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497B1 -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497B1
KR101448497B1 KR1020130031047A KR20130031047A KR101448497B1 KR 101448497 B1 KR101448497 B1 KR 101448497B1 KR 1020130031047 A KR1020130031047 A KR 1020130031047A KR 20130031047 A KR20130031047 A KR 20130031047A KR 101448497 B1 KR101448497 B1 KR 10144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portion
exercise
tension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842A (ko
Inventor
이용구
권오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4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2Testing, calibrating or measuring of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한 운동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는 와이어를 포함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며,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가 제1 방향(X)으로 신장함에 따라 제2 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고정되며, 외부와의 유/무선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TENSION MEASURING INSTRUMENT FOR AN EXERCISE MACHINE AND EXERCISE MANAG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wire)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력이 작용한 줄(wire)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 장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개발되고 있다. 일본공개 특개평8-178770호에서는 신장된 와이어나 로프 등의 장력을 측정하는 휴대 가능한 로프 장력 측정기가 개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6-0055509호에서는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장력측정 장치의 경우,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장력이 작용하는 두꺼운 와이어나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는바,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작이 복잡한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장애인이나 재활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운동을 통한 재활치료를 많이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을 통한 재활치료는 대부분 재활병원 등의 제한된 공간에서 간호사 등의 도우미의 도움으로 수행되어 운동량이나 운동의 적정성 정도가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적 제약 및 도우미 동반으로 인한 비용 상승은 재활환자에게 시간적, 금전적 부담을 야기하며, 스스로 활동이 가능한 재활환자가 자율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 또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기구 장력의 효과적 측정이 가능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포함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는 와이어를 포함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며,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가 제1 방향(X)으로 신장함에 따라 제2 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고정되며, 외부와의 유/무선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장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3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연장부들은 길이가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은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은 모두 도르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연장부가 압축 또는 인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압축변위 또는 인장변위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되는 와이어의 장력을 변화량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 횟수가 연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 접촉부에 가하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 접촉부에 가하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시스템은 중앙 제어부 및 운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외부의 관리센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중앙 제어부와 피드백되며, 사용자의 운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기구 제어부, 및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는 와이어를 포함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며,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제3 접촉부 및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가 제1 방향(X)으로 신장함에 따라 제2 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신장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압력을 받는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고정되며, 외부와의 유/무선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개인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개인 단말기와 피드백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동일한 방향의 압력을 받는 제1 및 제3 접촉부들과 사이에 위치하여 반대방향의 압력을 받아 압축 또는 인장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와이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운동기구에 탈부착하여 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부는 이동변위로 장력을 측정하거나, 압축센서로 장력을 측정하므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 장력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 횟수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운동량에 대한 정확한 산출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베이스 프레임의 동작 센서부를 통해 운동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장력 및 운동 수행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외부의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어, 재활 관리의 효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운동기구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 받으며 외부의 관리센터와의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한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원거리의 관리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근거리의 운동센터에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동을 가이드 하는 별도의 도우미 등의 도움없이, 개인 단말기를 통해 ID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처방된 운동 정보에 따라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자율성이 확보되며 비용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더라도, 사용자 실제 운동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운동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재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 장력측정기가 장착된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 관리 시스템(100)은 중앙 제어부(110), 입출입 관리부(120), 제1 운동기구(130) 및 개인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운동 관리 시스템(100)은 반드시 재활의료원 등의 전문 재활치료센터가 아니더라도, 일반 운동(헬스) 센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술하는 상기 운동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만 포함하면 충분하다.
상기 운동 관리 시스템(100)이 일반 운동 센터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재활이 필요한 환자, 장애인 등)는 원거리의 전문 재활치료센터로 이동하지 않고 자유롭게 근거리의 운동 센터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운동 관리 시스템(100)의 중앙 제어부(110)는 해당 사용자의 운동을 총괄하는 외부의 관리센터(10)와 관련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센터(10)의 관련 서버에 접속한 관리자(11)가 상기 중앙 제어부(110)와의 송수신 정보 및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운동을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1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의 관리센터(10)로부터 사용자의 병력 및 장애의 내용, 운동 시기, 운동의 구체적 가이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 후, 후술할 상기 제1 운동기구(13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센터(10)로 전달한다.
상기 입출입 관리부(120)는 상기 개인 단말기(140)와 피드백 되어, 사용자가 해당 운동 센터에 출입하는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상기 출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중앙 제어부(110)를 통해 상기 관리센터(10)로 전달되어, 관리자(11)가 사용자의 출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운동기구(130)는 제1 운동기구 제어부(131) 및 제2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운동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운동기구(130) 외에 복수의 운동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운동기구들 중 와이어(wire)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는 상기 제1 운동기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운동기구(130)에서 운동을 종료한 후, 차례대로 복수의 운동기구에서 각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운동기구(130)에서의 운동 관리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운동기구 제어부(131)는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부터 상기 관리 센터(10)를 통해 전달된 운동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운동기구 제어부(131)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제1 운동기구의 일반적인 사용방법에 관한 운동기구 사용 정보, 제1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운동기구를 통해 가해지는 운동 부하의 단위 중량 또는 단위 장력에 관한 정보, 제1 운동기구의 운동 횟수 정보, 제1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해야할 총 운동 부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운동기구가 와이어(wire) 타입을 포함하는 운동기인 경우라면 상기 운동 부하와 관련하여 단위 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운동기구 제어부(131)는 상기 개인 단말기(140)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에 부합되는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개인 단말기(140)는 상기 제공되는 정보를 직접 표시할 수 있는 별도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인 단말기(140)가 별도의 표시부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운동기구 제어부(131)가 별도의 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를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실제 수행된 운동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의 운동량의 정량적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정량적 데이터는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 전달되며, 상기 관리센터(10)의 서버를 통해 관리자(11)가 확인하게 된다. 그리하여, 원거리에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재활처방 및 이의 수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재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운동기구(130)에 대한 운동이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는 다른 운동기구로 이동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 장력측정기가 장착된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실시예의 특징은 와이어를 포함한 운동기구는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제2 등의 표현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기구(130)에는 상기 운동기구 제어부(131) 및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가 장착된다. 나아가, 상기 운동기구(13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132), 손잡이부(133), 상기 손잡이부(133)와 연결된 와이어(134), 및 상기 와이어(134)와 연결되며 부하를 인가하는 로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로는 인클라인 프레스(incline press)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130)의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3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와이어(134)를 통해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로드(13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운동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130)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134)에 고정된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로부터 측정되는 장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를 통해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을 통해 로드(135)가 필요한 부하만큼 작용되고 있는지와, 상기 와이어(134)가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횟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초에 가이드된 운동량만큼 운동이 수행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를 통해 측정된 운동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중앙제어부(110)로 피드백된다. 나아가, 상기 중앙제어부(110)에서 가이드된 운동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개인 단말기(140)의 ID 확인을 통해 상기 운동기구 제어부(1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운동량을 용이하게 가이드 받을 수 있으며, 가이드된 운동량이 사용자에 의해 정확히 수행되었는지도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는 베이스 프레임(201), 제1 접촉부(204), 제2 접촉부(205), 제3 접촉부(206), 제1 연장부(207), 제2 연장부(208) 및 제3 연장부(209)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을 측정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 상에 고정된 송수신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02)는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에서 측정된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와이어(134)의 왕복운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110) 또는 상기 운동기구 제어부(131)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204)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양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촉부(204)는 상기 제1 연장부(207)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연장부(207)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에 대한 상기 제1 접촉부(204)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1 접촉부(204)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접촉부(204)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3 접촉부(206)도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양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3 접촉부(206)는 상기 제3 연장부(209)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3 연장부(209)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에 대한 상기 제3 접촉부(206)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3 접촉부(206)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반면, 상기 제1 및 제3 접촉부들(204, 206)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접촉부(205)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되,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면 음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2 접촉부(205)는 상기 제2 연장부(208)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 상에 고정되지만, 상기 제2 연장부(208)의 길이는 변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접촉부(205)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연장부(208)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며, 상기 제2 연장부(208)의 변위를 측정하면 상기 와이어(134)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접촉부(205)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아, 상기 제2 연장부(208)는 압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장부(208)의 길이가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장부(208)의 줄어든 변위를 측정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134)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가 측정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장부(208)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변위가 줄어들게 되며, 사용자가 1회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연장부(208)의 변위는 1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장부(208)의 변위의 변화량이 1회 감지되는 것을 사용자의 1회 운동 횟수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연장부(208)의 변위 변화량이 감지되는 횟수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 상에 고정된 동작 센서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센서부(203)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01)이 상기 와이어(134) 상에서 상기 와이어(134)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위치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위치변화의 횟수도 측정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는 상기 와이어(134)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상기 와이어(134)의 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134)가 1회 왕복 이동되는 것은 곧 사용자가 1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동작 센서부(203)에서 측정된 왕복 위치변화 1회를 운동횟수 1회로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04, 205, 206)은 상기 제2 방향(Y, -Y)으로는 압력을 받지만, 상기 제1 방향(X, -X)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동작 센서부(203)에 의해 운동횟수가 측정될 수 있기 위해, 예를 들어, 도르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접촉부(204)는 상기 와이어(134)에 고정되는 집게이고, 상기 제2 및 제3 접촉부들(205, 206)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134)와의 마찰력이 낮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는 상기 와이어(134)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04, 205, 206)을 끼워 고정하면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와이어(134)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운동기구에 탈부착하여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10)는 제2 연장부(218)가 인장력을 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서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10)는 베이스 프레임(211), 제1 접촉부(214), 제2 접촉부(215), 제3 접촉부(216), 제1 연장부(217), 제2 연장부(218) 및 제3 연장부(219)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을 측정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은 송수신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212)의 구성 및 기능은 도 3에서 설명한 송수신부(2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접촉부(214)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양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촉부(214)는 상기 제1 연장부(217)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연장부(217)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에 대한 상기 제1 접촉부(214)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1 접촉부(214)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접촉부(214)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3 접촉부(216)도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양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3 접촉부(216)는 상기 제3 연장부(219)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3 연장부(219)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에 대한 상기 제3 접촉부(216)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3 접촉부(216)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반면, 상기 제1 및 제3 접촉부들(214, 216)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접촉부(215)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되,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면 음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2 접촉부(215)는 상기 제2 연장부(218)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 상에 고정되지만, 상기 제2 연장부(218)의 길이는 변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접촉부(215)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연장부(218)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며, 상기 제2 연장부(218)의 변위를 측정하면 상기 와이어(134)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접촉부(215)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아, 상기 제2 연장부(218)는 인장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장부(218)의 길이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장부(218)의 증가한 변위를 측정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134)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가 측정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장부(218)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변위가 증가하게 되며, 사용자가 1회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연장부(218)의 변위는 1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장부(218)의 변위의 변화량이 1회 감지되는 것을 사용자의 1회 운동 횟수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연장부(218)의 변위 변화량이 감지되는 횟수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1)은 동작 센서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센서부(213)의 구성 및 기능은 도 3에서 설명한 동작 센서부(20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14, 215, 216)은 상기 제2 방향(Y, -Y)으로는 압력을 받지만, 상기 제1 방향(X, -X)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동작 센서부(213)에 의해 운동횟수가 측정될 수 있기 위해, 예를 들어, 도르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접촉부(214)는 상기 와이어(134)에 고정되는 집게이고, 상기 제2 및 제3 접촉부들(215, 216)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134)와의 마찰력이 낮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10)는 상기 와이어(134)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14, 215, 216)을 끼워 고정하면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와이어(134)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운동기구에 탈부착하여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20)는 베이스 프레임(221), 제1 접촉부(224), 제2 접촉부(225), 제3 접촉부(226), 제1 연장부(227), 제2 연장부(228) 및 제3 연장부(229)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을 측정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 상에 고정된 송수신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22)는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20)에서 측정된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와이어(134)의 왕복운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110) 또는 상기 운동기구 제어부(131)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224)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양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촉부(224)는 상기 제1 연장부(227)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연장부(227)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에 대한 상기 제1 접촉부(224)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1 접촉부(224)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부(224)는 상기 와이어(1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134)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접촉부(224)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3 접촉부(226)도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양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3 접촉부(226)는 상기 제3 연장부(229)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3 연장부(229)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에 대한 상기 제3 접촉부(226)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3 접촉부(226)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반면, 상기 제1 및 제3 접촉부들(224, 226)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접촉부(225)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되,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면 음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상기 제2 접촉부(225)는 상기 제2 연장부(228)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21)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장부(228)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길이가 변화하지 않고, 상기 제2 연장부(228)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센서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변위를 측정하여 장력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센서가 직접 상기 제2 접촉부(225) 및 상기 제2 연장부(228)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134)에 인가된 장력을 측정한다.
한편, 상기 제2 연장부(228)에 직접 인가되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제2 연장부(228)가 압축력의 변화량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장부(228)에 의해 압축력이 1회 변화됨이 측정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1회 운동을 수행한 것으로 환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연장부(228)에서 측정되는 압축력의 변화량 횟수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횟수가 연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접촉부(224)가 상기 와이어(134)에 고정되므로,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된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30)는 베이스 프레임(231), 제1 접촉부(234), 제2 접촉부(235) 및 제3 접촉부(236)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을 측정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은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34, 235, 236)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 고정된 송수신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32)는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30)에서 측정된 상기 와이어(134)의 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와이어(134)의 왕복운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110) 또는 상기 운동기구 제어부(131)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234)는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촉부(234)가 받는 압력의 방향은 상기 제2 접촉부(235)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이며, 양의 제2 방향(Y)일 수 있으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및 상기 제1 방향(X)과 모두 교차하는 소정의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234)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의 상기 제1 접촉부(234)의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1 접촉부(234)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접촉부(236)도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3 접촉부(236)가 받는 압력의 방향은 상기 제2 접촉부(235)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이며, 양의 제2 방향(Y)일 수 있으며, 상기 양의 제2 방향(Y) 및 상기 제1 방향(X)과 모두 교차하는 소정의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236)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의 상기 제3 접촉부(236)의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3 접촉부(236)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접촉부(235)도 상기 와이어(134)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운동수행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가 제1 방향(X, -X)으로 신장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X, -X)과 수직인 음의 제2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2 접촉부(235)도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서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4)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2 접촉부(235)는 압력을 받을 뿐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서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제2 접촉부(235)는 상기 와이어(134)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와이어(134)의 압축력을 측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134)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가 측정된다.
한편, 상기 제2 접촉부(235)가 상기 와이어(134)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과 더불어, 상기 압축력의 변화량도 측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1회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접촉부(235)에서는 압축력의 변화가 1회 발생함을 측정하게 되므로, 상기 제2 접촉부(235)에서 측정된 압축력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환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은 동작 센서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센서부(233)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이 상기 와이어(134) 상에서 상기 와이어(134)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위치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위치변화의 횟수도 측정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30)는 상기 와이어(134)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상기 와이어(134)의 이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134)가 1회 왕복 이동되는 것은 곧 사용자가 1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동작 센서부(233)에서 측정된 왕복 위치변화 1회를 운동 횟수 1회로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34, 235, 236)은 상기 제2 방향(Y, -Y) 또는 상기 제1 방향(X, -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는 압력을 받지만, 상기 제1 방향(X, -X)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동작 센서부(233)에 의해 운동횟수가 측정될 수 있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31) 상에 고정된 도르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접촉부(234)는 상기 와이어(134)에 고정되는 집게이고, 상기 제2 및 제3 접촉부들(235, 236)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134)와의 마찰력이 낮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 장력측정기(230)는 상기 와이어(134)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234, 235, 236)을 끼워 고정하면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와이어(134)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운동기구에 탈부착하여 장력 및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동일한 방향의 압력을 받는 제1 및 제3 접촉부들과 사이에 위치하여 반대방향의 압력을 받아 압축 또는 인장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와이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운동기구에 탈부착하여 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부는 이동변위로 장력을 측정하거나, 압축센서로 장력을 측정하므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베이스 프레임의 동작 센서부를 통해 운동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장력 및 운동 수행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외부의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어, 재활 관리의 효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운동기구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 받으며 외부의 관리센터와의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한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원거리의 관리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근거리의 운동센터에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동을 가이드 하는 별도의 도우미 등의 도움없이, 개인 단말기를 통해 ID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처방된 운동 정보에 따라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자율성이 확보되며 비용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더라도, 사용자 실제 운동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운동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재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와이어(wire)의 장력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장력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관리 센터 100 : 헬스장
110 : 중앙 제어부 120 : 입출입 관리부
130 : 제1 운동기구 131 : 제1 운동기구 제어부
134 : 와이어(wire) 140 : 개인 단말기
200, 210, 220, 230 :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201, 211, 221, 231 : 베이스 프레임
202, 212, 222, 232 : 송수신부 203, 213, 223, 233 : 동작센서부
204, 214, 224, 234 : 제1 접촉부
205, 215, 225, 235 : 제2 접촉부
206, 216, 226, 236 : 제3 접촉부
207, 217, 227 : 제1 연장부 208, 218, 228 : 제2 연장부
209, 219, 229 : 제3 연장부

Claims (10)

  1. 와이어를 포함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며,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가 X축 방향으로 인장(引張)됨에 따라 X축 방향에 수직인 양의 Y축 방향(+Y)의 압력을 받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인장(引張)에 따라 X축 방향에 수직인 음의 Y축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인장(引張)에 따라 양의 Y축 방향의 압력을 받는 제3 접촉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고정되며, 외부와의 유/무선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장(引張)과 관계없이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력 변화의 개수를 연산하여 운동횟수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3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외부의 관리센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와 피드백되며, 사용자의 운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기구 제어부, 및 사용자의 실제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구 장력측정기는 와이어를 포함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며,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가 X축 방향으로 인장(引張)됨에 따라 X축 방향에 수직인 양의 Y축 방향(+Y)의 압력을 받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인장(引張)에 따라 X축 방향에 수직인 음의 Y축 방향(-Y)으로 압력을 받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의 인장(引張)에 따라 양의 Y축 방향의 압력을 받는 제3 접촉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들이 고정되며, 외부와의 유/무선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장(引張)과 관계없이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압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력 변화의 개수를 연산하여 운동횟수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KR1020130031047A 2013-03-22 2013-03-22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KR10144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47A KR101448497B1 (ko) 2013-03-22 2013-03-22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47A KR101448497B1 (ko) 2013-03-22 2013-03-22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42A KR20140115842A (ko) 2014-10-01
KR101448497B1 true KR101448497B1 (ko) 2014-10-13

Family

ID=5199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047A KR101448497B1 (ko) 2013-03-22 2013-03-22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11A (ko) * 2015-07-22 2017-02-02 한국기계연구원 운동기구 장력 측정기
KR102535422B1 (ko) * 2022-08-09 2023-05-26 대한민국 휴대가 가능한 근력운동기구용 근력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69B1 (ko) * 2020-05-22 2022-03-17 이재익 운동량측정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KR102412164B1 (ko) * 2020-05-22 2022-06-23 주식회사 파라밴드 장력조절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640A (en) 1978-05-16 1979-10-23 W. C. Dillon And Company, Inc. Tension measuring device
KR100317933B1 (ko) 2000-05-02 2001-12-22 유재원 중앙집중식 운동기구 제어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20108772A (ko) * 2011-03-25 2012-10-05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비 관통형 운동부하 측정장치
KR101224546B1 (ko) * 2012-03-16 2013-01-21 (주)개선스포츠 웨이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640A (en) 1978-05-16 1979-10-23 W. C. Dillon And Company, Inc. Tension measuring device
KR100317933B1 (ko) 2000-05-02 2001-12-22 유재원 중앙집중식 운동기구 제어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20108772A (ko) * 2011-03-25 2012-10-05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비 관통형 운동부하 측정장치
KR101224546B1 (ko) * 2012-03-16 2013-01-21 (주)개선스포츠 웨이트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11A (ko) * 2015-07-22 2017-02-02 한국기계연구원 운동기구 장력 측정기
KR101719573B1 (ko) * 2015-07-22 2017-03-24 한국기계연구원 운동기구 장력 측정기
KR102535422B1 (ko) * 2022-08-09 2023-05-26 대한민국 휴대가 가능한 근력운동기구용 근력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42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9890A1 (en) Intelligent Exercise or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202303472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providing and monitoring physical therapy
Elvitigala et al. GymSoles: Improving squats and dead-lifts by visualizing the user's center of pressure
KR101448497B1 (ko) 운동기구 장력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KR101571362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101509082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체력검사 시스템
KR101387953B1 (ko) 운동기구 중량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US20080119763A1 (en) Acquisition processing and reporting physical exercise data
US201101520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er-resistance exercise
US11623114B2 (en) Remote-sensing, Bluetooth-enabled resistance exercise band
EP2629856B1 (en) Muscle conditioning /muscle assessment apparatus, system
KR101209076B1 (ko) 운동가이드장치 및 운동가이드방법
KR101989368B1 (ko)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30117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819346B1 (ko) 무산소운동 센싱 시스템
KR101638433B1 (ko)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웰니스플랫폼 시스템
KR20160059997A (ko) 최대 근력 측정기 및 최대 근력에 기초한 운동 처방 제공 시스템
KR10164534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510088B1 (ko) 재활운동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운동 관리방법
KR20180071102A (ko) 상지, 하지 운동 및 평가 시스템
KR201700674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9724B1 (ko) 운동장치 및 운동관리시스템
TWI590805B (zh) Limb motor function evaluation method, Limb motor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mput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limb motor function
KR20130034245A (ko) 재활용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2036288B1 (ko) 협조운동을 위한 손 재활 로봇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