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50B1 -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50B1
KR101448750B1 KR1020120140584A KR20120140584A KR101448750B1 KR 101448750 B1 KR101448750 B1 KR 101448750B1 KR 1020120140584 A KR1020120140584 A KR 1020120140584A KR 20120140584 A KR20120140584 A KR 20120140584A KR 101448750 B1 KR101448750 B1 KR 10144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aster
slave
rece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733A (ko
Inventor
김현욱
김홍열
박재홍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점유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신호(Req)와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를 주고 받은 동작으로 주기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과정; 마스터는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슬레이브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을 검출하는 과정; 마스터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1을 초과하면 유휴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 마스터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2을 초과하면 슬레이브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고, 슬레이브에 검색된 유휴 채널 정보와 함께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메시지에 대한 확인신호(Ack)가 수신되면 유휴 채널을 점유한 다음 유휴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METHOD FOR COMMUNICATION DATA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물리계층 및 매체 접근 제어계층은 IEEE 802.15.4의 표준에 의해 정의되며 IEEE 802.15.4의 물리계층에서 정의된 2.4GHz의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대역은 산업, 과학, 의료 등에 많이 사용되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으로 블루투스, 무선랜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무선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지그비 네트워크에 많은 간섭을 주게 되었으며 특히 지그비 네트워크는 송신 출력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송신 출력이 큰 무선랜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간섭은 패킷 전송의 실패를 야기시키므로 지그비 네트워크를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제어용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제어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종래의 기술은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채널의 점유가 해제될 때까지 대기한 후 통신을 재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그비 통신이 적용되는 센서 네트워크 등의 응용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의 실시간성이 중요치 않으므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채널의 점유가 풀릴 때까지 대기한 후 통신을 재개하는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실시간 제어의 응용에서는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반응 시간의 증가를 유발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30238호(2007.06.19.) 등록특허공보 제10-1171451호(2012.08.0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채널 점유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채널 호핑(Channel Hopping)으로 유휴 채널을 점유하여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을 유지할 수 있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점유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신호(Req)와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를 주고 받은 동작으로 주기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슬레이브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1을 초과하면 유휴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2을 초과하면 슬레이브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고, 슬레이브에 검색된 유휴 채널 정보와 함께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메시지에 대한 확인신호(Ack)가 수신되면 유휴 채널을 점유한 다음 유휴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마스터는 검출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1 미만인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실패가 발생하면 일정시간 이내에 데이터 재전송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는 데이터 재전송을 실행하는 시간 동안 유휴 채널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는 유휴 채널이 2개 이상 검출되면 채널 호핑의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는 이전의 간섭에 의해 채널 호핑이 실행되었던 채널이었는지 여부, 현재 채널과 인접 채널이 아닌지 여부, 마스터에 주어진 고유식별 번호를 초기값으로 하는 난수 값을 적용하여 유휴 채널에 대하여 채널 호핑의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는 혼잡에 의해 통신 품질이 극히 저하되기 직전 상태를 임계값2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체 슬레이브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전체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유휴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체 슬레이브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한 상태에서 전체 슬레이브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다시 맨 처음 슬레이브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체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유휴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에서 채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유휴 채널을 검색하여 통신을 시도하므로 데이터 송수신의 성공율이 증가하여 실시간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휴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시스템에 의한 간섭 영향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다른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시스템의 운용에 안전성 및 신뢰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 간섭 발생시 유휴 채널 점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1개의 마스터(100)와 복수개의 슬레이브(200)로 구성되며, 마스터(100)와 슬레이브(200)간의 데이터 통신은 마스터(100)의 데이터 송신 요청신호(Req)에 따라 슬레이브(2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터(100)의 데이터 송신 요청신호(Req)는 슬레이브(200)와 1 : 1 통신으로 이루어지고, 슬레이브(200)의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는 상황에 따라 마스터(100)에 1 : 1 통신으로 전송되거나 다른 슬레이브로 브로드캐스팅 될 수 있다.
그리고, 지그비의 페이로드(Payload)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태틱 세그먼트(Static Segment)와 다이나믹 세그먼트(Dynamic Segment)로 구분된다.
상기 스태틱 세그먼트(Static Segment)는 마스터(100)와 각 슬레이브(200) 사이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다이나믹 세그먼트(Dynamic Segment)에서는 채널 호핑을 위한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마스터(100)와 슬레이브(200)가 점유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채널의 간섭 여부는 마스터(100)의 데이터 송신 요청신호(Req)에 따라 슬레이브(2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여부로 판단한다.
상기 마스터(100)와 슬레이브(200)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채널 간섭이 발생되면 마스터(100)는 다른 유휴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유휴 채널로 채널 호핑하여 점유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100)는 전체 슬레이브(200)에 채널 호핑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체 슬레이브(200)로부터 채널 호핑을 확인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절차를 수행하여 마스터(100)와 전체 슬레이브(200)간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채널 호핑으로 점유된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스터(100)와 복수개 슬레이브(200)간의 통신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마스터(10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요청신호(Req)를 슬레이브(200)에 전송하고, 슬레이브(200)는 마스터(10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는 확인신호(Ack)를 제공하는 동작으로 주기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한다(S101).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터(100)와 슬레이브(200)가 주기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간을 스태틱 세그먼트라 하며, 스태틱 세그먼트 동안 마스터(100)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일정시간 동안 슬레이브(2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을 연산한다(S102).
상기 S102에서 마스터(100)는 연산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임계치1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03).
상기 S103에서 마스터(100)는 연산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임계값1 미만인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에 실패가 발생하면 사전에 프로그램된 시간 이내에서 전송 실패한 데이터의 재전송을 시도하며, 이 구간을 다이나믹 세그먼트라 한다(S104).
상기 S103에서 마스터(100)는 연산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임계치1을 초과하면 최대로 허용된 다이나믹 세그먼트 시간 동안 유휴 채널을 검색한다(S105).
상기 마스터(100)는 상기 S105에서 검색된 2개 이상의 유휴 채널에 대하여 채널 호핑의 우선 순위를 할당한다(S106).
상기 유휴 채널에 대하여 채널 호핑의 우선 순위 할당은 이전의 간섭에 의해 채널 호핑이 실행되었던 채널이었는지 여부, 현재 채널과 인접 채널이 아닌지 여부, 그리고 마스터(100)에 주어진 고유식별 번호를 초기값으로 하는 난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마스터(100)와 슬레이브(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수신 실패율이 늘어나 상기 마스터(100)에서 연산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임계값2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07).
상기 임계값2의 설정은 혼잡에 의해 통신 품질이 극히 저하되기 직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107에서 마스터(100)는 연산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실패율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임계값2를 초과하면 마스터(100)는 슬레이브(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고(S108) 상기 S106에서 검색된 유휴 채널에서 우선 순위로 할당된 채널로의 채널 호핑 메시지를 슬레이브1(200-1)에 송신한다(S109).
상기 마스터(100)는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슬레이브1(200-1)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10),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슬레이브1(200-1)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마스터(100)는 슬레이브1(200-1)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해당 채널을 점유한다.
상기 마스터(100)의 채널 호핑 메시지 전송은 N개의 슬레이브(200-N)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N개의 슬레이브(200-N)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채널을 점유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100)와 슬레이브(200)는 채널 호핑으로 점유한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한다.
상기에서 슬레이브1(200-1)의 채널 호핑 메시지에 대한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가 슬레이브2(200-2)에 수신되면 슬레이브2(200-2) 역시 호핑 채널을 확인하고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다음 슬레이브에 출력하며, 이러한 과정은 마지막 슬레이브인 슬레이브N(200N)까지 반복한다.
상기에서 마스터(100)는 복수개의 슬레이브(200)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슬레이브(200)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때 중간의 특정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마스터(100)는 다시 슬레이브1(200-1)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재전송하여 전체 슬레이브(200-N)가 채널 호핑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절차를 통해 마스터(100)와 전체 슬레이브(200)간 채널 호핑으로 유휴 채널이 점유되면 점유된 채널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 간섭 발생시 유휴 채널 점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 시스템에 적용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채널 11번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핸드폰 단말기나 노트북 Wi-fi와 같은 이기종 네트워크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면 지그비 네트워크의 마스터는 통신 채널에서의 간섭 발생을 감지함과 동시에 사용 가능한 11~14번 채널 중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유휴 채널인 13번 채널을 검색한다.
그리고, 마스터는 네트워크 내 다른 슬레이브들에게 채널 호핑 메시지로 유휴 채널인 13번 채널 번호를 전송하고, 각 슬레이브에서 채널 변경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하면 채널 호핑을 통해 유휴 채널인 13번 채널을 점유한 다음 각 슬레이브와 통신을 시도한다.
각 슬레이브는 점유 채널을 13번으로 변경한 뒤 마스터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를 송신하고, 마스터는 모든 슬레이브로부터 확인 메시지(Ack)를 확인한 뒤 채널 호핑으로 변경 점유한 13번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한다.
상기 채닐 호핑으로 변경 점유한 채널은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간섭에 의한 영향 없이 데이터 통신을 지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마스터 200 : 슬레이브

Claims (8)

  1.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점유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신호(Req)와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를 주고 받은 동작으로 주기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는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슬레이브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1 미만이면 사전에 프로그램된 시간 이내에 전송 실패한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1을 초과하면 전송 실패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시간 동안 유휴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2을 초과하면 슬레이브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고, 상기에서 검색된 유휴 채널의 정보와 채널 호핑 메시지를 슬레이브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메시지에 대한 확인신호(Ack)가 수신되면 유휴 채널을 점유한 다음 유휴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는 유휴 채널이 2개 이상 검출되면 이전에 간섭으로 채널 호핑이 실행되었던 채널이었는지 여부, 현재 채널과의 인접 여부, 마스터에 주어진 고유식별 번호를 초기값으로 하는 난수 값을 적용하여 유휴 채널에 대하여 채널 호핑의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검출된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AcK)의 수신 실패율이 설정된 임계치1 미만인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실패가 발생하면 일정시간 이내에 데이터 재전송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혼잡에 의해 통신 품질이 극히 저하되기 직전 상태를 임계값2로 설정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체 슬레이브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전체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유휴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체 슬레이브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한 상태에서 전체 슬레이브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다시 맨 처음 슬레이브에 채널 호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체 슬레이브로부터 채널 호핑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유휴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는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120140584A 2012-12-05 2012-12-05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KR10144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84A KR101448750B1 (ko) 2012-12-05 2012-12-05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84A KR101448750B1 (ko) 2012-12-05 2012-12-05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733A KR20140072733A (ko) 2014-06-13
KR101448750B1 true KR101448750B1 (ko) 2014-10-20

Family

ID=5112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584A KR101448750B1 (ko) 2012-12-05 2012-12-05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3844A (zh) 2019-08-05 2021-02-05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无线电池管理系统、用于无线通信的节点和数据发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495A (ko) * 2008-02-27 2009-09-01 한국과학기술원 지그비 통신에서 통신 시스템간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JP2011061680A (ja) * 2009-09-14 2011-03-24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KR20120130110A (ko) * 2011-05-20 2012-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채널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의 간섭을 고려한 채널 선택 및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495A (ko) * 2008-02-27 2009-09-01 한국과학기술원 지그비 통신에서 통신 시스템간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JP2011061680A (ja) * 2009-09-14 2011-03-24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KR20120130110A (ko) * 2011-05-20 2012-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채널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의 간섭을 고려한 채널 선택 및 통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손종인 외 1명,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무선랜의 주파수 간섭을 고려한 채널 호핑 기법 *
손종인 외 1명,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무선랜의 주파수 간섭을 고려한 채널 호핑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733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790B2 (en) Coexistenc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other wireless networks
US10972997B2 (en) Hybri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for interference avoidance method therefor
US9338659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US6882635B2 (en) Coexistence between interfering communication systems
JP4790462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60295603A1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ollision Resolution
JP2006246465A (ja) 無線局及び通信方法
US11089609B2 (en) Smart radio arbiter with conflict resolution based on timing predictability
WO2017019232A1 (en) Out-of-band hidden node detection
WO2017192212A1 (en) Wi-fi scan operation on a dynamic frequency selection master dual band simultaneous device
WO2016045487A1 (en) Virtual busy-tone for full-duplex wireless networks
CN107409375B (zh) 针对共存性和并发性的时钟漂移管理
EP3590296B1 (en) Recipient usage indication for carrier frequency in bfd /ibfd
KR20180076770A (ko) 산업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재전송 예약슬롯 기반 분산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101448750B1 (ko)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방법
US8774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WLAN and SCO bluetooth coexistence
US20070268875A1 (en) Role exchange method for Bluetooth system
CN109286984B (zh) 多波形的自组网收发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06210B1 (ko) 단일 채널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법
KR101025423B1 (ko) Wpan에서 타임트리거 기반의 메세지 스케줄링 방법
KR101400236B1 (ko) P2p dsa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동적 공통 채널 설정 및 채널 복원 방법
JP5153428B2 (ja) 通信制御方法
KR101481867B1 (ko)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전송 방법
US20230337159A1 (en) Sidelink synchronization for intra-band coexistence
JP639653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