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35B1 - Photograp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35B1
KR101448535B1 KR1020070137513A KR20070137513A KR101448535B1 KR 101448535 B1 KR101448535 B1 KR 101448535B1 KR 1020070137513 A KR1020070137513 A KR 1020070137513A KR 20070137513 A KR20070137513 A KR 20070137513A KR 101448535 B1 KR101448535 B1 KR 10144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holder
image
front lens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9739A (en
Inventor
정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35B1/en
Publication of KR2009006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홀더 수납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 렌즈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의 영상광을 제 2 광축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 일면에 슬롯 형상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전방 렌즈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필터를 장착한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filter holder accommodating section, which comprises a front lens section arranged along a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and an image pickup section including a reflection member for deflecting image light from the front lens section in a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A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pickup element for receiving image light from the front lens unit to form an image; At least one slot-shaped entran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 case part for housing the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front lens part; And a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case portion and the front lens portion and accommodates a filter holder having a filter mounted thereon through the inlet.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0001]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상 장치의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 사이에 필터 홀더를 수납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a filter holder between a cover portion of a imaging device and a front lens portion.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n image pickup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subject. Recently, image pickup apparatuse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s and digital video cameras have been widely used.

촬상 장치에는 여러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필터란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촬상 소자에 빛과 색에 관한 반응을 변화시켜주는 장치이다. 즉, 필터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투과시켜 촬영자가 원하는 영상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Various types of filters can be used for the imaging device. The filter is a device that changes the response of light and color to the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hotographer. That is, the filter selectively absorbs or transmits the image light of the subject, and performs a function of creating an image desired by the photographer.

한편, 렌즈부가 촬상 장치의 본체 외부로 돌출된 침통형 경통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필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필터 내주의 가장자리에 나사를 형성하고, 본체 외부로 돌출된 최외각 렌즈의 렌즈 틀의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여, 필터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으로 렌즈 틀에 결합하였다. On the other hand, when a filter is coupled to a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lens-barrel-type lens barrel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 screw is gener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lter, Screws we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and the filter was rotated and coupled to the lens frame by screwing.

또한, 렌즈부가 촬상 장치의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영상광의 경로가 굴절되는 굴곡형 침통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필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렌 즈부를 수납하는 촬상 장치의 본체 외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필터 장착 수단을 사용하였다.Further, when a filter is coupled to a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lens portion formed inside a main body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nd having a bendable bore through which the path of the image light is refracted, the filter is general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housing the lens portion Separate filter mounting means were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는 나사 결합으로 촬상 장치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을 본체에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착 시간이 많이 걸리고 촬상 장치의 부피가 커져 휴대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filter must be mounted on the image capturing device by screw coupling or a separate coupling means must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unting time is long and the volum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상 장치의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 사이에 필터 홀더를 수납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accommodating a filter holder between a cover portion and a front lens portion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problems.

본 발명은 제 1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 렌즈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의 영상광을 제 2 광축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 일면에 슬롯 형상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전방 렌즈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필터를 장착한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 수납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There is provided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 front lens unit disposed along a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reflective member deflecting image light from the front lens unit in a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An image pickup element for receiving and imaging; At least one slot-shaped entran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 case part for housing the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front lens part; And a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case portion and the front lens portion and accommodates a filter holder having a filter mounted thereon through the inl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 소자는 CCD 소자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ickup device may be a CCD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입구는 상기 케이스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입구에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may further include a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ilter holder retention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탈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lder can be detached from the filter holder storage part completel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의 분리 시,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의 단부에 결합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lder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filter holder receiving part when the filter holder is detach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 홀더는,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필터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추출하는 홈부, 및 필터 홀더를 가이드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lder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is seated, a groove portion for extracting the filter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a protrusion for guiding the filter hold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부의 전면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through which image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can pass can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part.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필터의 탈착 방법이 간단하므로 촬상을 위한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필터가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중이나 촬상 시에 이물질의 오염으로부터 필터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age pickup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lter is simpl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eparation time for image pickup and reduce the volume because the filter is mount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front lens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filter from the contamin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to a maximum ex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학 모듈이 촬상 장치 내에 배치된 모 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 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터 및 필터 홀더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덮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tic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maging device,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in Fig. 1,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holder is housed in the image pickup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er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d is provided in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는 광학 모듈(100)과 본체(2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module 100 and a main body 200.

촬상 장치의 전방에 피사체가 배치되게 되는데, 광학 모듈(100)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그 영상광을 내부의 촬상 소자(170)로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subjec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The optical module 100 captures an image of a subject and inputs the image light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170 inside.

광학 모듈(100)은 입사되는 영상광의 광축의 경로가 꺾여지는 굴곡형의 구조로 구성되며, 전방 렌즈부(110), 반사 부재(120), 중간 렌즈부(130), 포커스 렌즈부(140),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 경통 프레임(160) 및 촬상 소자(170)를 포함하고 있다.The optical module 100 includes a front lens unit 110, a reflective member 120, an intermediate lens unit 130, a focus lens unit 140, and a focus lens unit 140. The optical lens unit 100 includes a front lens unit 110, A shutter and diaphragm assembly 150, a lens barrel frame 160, and an image pickup element 170. [

전방 렌즈부(110)는 단일의 렌즈로 구성되며, 영상광의 제1 광축 방향(L1)을 따라 배치된다. The front lens unit 110 is composed of a single lens and is disposed along the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L1 of the image light.

또한, 전방 렌즈부(110)의 후방에는 촬상된 영상광을 굴절하여 제2 광축 방향(L2)으로 배치된 중간 렌즈부(130)로 유입시키는 반사 부재(120)가 배치된다.A reflective member 120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lens unit 110 to refract the sensed image light and to introduce the sensed image light into the intermediate lens unit 130 arranged in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L2.

반사 부재(120)는 프리즘 또는 반사 거울 등으로 이루어져, 입사되는 영상광의 각도를 변경하여 반사한다.The reflective member 120 is formed of a prism or a reflective mirror, and reflects the incident light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incident image light.

중간 렌즈부(130)는 제2 광축 방향(L2)으로 배치되며, 다수의 렌즈군으로 구 성된다.The intermediate lens unit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L2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 groups.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렌즈부(130)가 경통 프레임(160)에 고정됨으로써, 줌 작용(zooming)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중간 렌즈부(130)는 줌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중간 렌즈부(130)가 경통 프레임(160)을 따라 제2 광축 방향(L2)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중간 렌즈부(130)를 움직일 수 있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가 배치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lens unit 130 is fixed to the barrel frame 160 so that zooming can not be per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intermediate lens part 13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zooming operation, in which case the intermediate lens part 130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barrel frame 160 in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L2,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capable of moving the intermediate lens part 130 is disposed.

포커스 렌즈부(140)는 자동 초점 작용(Auto-focusing)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포커스 렌즈부(140)는, 포커스 렌즈(141)와, 그 외곽에 배치된 포커스 렌즈 구동 장치(142)를 구비한다. 여기서, 포커스 렌즈 구동 장치(142)는 포커스 렌즈(141)를 제2 광축 방향(L2)으로 움직이면서 자동 초점 조절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focus lens unit 140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auto-focusing. To this end, the focus lens unit 140 includes a focus lens 141 and a focus lens driving device 142 disposed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Here, the focus lens driving device 142 performs the function of automatic focus adjustment while moving the focus lens 141 in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L2.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는 셔터 작용과 노광량 조절을 수행한다.Shutter and diaphragm assembly 150 performs shutter action and exposure dose adjustm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축 방향(L2)을 기준으로 하여 포커스 렌즈부(140)의 후방에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가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는 포커스 렌즈부(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utter and diaphragm assembly 150 are disposed behind the focus lens unit 140 with respect to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L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hutter and diaphragm assembly 1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ocus lens unit 140.

이상과 같은 전방 렌즈부(110), 반사 부재(120), 중간 렌즈부(130), 포커스 렌즈부(140) 및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는 경통 프레임(160)에 장착되는데, 경통 프레임(160)은 중공형의 구조로 되어 있어, 광학 모듈(100)의 경통의 기능을 수 행한다. The front lens unit 110, the reflective member 120, the intermediate lens unit 130, the focus lens unit 140, and the shutter and diaphragm assembly 150 are mounted on the lens barrel frame 160, 160 function as a lens barrel of the optical module 100. As shown in FIG.

촬상 소자(170)는 전방 렌즈부(110)를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The image pickup element 17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mage light passing through the front lens unit 110 is imaged into an image, and functions to convert an image that has been formed into an electrical signal.

촬상 소자(170)는 광전 변환 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가 이용되어도 된다.The image pickup element 170 use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element a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may be used as the image pick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image sensors may be used.

본체(200)는 케이스부(210), 필터 홀더 수납부(220), 제어부(미도시), 셔터 스위치(230), 플래시(240), 보조광 수단(250), 표시부(260) 등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200 includes a case 210, a filter holder housing 220, a control unit (not shown), a shutter switch 230, a flash 240, a auxiliary light unit 250, a display unit 260, .

케이스부(210)는 전면(211)의 폭이 측면(212)의 폭보다 큰 슬림형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광학 모듈(100)을 포함한 촬상 장치를 수납한다.The case 210 has a slim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front surface 21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ide surface 212 and accommodates the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module 100.

케이스부의 전면(211)의 일 측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광이 전방 렌즈부(110)에 입사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로 개구된 창(213)이 형성되어 있다.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211 of the case part, a window 213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image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can be incident on the front lens unit 110.

이와 같은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촬상 장치의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덮개부(21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덮개부(214)는 촬상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ront window 213 of the case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d part 214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00 of the imaging device. When the imaging device is not used, the first lid portion 214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and can be opened automatically or manually only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첨부된 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에 제1 덮개부(214)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지만, 도 3 및 도 4의 경우에는 제1 덮개 부(214)가 닫힌 상태에서 필터 홀더(400)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show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d part 214 is opened in the front window 213 of the case part. However, in the case of Figs. 3 and 4, the first lid part 214 And the filter holder 400 is mounted in a clos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제1 덮개부(214)는 반드시 닫힘과 열림 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에 투과율이 높은 투명 보호막을 배치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본체(200)를 밀폐하면서 전방 렌즈부(110)로 입사하는 영상광을 투과율의 저하 없이 통과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rst lid part 2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 that can be repeatedly closed and opened. For example, by dispos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aving a high transmittance in the front window 213 of the case part, it is possible to pass the image light incident on the front lens unit 110 without closing the main body 200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without lowering the transmittance to be.

한편, 케이스부(210)의 일 측면(212)에는 인입구(215)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n inlet 215 is formed on one side 212 of the case part 210.

인입구(215)는 장공형의 슬롯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필터 홀더(400)는 인입구(215)를 통하여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된다. The filter holder 400 is removably attachable to the filter holder receiving portion 220 through the inlet 215. The filter holder 400 has an elongated slot shap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구(215)가 케이스부(210)의 일 측면(212)에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입구는 케이스부의 저면 또는 상면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215 is formed on one side 212 of the case part 2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in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port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인입구(213)가 케이스부(210)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부에는 복수개의 인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인입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인입구에 복수개의 필터부가 각각 끼워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ingle inlet 213 is formed in the case 2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lets may be formed in the case part. When a plurality of inlets are formed, a plurality of filter portions may be respectively fitted to the respective inlets.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입구(215)에는 제2 덮개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lid 216 may be formed on the inlet 215.

필터 홀더 수납부(220)의 입구인 인입구(215)를 통하여 촬상 장치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촬상 장치의 내부에 이물이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인입구(215)에 제2 덮개부(216)를 형성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다. Sin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imaging device are penetrated through the inlet 215 which is the entrance of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foreign objects can enter the inside of the imaging device. Therefore, by forming the second lid portion 216 in the entrance 215, contamination of the imaging device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덮개부(216)가 인입구(215)의 일 측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제2 덮개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d 216 is shown as being hinged to one side of the inlet 215 to open and clos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lid of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may be used Of course.

케이스부(210)의 전면 창(213)과 전방 렌즈부(110) 사이의 공간에는 필터(300)를 장착한 필터 홀더(400)가 수납될 수 있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가 형성된다. A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window 213 and the front lens portion 110 of the case 210 to accommodate the filter holder 400 having the filter 300 mounted thereon.

필터 홀더의 수납부(220)의 중앙에는 필터(300)를 통과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221)가 형성된다.An opening 2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orage part 220 of the filter holder so that imag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300 can pass through.

여기서, 필터 홀더(400)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본체(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필터 홀더(400)에 사용할 필터(300)를 장착한 다음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삽입할 수 있다. Here, the filter holder 400 can be used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3, the user mounts the filter 300 to be used in the filter holder 400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0, and then inserts the filter holder 400 into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

또한, 필터 홀더(400)는 본체(200)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와 분리되지 않은, 즉 본체(200)의 일부로 구성된 필터 홀더(400)에 필터(300)를 장착한 다음,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삽일 할 수 있다.Further, the filter holder 400 can be used as a part of the main body 200. 4, the user mounts the filter 300 on the filter holder 400,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filter holder housing 220, that is, a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는 필터 홀더(400)가 슬라이딩 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lter holder 4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so that the filter holder 400 is slidable and detachable.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사용된 필터 및 필터 홀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lter and the filter holder used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필터(300)의 종류로는 UV 필터(ultraviolet filter),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 PL 필터(polarizing light filter), FL 필터(flourescent filter), 클로즈업 필터(close-up fil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type of the filter 300, an ultraviolet filter, a neutral density filter, a polarizing light filter, a flourescent filter, a close-up filter, or the like can be used have.

여기서, UV 필터는 자외선 때문에 피사체가 뿌옇게 찍히는 경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이고, ND 필터는 특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같은 정도로 투과량을 감소시켜 색 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필터이고, PL 필터는 반사광을 조절해주는 편광 필터로 비금속 표면에 생기는 반사체의 반사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고, FL 필터는 형광등아래서 촬상한 영상의 보정을 위한 필터이고, 클로즈업 필터(close-up filter) 접사촬영을 할 때 사용하는 필터이다.Here, the UV filter is a filter for blocking the ultraviolet rays when the subject is blurred due to ultraviolet rays, and the ND filter is a filter for reducing the transmission amount by the same degree for each wavelength within a specific wavelength range so as not to affect the color balance. The filter is a polarizing filter that adjusts the reflected light. It is a filter for eliminating the reflection of the reflector on the nonmetal surface. The FL filter is a filter for correcting an image captured under a fluorescent lamp, and a close-up filter When you use a filter.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300)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ilter 300 is circul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shapes of filters may be used.

필터 홀더(400)는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410), 안착부(420), 홈(430) 및 돌기부(440)를 포함한다. The filter holder 400 has a thin plate shape so as to be detachable to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and includes a base 410, a seating portion 420, a groove 430 and a protrusion 440.

베이스(410)는 직사각형의 판상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는 베이스(410)를 손으로 잡고 인입구(215)로 밀어 넣음으로써,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삽입할 수 있다. The base 41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user can insert the filter holder 400 into the filter holder receiving portion 220 by holding the base 410 by hand and pushing the filter holder 400 into the inlet 215.

필터 홀더(400)의 중앙에는 필터(30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베이스(410)의 표면과 단차를 갖도록 안착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420)의 중앙에는, 필 터(300)를 통과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300)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A seating part 4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lter holder 400 so as to have a step with the surface of the base 410 so that the filter 300 can be seated. An opening 4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3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art 420 so that imag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300 can pass therethrough.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필터(300)가 사용되었으므로 이에 대응되는 필터 홀더(400)의 개구부(421)의 형상도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만약 필터의 형상이 달라진다면 필터 홀더의 개구부의 형상도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Since the circular filter 300 i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opening 421 of the filter holder 400 corresponding thereto is also circular. However, if the shape of the filter is changed,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filter holder Of course.

안착부(420)의 양 측에는 두 개의 홈(430)이 형성되어 있는데, 베이스(410)에 안착된 필터(300)를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필터 홀더(400)로부터 필터(3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안착부(420)에 형성된 홈(430)에 두 개의 손가락을 집어 넣어 필터(300)를 잡고 필터 홀더(400)로부터 분리한다. Two grooves 4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art 420 and are used when the filter 300 seated on the base 410 is separated. That is, when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the filter 300 from the filter holder 400, two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430 formed in the seating part 420 to hold the filter 300 and hold the filter holder 40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홀더(400)에 두 개의 홈(430)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wo grooves 430 are formed in the filter holder 4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필터 홀더(400)의 일 단부에는,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하거나 추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돌기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하거나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에 형성된 돌기부(440)를 잡고 필터 홀더(4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하거나 추출한다. At one end of the filter holder 400 is formed a protruding portion 440 that can be used when separating or extracting the filter holder 400 from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That is, when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or extract the filter holder 400 from the filter holder housing part 220, the user holds the protruding part 440 formed in the filter holder 400 and holds the filter holder 400 in the filter holder housing part 2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필터 홀더(400)를 분리하거나 추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필터 홀더(40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440)를 잡아서 끌어 당겨 필터 홀더(400)를 분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 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에 SD 메모리 카드 등을 본체에 착탈시키기 위한 구조로 많이 사용되는 구조, 즉, 필터 홀더 수납부의 내부에 스프링과 걸쇠가 배치됨으로써, 필터 홀더의 장착시에는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내부의 걸쇠에 걸리고, 장착된 필터 홀더를 분리하기 위해서 필터 홀더를 오히려 필터 홀더 수납부쪽으로 밀면 걸쇠의 걸림이 해제되어 압축된 스프링이 원복되면서 필터 홀더가 자동으로 분리되는 구성을 차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separate or extract the filter holder 400 from the filter holder housing part 220, the user grips and pulls the protruding part 440 formed at the end of the filter holder 4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ring and the latch are disposed inside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the spring and the latch are disposed in a structure widely used as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D memory card or the like to the main body, In order to separate the filter holder from the filter holder, it is necessary to push the filter holder toward the filter holder compartment so that the latch of the latch is released and the compressed spring is released and the filter holder is automatically separated have.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는, 단일의 필터 홀더 수납부(220)가 설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구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복수개의 필터 홀더 수납부가 설치되고, 그렇게 되면,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필터 홀더가 동시에 끼워질 수도 있다.The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ingle filter holder storage portion 2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inlets are provided, a plurality of filter holder storing portions are provided, and if so, a plurality of filter holders may be fitted at the same time, if necessary.

한편, 케이스부(210)의 상면에는 셔터 스위치(230)를 구비되어 있고, 전면(211)에는 플래시(240) 및 보조광 수단(250)이 구비되어 있다. A shutter switch 230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210 and a flash 240 and auxiliary light means 250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211.

제어부(미도시)는 촬상 소자(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피사체의 촬영, 촬상 소자(170)의 제어, 영상 처리 기능 및 메모리 기능 등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A control unit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170 and plays a key role in photographing a subject, controlling the image pickup device 170, image processing function, and memory function.

표시부(260)는 촬상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어 촬상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6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imaging apparatus. That is, the display unit 2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f the image sensing apparatus.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260)는 촬상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60)는 촬상 장치(10)의 상태 표시뿐만 아니라, 촬상되는 영상을 보여주거나 촬상된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260 in this embodiment does not have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image to be captu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display unit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unction of not only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 but also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이하,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촬상 장치가 촬상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First, the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apparatus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촬상할 피사체를 결정하고, 전방 렌즈부(110)의 전방에 피사체를 배치시키고 초점을 맞춘 후 셔터 스위치(230)을 누르면, 제1 광축 방향(L1)으로 입사한 영상광은 케이스부의 전면 창(213), 필터(300) 및 전방 렌즈부(110)를 통과한다. 전방 렌즈부(110)를 통과한 영상광은 반사 부재(120)에서 굴절되어 제2 광축 방향(L2)으로 진행하여, 중간 렌즈부(130), 포커스 렌즈부(140),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50)를 경유하여, 촬상 소자(170)에 결상되게 된다. When a user determines an object to be imaged and places the object in front of the front lens unit 110, focuses the object, and then presses the shutter switch 230, the image light incident in the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L 1 passes through the front Passes through the window (213), the filter (300) and the front lens unit (110). The imag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front lens unit 110 is refracted by the reflecting member 120 and travels in the second optical axis direction L2 to be incident on the intermediate lens unit 130, the focus lens unit 140, the shutter and the diaphragm assembly 150 to be imaged on the image pickup device 170. [

촬상 소자(170)는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The image pickup device 170 converts the image form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 전기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영상 처리부(미도시)에서 이루어진다.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undergoes image signal processing, which is performed in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영상 처리부에서는 감마보정 등이 이루어지는데, 감마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 하는 것을 감마보정이라 한다.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gamma correction and the like are performed. The gamma correc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is encoded in accordance with the nonlinearity of human vision. That is, since the human vision responds nonlinearly to the brightness according to Weber's law, when the limited bit depth is given, if the brightness of the light is recorded linearly, the posterity Posterization)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show the maximum image quality at a given bit depth, it is necessary to encode using a non-linear function. Performing this is called gamma correction.

영상 처리부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레벨을 8비트 휘도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The gamma corre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outputs the image signal input by the gamma curve by gamma correction. For example, the input brightness level of the 12-bit image signal is corrected to an 8-bit brightness level and output.

영상 처리부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 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performs CFA interpolation for interpolating the R, G, and B gamma corrected gamma-corrected Bayer patterns embodying the GBGB lines into RGB lines. In the CFA interpol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G channel is first restored in the pixels having only the R or B channel value, and the R, G, and B frames are filled in the order of the B channel, the R channel, Restores the channels.

영상 처리부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The image processor converts the interpolated RGB signal into a YUV signal, edge-compensates the image by filtering the Y signal by a high-pass filter, and corrects the color values of the U and V signals using a standard color coordinate system. Corrects them, and removes their noise.

영상 처리부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촬영이 완성된다.The image processor compresses and processes the Y, U, and V signals from which the noise has been removed to generate a JPEG file, and the generated JPEG file is stored in the memory by user selection, thereby completing the photographing.

다음은, 사용자가 촬상 장치의 필터를 탈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removes the filter of the imaging device.

사용자가 촬영 시에 필터(300)를 사용하기로 결정을 하였으면, 해당 필터(300)를 필터 홀더(400)에 장착한 다음, 필터 홀더(400)를 인입구(215)에 충분히 밀어 넣어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수납시킨다. When the user has decided to use the filter 300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filter 300 is attached to the filter holder 400 and then the filter holder 400 is sufficiently pushed into the inlet 215, And then stored in the charging unit 220.

이때,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인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의 베이스(410)를 잡고 필터(300)를 필터 홀더(400)에 안착시킨 후, 필터 홀더(400)의 베이스(410)를 잡고 인입구(215)에 밀어 넣는다. 한편,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에 결합된 장치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베이스(410)를 잡을 필요 없이 촬상 장치의 본체(200)의 일부를 잡고 필터(300)를 필터 홀더(400)에 안착시킨 후, 필터 홀더(400)의 베이스(410)를 잡고 인입구(215)에 밀어 넣는다.When the filter holder 400 is separate from the main body 200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the filter holder 400 is held on the base 410 of the filter holder 400 and the filter 300 is placed on the filter holder 400 Then, the user grips the base 410 of the filter holder 400 and pushes it into the inlet 215.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er holder 400 is an apparatus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the user does not have to hold the base 410 and grasps a part of the main body 200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then holds the base 410 of the filter holder 400 and pushes it into the inlet 215.

인입구(215)에 들어간 필터 홀더(400)는, 필터 가이드부(미도시)에 인도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필터 홀더 수납부(220)에 수납된다. The filter holder 400 that has entered the inlet 215 is guided to the filter guide unit (not shown) and slid into the filter holder storage unit 220.

촬영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필터(300)를 제거할 필요를 느끼면, 장착된 필터 홀더(40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440)을 손으로 잡고, 본체(200)의 외부로 잡아 당김으로써, 필터(300)를 필터 홀더 수납부(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user feels the need to remove the filter 300 after the photographing is completed, the protruding portion 440 formed at the end of the mounted filter holder 400 is held by hand and pulled out of the main body 200, The filter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20.

이때,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인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를 수납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고, 필터 홀더(400)가 촬상 장치의 본체(200)에 결합된 장치인 경우에는, 필터 홀더(400)의 단부가 본체(200)에 결합 된 채로 필터(300)만 필터 홀더(400)로부터 분리한다.At this time, when the filter holder 400 is separate from the main body 200 of the image capture device, the filter holder 40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torage part 220 and the filter holder 4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capture device 200 Only the filter 300 is detached from the filter holder 400 while the end of the filter holder 4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In this case,

여기서, 사용자가 다른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다른 필터를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필터 홀더에 장착할 수 있다. Here, if the user has decided to shoot using another filter, the other filter can be mounted to the filter hold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필터의 탈착 방법이 간단하므로, 촬상을 위한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age pickup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lter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paration time for image pickup can be shortened.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굴곡형 카메라의 커버부와 전방 렌즈부에 공간에 필터가 장착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중이나 촬상시에 이물질의 오염으로부터 필터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image pickup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lter is mounted in the space in the cover portion and the front lens portion of the bending type camera, the volume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the filter can be minimized It becomes possible to protect it.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뿐만 아니라, 영상 캠코더,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t also to various types and types of imaging devices such as a video camcorder, a camera-equipped mobile phon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학 모듈이 촬상 장치 내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tic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maging device.

도 2는 도 1의 광학 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module of FIG. 1 taken along line II-II.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holder is housed in the imag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덮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is provided in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터 및 필터 홀더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er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0: 광학 모듈 110: 전방 렌즈부100: Optical module 110: Front lens part

120: 반사 부재 130: 중간 렌즈부120: reflective member 130: intermediate lens unit

140: 포커스 렌즈부 150: 셔터 및 조리개 조립체140: focus lens part 150: shutter and diaphragm assembly

160: 경통 프레임 170: 촬상 소자160: barrel frame 170: image pickup element

200: 본체 210: 케이스부200: main body 210: case portion

211: 케이스부 전면 212: 케이스부 측면211: case part front surface 212: case part side

213: 케이스부 전면 창 214: 제1 덮개부213: Case front face window 214: First cover

215: 인입구 216: 제2 덮개부215: inlet 216: second lid

220: 필터 홀더 수납부 230: 셔터 스위치220: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30: shutter switch

240: 플래시 250: 보조광 수단240: flash 250: auxiliary light means

260: 표시부 300: 필터260: Display section 300: Filter

400: 필터 홀더 410: 베이스400: filter holder 410: base

420: 안착부 430: 홈부420: seat part 430:

440: 돌기부440: protrusion

Claims (10)

제 1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방 렌즈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의 영상광을 제 2 광축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A front lens unit disposed along the first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reflective member for refracting the image light from the front lens unit toward the second optical axis, 상기 전방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An image pickup element for receiving image light from the front lens unit and imaging the image; 일면에 슬롯 형상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전방 렌즈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부;At least one slot-shaped entran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 case part for housing the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front lens part;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전방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필터를 장착한 필터 홀더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 수납부;를 포함하며,And a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case portion and the front lens portion and accommodating a filter holder having a filter mounted thereon through the inlet, 상기 필터 홀더는, 필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필터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추출하는 홈부 및, 필터 홀더를 가이드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Wherein the filter holder includes a seat portion on which the filter is seated, a groove portion for extracting the filter from the seat portion, and a projection portion for guiding the filter hol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촬상 소자는 CCD 소자인 촬상 장치.Wherein the image pickup element is a CCD ele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입구는 상기 케이스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촬상 장치.Wherein the inle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입구에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가 더 구비되는 촬상 장치.Further comprising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lter holder reten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탈착 가능한 촬상 장치.Wherein the filter holder is completely detachable from the filter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홀더의 분리 시, 상기 필터 홀더 수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촬상 장치. Wherein the filter holder is coupled to an end of the filter holder receiving portion when the filter holder is detach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Wherein the seat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And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케이스부의 전면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Wherein a window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part so that the image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can pass through.
KR1020070137513A 2007-12-26 2007-12-26 Photographing apparatus KR101448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13A KR101448535B1 (en) 2007-12-26 2007-12-26 Photograp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13A KR101448535B1 (en) 2007-12-26 2007-12-26 Photograp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39A KR20090069739A (en) 2009-07-01
KR101448535B1 true KR101448535B1 (en) 2014-10-08

Family

ID=4132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13A KR101448535B1 (en) 2007-12-26 2007-12-26 Photograp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49A (en) * 2020-11-02 2022-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2311A (en) * 2022-05-16 2022-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Microscopic imaging method, microscopic imaging modul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429A (en) * 1995-05-26 1996-12-03 Nikon Corp Lens barrel with filter holder
JP2003005005A (en) * 2001-06-27 2003-01-08 Sony Corp Attachment structure of filter member to holder and 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429A (en) * 1995-05-26 1996-12-03 Nikon Corp Lens barrel with filter holder
JP2003005005A (en) * 2001-06-27 2003-01-08 Sony Corp Attachment structure of filter member to holder and 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49A (en) * 2020-11-02 2022-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489715B1 (en) * 2020-11-02 2023-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700442B2 (en) 2020-11-02 2023-07-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39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20060092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hot pixels in a digital camera
JP5128245B2 (en) Imaging device
US20120307102A1 (en) Video creation device, video cre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182991B2 (en) Imaging device and light shielding member
KR20110056096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photographing of the same
JPH11196303A (en) Electronic image pickup device
JP2012065294A (en) Hybrid finder device
JP2006208714A (en) Imaging apparatus
US10477113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235285A (en) Digital camera, lens unit, discrimination control method of lens unit, and deterioration determination method of lens unit
US7665912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704053B1 (en) Digital camera
JP2006313250A (en) Lens-interchanging type digital camera
KR101448535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CN101834997A (en) The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i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control
JP2008242230A (en) Photographing device, photographing system and photographing method
US9723207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11331659A (en) Electronic camera
KR20090077488A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6235077A (en) Lens interchangeable camera
KR101323739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electronic view finder
JP2012063716A (en) Hybrid finder device, imaging apparatus, hybrid finder control method
JP2008182345A (en) Imaging apparatus
JP5281911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