101450862B1 KR1020120153212A KR20120153212A KR101450862B1 KR 101450862 B1 KR101450862 B1 KR 101450862B1 KR 1020120153212 A KR1020120153212 A KR 1020120153212A KR 20120153212 A KR20120153212 A KR 20120153212A KR 101450862 B1 KR101450862 B1 KR 10145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duct
connection port
connec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3449A (en
Inventor
장화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하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하임
Priority to KR102012015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862B1/en
Publication of KR2014008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는, 덕트를 이루는 타 유체관 또는 상기 덕트가 관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벽면의 관통공에 접속되기 위한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접속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의 외주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용 접속구로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가 중앙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면 중 적어도 일 면 이상은, 외곽 가장자리와 중앙 부분이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닌, 외곽 가장자리에서 중앙쪽으로 갈수록 옴폭한 구조로 구성되어, 벽면 설치시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플랜지 주변이 더욱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fluid connection pipes constituted by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wall surfac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fluid pipe constituting the duct or the duct penetrates, 1 connecting portion and an annular flange extending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lange ha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wo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is formed in a disc shap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It can be mounted so as to be stably mount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to make th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more cleanly arranged.

Description

덕트용 접속구 {CONNECTING MEANS FOR DUCT}{CONNECTING MEANS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 덕트와 같은 덕트에서, 덕트를 이루는 유체관들을 연통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덕트용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ion 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connection port for communicably connecting fluid ducts constituting a duct in a duct such as a ventilation duct.

덕트(duct)란,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공기가 흐르는 경우에는 풍도(風道)라고도 한다.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며, 전통적으로 아연 철판제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용도에 따라 적합한 물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제공되기도 한다.A duct is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assage or a structure through which air or other fluid flows and is referred to as a wind path when air flows. It is widely used that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or circular, and zinc iron plate has traditionally been widely used. However, recently, various materials having suitable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may be provided.

환기용 덕트 등 다양한 덕트가 있고, 각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부품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용도와는 무관하게 덕트를 이루는 유체관을 접속하기 위한 덕트용 접속구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Ducts for ventilation, and the like, and a variety of parts suitable for each characteristic are provided. Regardless of this use, a duct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a fluid pipe constituting a duct is also provided in various forms.

덕트용 접속구는, 유체관의 길이 한계로 인해 단순하게 두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일 방향 접속구로부터, 유체의 경로를 바꾸기 위해 꺾인 관의 형태로 제공되는 접속구, 복수의 유입 유체관으로부터 복수의 유출 유체관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다중 접속부를 구비한 접속구 등, 기능, 설치 장소,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접속구가 사용된다.The duct connection port includes a connection port provided in the form of a bent pipe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fluid from a unidirectional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two fluid pipes simply due to the length limit of the fluid pipe, Various types of connection ports are used depending on the function, installation place, and design, such as a connection port having multiple connections for interconnecting fluid pipes.

본 발명은, 주로 덕트 경로 상에서 건물의 벽과 같은 벽면을 관통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양 방향의 유체관을 연결,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종래 접속구의 형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port provided at a position passing through a wall surface such as a wall of a building on a duct path to connect and connect fluid pipes in both directions, Respectively.

도시된 접속구는, 벽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벽면에 밀착되는 고리형 디스크 형태의 플랜지(30)를 구비한다.The illustrated connection port is provided with a flange 30 in the form of an annular disc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wall surface so as to be stably installed at a correct position and to be seen in a clean appearance, provided in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wall surface.

상기 플랜지(30)는 덕트를 연통시키기 위해 관통공이 형성된 벽면과 나란한 평면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어, 접속구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벽면에 형성된 관통공 등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lange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disk parallel to a wall surface having a through hole for communicating the duct to play the role of positioning the connection port and preventing the through hole or the like formed on the wal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한편, 플랜지(3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는 덕트를 이루는 타 유체관 또는 벽면의 관통공에 접속되기 위한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for connecting to the through holes of the other fluid pipe or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duct are provided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flange 30.

덕트를 이루는 유체관들이 원통형의 형태일 때에는, 상기 제 1 접속부(10) 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과 형합적인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어 유체관의 단면 형태가 사각형일 때에는, 이들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10) 등 또한 사각의 단면을 가진 관의 형태가 될 것이다.When the fluid pipes constituting the duct are in the form of a cylinder, the first connection part 10 and the like have a cylindrical shape that combines with them as shown in the figure. For example, when the sectional shape of the fluid pipe is a rectangl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to be connected and the like will also be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또한, 도시된 접속구는, 양 방향의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의 직경이 상호 다른 상태의 것을 도시하는 데, 이는 양 방향에서 접속되는 유체관의 직경이 다른 경우임을 의미하며, 접속되는 유체관 등의 규격, 형태에 따라 이들의 규격, 형태 또한 맞추어 변경 적용된 것이 사용된다.The illustrated connection port shows that the diameter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 in both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eaning that the diameter of the fluid pipe connected in both directions is different And a fluid tube or the like to be connected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and the form of the fluid tube or the like to which the specification and the form are also changed.

이러한 종래의 접속구의 경우, 고리 디스크 구조의 플랜지(30)를 구비하여 접속구가 벽면의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고, 설치 위치의 벽면에 형성된 관통공이 플랜지(30)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마감 처리된 외관의 미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플랜지(30)를 밀착하여 접착시키기 위해 플랜지(30)의 접착면에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보충적으로 사용할 경우 플랜지(30) 외부로 상기 접착제 등이 새어나와 오히려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벽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이 인접한 여타 벽면이나 다른 구조물에 인접하여 위치할 경우, 플랜지(30)가 설치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는 한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onnection port, a flange 30 having a ring disk structure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ion port can be stably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wall surface, and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covered by the flange 30, When the flange 30 is adhered to the flange 30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lange 30 is supplementarily used with an adhesive such as silicone, If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wall surface is located adjacent to the adjacent wall surface or other structure, the flange 30 may be obstructed in installation do.

더욱이, 도 5의 아래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의 단면이 상호 평행한 구조로만 형성됨으로써, 접속을 위한 삽입 과정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 또한 지적되고 있다.
Moreover,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5, 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 are formed only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insertion process for connection is somewhat inconvenien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접속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접속구의 플랜지 부분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도 이들이 쉽게 새어나오지 않는, 덕트용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ort which does not easily leak out even when an adhesive or the like is used for a flange portion of a connection port closely fitted to a wall surfac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nection 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구 설치 위치의 주변 구조로 인해 플랜지의 입체적 구조가 방해가 되지 않는, 덕트용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ort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flange is not disturbed due to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ort installation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덕트를 이루는 타 유체관 또는 기타 관통공 등과의 접속이 보다 용이한 덕트용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ort which is easier to connect with other fluid pipes or other through holes forming the 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는, 덕트를 구성하는 유체관들의 접속 부위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관들을 연통시키는 덕트용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이루는 타 유체관 또는 상기 덕트가 관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벽면의 관통공에 접속되기 위한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접속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의 외주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용 접속구로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가 중앙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면 중 적어도 일 면 이상은, 외곽 가장자리와 중앙 부분이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닌, 외곽 가장자리에서 중앙쪽으로 갈수록 옴폭한 구조로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ct connection port which is interposed in a connecting portion of fluid ducts constituting a duct and communicates with the fluid ducts, wherein the fluid duct or the duct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lang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located at the cent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Surfaces more than the outer edge and the center part are not located on the plane but the outer edge is the center side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접속되는 타 유체관 또는 관통공의 내경으로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접속 단부에서 삽입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접속 사면을 구비한 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is progressed at the connecting end so as to facilitate connection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fluid pipe or through- And may be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connecting slope formed therein.

이때, 상기 플랜지는, 외력을 가할 경우 형태대로 절취되어 분리가 용이하도록 반칼 가공된 절취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lange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portion cut out in the form of an external force to facilitate sepa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the duct connect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벽면 설치시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플랜지 주변이 더욱 깔끔하게 정리되는 덕트용 접속구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ort which is mounted more stably when the wall is installed and the periphery of the flange is neatly arranged.

둘째, 설치 장소의 구조에 따라 쉽게 변형, 적용이 가능한 덕트용 접속구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ort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place.

셋째, 덕트를 구성하는 타 유체관 기타 관통공 등과의 접속시 접속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덕트용 접속구를 제공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ort which can be more easily connected when connecting with other fluid pipes or other through holes constituting the du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속구의 정면도 및 저면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접속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접속구에 고정 핀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덕트용 접속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 of Fig. 1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ixing pi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uct connection port.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예시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사용된 부호들 중,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 부분에 대한 부호는,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Among the code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constituent parts that hav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s t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는, 양 방향의 접속부인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를 구비하고,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의 사이에 그 외주면상으로 연장 형성된 고리형 플랜지(30)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30)는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될 경우, 접속구의 위치를 잡아주고, 벽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덮어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uct connecting por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which are both connecting portions,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And an annular flange 30 extend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flange 30. [ When the flange 30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the flange 30 serves to catch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 and cover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wall surface.

반면, 도 5를 통해 도시된 종래의 덕트용 접속구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는 플랜지(30)의 평면상에 형성된 직선 형태의 절취부(35)가 구비되며(도 4를 통해 도시), 제 1 접속부(10)의 접속 단부에, 접속 사면(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aight cut-out portion 35 formed on the plane of the flange 30 (see FIG. 5)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necting slope 11 is formed at the connecting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절취부(35)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접속 사면(11)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utout portion 3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onnection slope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두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를 도시하는데, 도면상 위쪽에는 도 1의 덕트용 접속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 아래쪽에는 도 1의 덕트용 접속구의 저면 방향의 단면 형태를 도시한다.Fig. 2 shows a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wo directions. The duct connection port of Fig. 1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duct connection port of the duct connection port of Fig. Sectional shape.

플랜지(30)의 평면상에 형성된 절취부(35)의 구성과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한다.Reference is made to Fig. 4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utout portion 35 formed on the plane of the flange 30. Fig.

절취부(35)는, 반칼 가공으로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선의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외력을 가할 경우, 이 선의 형태대로 플랜지(30)로부터 분리, 절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utout portion 35 has a structure of a lin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s by the half-cut processing, and is configured so as to be separated and cut out from the flange 30 in the form of the lin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시된 절취부(35)는 플랜지(30) 상에서 일직선 방향으로 한 개가 구비된 상태이나, 여러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one cutout portion 35 is provided on the flange 30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but a plurality of cutouts 35 may b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이와 같이 절취부(35)가 구성됨으로써, 덕트 구조물이 통과하여야 하는 벽면의 관통공이 다른 벽면과 인접하여 위치한다거나, 관통공의 주변에 고정 구조가 위치하는 경우, 별도의 작업 없이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깔끔하게 분리해 낸 후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를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through hole of the wall surface through which the duct structure is to pass is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wall surface or the fixing structure is located around the through hole, the worker applies force 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fter being cleanly separated.

이와 같은 설치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는, 벽면의 위쪽에 천정면과 인접하여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절취부(35)를 이용하여 플랜지(30) 일부를 떼어낸 후 천정에 인접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Such an installation state is shown in Fig. In the illustrated state, a through hole is formed adjacent to the ceiling front surface above the wall surface, so that a part of the flange 30 is detached using the cutout portion 35, and then, adjacent to the ceiling, Indicates that the connection port is installed.

즉, 이와 같은 절취부(35)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는 종래와는 달리 다양한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utout portion 35. [

한편, 도 2의 아래쪽에 위치한 단면도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의 플랜지(30)는 종래 덕트용 접속구의 플랜지와는 달리 외곽 가장자리와 중앙 부분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가 아니라, 외곽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쪽, 즉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 방향으로 갈수록 옴폭해지는, 완만한 꼬깔 구조를 가진다.2, the flange 30 of the connection port for duc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lange of the conventional duct connection port, But has a gentle cowl structure that gradually rises from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that is,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옴폭한 방향이 벽면과 마주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가 설치되는 경우, 보다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플랜지(30)의 내측면에 실리콘 등 접착제를 도포하고 삽입하더라도, 플랜지(30) 외측으로 접착제 등이 흘러나오거나 새어나올 위험성이 크게 감소된다.When 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idge faces the wall surface by having such a structure, even if an adhesive such as silicone is applied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30 for more stable installation, 30), the risk of flowing out or leakage of the adhesive is greatly reduced.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면서도 마감이 깔끔하게 정리되기 용이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in which the finish is neatly arranged while being installed more stably.

한편, 도 2의 아래쪽에 위치한 단면도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의 제 1 접속부(10)와 제 2 접속부(20)는 종래 덕트용 접속구의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와는 달리, 타 유체관 등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 단부에서 삽입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접속 사면(11, 21)을 구비한다.2, the first connection par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 of 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of the conventional duct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slopes 11 and 21 whose outer diameters gradually increase in a direction in which insertion is progressed at a connection end at which connection with the other fluid pipe or the like is made, unlik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1 접속부(10)는 타 유체관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부분이며, 제 2 접속부(20)는 벽면의 관통공, 혹은 슬리브 등으로 삽입되는 부분인데, 제 1 접속부(10)의 접속 방향 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접속 사면(11)이 형성되어 타 유체관과의 접속이 용이해지며, 제 2 접속부(20)의 경우, 외경 자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접속 사면(21)이 구비되어, 처음에는 쉽게 삽입된 후 강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단단하게 관통공 혹은 슬리브 등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fluid pipe,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is a portion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a sleeve, The connection slope 11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at the connection directio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other fluid pipe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0, The slope 21 is provided so that it is easily inserted at first and then strongly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or the sleeve.

더욱이, 접속 사면(11, 21)이 구비됨으로써, 반대 방향에서 쐐기형 고정 핀과 같은 추가적인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장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connecting slopes 11 and 2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unting state can be more stably secured by using additional fixing means such as a wedge-shaped fixing pin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와 같은 구조의 접속 사면(21) 구성을 통해,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접속 개시가 이루어지고, 접속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slope 21 having such a structure, connection can be started more easily than in the past, and more stable connection can be achieved in the connection process.

한편, 도 4를 통해, 제 2 접속부(20)에 상기 고정 핀(40)이 일체형으로 성형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고정 핀(40) 일체형 구조는 별도로 쐐기형 고정 핀과 같은 부품을 갖추어 작업해야할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고정 핀(40)은, 삽입 방향에서는 두께가 없고 삽입이 진행될수록 끝쪽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삽입은 용이하고 삽입 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접속구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4,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pin 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can be confirmed. The integral structure of the fixing pin (40)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wedge-shaped fixing pin,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avoiding troublesome work.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tegral fixing pin 40 is formed so as not to have a thickness in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o increase its thickness toward the end as the insertion progresses, so that insertion is easy and after the insertion,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 1 접속부 11: 제 1 접속부의 접속 사면
20: 제 2 접속부 21: 제 2 접속부의 접속 사면
30: 플랜지 35: 절취부
40: 고정 핀
10: first connecting portion 11: connecting slo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second connecting portion 21: connecting slop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flange 35: cutout
40: Fixing pin

Claims (4)

덕트를 구성하는 유체관들의 접속 부위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관들을 연통시키는 덕트용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이루는 타 유체관 또는 상기 덕트가 관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벽면의 관통공에 접속되기 위한 제 1 접속부(10) 및 제 2 접속부(20)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접속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속부(10)와 상기 제 2 접속부(20)의 외주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접속부(10)와 상기 제 2 접속부(20)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플랜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용 접속구로서,
상기 플랜지(30)는 상기 제 1 접속부(10)와 상기 제 2 접속부(20)가 중앙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면 중 적어도 일 면 이상은, 외곽 가장자리와 중앙 부분이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닌, 외곽 가장자리에서 중앙쪽으로 갈수록 옴폭한 구조이며,
상기 플랜지(30)는, 외력을 가할 경우 형태대로 절취되어 분리가 용이하도록 반칼 가공된 절취부(35)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접속구.
1. A duct connection port interposed in a connecting portion of fluid ducts constituting a duct to communicate the fluid ducts,
(1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0) to be connected to a through hole of a wall surface provided with a structure of the other fluid tube or duct constituting the duc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 and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 As the connection port,
The flange (30) has a disk sha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are located at the center, , But rather a structure that rises from the edge of the outer edge toward the center,
Wherein the flange (30) further comprises a cut-out portion (35) cut out in the form of an external force to facilitate sepa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10) 및 상기 제 2 접속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접속되는 타 유체관 또는 관통공의 내경으로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접속 단부에서 삽입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접속 사면(11, 21)을 구비한 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접속구.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is formed so that insertion at the connecting end is facilitated to facilitate connection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fluid pipe or through- (11, 21)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10) 및 상기 제 2 접속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체형 고정 핀(4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접속구.
The duct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 further comprises an integral fixing pin (40).
KR1020120153212A 2012-12-26 2012-12-26 Connecting means for duct KR101450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12A KR101450862B1 (en) 2012-12-26 2012-12-26 Connecting means for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12A KR101450862B1 (en) 2012-12-26 2012-12-26 Connecting means for 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49A KR20140083449A (en) 2014-07-04
KR101450862B1 true KR101450862B1 (en) 2014-10-14

Family

ID=5173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212A KR101450862B1 (en) 2012-12-26 2012-12-26 Connecting means for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8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38Y1 (en) * 2016-04-18 2017-12-22 윤근철 The connecting pipe for air supply of heatexchaging system
KR200483589Y1 (en) * 2016-07-14 2017-05-31 장현동 Gate valve locking device
KR102630140B1 (en) * 2021-10-06 2024-01-30 주식회사 힘펠 direct exhaust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621Y1 (en) * 1994-12-13 1998-11-02 윤종용 Defrosting water drain hose connection apparatus of a refrigerator
JP3105751U (en) * 2004-06-07 2004-11-25 株式会社カナイ Conical inclined pipe
KR100826275B1 (en) 2007-04-27 2008-04-30 (주)문명에이스 prefabricated duct flan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621Y1 (en) * 1994-12-13 1998-11-02 윤종용 Defrosting water drain hose connection apparatus of a refrigerator
JP3105751U (en) * 2004-06-07 2004-11-25 株式会社カナイ Conical inclined pipe
KR100826275B1 (en) 2007-04-27 2008-04-30 (주)문명에이스 prefabricated duct fl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49A (en)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3690B2 (en) Cap member with an injected sealant
CN103162037B (en) Pipe joint
AU2017420801A1 (en) Multiports and devices having a connector port with a rotating securing feature
KR101450862B1 (en) Connecting means for duct
JP2016043923A5 (en)
US9755412B2 (en) Grommet for mounting cable gland or the like
EP2886969A1 (en) Lamp and air-guiding ring thereof
CN107796437B (en)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device
EP3135979A1 (en) Pipe-in-pipe quick connection structure
US20160123511A1 (en) Duct assembly with a connector
US20140252763A1 (en) Device for a hose fitting
US20110233928A1 (en) Rotatable flange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02861U (en) Convenient to process pipes assembly structure with different diameters
EP3135978A1 (en) Pipe-in-pipe fast installation structure
US7614664B1 (en) Fast-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KR101339734B1 (en) Pipe connector of dual pipe type
EP1865584B1 (en) Cable intake system
KR101906327B1 (en) Joining part having sleeve
US20190331312A1 (en) Breathable element for lighting of vehicle
JP5710986B2 (en) Sealing member for building ventilation opening and building ventilation structure
KR20060121029A (en) Duct coupler for connecting flexible duct
EP3006799A1 (en) Air control device
JP2018040239A (en) Sediment inflow prevention plate for embedded box, embedded box set, sediment inflow prevention structure for embedded box, and fitting method of sediment inflow prevention plate for embedded box
JP2017190900A (en) Air-conditioning duct device and connection member thereof
ITTO20100987A1 (en) FIXING DEVICE TO CONNECT THE END OF AN ENDOSCOPE TO A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