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592B1 -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92B1
KR101449592B1 KR1020130129050A KR20130129050A KR101449592B1 KR 101449592 B1 KR101449592 B1 KR 101449592B1 KR 1020130129050 A KR1020130129050 A KR 1020130129050A KR 20130129050 A KR20130129050 A KR 20130129050A KR 101449592 B1 KR101449592 B1 KR 10144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radiation dose
dos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석
Original Assignee
배진석
주식회사 가온원자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석, 주식회사 가온원자력 filed Critical 배진석
Priority to KR102013012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5Instruments in which pulses generated by a radiation detector are integrated, e.g. by a diode pump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은 방사선을 검출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계수한 펄스 계수값을 USB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사선 측정기와, 상기 USB 통신으로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근거로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지도상에 상기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와 방사선 측정기 사이에 USB 커넥터를 통해 전원 공급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방사선 선량정보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 및 저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배터리,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거하여 방사선 측정기를 저비용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해당 위치의 방사선 선량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방사선 관리서버에 전송해서 관리토록 함으로써, 이를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Mobile Terminals linked radiatio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와 방사선 측정기 사이에 USB 커넥터를 통해 전원 공급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수집된 방사선 선량과 위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 및 저장하고, 상기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방사선 관리서버에 전송해서 관리토록 함으로써 이를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은 불안정한 원소가 안정한 원소의 상태가 되면서 방출하는 전자파로 물질을 투과할 수 있는 힘을 가진 광선과 같은 것으로 엑스선과 감마선 등이 있으며 종류에 따라 투과력이 다르다.
엑스선과 감마선을 대비하면, 엑스선보다 감마선의 파장이 더 짧으며 감마선은 물질을 투과하는 능력이 보통 엑스선보다 훨씬 강하여서 엑스선으로 투과하기 힘든 대상을 투과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방사선은 자연 방사선과 인공 방사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자연 방사선은 우주에서 유입되는 방사선이나 공기 중의 라돈 등에 의한 방사선이 있고, 인공 방사선은 질병의 치료나 검사, 구조물의 비파괴검사 등과 같은 의료용 또는 산업용 목적을 위해서 인위적으로 발생한 방사선이 있다.
일상적인 수준으로 조사되는 방사선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나 일정치 이상의 방사선은 인체에 여러 가지 손상을 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큰 에너지를 가진 방사선에 의한 인체의 DNA 손상이 예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사선을 의료 현장, 산업 현장 또는 생활 공간에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시중에 나와 있다.
일반적인 방사선 측정장치는 크게 장치에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PIN 다이오드, GM Tube 등의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검출한 신호가 미약하므로 이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검출된 신호의 펄스의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계수된 방사선 정보로 방사선 선량을 산출하는 평가부 및 평가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사선 측정장치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므로 수시로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고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부분이 고가이며 산출한 방사선 선량을 장치에서 표시하는 역할만 하여 수집된 정보를 잘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방사선 측정장치의 경우 측정 개시시부터 미리 설정된 계수 시간까지의 계수값을 평균하여 방사선 선량을 계산하므로 상기 계수 시간이 경과하여야 통계적으로 유효한 방사선 선량값을 얻을 수 있으나, 종래의 방사선 측정장치의 경우 방사선을 계수하는 시간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느 시점의 값을 유효한 선량값으로 인식하여야 할지 모호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사선 측정장치는 중앙 서버와 실시간 상호 데이터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측정된 방사선 측정 데이터를 여러 지역에 분포한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활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10215호(공고일자 2012년03월0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와 방사선 측정기 사이에 USB 커넥터를 통해 전원 공급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방사선 선량정보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 및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거하여 방사선 측정기를 저비용화 및 소형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방사선 선량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방사선의 수집시간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유효한 방사선 선량의 표시시점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해당 위치의 방사선 선량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방사선 관리서버에 전송해서 관리토록 함으로써, 이를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은 방사선을 검출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계수한 펄스 계수값을 USB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사선 측정기와, 상기 USB 통신으로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근거로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지도상에 상기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전송되는 상기 펄스 계수값의 크기에 따라 방사선 수집시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사선 수집시간 동안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을 표시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카운트되는 상기 방사선 수집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나 PC와 연결되는 방사선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상기 방사선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나 PC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나 PC는 방사선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색상이나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는 동일한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하고,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동일한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다른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은 (a) 방사선 측정기에서 방사선을 검출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계수한 펄스 계수값을 USB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USB 통신으로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근거로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현재 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방사선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와 방사선 측정기 사이에 USB 커넥터를 통해 전원 공급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방사선 선량정보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 및 저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배터리,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거하여 방사선 측정기를 저비용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방사선 선량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방사선의 수집시간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유효한 방사선 선량의 표시시점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방사선 측정기에서 수집된 해당 위치의 방사선 선량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방사선 관리서버에 전송해서 관리토록 함으로써, 이를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마트폰과 방사선 측정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방사선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방사선 측정시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사선 측정기의 실제 구성 및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모바일 단말기라 함은 LAN과 같은 내부 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단말기 상호간 또는 서버와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나,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통신망은 유무선 인터넷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은 방사선 관리서버(10),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10)에 유무선 인터넷(20)을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PC(30a,…,30n)와 다수의 스마트폰(40a,…,40n), 상기 스마트폰(40a,…,40n)과 USB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방사선 측정기(50a,…,50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사선 측정기(50a,…,50n)는 스마트폰(40a,…,40n)과 USB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방사선을 검출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생성된 펄스신호를 1초 동안 계수하여 계수값을 USB 통신으로 스마트폰(40a,…,40n)으로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40a,…,40n)은 방사선 측정기(50a,…,50n)에서 USB 통신으로 전송한 계수값을 근거로 미리 저장된 방사선 선량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a,…,40n)은 방사선 선량값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펄스신호가 계수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통계적으로 유효한 방사선 선량값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선량값은 방사선 측정기에서 매 1초당 계수된 계수값을 미리 정해진 방사선 수집 시간 동안 평균하여 1분당 계수값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출되기 때문에, 방사선 측정을 시작한 때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방사선 수집 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 비로소 통계적으로 안정된 유효한 방사선 선량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사선 측정장치는 방사선의 계수 시간을 표시하지 않고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순시값으로 표시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시간대(즉, 측정 개시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방사선 수집 시간까지의 시간대)에 표시되는 방사선 선량 정보를 유효한 값으로 잘못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측정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의 계수 시간을 방사선 선량정보와 함께 표시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a,…,40n)은 GPS를 이용한 자신의 위치정보, 방사선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지도와 같은 지리적 정보 및 저장된 방사선 선량정보(즉, 선량값)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따른 각 위치별 방사선 선량값을 지리적 정보(일예로서,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경로에 따른 방사선 선량값의 변화를 수치 또는 색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은 방사선 피폭과 같은 비상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경로에 따른 방사선 선량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방사선 선량이 낮은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a,…,40n)은 저장된 방사선 선량값과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등을 스마트폰의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방사선 관리서버(10)에 전송한다.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10)는 다수의 각 스마트폰(40a,…,40n)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지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각 스마트폰(40a,…,40n)에서 전송한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PC(30a,…,30n)나 스마트폰(40a,…,40n)에서 유무선 인터넷(20)을 통해 정보 요구시 자료를 전송한다.
즉, 상기 스마트폰(40a,…,40n)이나 PC(30a,…,30n)는 방사선 관리서버(10)에 유무선 인터넷(20)을 통해 접속하여 저장된 데이터(위치정보와 그 위치에 따른 방사선 선량값)를 전송받아 지도상에 방사선 선량값을 구분되는 색상 및/또는 수치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은 통상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위치의 좌표값 등을 수치로 함께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마트폰과 방사선 측정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40)의 USB 커넥터2(41)에 직접 연결되어 스마트폰(40)의 배터리(42) 전원으로 구동되는 방사선 측정기(50)는 방사선 센서부(51), 신호 증폭부(52), 계수부(53a)와 USB 제어부(53b)로 이루어지는 MCU(53), 전원부(55), 버저(56), USB 커넥터1(54)로 구성된다.
방사선 측정기(50)의 전원부(55)는 USB 커넥터(41,54)를 이용하여 스마트폰(40)의 배터리(42)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 레귤레이터 등을 통해 방사선 측정기(50)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출력한다.
방사선 센서부(51)는 방사선의 전리작용을 이용한 센서로 반도체 센서(PIN 다이오드)로 구현되고 방사선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개를 배치하며 검출 면적을 넓히고 수집된 검출 신호는 신호 증폭부(52)로 출력한다.
신호 증폭부(52)는 방사선 센서부(51)에서 검출한 미약한 신호를 증폭회로를 통해 증폭하여 일정 크기의 펄스로 만든다.
MCU(53)의 계수부(53a)는 신호 증폭부(52)에서 만들어진 펄스의 수를 계수하는 곳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펄스만 1초 마다 연속하여 계수하며 펄스마다 버저(56)를 울리게 하여 방사선의 존재를 소리로 알려준다.
상기 계수부(53a)에서 1초 동안 계수된 값은 스마트폰(40)의 방사선 분석앱(43)에서 측정명령 요청이 있을시 1초마다 USB 제어부(53b)를 거쳐 USB 커넥터1,2(54,41)를 통해 스마트폰(40)으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측정기(5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MCU(53)는 계수부(53a)와 USB 제어부(53b)를 포함한다.
다음 스마트폰(40)의 방사선 분석앱(43)은 방사선 측정기(50)가 스마트폰(40)의 USB 커넥터2(41)에 삽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해서 연동하여 실행된다.
즉, 상기 방사선 분석앱(43)은 방사선 측정기(50)가 USB 커넥터2(41)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USB 통신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방사선 분석앱(43)은 방사선 측정기(50)에서 얻은 1초당 펄스 계수값을 기반으로 펄스 계수값의 양에 따라 방사선 수집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1분당 펄스 계수값을 구하고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한다.
즉, 상기 방사선 분석앱(43)은 펄스 계수값의 양이 클 경우에는 방사선 수집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고 펄스 계수값의 양이 작을 경우에는 방사선 수집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계수값의 크기에 따라 방사선의 수집시간을 달리함으로써 통계상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면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시간, 방사선 선량값 및 누적 방사선 선량값을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하고 펄스 계수값 수집시간(즉, 방사선의 수집시간)의 경과과정(또는 진행과정)을 다운 카운터 또는 업 카운터 등의 숫자나 시간 경과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막대 등의 기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사선의 수집시간을 일예로서 다운 카운터로 표시하여 방사선의 수집시간이 0이 되는 시점부터 방사선 선량값을 읽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술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효한 정확한 방사선 선량값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선량값의 변화 추이 그래프도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한다.
또한, 스마트폰 본래의 위치정보 수집기능을 이용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와 같은 지리적 정보상에 현재 위치의 방사선 선량값을 표시하고, 방사선 관리서버(10)에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을 스마트폰의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지리적 정보는 방사선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받거나 기타 다른 앱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아울러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선량값이 일정값 이상일 때 알람을 울리도록 설정하여 알람을 울려주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방사선 분석앱(43)은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방사선 관리서버(10)에 전송한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을 방사선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받아 지도상에 여러 지역에 대한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할 수도 있다.
( 제2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 병원, 학교, 연구소 등의 방사선 관리지역이 있는 경우, 동일한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다수의 스마트폰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스마트폰 그룹(400a,400b,400c) 단위로 방사선 관리서버(10)에서 관리한다.
예를 들어, 방사선 관리서버(10)는 어느 하나의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스마트폰 각각으로부터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을 전송받아 이를 DB에 저장하고, 해당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다른 스마트폰에 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방사선 관리지역의 복수 위치에 대한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10)는 상기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각 스마트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거나 푸시 형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10)는 각 방사선 관리지역의 스마트폰 그룹(400a,400b,400c)별로 DB를 할당하여 해당 그룹의 DB에 스마트폰의 식별정보(전화번호, 사용자 등), 위치정보 및 방사선 선량값 등을 저장한다.
스마트폰(40)의 방사선 분석앱(43)은 방사선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동일 그룹내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 정보(자신의 정보 포함)를 이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도상에 각 위치의 방사선 선량값을 색상 및/또는 수치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은 해당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피폭이 발생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지도상에 표시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방사선 선량값이 적은 위치로 안전하게 이동,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 그룹(400a,400b,400c)이 스마트폰으로만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통신이 가능한 PC 등도 동일한 스마트폰 그룹(400a, 400b, 400c)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의 방사선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측정기(50)의 USB 커넥터1(54)이 스마트폰(40)의 USB 커넥터2(41)에 연결되면 스마트폰(40)의 방사선 분석앱(43)이 이를 감지하여 실행되고 방사선 측정기(50)에 방사선 측정을 요청한다.
상기 방사선 측정기(50)는 USB 커넥터1,2(41,54)를 통해 배터리(42)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기 시작하고, 방사선 분석앱(43)의 요청에 의해 방사선 센서부(51)에서 방사선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신호 증폭부(52)에 출력한다(S402).
상기 신호 증폭부(52)는 방사선 센서부(51)에서 출력한 미약한 방사선 검출 신호를 증폭하여 일정 크기의 펄스로 만든다(S404).
계수부(53a)는 신호 증폭부(52)에서 만든 펄스 중 일정 크기 이상의 펄스만 1초 마다 연속하여 계수하고 이때 계수된 펄스마다 버저(56)를 울리게 하여 방사선의 존재를 소리로 알려준다(S406).
상기 펄스 계수값은 USB 제어부(53b), USB 커넥터1,2(54,41)를 통해 스마트폰(40)의 방사선 분석앱(43)에 전송한다(S408)
상시 방사선 분석앱(43)은 1초당 펄스 계수값을 기반으로 펄스 계수값의 양에 따라 방사선 수집시간을 달리하여 1분당 펄스 계수값을 구하고 방사선 선량율값을 산출하며, 도 5a와 같이 측정시간, 방사선 선량값 및 누적 방사선 선량값을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한다(S410).
이때, 상기 방사선 분석앱(43)은 펄스 계수값의 수집시간을 다운 카운터로 표시하여 방사선 수집시간이 0이 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유효한 정확한 방사선 선량값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에서 스타트 버튼은 방사선 측정을 시작하거나 재측정할 때 사용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선량값의 변화 추이 그래프도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한다.
다음 방사선 분석앱(43)은 스마트폰 본래의 위치정보 수집기능을 이용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 현재 위치의 방사선 선량값을 표시하고(S412), 방사선 관리서버(10)에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을 스마트폰의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S414).
방사선 관리서버(10)는 S414 단계에서 전송된 각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방사선 선량값을 저장하고 이를 동일한 관리지역에 있는 스마트폰 그룹(400a,400b,400c)에 속한 각 스마트폰에 전송하며(S416), 각 스마트폰의 방사선 분석앱(43)은 전송받은 위치정보 및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공유하게 된다.
나아가, 실제 피폭이 발생하거나 피폭 발생 위험이 있어 대피하라는 명령이 있는 경우(S418), 방사선 분석앱(43)은 상기 S416 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현위치에서 가장 적절한 대피 이동경로를 지도상에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하며(S420), 스마트폰 사용자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안전하게 대피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경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방사선 선량값이 낮은 지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사선 측정기의 실제 구성 및 상기 방사선 측정기가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배터리로 구동되는 방사선 측정기의 구동 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폰의 USB 커넥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방사선 선량을 산출하고 분석하는 앱을 스마트폰에 구현하여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방사선 측정기에 구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사선 측정기를 가볍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측정시스템은 방사선 선량값, 현재 위치 등을 포함하는 방사선 측정 정보를 방사선 측정기가 아닌 모바일 단말기나 방사선 관리서버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메모리와 관련된 구성이 생략됨으로써 방사선 측정기의 사양을 더욱 간결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의 측정 중에 방사선을 계수하는 수집 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통계적으로 유효한 정확한 방사선 선량값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스마트폰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사선 관리서버에 산출한 방사선 선량값과 위치 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필요시 다른 사용자들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지도상에서 관심 있는 위치의 방사선 선량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방사선 관리서버 20: 유무선 인터넷
30a,…,30n: PC 40a,…,40n: 스마트폰
41: USB 커넥터2 42: 배터리
43: 방사선 분석앱 44: 디스플레이부
50a,…,50n: 방사선 측정기 51: 방사선 센서부
52: 신호 증폭부 53: MCU
53a: 계수부 53b: USB 제어부
54: USB 커넥터1 55: 전원부
56: 버저 400a,400b,400c: 스마트폰 그룹

Claims (12)

  1. 방사선을 검출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계수한 펄스 계수값을 USB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사선 측정기;와
    상기 USB 통신으로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근거로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전송되는 상기 펄스 계수값의 크기에 따라 방사선 수집시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사선 수집시간 동안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을 표시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카운트되는 상기 방사선 수집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지도상에 상기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나 PC와 연결되는 방사선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상기 방사선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나 PC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나 PC는 방사선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색상이나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는 동일한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하고,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동일한 방사선 관리지역 내에 있는 다른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6. (a) 방사선 측정기에서 방사선을 검출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계수한 펄스 계수값을 USB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USB 통신으로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근거로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현재 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방사선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전송되는 상기 펄스 계수값의 크기에 따라 방사선 수집시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사선 수집시간 동안 전송된 펄스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선 선량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방사선 선량값을 표시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카운트되는 상기 방사선 수집시간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e)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서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나 PC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현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색상이나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
  9. 삭제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방사선 선량값의 변화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부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f) 상기 모바일 단말기나 PC에서 상기 방사선 관리서버에서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량값 정보를 색상이나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나 PC는 방사선 관리서버에서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보다 방사선 선량값이 낮은 위치로 설정되는 이동경로를 지도상에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방법.
KR1020130129050A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KR10144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50A KR101449592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50A KR101449592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592B1 true KR101449592B1 (ko) 2014-10-08

Family

ID=5199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050A KR101449592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804A (ko) 2019-09-02 2021-03-10 정재필 방사선 관제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48219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 방사선 감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671B1 (ko) 2011-06-10 2011-09-19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스마트폰 결합형 환경방사능 측정장치
KR20120077249A (ko) * 2010-12-30 2012-07-10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스마트폰을 이용해 방사선량을 감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249A (ko) * 2010-12-30 2012-07-10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스마트폰을 이용해 방사선량을 감시하는 방법
KR101065671B1 (ko) 2011-06-10 2011-09-19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스마트폰 결합형 환경방사능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804A (ko) 2019-09-02 2021-03-10 정재필 방사선 관제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48219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 방사선 감시 시스템
KR102428064B1 (ko) 2020-10-12 2022-08-03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 방사선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891B1 (ko) 실시간 연속 라돈 검출장치
ES2923858T3 (es) Sistema para la detección de radiación gamma de un analito radiactivo
US10921465B2 (en) Radon monitor
US20070023671A1 (en) Imaging system
CN107076859A (zh) 具有光共享和相互作用深度估计的pet探测器闪烁体布置
CN109975855B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宽量程智能X-γ剂量率仪装置
BR102014027568A2 (pt) sistema e método de monitoramento das oportunidades de higienização de mãos em leitos hospitalares
KR101449592B1 (ko) 모바일 단말기 연동 방사선 측정시스템 및 방법
US9568612B1 (en) 3D image generation with position-sensing gamma probe
Devic et al. Characterization of an innovative detector based on scintillating fiber for personalized computed tomography dosimetry
KR102016965B1 (ko) 방사선 검출정보 무선 송수신 장치
Muniraj et al. Geo tagge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for radiation monitoring
US9055923B2 (en) Computed radiography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KR101330117B1 (ko) 다채널 광전소자를 이용하는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장치
US1052474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s of origin of radiation signals in a measurement zone, and measur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radiation events of decaying radionuclides in the measurement zone
JP4415707B2 (ja) 放射線検出装置及び放射線分布監視装置
US20190187299A1 (en) Range-extended dosimeter
US20170293035A1 (en) Wearable Lifetime Personal High Sensitivity and Wide-Dynamic Rang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Radiation Exposure Measurement and Cancer Risk Management Due to Harmful Radiation in All Environments
CN102439485B (zh) 核医学成像装置及核医学成像系统
KR102244538B1 (ko) 광대역 방사선 측정센서와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JP2002221577A (ja) 放射線測定装置
RU2604695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достоверности результатов измерения носимым измерителем мощности дозы на радиоактивно загрязненной местности в период формирования следа радиоактивного облака
Rawat et al. A Low Cost Portable Radiation Level Monitoring Device
KR101308937B1 (ko) 차량을 이용한 방사능오염 탐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탐사 방법
Park et al. Remote radiation sensing module based on a silicon photomultipli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