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020B1 -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020B1
KR101449020B1 KR1020080007067A KR20080007067A KR101449020B1 KR 101449020 B1 KR101449020 B1 KR 101449020B1 KR 1020080007067 A KR1020080007067 A KR 1020080007067A KR 20080007067 A KR20080007067 A KR 20080007067A KR 101449020 B1 KR101449020 B1 KR 10144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mage
brightness
reg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141A (ko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0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N×M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나누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의 밝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의 밝기가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의 밝기가 상기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셀에 셀 별로 기 설정된 모드 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모드 별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으로써, 풍경모드, 인물모드 등의 기능별 모드 선택 없이 자동으로 기능별 모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에서 이미지 신호 처리(ISP:Image Signal Proessor) 내에 구현된 알고리즘(Algorithm) 중의 하나인 자동 노출(AE:Auto Exposure) 시스템은 영상 이미지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동 노출(AE:Auto Exposure) 시스템은 영상 이미지의 밝기 값을 피드백(Feed bark) 받아 목표 밝기 값과 비교하여 편차를 보상해주는 크로즈 루프 제어 시스템(Close Loop Control System)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드백 값은 자동 노출(AE:Auto Exposure)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는 영상 이미지의 밝기를 피드백 받아 처리하기 위해 영상 이미지의 영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 영역에 기 설정된 가중치로 영상 이미지 처리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는 카메라 모듈에서 영상 이미지에 분포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모두를 표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핵심이 되는 영상 이미지의 영역을 가중치로 영상 이미지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를 측광 모드라고 하는 데, 측광 모드에는 Average 측광모드, Sport 측광모드, 5 Point Multi 측광모드, 9 Point Multi 측광모드 등이 있다.
또한, 영상 이미지의 상황별 모드를 두어 풍경모드, 인물모드 등이 별도로 존재하고 이러한, 상황별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이에,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풍경모드, 인물모드 등의 모드별 기능을 선택한 후, 영상 이미지를 촬영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풍경모드, 인물모드 등의 기능별 모드 선택 없이 기능별 모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N×M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나누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의 밝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의 밝기가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의 밝기가 상기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셀에 셀 별로 기 설정된 모드 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모드 별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풍경모드, 인물모드 등의 기능별 모드 선택 없이 자동으로 기능별 모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N×M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나누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의 밝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의 밝기가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의 밝기가 상기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셀에 셀 별로 기 설정된 모드 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모드 별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역의 밝기는 풍경 모드의 밝기, 인물 모드의 밝기 또는 다중 인물 모드의 밝기이고, 상기 모드 별 밝기 정보는 풍경 모드의 밝기 정보, 인물 모드의 밝기 정보 또는 다중 인물 모드의 밝기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드 별 영역의 밝기가 상기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의 밝기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신호 처리부(ISP:Image Signal Processor)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N×M의 형태로 셀(Cess)을 나눈다(S100).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M의 형태로 셀(Cess)이 나누어진 영상 이미지이다.
다음,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영상 이미지 밝기를 계산한다(S101).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풍경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풍경 모드 영상 이미지 밝기를 계산하고, 인물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인물 모드 영상 이미지 밝기를 계산하며, 다중 인물 모드에 해당하는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다중 인물 모드 영상 이미지 밝기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풍경 모드의 영역을 나타낸 영상 이미지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물 모드의 영역을 나타낸 영상 이미지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물 모드의 영역을 나타낸 영상 이미지이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영역별로 계산된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풍경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판단하고(S102), 비교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 밝기가 풍경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인물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판단한다(S103).
상기한 단계(S103)에서 비교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인물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다중 인물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판단하고(S104), 비교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다중 인물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입사된 영상 이미지의 밝기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05).
또한, 상기한 단계(S104)에서 비교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다중 인물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도 4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셀에 셀 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중 인물 모드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06).
또한, 상기한 단계(S103)에서 비교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인물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셀에 셀 별로 기 설정된 가중치(G)를 적용하여 인물 모드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07).
또한, 상기한 단계(S103)에서 비교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 밝기가 기 설정된 풍경 모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도 4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셀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풍경 모드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08).
여기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풍경 모드의 셀 별 가중치를 나타낸 영상 이미지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물 모드의 셀 별 가중치를 나타낸 영상 이미지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물 모드의 셀 별 가중치를 나타낸 영상 이미지이다.
그리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획득한 풍경모드, 인물모드 또는 다중모드의 영상 이미지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거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또한, 풍경모드 밝기 정보, 인물 모드 밝기 정보 또는 다중 인물 모드 밝기 정보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풍경모드, 인물모드 등의 기능별 모드 선택 없이 자동으로 기능별 모드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M의 형태로 셀(Cess)이 나누어진 영상 이미지.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풍경 모드의 영역을 나타낸 영상 이미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물 모드의 영역을 나타낸 영상 이미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물 모드의 영역을 나타낸 영상 이미지.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풍경 모드의 셀 별 가중치를 나타낸 영상 이미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물 모드의 셀 별 가중치를 나타낸 영상 이미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물 모드의 셀 별 가중치를 나타낸 영상 이미지.

Claims (4)

  1.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로 분할하는 단계와,
    풍경 모드, 인물 모드, 다중 인물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에 대해서 각 모드별로 할당된 영역의 밝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 모드별로 할당된 영역의 밝기가 해당 모드에 대한 밝기 정보에 포함되는지 비교하여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셀에 상기 판단된 모드에 대해서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모드별로 할당된 영역은,
    풍경 모드의 경우에는 영상 이미지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영상 이미지 중앙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인물 모드의 경우에는 영상 이미지 중앙보다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제1영역의 하측에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2영역과, 영상 이미지 중앙보다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며,
    다중 인물 모드의 경우에는 영상 이미지 중앙보다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1영역과, 제1영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2영역과, 영상 이미지 중앙보다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셀들을 포함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별 영역의 밝기가 상기 기 설정된 모드 별 밝기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의 밝기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0080007067A 2008-01-23 2008-01-23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44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67A KR101449020B1 (ko) 2008-01-23 2008-01-23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67A KR101449020B1 (ko) 2008-01-23 2008-01-23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41A KR20090081141A (ko) 2009-07-28
KR101449020B1 true KR101449020B1 (ko) 2014-10-10

Family

ID=4129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067A KR101449020B1 (ko) 2008-01-23 2008-01-23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601B1 (ko) 2011-08-11 201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1440B1 (en) * 2000-04-13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mage acquisition controls
JP2002199272A (ja) * 2001-11-05 2002-07-12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1440B1 (en) * 2000-04-13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mage acquisition controls
JP2002199272A (ja) * 2001-11-05 2002-07-12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41A (ko)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2278B1 (en) Imaging apparatus, a focusing method and a program for executing such a method
US8121404B2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7925047B2 (en) Face importance level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7983550B2 (en) Focus adjusting apparatus, camera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of optical system
US8779341B2 (en) Imaging apparatus and exposure control method
US8284300B2 (en) Electronic camera
US11159711B2 (en) Image-capturing apparatus
JP2009177472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US8731437B2 (en)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focus adjusting method
CN103888661A (zh) 摄像设备、摄像系统和摄像设备的控制方法
US7957633B2 (en)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focus adjusting method
JP6049333B2 (ja) 焦点検出装置及び焦点検出装置の制御方法
US20100277609A1 (en) Electronic camera
US816468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hich performs aperture value control for a multiple exposure image, and recording medium
JP2008187412A (ja) 電子カメラ
JP2010130231A (ja) 撮像装置
KR20130057762A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0460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0392205B (zh) 图像处理设备、信息显示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20120113282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49020B1 (ko)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2011223378A (ja) 電子カメラ
JP2006324866A (ja) 自動露出制御装置
US20180091719A1 (en) Backlight correction program and semiconductor device
US20110292249A1 (en) Electronic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