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98B1 -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98B1
KR101449798B1 KR1020120054815A KR20120054815A KR101449798B1 KR 101449798 B1 KR101449798 B1 KR 101449798B1 KR 1020120054815 A KR1020120054815 A KR 1020120054815A KR 20120054815 A KR20120054815 A KR 20120054815A KR 101449798 B1 KR101449798 B1 KR 10144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ransmission time
access point
management apparatus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055A (ko
Inventor
박진우
전유찬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METHOD OF A ACCESS POINT,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MOBILE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ESS POINT}
아래의 설명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한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 표준 기반의 무선 LAN은 노트북과 PDA와 같은 이동 무선 기기의 발전과 VoIP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의 증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무선 LAN은 하나의 무선접속장치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반경 수십 미터의 제한된 지역 안에서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에서 무선 통신을 시작하려면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에 인증(authentication)과 결합(association)의 연결 관계를 통해 무선 채널을 할당받은 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현재 WLAN은 수십 미터 정도의 서비스 영역을 지원하고 있어서, 이동 단말이 이동할 경우 핸드오프를 자주 수행해야 한다. 핸드오프 수행 시 이동 단말은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종료하고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의 새로운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즉, 핸드오프 수행 시, 이동 단말은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 인증과 결합 과정을 다시 시도하여 새로운 전파 채널을 구성할 수 있을 때에 통신 서비스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 액세스 포인트와의 단절에 이은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 과정에서 무선통신 서비스의 일시적인 중단은 피할 수 없으므로, VoIP(Voice over IP)와 같이 서비스의 연속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어 서비스의 품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의 이동에 따른 서비스 단절로 인한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액세스 포인트 간의 새로운 이동 방법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빠른 핸드오프 방법으로서 IEEE 802.11f 표준에서의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 방법이 있다. 이동 단말은 차례대로 채널을 바꾸면서 주위 액세스 포인트에게 프로브 요청 메시지(Probe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고, 프로브 응답 메시지(Probe Response Message)를 전송 받는 대신 IAPP를 사용하여 이전 액세스 포인트로 모아서 전송 받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에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전송 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핸드오프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IEEE 802.11의 2.4 GHz 대역에서 겹치지 않은 3개의 채널(1, 6, 11)을 스캐닝을 함으로써 핸드오프 지연시간을 줄이는 Neighbor Graph (NG)-pruning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기존의 무선 LAN에서 사용하는 이동 단말이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지역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할 때에, 기존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에서 서비스를 단절한 후에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지역으로 결합할 때에 걸리는 지연시간을 단축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들은 이동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의 수정을 전제로 하여 제안된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일시적인 서비스 단절을 피할 수가 없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단말이 통신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채널이 복수 개인 경우라도 동시에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또는 복수 개의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은,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은,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전송 시간이 주기적으로 할당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탐지 신호를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수신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탐지 신호를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게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 후, 탐지 신호를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는 경우, 수신 강도의 수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할당부;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전송 시간이 주기적으로 할당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탐지 신호를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 강도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한 수신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탐지 신호를 송신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게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하는 할당부;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단말이 통신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이 복수 개인 경우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동시에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또는 복수 개의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스위칭으로 인한 전송 시간의 지연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정된 서비스 영역에서 복수 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가 클러스터를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 시간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시, 이동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가 서로 통신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이동 단말에 대해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AP는 액세스 포인트를 의미한다.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 AP(125, 135, 145), 이동 단말(150-180), 네트워크 망(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에 연결된 AP(125, 135, 145)를 관리할 수 있으며, AP(125, 135, 145)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150-180)의 인증, 협상, 또는 채널 할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복수 개의 AP(125, 135, 145)를 클러스터(Cluster)로 형성하여, 각 클러스터를 기준으로 AP(125, 135, 145)에 시간의 함수에 따라 전송 시간(TD, Transmission Duration)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인접한 AP와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각 AP(125, 135, 145)에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클러스터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AP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각 AP(125, 235, 245)의 전송 시간의 진행은 AP 간에 동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각 AP(125, 135, 145)의 전송 시간이 진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AP(125, 135, 145)가 사용할 채널을 AP(125, 135, 145)에 할당할 수도 있고, 할당된 채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네트워크 망(190)과 연결되어 있어, 이동 단말(150-180)에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AP(125, 135, 145)와 동일하게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AP(125, 135, 145)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AP(125, 135, 145)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에 서로 중복되지 않는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AP(125, 135, 145)는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이동 단말(150-180)과 통신할 수 있다. AP(125, 135, 145)는 자신에게 액세스하는 이동 단말을 탐지할 수 있고, 이를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에 보고하여 핸드오버의 수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AP(125, 135, 145)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는 AP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 또는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125, 135, 145)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리스트의 형태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P(125, 135, 145)는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 1과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 2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 단말(150)이 AP1(125)과 통신하고 있다면, AP1(125)의 리스트 1에 이동 단말(15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AP1(125)에 인접한 AP인 AP2(135)와 AP3(145)의 리스트 2에 이동 단말(15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P(125, 135, 145)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리스트1, 리스트2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에 보고할 수 있고,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AP(125, 135, 145)의 리스트1, 리스트2를 관리할 수 있다.
AP(125, 135, 145)는 각각 자신의 서비스 영역(120, 130, 140)을 가지고 있으며, 아래 설명에서는 AP의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을 참고하면, AP1(125)의 서비스 영역(120)에 이동 단말(150, 155, 160)이 접속할 수 있고, AP2 (135)의 서비스 영역(130)에서는 이동 단말(160, 165, 170)이 접속할 수 있다. AP3(145)의 서비스 영역(140)에는 이동 단말(175, 180)이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단말(160)은 AP1(125)과 AP2(135)의 서비스 영역(120, 130)이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는 이동 단말(160)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 장치(110)는 인접한 AP와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AP(125, 135, 145)에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기에, 특정 시간에서는 하나의 AP가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특정 시간에 AP1(125)이 이동 단말(150, 155, 16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150-180)은 인접한 AP(125, 135, 145)의 무선 채널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망(19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110)은 이동 단말(150-180)에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고, 한 번 할당된 무선 채널은 클러스터의 영역 안에서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와 AP가 클러스터를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 AP1(240), AP2(250), AP3(260)이 하나의 클러스터(220)를, AP4(270), AP4(280), AP6(290)이 또 다른 클러스터(230)를 형성하고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에 접속한 복수 개의 AP(240-290)를 클러스터 단위(220, 230)로 설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자기 자신(210)이 포함된 클러스터(220)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는 또한, 설정한 클러스터(220, 230)를 관리하고, 클러스터(220, 230)를 기준으로 AP(240-290)에 전송 시간 또는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는 클러스터(220, 230)의 설정을 통하여 많은 수의 AP(240-290)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AP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송 시간의 주기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는 클러스터(220, 230)마다 채널의 수 또는 전송 시간의 간격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가 각 클러스터(220, 240)를 기준으로 전송 시간의 주기를 조절하는 경우, 이동통신 관리 장치(210)가 포함된 클러스터(220)는 전송 시간의 주기를 4개로 구분할 수 있고, AP4(270)가 포함된 클러스터(230)는 전송 시간의 주기를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는 할당부(320), 제어부(330), 수신부(340), 수집부(350), 요청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할당부(32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에 연결된 AP(370, 380, 390)를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접한 AP와 연동하여 AP(370, 380, 390)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할 수 있다. 즉, 할당부(320)는 인접한 AP와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각 AP(370, 380, 390)에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AP1(370), AP2(380), AP3(390)이 하나의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경우, 할당부(320)는 각 AP(370, 380, 390)에 전송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전송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시간의 주기는 각 AP1(370), AP2(380), AP3(390)의 전송 시간의 합일 수 있다.
또한, 할당부(320)는 클러스터에 포함된 AP(370, 380, 390)의 수를 조정하여 전송 시간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부(320)가 설정한 클러스터가 4개의 AP로 구성되어 있다면, 전송 시간의 주기는 1개의 AP가 가진 전송 시간의 4배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가 전송 시간의 주기가 길다고 판단한 경우, 할당부(320)는 4개의 AP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2개의 AP로 구성된 클러스터 2개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할된 클러스터에 포함된 AP의 전송 시간의 주기는 이전보다 1/2배로 단축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AP(370, 380, 39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AP(370, 380, 390)의 채널 정보, 전송 시간,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AP(370, 380, 390)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의 인증, 협상, 또는 채널 할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수신부(340)는 전송 시간이 주기적으로 할당된 AP(370, 380, 390)로부터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이 인접한 AP로 이동하는 경우, 인접한 AP는 이동 단말의 액세스를 탐지할 수 있고, 탐지 신호를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에 송신하여, 이동 단말의 액세스를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에 보고할 수 있다. 수신부(340)는 또한, AP(370, 380, 390)가 송신한 탐지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330) 또는 수집부(350)에 보고할 수 있다.
수집부(350)는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로부터 수신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수집할 수 있다. 수신 강도는 AP(370, 380, 390)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350)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는 경우, 수신 강도의 수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집부(350)는 AP(370, 380, 390)에 수신 강도의 측정을 중단하고 수산 강도의 송신을 종료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임계치2는 수집부(350)에 미리 설정된 수신 강도의 값일 수 있다. 수집부(350)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와 임계치2의 비교를 통해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로부터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면, 수집부(350)는 이동 단말이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확실히 진입하였다고 판단하여, 수신 강도의 수집을 종료할 수 있다.
요청부(360)는 AP(370, 380, 39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를 비교하여,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에게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AP(370, 380, 390)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리스트의 형태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P(370, 380, 390)는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 1과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 2를 가질 수 있다.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요청부(360)는 AP(370, 380, 390)에 리스트1과 리스트2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청부(360)는 AP(370, 380, 39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임계치1 이상이 되는 경우, AP(370, 380, 390)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강도의 차이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에서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의 수신 강도를 뺀 값일 수 있다.
임계치1은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에 미리 설정된 수신 강도의 값일 수 있고, 요청부(360)는 임계치1을 통해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임계치1은 핸드오버 수행 여부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요청부(360)가 AP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를 비교하여, 수집한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임계치1 이상이 된다고 판단한 경우, 핸드오버가 수행되고, AP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임계치1은 일정한 범위를 가질 수도 있고, 요청부(360)는 AP(370, 380, 39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임계치1의 일정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청부(360)는 핸드오버 시 발생할 수 있는 핑퐁(Ping-pong)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임계치1은(임계치1이 수신 강도의 범위인 경우, 범위 내에 속하는 수신 강도의 상한값)은 임계치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집부(350)는 요청부(360)가 AP(370, 380, 390)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고 난 이후에도, AP(370, 380, 390)로부터 수신 강도를 수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 기존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다시 진입할 수 있기에, 이동통신 관리 장치(310)는 핸드오버 이후라도 일정 구간까지는 수신 강도를 계속하여 수집하여 계속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말한 일정 구간은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기까지의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AP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AP(410)는 할당부(420), 통신부(430), 제어부(440), 인터페이스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할당부(420)는 이동 단말(470)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채널의 수와 인터페이스에 할당될 채널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할당부(42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가 제공하는 많은 수의 채널을 각 인터페이스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470)에 다양한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AP(410)의 서비스 영역에서 많은 이동 단말(470)이 통신하고 있더라도, 서비스의 충돌을 일으킬 위험이 적으며, 채널 스위칭으로 인한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47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에 접속한 AP(410)의 전송 시간을 AP(410)에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며, 각 AP(41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로부터 할당 받은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470)과 통신할 수 있다. AP(410)는 인접한 AP의 전송 시간 동안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신하는 이동 단말(470)을 통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여,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지역에서의 서비스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또는 복수 개의 채널을 통하여 이동 단말(47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CF(Contention Free)-End 프레임과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전송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30)는 CTS 프레임을 전송하여 해당 채널에서의 이동 단말(470)을 통신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통신부(430)는 자기에게 설정된 전송 시간이 다시 돌아오는 경우, CF-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이동 단말(470)의 통신 대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통신부(430)가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로부터 수신 강도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받은 경우, 통신부(430)는 이동 단말(470)로부터 수신 강도를 측정하여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에 수신 강도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이동 단말(470)과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고, 이동 단말(470)의 액세스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 또는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는 리스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로부터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44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의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50)는 제어부(440)가 이동 단말(470)의 액세스를 탐지하는 경우,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에 이동 단말(470)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로부터 수신 강도의 보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45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에 이동 단말(470)로부터 측정한 수신 강도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5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460)로부터 할당된 채널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AP에 전송 시간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AP1부터 AP3까지는 제1 클러스터(510)로, AP4부터 AP6까지는 제2 클러스터(52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AP1, AP2, AP3, AP4, AP5, AP6에는 각각 TD1, TD2, TD3, TD4, TD5, TD6의 전송 시간이 할당되어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클러스터(510, 520)의 구성에 따라 전송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러스터(510)의 TD1(530)과 제2 클러스터(520)의 TD4는 시간 간격이 다를 수 있다. 또는 클러스터(510, 520)를 구성하는 AP의 수에 따라 전송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AP가 동일한 전송 시간을 갖는다면, AP가 많이 포함된 클러스터의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다.
AP는 자기에게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고, 다시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 시간이 돌아와야 이동 단말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다음 통신이 가능하기까지의 시간을 하나의 주기라 한다면, 도 5에서는 TD1, TD2, TD3이 합쳐져 하나의 주기가 될 수 있다. 또는, TD4, TD5, TD6이 합쳐져 하나의 주기가 될 수 있다.
AP에 할당된 전송 시간이 종료하는 경우, AP는 CTS 프레임(550)을 이동 단말에 전송하여 해당 채널에서의 이동 단말을 통신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할당된 전송 시간이 다시 돌아오는 경우, AP는 CF-End 프레임(540)을 이동 단말에 전송하여 이동 단말의 통신 대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AP1의 수행 동작을 설명하면, TD1(530) 동안에는 AP1이 AP1에 접속된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TD1이 종료하는 경우, AP1은 CTS 프레임(550)을 이동 단말에 송신하여 해당 이동 단말을 통신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AP2는 이동 단말에 CF-End 프레임(540)을 전송하여 AP2에 접속된 이동 단말의 통신 대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TD2 동안(560) AP2에 접속한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AP3에게 할당된 전송 시간인 TD3(570)이 종료하는 경우, AP1은 접속된 이동 단말에 CF-End 프레임(540)을 전송하여 통신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AP1, AP2, AP3은 자기에게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또는 복수 개의 채널을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채널 A부터 채널 N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접속한 이동 단말들은 동시에 각 AP의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해당 AP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시, 이동 단말과 AP가 서로 통신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통신 관리 장치(610)는 네트워크 망(690)에 연결되어 있어, 이동 단말(650)에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P1(660), AP2(670), AP3(680)은 각각 자기의 서비스 영역(620, 630, 640)을 가질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610)는 AP1(660), AP2(670), AP3(680)과 연동하여 각 AP(660, 670, 680)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관리 장치(610)는 AP1(660), AP2(670), AP3(680)의 전송 시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AP1(660)에 TD1, AP2(270)에 TD2, AP3(680)에 TD3의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TD1, TD2, TD3은 주기를 가지고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따르면, 각 AP(660, 670, 68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610)로부터 할당받은 채널 A 부터 채널 N 까지를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에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650)은 채널 A를 통하여 AP(660, 670, 68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AP1(660), AP2(670), AP3(680)의 서비스 영역(620, 630, 640)이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650)은 TD1 동안에는 AP1(660), TD2 동안에는 AP2(670), TD3 동안에는 AP3(680)과 통신할 수 있으며, TD3이 종료되는 경우, 다시 TD1이 시작되어 AP1(66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650)이 다른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동일한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이동 단말의 전송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이동 단말(650)이 새로 진입한 서비스 영역의 AP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610)에 이동 단말(650)의 액세스를 탐지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관리 장치(610)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에 수신 강도의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핸드오버의 과정은 네 단계(770a, 770b, 770c, 770d)를 포함할 수 있고, 두 AP1(720), AP2(730)간의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는 이동 단말(710)을 가정하고 있다. 또한, AP1(720), AP2(730)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가 주기적으로 할당한 전송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서 AP1(720)은 TD1의 전송 시간을 AP2(730)은 TD2의 전송 시간을 가지고 있다. AP2(730)의 전송 시간인 TD2가 종료하면 다시 AP1(720)의 전송 시간인 TD1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는 인접한 AP1(720), AP2(730) 간에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잇다.
단계(770a)에서, 이동 단말(710)은 AP1(720)의 서비스 영역 안에만 위치하고 있으며, 채널 A를 통해 AP1(720)의 전송 시간인 TD1 동안 AP1(720)과 통신할 수 있다.
AP1(720), AP2(730)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리스트의 형태일 수 있다.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는 AP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 또는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720)는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 또는 인접한 AP2(730)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7의 설명에서는 AP1(720), AP2(730)가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리스트의 형태로 가지고 있고,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1과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2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770a)에서는 이동 단말(710)이 AP1(720)의 서비스 영역에 접속하여 통신하고 있으므로, AP1(720)의 리스트 1에 이동 단말(71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P2(730)는 인접한 AP인 AP1(720)과 이동 단말(710)이 통신하고 있으므로, AP2(730)의 리스트 2에 이동 단말(71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770b)에서, 이동 단말(710)이 AP2(730)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 단말(710)은 AP1(720)과 AP2(730)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710)은 AP2(730)이 송신하는 CF-End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게 되고,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이동 단말(710)은 AP2의(730) 전송 시간(TD2) 동안 전송 가능 상태가 되어 AP2(730)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7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AP2(730)는, 이동 단말(710)이 리스트 2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 후,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에 이동 단말(710)의 액세스를 탐지하였음을 보고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가 AP2(730)로부터 이동 단말(710)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인 AP2(730)와 이동 단말(710)이 통신하고 있는 AP인 AP1(720)에게 이동 단말로부터의 수신 강도를 송신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는 AP1(720), AP2(73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710)이 어느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770c)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는 AP2(73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와 AP1(72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가 임계치1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AP1(720)과 AP2(730)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임계치1이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경우, AP2(73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와 AP1(720)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임계치1의 일정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AP1(720)과 AP2(730)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도 있다.
AP1(720)과 AP2(730)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리스트1과 리스트2의 형태로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으므로,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을 받은 AP1(720)과 AP2(730)는 자신의 리스트1, 리스트2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요청 받은 AP1(720)은 이동 단말(710)이 인접한 AP인 AP2(730)의 서비스 영역에서 AP2(730)와 통신하고 있으므로, 리스트 1에서 이동 단말(710)의 정보를 삭제하고, 동시에 이동 단말(710)의 정보를 리스트 2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요청 받은 AP2(730)은 이동 단말(710)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접속하여 통신하고 있으므로, 리스트 2에서 이동 단말(710)의 정보를 삭제하고, 동시에 이동 단말(710)의 정보를 리스트 1에 추가할 수 있다.
단, 단계(770c)에서, 이동 단말(710)은 다시 AP1(720)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는 리스트의 업데이트 이후에도 AP1(720)과 AP2(730)로부터 수신 강도를 수집하여, 추가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770d)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는 AP2(730)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는지 판단하여 AP1(720)과 AP2(730)로부터 수신 강도의 수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관리 장치(740)는 AP1(720)과 AP2(730)에 이동 단말(710)로부터 수신 강도의 측정을 중단하고 수산 강도 송신의 종료를 요청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81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연결된 AP를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접한 AP와 연동하여 AP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인접한 AP와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AP에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클러스터에 포함된 AP의 수를 조정하여 전송 시간의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단계(S82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AP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AP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의 인증, 협상, 또는 채널 할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S83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전송 시간이 주기적으로 할당된 AP로부터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와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로부터 수신 강도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이 인접한 AP로 이동하는 경우, 인접한 AP는 이동 단말의 액세스를 탐지할 수 있고, 탐지 신호를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이동 단말의 액세스를 보고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이동 단말의 액세스를 보고받은 경우,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에게 이동 단말의 수신 강도를 보고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단계(S84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수신 강도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이 어느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85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의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임계치1 이상이 되는 경우,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와 이동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AP에게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는 AP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 또는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리스트의 형태로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임계치1은 일정한 범위를 가질 수도 있고,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AP로부터 수집한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임계치1의 일정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이동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 단말이 통신할 AP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AP가 가진 이동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단계(S86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AP의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가 업데이트된 이후에도, AP로부터 수신 강도를 계속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기까지 즉, 이동 단말이 확실히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까지는 AP로부터 수신 강도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S870)에서, 이동통신 관리 장치는 탐지 신호를 송신한 AP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2 이상이 되는 경우, 수신 강도의 수집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S850)의 임계치1과 단계(S860)에서의 임계치2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미리 설정된 수신 강도의 값일 수 있으며, 임계치1은 임계치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AP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910)에서, AP는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S920)에서, AP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는 인접한 AP와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AP는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복수 개의 채널 또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P는 CF-End 프레임과 CTS 프레임을 전송하여 전송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S930)에서, AP는 인접한 AP의 서비스 영역에서 자신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말의 액세스를 탐지하는 경우,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해당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AP가 전송한 CF-End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은 AP의 전송 시간 동안 AP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AP는 이를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단계(S940)에서, AP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 강도의 보고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AP로부터 이동 단말의 액세스와 관련된 탐지 신호를 송신한 경우, AP에 수신 강도의 보고를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요청 받은 AP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S950)에서, AP가 이동통신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 강도의 보고를 요청받은 경우, AP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 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S960)에서, AP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AP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 또는 인접한 AP와 통신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AP는 이동 단말과 관련된 접속 정보를 업데이트 한 이후에도, 이동통신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 강도의 송신을 중지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전까지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계속하여 수신 강도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970)에서, AP가 이동통신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 강도의 송신을 중지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 강도의 측정을 중단하고 이동통신 관리 장치로의 수신 강도 송신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코드,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이동통신 관리 장치
120: AP 1의 서비스 영역
125: AP 1
130: AP 2의 서비스 영역
135: AP 2
140: AP 3의 서비스 영역
145: AP 3
150, 155, 160, 165, 170, 175, 180: 이동 단말
190: 네트워크 망

Claims (16)

  1.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들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단계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에 서로 다른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은,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에서만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2. 삭제
  3. 이동통신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관리 장치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들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단계는,
    클러스터(Cluster)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여 전송 시간의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4.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중첩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에서만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5. 삭제
  6.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할당부;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부는,
    클러스터(Cluster)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여 전송 시간의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
  13.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 시간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하는 할당부; 및
    상기 시간의 함수에 따라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부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전송 시간이 중첩되지 않도록 액세스 포인트들에 서로 다른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은,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에서만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관리 장치.
  14.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하는 할당부;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5. 이동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채널을 할당하는 할당부;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설정된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중첩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할당된 전송 시간 동안에서만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16. 삭제
KR1020120054815A 2012-05-23 2012-05-23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KR10144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15A KR101449798B1 (ko) 2012-05-23 2012-05-23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15A KR101449798B1 (ko) 2012-05-23 2012-05-23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55A KR20130131055A (ko) 2013-12-03
KR101449798B1 true KR101449798B1 (ko) 2014-10-13

Family

ID=4998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815A KR101449798B1 (ko) 2012-05-23 2012-05-23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1565A (ja) 2005-05-04 2008-11-2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アクセス・ポイントの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ソース割り当て
KR20100045225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팬택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기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전송 스케줄러 및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20110128699A (ko) * 2010-05-24 2011-1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268945B1 (ko) 2008-08-27 2013-05-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섹터간 제어 채널 전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1565A (ja) 2005-05-04 2008-11-2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アクセス・ポイントの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ソース割り当て
KR101268945B1 (ko) 2008-08-27 2013-05-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섹터간 제어 채널 전송
KR20100045225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팬택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기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전송 스케줄러 및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20110128699A (ko) * 2010-05-24 2011-1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55A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8480B2 (ja) 無線局、無線局において行われる方法、及び無線端末
US11483720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P3547756B1 (en) Wireless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RU266807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TWI498021B (zh) 無線多rat系統的高效交遞量測
US10299200B2 (en)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by station device, device, and system
JP5195911B2 (ja) 基地局制御モジュール、無線基地局、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基地局制御方法
US9801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dentifier of small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ierarchical cell structure
US10098003B2 (en) Access node, a communication device, respective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carrier hopping
US2010006907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over in a radio access network
KR20130010722A (ko) Lte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300429A1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CN105432116A (zh) 小区切换的方法、基站及系统
US20160192283A1 (en) Method for searching wireless la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wireless lan search information
JP2024054165A (ja) ハンドオーバを開始するための方法、ノード、およびue
CN111417110A (zh) 一种基于nsa的小区配置方法及装置
CN103581998A (zh) 切换或承载分离的判决及测量上报方法和设备
WO2017020192A1 (zh) 一种负载均衡方法及装置
WO2018192705A1 (en) Automatic management of pre-configuration levels for autonomous ue mobility
KR10223373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서비스 영역이 작은 셀간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49798B1 (ko)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핸드오버 수행 방법, 이동통신 관리 장치, 액세스 포인트
CN113891416A (zh) 小区接入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CA3158034A1 (en) Ue group based cell reselection
WO2011088637A1 (zh) 一种中继网络中小区选择与切换的方法及系统
KR1010924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